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469A -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469A
KR20020040469A KR1020000070525A KR20000070525A KR20020040469A KR 20020040469 A KR20020040469 A KR 20020040469A KR 1020000070525 A KR1020000070525 A KR 1020000070525A KR 20000070525 A KR20000070525 A KR 20000070525A KR 20020040469 A KR20020040469 A KR 20020040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essage
tmn
management messag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혁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469A/ko
Publication of KR2002004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 시스템에서 대국 TL1(Transaction Language 1) 관리 메시지를 실을 수 있는 새로운 관리 객체를 정의한 후, 해당 관리 객체에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실어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관리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TMN 접속점을 통해 송신 및 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TL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ECC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TMN 관리 메시지와 TL1 관리 메시지를 분류하여 해당되는 접속점으로 스위칭해야 하고, 각각의 관리 메시지에 대한 동기화를 제공해야 함에 따라 메시지 분류 모듈의 소프트웨어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들이 서로 충돌하여 시스템 자원 즉,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여러가지 자료 구조들의 일관성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TMN 관리 메시지와 분류하여 전달할 필요없이 TPMO에 실어 TMN 접속점을 통해 송신 처리하고, 해당 TMN 접속점을 통해 입력되는 TMPO로부터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추출하여 수신 처리함으로써,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분류하기 위한 별도의 메시지 분류 모듈을 구현할 필요가 없어질 뿐 아니라, 관리 메시지들이 동기 문제로 서로 충돌하지 않게 되어 시스템 자원의 일관성이 깨지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Remote TL1 Management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TL1(Transaction Language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실을 수 있는 새로운 관리 객체를 정의한 후, 해당 관리 객체에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실어 TMN 관리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TMN 접속점을 통해 송신 및 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TL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송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오픈 시스템 구조(Open System Architecture)로는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 표준 관리 규격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TMN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에 Q3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할 뿐 아니라 기존의 입출력 메시지 처리를 위한 표준 관리 규격인 TL1(Transaction Language 1)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TMN 관리 규격과 TL1 관리 규격에서 각각 지원하는 Q3 인터페이스와 TL1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게 됨에 따라 두 개의 관리 규격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각 프로토콜 스택의 물리 계층에 전송 시스템의 관리 채널인 ECC(Enbedded Communication Channel) 채널을 접속해야 했다.
즉, 해당 ECC 채널은 관리 메시지 형태에 따라 TMN 스택 또는 TL1 스택으로 스위칭해야 했다.
한편, 종래의 전송 시스템에서 TL1 및 TMN 관리 메시지 처리를 위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관리자로부터 TMN 관리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TMN 관리 메시지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계층 스택을 지원하는 TMN 접속점(16)을 통해 TMN 에이전트(15)로 전달되고, 이에, 해당 TMN 에이전트(15)에서는 시스템 자원을 매핑해 주는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시스템(11)에서 관리하는 자원(즉, 시스템 내부의 자료 구조)과 결합하여 해당되는 관리 내용을 TMN 관리 객체(Managed Object)에 맞도록 적용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로부터 TL1 관리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TL1 관리 메시지는 OSI 7 계층 스택과는 다른 통신 수단인 TL1 접속점(14)을 통해 TL1 메시지 처리부(13)로 전달되고, 이에, 해당 TL1 메시지 처리부(13)에서는 시스템 자원을 매핑해 주는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시스템(11)의 자원을 나타내는 자료형과 결합하여 해당되는 관리 내용을 TL1 관리를 위한 자료형에 맞도록 적용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 저장하게 된다.
