KR20020043463A -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463A
KR20020043463A KR1020020014037A KR20020014037A KR20020043463A KR 20020043463 A KR20020043463 A KR 20020043463A KR 1020020014037 A KR1020020014037 A KR 1020020014037A KR 20020014037 A KR20020014037 A KR 20020014037A KR 20020043463 A KR20020043463 A KR 20020043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
information
bidding
index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정보통신
Publication of KR2002004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463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은 발주기관의 입찰정보가 제공되는 전자입찰시스템, 상기 다수의 전자입찰시스템으로부터 입찰정보를 수집하여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입찰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에 게시된 입찰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입찰참가조건에 맞는 입찰공고정보를 제공하고, 낙찰지수통계를 참조하여 투찰할 금액을 산출하고, 현재까지 수집한 전체 개찰정보 중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개찰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투찰 금액산출시 기존의 입찰형태를 분석한 통계자료를 참고하여 투찰할 금액을 산출함으로써 낙찰금액에 훨씬 더 근접한 금액으로 투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Evaluating method of tender price, and online tender system and tender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for electronic tender}
본 발명은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찰이 완료된 다수의 개찰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낙찰 가능성을 표시하는 낙찰지수통계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낙찰지수통계를 이용하여 응찰하고자 하는 임의의 서비스 이용자에게 낙찰 가능성이 높은 투찰금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찰과정은 크게 응찰자가 입찰공고정보를 수집하는 입찰공고정보 수집단계, 상기 수집한 입찰공고정보 중 입찰하고자 하는 입찰건을 선택하는 투찰건 선택단계, 선택된 투찰건에 대하여 투찰할 금액을 산출하는 투찰금액 산출단계, 상기 산출한 투찰금액으로 상기 입찰건을 공고한 해당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에 접속하여 투찰하는 투찰실시단계, 상기 투찰한 입찰건에 대한 개찰결과를 확인하는 입찰결과 확인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입찰방식은 응찰자가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서 먼저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입찰공고정보를 먼저 수집해야 하는데 해당 전자입찰홈페이지에 공고되는 입찰정보자료가 세부적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클라이언트 본인이 입찰 가능한 입찰건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모든 입찰건의 세부 공고문을 일일이 조회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찰금액산출에 있어서, 응찰자가 입찰공고정보를 수집한 후 입찰하고자 하는 입찰건을 선택하여 투찰을 위한 투찰금액을 산출할 때,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아닌 단지 막연하게 예정가격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예정가격 추정을 위한 예정가격 산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단순히 다수의 예비가격을 무작위로 산출하고 그에 따른 조합결과만을 산출해 주는 정도였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예정가격에 대한 추정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공개 제2000-0054201호(2000.09.05)에서는 입찰자료를 연산하여 투찰할 금액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역시 입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예정가격을 응찰자가 추정하여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확한 예정가격 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투찰 실시 단계에서는 응찰자가 선택한 입찰건에 해당하는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에 접속하여 몇 단계의 메뉴를 선택하고 입찰할 입찰명을 찾아 투찰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데, 다수의 입찰건을 투찰할 경우 매 입찰건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해야하므로 투찰시 매우 불편하며 투찰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입찰결과확인 단계에서 투찰한 입찰건에 대한 개찰결과 내용은 입찰 집행관이 개찰을 최종적으로 완료한 후 해당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에 자동으로 게시되게 되는데, 응찰자는 게시되는 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어 입찰한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에 접속하여 상시 개찰 결과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입찰공고정보 중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입찰공고정보를 맞춤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찰이 완료된 다수의 개찰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낙찰 가능성을 표시하는 낙찰지수통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비스 이용자가 낙찰지수통계를 참조하여 투찰금액을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낙찰확률이 높은 금액으로 투찰할 수 있음은 물론, 투찰금액 산출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체 개찰정보 중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개찰정보만을 맞춤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찰정보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찰지수통계를 그래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가 투찰금액을 산출하는 정보창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200 : 클라이언트
