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6Y1 - 프로펠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펠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6Y1
KR200200396Y1 KR2020000013994U KR20000013994U KR200200396Y1 KR 200200396 Y1 KR200200396 Y1 KR 200200396Y1 KR 2020000013994 U KR2020000013994 U KR 2020000013994U KR 20000013994 U KR20000013994 U KR 20000013994U KR 200200396 Y1 KR200200396 Y1 KR 200200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coupling
sleeve
circumferential surface
splin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2020000013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프로펠라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회전날개(103)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테이퍼진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이 형성되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의 내주면에 평평부(101b)가 형성된 프로펠라(100)와; 테이퍼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프로펠라(100)의 평평부(101b)와 끼워맞춤되는 결합부(111)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키이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라(100)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에 삽입설치되는 슬리브(110)와; 테이퍼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슬리브(110)의 키이홈(112)에 대응되는 키이(12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키이홈(122)이 형성되는 샤프트하우징(120)과;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키이홈(122)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스프라인(131)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내주면에 삽입설치되는 스프라인 샤프트(130)와; 상기 프로펠라(100)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의 단부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결합홈(105a)이 형성된 결합돌기(105)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삽입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날개(14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05)의 결합홈(105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프로펠라(100)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서 무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결합편(140); 그리고,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합편(140)을 상기 결합돌기(105)에 밀착 고정시키는 너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펠라 체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각 부품들의 체결면적이 증가하여 체결력이 향상되고, 프로펠라가 안정 되게 장착되어 정,역회전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한 프로펠라의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펠라 체결장치{coupling device for propeller}
본 고안은 선박용 프로펠러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펠라와 슬리브, 슬리브와 샤프트 하우징을 체결함에 있어서, 슬리브 및 샤프트하우징을 소정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슬리브와 샤트프하우징의 결합은 키이 결합시킴에 의해 프로펠라와 슬리브 그리고 슬리브와 샤프트하우징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체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프로펠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펠라를 장치하는 경우에는 프로펠라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프로펠라의 축에 2조의 정,역방향 록크너트만을 상호조립하여 프로펠라의 분해를 방지하였던 것으로, 선박이 항해하는 도중에 프로펠라가 그물 등에 걸리게 되는 등 장해물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경우에 록크너트도 프로펠라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록크너트가 풀려지게 되므로 프로펠라가 샤프트에서 분리되어 선박이 항해 불능상태에 빠지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로펠라와 슬리브, 슬리브와 샤프트하우징을 체결함에 있어서, 슬리브 및 샤프트하우징을 소정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슬리브와 샤프트하우징의 결합은 키이 결합시킴에 의해 프로펠라와 슬리브 그리고 슬리브와 샤프트하우징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체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프로펠라의 정,역방향 회전하더라도 프로펠라가 축에 안정되게 결합되어 안정된 항해를 할 수 있는 프로펠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라 체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2 -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라 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 - 프로펠라 체결장치의 전면 단면도.