이때, 해당 TMN 접속점(16)은 TMN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 이하, 'CMIP'라 칭함)과 관리 객체를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며, 해당 TL1 접속점(14)은 TL1 관리 명령 즉, 명령 송신, 명령 응답 수신, 이벤트 발생 보고 등과 관련된 메시지를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해당 TMN 관리 메시지와 TL1 관리 메시지는 ECC 채널(18)을 통해 각각의 접속점으로 입력되는데, 이를 위해 구현된 메시지 분류 모듈(17)은 ECC 채널(18)을 통해 입력되는 모든 관리 메시지에 대해 TMN 관리 메시지인지, TL1 관리 메시지인지를 분류하며, 해당 메시지 동기화 모듈(17)은 각각의 관리 메시지에 대한 동기화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TMN 관리 규격을 지원하기 위해 TL1 관리 규격을 동시에 지원해야 하는데, 이때, ECC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관리 메시지를 해당되는 접속점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TMN 관리 메시지인지, TL1 관리 메시지인지를 분류해야 할 뿐 아니라 각각의 관리 메시지에 대한 동기화를 제공해야 함에 따라 메시지 분류 모듈의 소프트웨어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TMN 관리 명령과 TL1 관리 명령이 서로 충돌하여 시스템 자원 즉,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여러가지 자료 구조들의 일관성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TMN 관리 메시지와 분류하여 전달할 필요없이 TPMO에 실어 TMN 접속점을 통해 송신 처리하고, 해당 TMN 접속점을 통해 입력되는 TMPO로부터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추출하여 수신 처리함으로써,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분류하기 위한 별도의 메시지 분류 모듈을 구현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모두 TMN 접속점을 통해 송수신 처리함으로써, 관리 메시지들이 동기 문제로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 자원의 일관성이 깨지는 현상을 제거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송 시스템에서 TL1 및 TMN 관리 메시지 처리를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MN 관리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서 대국으로 TL1 관리 메시지를 송신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MN 관리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서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수신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시스템 22-1, 22-2 : 인터페이스부
23 : TL1 메시지 처리부 24 : TL1 접속점
25 : TL1 송신 관리부 26 : TMN 접속점
27 : TMN 에이전트 28 : ECC 채널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관리자의 명령 송신, 이벤트 보고 송신을 위한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에 실어 TMN 접속점 및 ECC 채널을 통해 대국으로 송신 처리하는 TL1 송신 관리부와; 현재 처리해야 하는 관리 메시지가 자국 TL1 관리 메시지인지,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인지를 분류한 후, 자국 TL1 관리 메시지는 TL1 접속점을 통해 송신 처리하고, 대국 TL1 관리 메시지는 상기 TL1 송신 관리부로 전달하는 TL1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ECC 채널 및 TMN 접속점을 통해 입력되는 관리 메시지를 TMN 관리 메시지와 대국 TL1 관리 메시지로 분류한 후, TMN 관리 메시지는 자원 매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처리하고, 대국 TL1 관리 메시지는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에 실려 입력됨에 따라 해당되는 관리 개체로부터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추출한 후에 상기 TL1 메시지 처리부로 전달하여 수신 처리하게 하는 TMN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TL1 송신 관리부는, 대국에 TL1 관리 명령 메시지와 시스템 자원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를 대국에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 보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TMN 접속점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상기 TL1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TL1 관리 메시지를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에 실어 상기 TMN 접속점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는, TMN 접속점에서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같이 수용할 수 있도록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의 송신및 수신 처리를 위해 정의한 관리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TMN 관리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서 대국으로 TL1 관리 메시지를 송신 처리하기 위한 구조는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종래 전송 시스템의 구조에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TMN 접속점(26)을 통해 송신 처리하기 위한 TL1 송신 관리부(25)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해당 전송 시스템은 자국 TL1 관리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처리를 위한 자국 TL1 관리 메시지 처리부와,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의 송신 처리를 위한 대국 TL1 관리 메시지 송신 처리부로 구분되며, 이와 동시에 TMN 관리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처리를 위한 TMN 에이전트(27)와 관리 객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국 TL1 관리 메시지 송신 처리부에 포함되는 TL1 송신 관리부(25)는 관리자의 명령 송신, 이벤트 보고 송신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대국에 TL1 관리 메시지(즉, 소정의 관리 명령 메시지와 시스템 자원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를 대국에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 보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TL1 메시지 처리부(23)로부터 전달되는 TL1 관리 메시지를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TransParent Managed Object ; 이하, 'TPMO'라 칭함)에 실어 TMN 접속점(26) 및 ECC 채널(28)을 통해 대국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해당 TL1 메시지 처리부(23)는 현재 처리해야 하는 관리 메시지가 자국 TL1 관리 메시지인지,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인지를 분류한 후, 자국 TL1 관리 메시지는 TL1 접속점(24)을 통해 처리하고, 대국 TL1 관리 메시지는 TL1 송신 관리부(25)로 전달한다.