300 : 입찰정보관리시스템310 : 정보관리서버
320 : 웹서버330 : 입찰정보서버
332 : 서비스이용자 인증정보DB334 : 입찰공고DB
336 : 개찰정보DB338 : 낙찰지수통계DB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주기관의 입찰정보가 제공되는 전자입찰시스템, 상기 다수의 전자입찰시스템으로부터 입찰정보를 수집하여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입찰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에 게시된 입찰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입찰참가조건에 맞는 입찰공고정보를 제공하고, 낙찰지수통계를 참조하여 투찰할 금액을 산출하고, 현재까지 수집한 전체 개찰정보 중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개찰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낙찰지수통계는 정보관리서버가 다수의 개찰정보를 수집하여 복수예비가격산출범위에 따라 변량(Xi)의 범위를 산출하고, 각각의 변량에 해당하는 예가사정율분포값(yi) 및 투찰자수분포값(ti)을 산출하는 단계, 정보관리서버가 예가지수(Yi), 투찰지수(Ti) 또는 보정투찰지수(Tci)를 산출하고, 상기 예가지수 및 투찰지수를 이용하여 낙찰지수(Ni)를 산출하는 단계, 입찰정보서버가 상기 정보관리서버에서 산출된 예가지수, 투찰지수 및 낙찰지수를 포함하는 낙찰지수통계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서비스 이용자가 임의의 변량값을 선택하면 선택된 변량값에 해당하는 투찰금액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입찰공고 및 개찰결과가 공개되는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100), 상기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100)으로부터 입찰공고 및 개찰결과 등의 입찰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를 세부적으로 분류 및 가공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맞춤 입찰공고 및 개찰정보를 제공하며, 과거의 입찰결과에 대한 데이터 통계를 기초로 투찰할 적정금액을 산출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에게 낙찰지수통계자료를 제공하는 입찰정보관리시스템(300), 상기 입찰정보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입찰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입찰정보관리시스템(300)은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100)으로부터 입찰공고, 개찰결과와 같은 입찰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입찰정보에 대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분류 및 가공하는 정보관리서버(310), 상기 가공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입찰정보서버(330), 및 클라이언트가 전용 프로그램이 아닌 웹브라우져일 경우 상기 입찰정보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320)로 구성된다.
상기 입찰정보서버(330)는 서비스 이용자의 인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이용자 인증정보DB(332), 상기 다수의 입찰공고에 대한 가공된 정보를 저장하는 입찰공고DB(334), 가공된 개찰정보를 저장하는 개찰정보DB(336), 및 서비스 이용자가 투찰할 금액 산출시 참조하는 낙찰지수통계DB(338)로 구성된다.
서비스 이용자가 클라이언트(200)를 통해 상기 입찰정보관리시스템(300)에 접속하면, 상기 입찰정보관리시스템(300)은 상기 입찰정보서버(330)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의 입찰요구조건에 맞는 입찰공고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제공된 입찰공고정보 중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입찰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입찰건에 대한 투찰금액을 낙찰지수통계를 참조하여 산출한 후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100)에 투찰한다.
투찰을 완료한 클라이언트(200)가 개찰결과를 조회하기 위해 이미 투찰된 입찰건 중 필요한 개찰정보를 입찰정보서버(330)에 요청하면, 상기 입찰정보서버(330)는 현재시점에서 수집한 전체 개찰정보 중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요구한 개찰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찰정보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보관리서버가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시스템에 게시된 입찰공고 및 개찰결과를 수집, 분류한 후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입찰정보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전용 소프트웨어(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직접 접속하거나, 웹브라우저로 웹서버를 경유하여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는 인증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입찰정보서버에 접속한 후(S100), 사업장의 위치, 보유면허종류, 면허별 입찰참가 가능 입찰규모범위 등의 입찰참가조건을 클라이언트(200)에 등록한다.
클라이언트가 상기 입찰정보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입찰정보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업장의 위치, 보유면허종류, 면허별 입찰참가규모범위 등의 입찰참가조건과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조건을 충족하는 입찰공고정보 또는 개찰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S110).
다음에,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제공된 입찰공고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고, 입찰하고자 하는 입찰건들을 선택한다(S120).