도4 - 프로펠라 체결장치의 후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로펠라 101 : 내통
101a : 관통슬리브결합공 101b : 평평부
102 : 외통 103 : 회전날개
104 : 리브 105 : 결합돌기
105a : 결합홈 110 : 슬리브
111 : 결합부 112 : 키이홈
120 : 샤프트하우징 121 : 키이
122 : 키이홈 130 : 스프라인샤프트
131 : 스프라인 132 : 수나사산
133 : 분할핀결합홈 140 : 결합편
141 : 결합날개 142 : 통공
143 : 너트결합부 150 : 너트
160 : 분할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날개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테이퍼진 관통슬리브결합공이 형성되되, 관통슬리브결합공의 내주면에 평평부가 형성된 프로펠라와; 테이퍼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프로펠라의 평평부와 끼워맞춤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키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라의 관통슬리브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슬리브와; 테이퍼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슬리브의 키이홈에 대응되는 키이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키이홈이 형성되는 샤프트하우징과;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하우징의 키이홈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스프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하우징의 내주면에 삽입설치되는 스프라인 샤프트와; 상기 프로펠라의 관통슬리브 결합공의 단부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스프라인 샤트트에 삽입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홈부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프로펠라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에서 무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결합편; 그리고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합편을 상기 결합돌기에 밀착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펠라 체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너트가 수용결합되는 너트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는, 외주면에 외주면을 관통하여 분할핀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프로펠라의 내주면과 슬리브 및 슬리브의 내주면과 샤프트하우징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스프라인 샤프트에 형성된 스프라인이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키이홈에 안정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프로펠라와 슬리브, 슬리브와 샤프트하우징, 샤프트하우징과 스프라인 샤프트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체결력이 향상되며 각각이 소정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정방향 회전시에는 회전에 의한 힘이 경사가 좁은측으로 작동되어 프로펠라의 무단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역방향 회전시에도 상기 결합편 분할핀 및 너트의 결합에 의해 프로펠라의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라 체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라 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프로펠라 체결장치의 전면 단면도이며, 도4는 프로펠라 체결장치의 후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라 체결장치는 크게 프로펠라(100)와, 슬리브(110)와, 샤프트 하우징(120)과, 스프라인 샤프트(130)와, 결합편(140)과 너트(150) 그리고 분할핀(160)으로 구성된다.
먼저 프로펠라(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로펠라(100)는 내통(101) 및 외통(102)을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외통(10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회전날개(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통(102)과 내통(101)은 리브(104)로 연결되어 내통(101)이 외통(102)의 내주면 측에 고정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통(101)은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줄어들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통(101)에는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의 단면적도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갈수록 소정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101)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평평부(101b)가 형성되어 상기 내통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에 후술하는 슬리브(11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내통(101)의 평평부(101b)와 슬리브(110)의 결합부(111)가 접촉 결합되어 내통(101)과 슬리브(11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프로펠라(100)와 슬리브(110)의 결합을 견고히 한다.
또한 상기 내통(101)의 후면측 단부에는 단부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리브형상의 결합돌기(105)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슬리브(110)가 상기 내통(101)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 내부로 무한정 삽입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05)의 단부 및 외주면에는 소정크기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의 결합홈(105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편(140)의 결합날개(141)가 상기 결합홈(105a)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프로펠라(100)가 후술하는 스프라인 샤프트(130)를 축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펠라(100)가 스프라인 샤프트(130)로 부터 무단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슬리브(11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통의 관통슬리브결합 공(101a)에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10)는 탄성이 양호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프로펠라(100)에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분산시킨다. 상기 슬리브(110)는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 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11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10)가 상기 내통(101)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내통(101)의 평평부(101b)와 상기 슬리브(110)의 결합부(111)가 밀착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프로펠라(100)와 슬리브(110)의 결합을 견고히 한다.
상기 슬리브(110)의 내주면에는 전면측에서 부터 후면측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키이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키이홈(112)에 후술하는 샤프트하우징(120)의 키이(121)부분이 삽입결합된다.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110)의 내주면에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은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가면서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외주면을 따라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키이(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후면측에서 전면측의 소정위치까지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키이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키이홈(122)에 후술하는 스프라인 샤프트(130)의 스프라인(131)이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상기 슬리브(110) 내부 결합은 슬리브(110)의 전면측을 통하여 후면측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결합된 다.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의 후면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나사산(13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너트(150)가 결합되며, 단부 인접부에는 분할핀 결합홈(133)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핀 결합홈(133)에 분할핀(16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의 수나사산(132) 형성부 인접부에는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의 외주면을 따라 전면측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스프라인(131)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가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의 스프라인(131)과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키이홈(122)이 꼭 끼이게 결합됨과 동시에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체결력이 향상된다.