그리고, 해당 TPMO는 TMN 접속점(26)에서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같이 수용할 수 있도록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처리를 위해 정의한 관리 개체로서, CMIP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그대로 실어 TMN 접속점(26)을 통해 ECC 채널(28)로 전달하기 위해 정의한 클래스를 의미한다.
반대로, 대국의 전송 시스템 입장에서는 ECC 채널(28)을 통해 입력되는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수신 처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TMN 관리 기반의 전송 시스템 구조는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국 TL1 관리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처리를 위한 자국 TL1 관리 메시지 처리부와,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의 수신 처리를 위한 대국 TL1 관리 메시지 수신 처리부로 구분되며, 이와 동시에 TMN 관리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처리를 위한 관리 객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전송 시스템의 대국 TL1 관리 메시지 수신 처리부는 ECC 채널(28)을 통해 입력되는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가 모두 OSI 7 계층 스택을 지원하는 TMN 접속점(26)을 통해 TMN 에이전트(27)로 전달되면, 해당 TMN 에이전트(27)는 TMN 접속점(26)을 통해 전달된 관리 메시지를 TMN 관리 메시지와 대국 TL1 관리 메시지로 분류한 후, TMN 관리 메시지는 전술한 종래 전송 시스템에서의 TMN 관리 메시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대국 TL1 관리 메시지는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TransParent Managed Object ; 이하, 'TPMO'라 칭함)에 실려 입력됨에 따라 해당 TPMO로부터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추출한 후에 TL1 메시지 처리부(23)로 전달함으로써, 시스템(21)의 자원을 매핑하는 인터페이스부(22-1)를 통해 실제 시스템(21)에서 관리하는 자원과 결합하여 해당되는 관리 내용을 TL1 관리를 위한 자료형에 맞도록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TMN 에이전트에서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분류하는 것은, TMN 접속저(26)을 통해 전달되는 관리 메시지에 포함되는 객체 식별자(ID) 필드를 분석하여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ECC 채널(28)을 통해 입력되는 관리 메시지를 분류하여 해당되는 접속점으로 전달할 필요없이,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TPMO에 실어 TMN 접속점(26)을 통해 송신 처리하고, 해당 TMN 접속점(26)을 통해 입력되는 TMPO로부터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추출하여 수신 처리함에 따라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분류하기 위한 별도의 메시지 분류 모듈을 구현할 필요가 없어질 뿐 아니라, TLM 관리 명령과 TL1 관리 명령이 동기 문제로 서로 충돌되어 시스템 자원의 일관성이 깨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TMN 관리 메시지와 분류하여 전달할 필요없이 TPMO에 실어 TMN 접속점을 통해 송신 처리하고, 해당 TMN 접속점을 통해 입력되는 TMPO로부터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추출하여 수신 처리함으로써,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분류하기 위한 별도의 메시지 분류 모듈을 구현할 필요가 없어질 뿐 아니라, 관리 메시지들이 동기 문제로 서로 충돌하지 않게 되어 시스템 자원의 일관성이 깨지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관리자의 명령 송신, 이벤트 보고 송신을 위한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에 실어 TMN 접속점 및 ECC 채널을 통해 대국으로 송신 처리하는 TL1 송신 관리부와;
    현재 처리해야 하는 관리 메시지가 자국 TL1 관리 메시지인지,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인지를 분류한 후, 자국 TL1 관리 메시지는 TL1 접속점을 통해 송신 처리하고, 대국 TL1 관리 메시지는 상기 TL1 송신 관리부로 전달하는 TL1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ECC 채널 및 TMN 접속점을 통해 입력되는 관리 메시지를 TMN 관리 메시지와 대국 TL1 관리 메시지로 분류한 후, TMN 관리 메시지는 자원 매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처리하고, 대국 TL1 관리 메시지는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에 실려 입력됨에 따라 해당되는 관리 개체로부터 대국 TL1 관리 메시지를 추출한 후에 상기 TL1 메시지 처리부로 전달하여 수신 처리하게 하는 TMN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L1 송신 관리부는, 대국에 TL1 관리 명령 메시지와 시스템 자원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를 