다음에, 상기 선택한 입찰건들에 대한 투찰금액을 산출하기 위해 투찰금액산출메뉴로 이동한 후, 서비스 이용자는 투찰금액을 산출할 입찰건을 선택하고 해당 입찰건에 부합하는 낙찰지수통계 유형을 선택한 다음 낙찰지수를 참고하여 투찰금액 결정선을 한 지점에 위치하면 해당 위치에 대한 투찰금액이 자동 산출되고, 확정버튼을 클릭하여 투찰금액을 결정한다(S130).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가 투찰여부를 결정하여(S140) 투찰메뉴로 이동한 후투찰금액이 결정된 입찰건들에 대하여 차례로 전자입찰시스템에 투찰을 실시한다(S150).
이후, 클라이언트가 개찰결과를 조회하기 위해서 개찰시간이 지난 입찰건 중 필요한 정보를 입찰정보서버에 요청하면, 상기 입찰정보서버는 현재시점에서 수집한 전체 개찰정보 중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개찰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만일, 서비스 이용자가 자동프린트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여(S180) 클라이언트에 자동 프린트 기능을 설정하면 상기 제공된 개찰정보가 자동으로 인쇄물이 출력되며(S181), 자동 프린트 기능을 설정하지 않으면 서비스 이용자는 개찰정보를 화면상에서 조회하게 된다(S182). 클라이언트가 전용 소프트웨어인 경우, 클라이언트가 입찰정보서버에 온라인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면 클라이언트가 신규 개찰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수신하게 되므로 서비스 이용자는 별다른 동작없이 개찰정보를 신속히 조회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입찰공고시에는 기초금액과 낙찰하한율이 결정되어 공고되기 때문에 본발명에서 제공하는 낙찰지수 산출방법은 상기 기초금액 및 낙찰하한율과 과거에 발표된 입찰건들의 개찰정보를 근거로 하게 된다.
그리고, 개찰시에는 상기 기초금액을 중심으로 일정단위 간격으로 다수개의 복수예비가격을 결정한 후 응찰자 중 약간명(바람직하게는 4명)을 선정하여 상기 다수개의 복수예비가격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예비가격을 추첨하도록 한 후 추첨된 소정 개수의 예비가격의 평균을 예정가격(예가)으로 정의하고, 상기 예정가격과 낙찰하한율을 곱하여 낙찰금액을 결정한다.
이후, 낙찰금액 미만으로 입찰에 참가한 응찰자(투찰자)들은 탈락이 되고, 나머지 응찰자들 중 상기 낙찰금액과 동일하거나 가장 근접한 응찰자를 낙찰자로 결정한다.
이와 같은 입찰진행과정에서 제공되는 기초금액 및 복수예비가격 등 각각의 수치값을 참고함으로써 상기 단계(S130)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낙찰 가능성이 높은 투찰금액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낙찰지수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아래의 표 1은 낙찰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각각의 변수를 표시한 것이다.
변량(Xi) 예가사정율분포(yi) 투찰자수분포(ti) 예가지수(Yi) 투찰지수(Ti)
X1 y1 t1 Y1 T1
X2 y2 t2 Y2 T2
X3 y3 t3 Y3 T3
... ... ... ... ...
X(i-1) y(i-1) t(i-1) Y(i-1) T(i-1)
X(i) y(i) t(i) Y(i) T(i)
합계 Σyi Σti
상기 표 1에서 변량(Xi)의 범위는 예가사정율 범위로서 예가사정율은 예정가격이 기초금액 대비 몇 %가 가감되어 결정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값이며,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그리고, 상기 변량(Xi)의 범위를 예로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복수예비가격산출범위 ±3%인 경우※ 복수예비가격산출범위 ±2%인 경우
3.0% > X1 ≥ 2.9%2.0% > X1 ≥ 1.9%
2.9% > X2 ≥ 2.8%1.9% > X2 ≥ 1.8%
: :
-2.8% > X59 ≥ -2.9%-1.8% > X39 ≥ -1.9%
-2.9% > X60 ≥ -3.0%-1.9% > X40 ≥ -2.0%