상기 결합편(140)은 중앙부에 통공(142)이 형성된 대략 원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통공(142)이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140)의 외측 단부에는 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141)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140)의 내측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소정절곡된 너트 결합부(144)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 결합부(144)에 너트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너트(150)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형성된 수나사산(132)과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결합편(140)이 상기 프로펠라(100)의 내통(101)에 형성된 결합돌기(105)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140)이 상기 내통(101)의 결합돌기(105)에 밀착되면 상기 결합편(14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날개(141)가 상기 결합돌기(105)의 결합홈(105a)에 끼이게 되고 사 용자가 상기 결합날개(141)에 소정의 장력을 가하여 결합날개(141)를 전면측으로 절곡시키면 상기 결합날개(141)가 상기 결합돌기(105)의 결합홈(105a)에 꼭 끼이게 되어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가 정,역회전 하더라도 상기 너트(150)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서 무단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프로펠라(100)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서 무단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형성된 분할핀 결합홈(133)에 분할핀(160)이 결합됨에 의해 상기 프로펠라(100)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로 부터 무단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핀(160)은 프로펠라(100)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로 부터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보조수단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결합편(140)의 결합날개(141)가 상기 결합돌기(105)의 결합홈(105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프로펠라(100)의 무단이탈은 충분히 방지되나 더 한층의 안전수단으로 분할핀(160)이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내통(101)의 전면측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110)를 상기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에 삽입하여 프로펠라(100)와 슬리브(110)를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슬리브(110)의 전면측을 통하여 샤프트하우징(120)을 상기 슬리브(110)의 내주면에 삽입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110)와 샤프트하우징(120)의 결합은 상기 슬리브(110)의 키이홈(112)과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키이(121)가 결합되도록 삽입 결합시킨다. 스프라인샤프트(120)와 슬리브(110)가 결합되면 사용자는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전면측을 통하여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를 상기 샤프 트하우징(120)의 내주면에 삽입하여 상기 샤프트 하우징(120)과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를 결합시킨다. 여기서도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키이홈(122)과 스프라인 샤프트(130)의 스프라인(131)이 결합되도록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를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에 삽입 결합시킨다.
샤프트하우징(120)과 스프라인 샤프트(130)가 결합되면 사용자는 상기 결합편(140)의 너트결합부(144)에 너트(15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너트(150)를 소정 회전시켜 상기 너트(150)를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형성된 수나사산(132)과 나사 결합시킨다. 상기 너트(150)와 스프라인 샤프트(130)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편(140)이 상기 프로펠라(100)의 결합돌기(105)측으로 접근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편(140)에 형성된 결합날개(141)가 상기 결합돌기(105)의 결합홈(105a)에 일부 삽입된다. 결합날개(141)가 결합홈(105a)에 일부 삽입되면 사용자는 상기 결합날개(141)의 단부에 전면측으로 향하는 장력을 가하여 단부를 절곡시켜 상기 결합날개(141)가 결합돌기(105)의 결합홈(105a)에 꼭 끼이게 한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형성된 분할핀결합홈(133)에 분할핀(160)을 삽입하면 프로펠라(100)의 안정된 체결구조가 완성되어 프로펠라(100)가 정,역회전 하더라도 프로펠라(100)의 무단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프로펠라의 내통 및 슬리브 그리고 샤프트 하우징을 소정 테이퍼지도록 구성하여 프로펠라와 슬리브, 슬리브와 샤프트 하우징이 안정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회전하는 경우 꼭 끼이게 되어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효과 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라와 슬리브 슬리브와 샤프트하우징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각각이 안정되게 체결되는 효과가 또한 있다.