대국에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 보고 메시지를 송신하는경우에 TMN 접속점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상기 TL1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TL1 관리 메시지를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에 실어 상기 TMN 접속점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관리 객체는, TMN 접속점에서 대국 TL1 관리 메시지와 TMN 관리 메시지를 같이 수용할 수 있도록 대국 TL1 관리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처리를 위해 정의한 관리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KR1020000070525A 2000-11-24 2000-11-24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KR20020040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525A KR20020040469A (ko) 2000-11-24 2000-11-24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525A KR20020040469A (ko) 2000-11-24 2000-11-24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469A true KR20020040469A (ko) 2002-05-30

Family

ID=1970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525A KR20020040469A (ko) 2000-11-24 2000-11-24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4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270B1 (ko) * 2002-08-2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엠에스와 엔이간의 데이터 전송장치와 전송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270B1 (ko) * 2002-08-2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엠에스와 엔이간의 데이터 전송장치와 전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3038C (zh) 数字用户线访问多路复用器的元件管理系统和方法
US6519635B1 (en) SNMP master agent that translates messages to a sub-agent proprietary format using a translation table by the sub-agent
US6085237A (en) User-friendly interface for setting expressions on an SNMP agent
US20030105801A1 (en) Method, system and agent for connecting event consumers to event producers in a distributed event management system
US5892916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partial response table
CN101416442A (zh) 用于使用存在和即时消息接发技术的网络管理系统的系统及设备
SE0103535D0 (sv) A system of intelligent devices, a method for providing such a system and a computer data signal
US6944657B1 (en) Automatic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network configuration with the management information database
US6263366B1 (en) System and method therefor of translating a message having a given format for usage in an operations system
KR100276882B1 (ko) 광대역액세스장치의 통합운용관리장치 및그 방법
KR20020040469A (ko) 전송 시스템에서의 대국 티엘 1 관리 메시지 처리 장치
CN113259185B (zh) 网管代理以及网元管理平台
KR20080058409A (ko) 양 종점 간의 투명한 독립 통신 설계 시스템 및 방법
JP2002055892A (ja)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及び仮想ネットワーク機器システム
KR100263386B1 (ko) 망관리 지역센터에서 트랜잭션 랭귀지 1 파싱 처리방법
KR100256672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치 방법
KR100251379B1 (ko) 교환시스템에있어서통신관리망관리자의사건보고메시지최적화방법및시스템
KR20010004954A (ko) 푸시시스템에서 멀티서버를 이용한 채널 연동 방법
KR100250992B1 (ko) 광대역 가입자망 운용관리시스템(anoss_l)관리 구조 및정합 방법
CN105763380A (zh) 一种网管数据获取方法和装置
WO2007066922A1 (en) Method of effectively managing database system for mobile number portability
KR20010056172A (ko) 망관리시스템에서의 광대역 가입자망 통합 관리 방법
EP0509068A1 (en) Dynamic association of rf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in a pre-existing computer controlled network
KR100770920B1 (ko) 관리정보베이스 배열을 이용한 단순망관리프로토콜 기반네트웍시스템 관리 방법
CN115348161A (zh) 日志告警信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