즉, 변량(Xi)의 복수예비가격산출범위가 ±3%(행정자치부 기준일 경우)인 경우에는 그 범위가 X1~X60이 되어 복수예비가격이 60가지가 되고, ±2%(조달청 기준일 경우)인 경우에는 그 범위가 X1~X40이 되어 복수예비가격이 40가지가 된다. 물론, 상기 변량의 범위는 각 기관별 입찰제도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리고, 예가사정율분포(yi)는 모든 개찰건에 대하여 예가사정율을 산출하여 상기 변량에 해당하는 분포를 표시한 것이고, 투찰자수분포(ti)는 상기 변량에 해당하는 예가사정율에 투찰한 투찰자수의 분포를 표시한 것이며, 예가지수(Yi)는 개찰결과 예가사정율이 몇 % 대 범위에서 주로 산출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즉, 각각의 변량에 해당하는 예가지수는 해당 예가사정율분포값을 전체 예가사정율분포값의 합으로 나눈 백분율 값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투찰지수(Ti)는 각각의 예가사정율범위내에 몇 명이 투찰하는지를나타내는 수치로서,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즉, 각각의 변량에 해당하는 투찰지수는 해당 투찰자수분포값을 전체 투찰자수분포값의 합으로 나눈 백분율 값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예가지수가 높을수록 투찰성향지수가 낮을수록 보정지수(보정계수) 및 낙찰지수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통계상 예가사정율이 0%~+0.1%에서 가장 많은 낙찰자가 나왔다면 이 범위의 예가지수가 가장 높을 것이다. 그러나 입찰자가 대부분 그간의 경험으로 이 부분에서 낙찰자가 많이 나온다는 점을 알기 때문에 많은 수가 이 범위내로 투찰을 할 것이므로 투찰성향지수 또한 높아진다. 따라서, 아무리 예가사정지수가 높다 하여도 투찰성향지수가 훨씬 높다면 낙찰이 될 확률은 오히려 떨어진다. 이러한 예가지수와 투찰지수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낙찰확률을 표시하는 낙찰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데, 낙찰지수는 다음의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된다. 낙찰지수는 절대적인 낙찰확률을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각 사정율멸 낙찰확률에 대한 상대적인 높고 낮음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수학식 4 및 5는 동일한 유형의 낙찰지수 그래프가 형성된다.
수학식 4는 예가지수를 보정투찰지수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며, 보정투찰지수는 투찰지수에 보정계수를 더하여 산출된 지수이다. 여기서, 보정계수란 각 변량별 실제 투찰자수에 소정의 기본 투찰자수를 더해주는 계수로서, 이는 투찰자수가 극히 미미한 변량 부위에서 소수의 투찰자수의 증감에 대하여 과도한 낙찰지수의 증감이 발생한 바, 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수학식 5는 예가지수를 제곱한 값을 투찰지수로 나누 값으로 정의한다.
도 3은 상기 단계(S130)에서 산출된 각각의 지수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창을 도시한 것으로서, 예가지수, 투찰지수, 낙찰지수 등이 그래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X축은 상기 변량을 표시한 것이며, Y축은 상기 변량에 대한 각각의 지수값을 표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의 개찰정보를 통해 얻어진 예가지수의 분포에 따라 응찰자들의 투찰 분포를 나타내는 투찰지수가 예가지수의 분포형태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예가지수가 높더라도 투찰자들의 수가 그만큼 증가하면 경쟁률이 상승되기 때문에 낙찰확률은 그만큼 줄어든다고 볼 수있다. 반면에, 예가지수가 낮더라도 투찰자의 수가 적으면 높은 예가지수보다 경쟁률이오히려 더 감소하기 때문에 낙찰확률은 그만큼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낙찰 가능성을 표시하는 낙찰지수의 분포 그래프를 보면 예가지수가 낮은 부분에서 오히려 낙찰지수가 높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그만큼 낙찰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정보를 입찰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낙찰 가능성이 높은 곳에 투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공된 낙찰지수통계를 활용하여 투찰금액을 산출하는 정보창을 도시한 것이다. X축은 상기 변량을 표시한 것이며, Y축은 상기 변량에 대한 각각의 지수값을 표시한 것이다.
즉, 투찰금액을 산출할 입찰건을 선택한 후 낙찰지수통계를 참조하여 예가사정율을 예측하고 선택막대를 해당 예가사정율에 위치하면 선택한 사정율에 해당하는 투찰금액이 자동으로 산출되는데, 상기 투찰금액은 다음의 수학식 6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른 입찰건에 대하여도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투찰금액을 산출한다.