상기 결합편을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결합편의 결합날개를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홈에 꼭 끼이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가 정,역회전 하더라도 상기 프로펠라의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가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프로펠러에 전달되는 외부의 예기치 않은 충격 및 압력을 완하시킴과 동시에 내부에 내부측으로 분배전달시킴에 의해 부품의 손 망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따로이 구성된 부품을 조립하여 프로펠라가 체결되므로 부품이 망실되더라도 망실된 부품만 교환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3)

  1. 외주면에 다수개의 회전날개(103)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테이퍼진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이 형성되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의 내주면에 평평부(101b)가 형성된 프로펠라(100)와;
    테이퍼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프로펠라(100)의 평평부(101b)와 끼워맞춤되는 결합부(111)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키이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라(100)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에 삽입설치되는 슬리브(110)와;
    테이퍼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슬리브(110)의 키이홈(112)에 대응되는 키이(12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키이홈(122)이 형성되는 샤프트하우징(120)과;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키이홈(122)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스프라인(131)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하우징(120)의 내주면에 삽입설치되는 스프라인 샤프트(130)와;
    상기 프로펠라(100)의 관통슬리브결합공(101a)의 단부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결합홈(105a)이 형성된 결합돌기(105)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삽입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날개(14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05)의 결합홈(105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프로펠라(100)가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서 무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 는 결합편(140); 그리고,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합편(140)을 상기 결합돌기(105)에 밀착 고정시키는 너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라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140)은 상기 너트(150)가 수용결합되는 너트 결합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라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인 샤프트(130)는, 외주면에 외주면을 관통하여 분할핀(1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라 체결장치.
KR2020000013994U 2000-05-17 2000-05-17 프로펠라 체결장치 KR200200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994U KR200200396Y1 (ko) 2000-05-17 2000-05-17 프로펠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994U KR200200396Y1 (ko) 2000-05-17 2000-05-17 프로펠라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6Y1 true KR200200396Y1 (ko) 2000-10-16

Family

ID=1965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994U KR200200396Y1 (ko) 2000-05-17 2000-05-17 프로펠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98B1 (ko) 2009-03-10 2009-11-18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프로펠러보스 결합구조
KR101162414B1 (ko) * 2009-09-29 2012-07-04 노미화 물 정화장치
KR101528877B1 (ko) * 2014-11-03 2015-06-16 박근수 팬용 허브조립체
KR20220012692A (ko) * 2020-07-23 2022-02-04 (주)동산테크 고토크 충격 드라이브 허브를 갖는 보트용 프로펠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98B1 (ko) 2009-03-10 2009-11-18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프로펠러보스 결합구조
KR101162414B1 (ko) * 2009-09-29 2012-07-04 노미화 물 정화장치
KR101528877B1 (ko) * 2014-11-03 2015-06-16 박근수 팬용 허브조립체
KR20220012692A (ko) * 2020-07-23 2022-02-04 (주)동산테크 고토크 충격 드라이브 허브를 갖는 보트용 프로펠러
KR102376306B1 (ko) * 2020-07-23 2022-03-18 (주)동산테크 고토크 충격 드라이브 허브를 갖는 보트용 프로펠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396B1 (en) Connector structure with a detachable mounting tube
CN101515682B (zh) 一种省力插拔连接器
US7658551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JP5378056B2 (ja) チャック装置
JPS608527A (ja) ボスとシヤフトとを結合するためのカツプリング
KR200200396Y1 (ko) 프로펠라 체결장치
KR200145350Y1 (ko)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JP2010260122A5 (ko)
US5199322A (en) Handlebar assembly for cycles
TW200412308A (en) Handlebar grip for transport vehicles
WO2006106255A3 (fr) Manchon compensateur pour tubes lisses
US7357010B1 (en) Plug assembly for a door lock
US8234952B2 (en) Handgrip for handlebar
CN112567150B (zh) 具有螺纹部的阻尼元件
US4998184A (en) Vehicle headlight
US9211933B2 (en) Steering shaft modifier
US8250714B2 (en) Handgrip for handlebar
WO2020124689A1 (zh) 拖车锁
KR200165803Y1 (ko) 커플링
US20020192043A1 (en) Power hand drill
CN115489653B (zh) 用于脚踏车的踏板轴连接机构
US9434442B2 (en) Steering shaft modifier
KR200346016Y1 (ko) 관 접속용 합성수지 밴드
US5611718A (en) Auxiliary propelling device
KR200415212Y1 (ko) 풀림 방지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