이후, 클라이언트는 상기 해당 입찰건들에 대해 투찰하기 위하여 투찰메뉴로 이동하여 투찰금액이 결정된 입찰건들에 대하여 차례로 전자입찰시스템에 투찰을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찰제도, 입찰공고건의 특성 또는 운영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다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본 발명의 요지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하루에도 전국적으로 수백건씩 발주되는 공공기관의 입찰공고, 개찰결과 중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입찰정보를 즉시 수집할 수 있으므로 공고정보 수집에 소요되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찰 금액산출시 기존의 입찰형태를 분석한 낙찰지수통계를 참고하여 투찰할 금액을 산출함으로써 낙찰될 확률이 높은 금액으로 투찰이 가능하며 또한, 투찰금액 산출방법도 예가사정율만 지정하면 해당 비율에 해당하는 투찰금액이 즉시 산출이 되므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투찰금액산출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찰이 완료된 개찰정보가 자동으로 각각의 개찰건별로 인쇄되기 때문에 개찰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매번 조회할 필요가 없이 인쇄된 결과내용만 확인하면 되므로 불필요한 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발주기관의 입찰정보가 제공되는 전자입찰시스템;
    다수의 전자입찰시스템으로부터 입찰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입찰정보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는 정보관리서버,
    상기 가공된 입찰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입찰정보서버,
    웹브라우저로 상기 입찰정보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를 포함하는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입찰정보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입찰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을 위한 온라인 입찰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찰정보서버는,
    서비스 이용자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이용자 인증정보DB;
    다수의 입찰공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입찰공고DB;
    입찰완료된 개찰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개찰정보DB; 및
    투찰 금액 산출시 참조하는 낙찰지수통계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을 위한 온라인 입찰 서비스 시스템.
  3. 정보관리서버가 다수의 개찰정보DB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예비가격산출범위에따른 각각의 변량(Xi)에 해당하는 예가사정율(yi) 및 투찰자수분포(ti)를 산출하는 단계;
    정보관리서버가 상기 예가사정율값을 이용하여 예가지수(Yi)를 산출하는 단계;
    정보관리서버가 상기 투찰자수분포값을 이용하여 투찰지수(Ti) 또는 보정투찰지수(Tci)를 산출하는 단계;
    정보관리서버가 상기 예가지수 및 투찰지수를 이용하여 낙찰지수(Ni)를 산출하는 단계; 및
    서비스 이용자가 특정 변량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가 상기 정보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낙찰지수통계정보를 이용하여 투찰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찰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가 입찰정보서버에서 제공되는 예가지수, 투찰지수 및 낙찰지수를 포함하는 낙찰지수통계정보를 그래프 및 수치형태로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찰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는,
    서비스 이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하였을 경우, 정보관리서버가 상기 산출된 낙찰지수통계정보를 이용하여 투찰금액을 산출하고 서비스 이용자에게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6. 정보관리서버가 다수의 발주기관의 전자입찰 시스템에 게시된 입찰정보 및 개찰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정보가공 단계;
    입찰정보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구조건에 맞는 입찰공고정보를 검색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입찰공고정보 제공단계;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제공된 입찰공고정보를 조회하여 입찰하고자 하는 입찰건을 선택하는 단계;
    정보관리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된 입찰정보 및 개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입찰건에 대한 낙찰지수통계 및 투찰 금액을 산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 이용자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정보관리서버에서 산출된 낙찰지수 및 투찰금액을 이용하여 해당 입찰건에 대해 투찰하는 단계; 및
    입찰정보서버가 현재까지 수집한 전체 개찰정보 중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개찰정보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자동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을 위한 낙찰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구조건은 사업장 주소, 보유면허종류를 기본 설정조건으로 하고, 입찰참가규모범위별, 투찰개시일시 도래여부, 투찰완료여부, 참여지역 확대여부 등을 사용자 선택옵션으로 추가하여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는 입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을 위한 낙찰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20014037A 2001-11-07 2002-03-15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3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254A KR20020005534A (ko) 2001-11-07 2001-11-07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10069254 2001-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63A true KR20020043463A (ko) 2002-06-10

Family

ID=197157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254A KR20020005534A (ko) 2001-11-07 2001-11-07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20014037A KR20020043463A (ko) 2001-11-07 2002-03-15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254A KR20020005534A (ko) 2001-11-07 2001-11-07 전자입찰을 위한 입찰정보관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이용한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0553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117B1 (ko) * 2009-05-13 2010-03-02 주식회사 예람 예정가격의 발생 확률을 이용한 입찰 분석 방법
KR101007796B1 (ko) * 2008-09-30 2011-01-14 (주) 인포 비중부여를 이용한 사정율 예측방법
KR101300517B1 (ko) * 2010-10-19 2013-10-02 주식회사 지투비홀딩스 전자 입찰에 있어 투찰금액 예측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48290B1 (ko) * 2013-03-04 2014-10-13 (주)전자조달연구원 전문가의 낙찰 예측 분포도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KR20200052765A (ko) * 2018-11-07 2020-05-15 (주)전자조달연구원 수요 기관별 복수 예가의 예측을 이용하여 입찰 금액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34274B1 (ko) * 2019-09-26 2021-03-30 김대현 데이터에 기반한 낙찰가 예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169A (ko) * 2004-10-27 2006-05-03 김길남 석재 및 조경 자동입찰지원시스템 및 이용방법
KR100766082B1 (ko) * 2006-12-27 2007-10-12 (주) 인포 과거 입찰데이터 표시시스템 및 표시방법
KR101269874B1 (ko) * 2011-03-10 2013-06-07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낙찰 금액 산출 시스템 및 그 산출 방법
KR101637405B1 (ko) 2014-04-21 2016-07-07 (주) 정랩 전자입찰정보 스마트 공유장치 및 방법
CN109597927B (zh) * 2018-12-05 2022-11-18 贵阳高新数通信息有限公司 招投标相关网页页面信息提取方法及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96B1 (ko) * 2008-09-30 2011-01-14 (주) 인포 비중부여를 이용한 사정율 예측방법
KR100944117B1 (ko) * 2009-05-13 2010-03-02 주식회사 예람 예정가격의 발생 확률을 이용한 입찰 분석 방법
KR101300517B1 (ko) * 2010-10-19 2013-10-02 주식회사 지투비홀딩스 전자 입찰에 있어 투찰금액 예측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48290B1 (ko) * 2013-03-04 2014-10-13 (주)전자조달연구원 전문가의 낙찰 예측 분포도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KR20200052765A (ko) * 2018-11-07 2020-05-15 (주)전자조달연구원 수요 기관별 복수 예가의 예측을 이용하여 입찰 금액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34274B1 (ko) * 2019-09-26 2021-03-30 김대현 데이터에 기반한 낙찰가 예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534A (ko) 200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41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orders in electronic trading systems
US8458062B2 (en) Real-time product matching
US8027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ocumentation for solicited trades
US80954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loan consumers and lenders
US79338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or analyzing a limit order book
US7711637B2 (en) Automated political risk management
MXPA02004267A (es) Metodo para pronosticar pedidos futuros en el manejo de inventario de partes.
US757757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t-launch performance of a product on a market
US20110302075A1 (en) Bond issue risk management
CN105074748A (zh) 剖析拍卖资产和/或参与者以预测拍卖结果
KR20020043463A (ko) 전자입찰을 위한 투찰금액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온라인 입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484125B1 (en) Market participant issue sel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007796B1 (ko) 비중부여를 이용한 사정율 예측방법
US83701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roduct shipment process capability
KR101448290B1 (ko) 전문가의 낙찰 예측 분포도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KR100944117B1 (ko) 예정가격의 발생 확률을 이용한 입찰 분석 방법
KR100806369B1 (ko) 네트워크 상의 입찰 분석 정보 제공방법
WO2012150828A2 (ko) 기업의 시장가치와 기본적 분석에 의한 차이를 활용한 현재 시점의 기업가치 괴리율 표시방법
KR102234274B1 (ko) 데이터에 기반한 낙찰가 예측방법.
KR101448289B1 (ko) 전문가의 낙찰 예측 결과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US200201885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liciting, submitting and managing appraisals
JP2021018796A (ja) 金融商品取引管理装置、金融商品取引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1155056A (ja) ファンド投資情報システム
JPH05101108A (ja) 顧客データの管理方法
CN113837883B (zh) 贵金属交易数据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