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350Y1 -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350Y1
KR200145350Y1 KR2019970001681U KR19970001681U KR200145350Y1 KR 200145350 Y1 KR200145350 Y1 KR 200145350Y1 KR 2019970001681 U KR2019970001681 U KR 2019970001681U KR 19970001681 U KR19970001681 U KR 19970001681U KR 200145350 Y1 KR200145350 Y1 KR 200145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locking
tip
cap
p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465U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2019970001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350Y1/ko
Priority to DE29716799U priority patent/DE29716799U1/de
Priority to US08/966,181 priority patent/US6042297A/en
Publication of KR19980057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6Joints and connections with adjunctive protector, broken parts retainer, repair, 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
    • Y10T403/1616Position or guide means
    • Y10T403/1624Related to join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975Rotatable
    • Y10T403/32983Rod in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05Lugged member, rotary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대의 내부로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록킹팁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타단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을 형성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대 내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결합되는 록킹팁의 외주면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의 센터와 일치되는 상태에서 'V'모양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이 형성된 록킹팁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조와, 아울러 컨넥터를 매개로하여 다수개로 연결된 폴대에 삽입되도록 캡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타단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을 형성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대의 내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결합되는 캡의 외주면에는 나선식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록킹팁 혹은 캡에 요홈과 나선식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고정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폴대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폴대 만을 신속.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본 고안은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대에 결합되는 록킹장치의 록킹팁과 캡을 회전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폴대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에 사용되는 폴대는 텐트를 펼쳐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골격으로서, 다수개의 폴대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폴대는 대개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파이프 형태)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부에 신축성이 양호한 고무줄을 개재시키고, 다수개의 폴대들을 연결한 다음, 이 폴대의 단부에 록킹팁 혹은 일반팁을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록킹팁 혹은 일반팁은 텐트의 하단부에 설치된 아이렛(eyelet) 구멍에 삽입되어 텐트의 몸체에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록킹팁의 경우에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0)의 내부에 록킹팁(12)이 끼워지는데, 이 록킹팁(12)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턱(14)과 이격된 타단에는 폴대(10)의 내부에 억지끼워맞춤을 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록킹팁(12)을 폴대(10)의 내부에 끼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폴대(10)의 첫마디에 고무줄을 매듭한 후, 이 고무줄을 폴대(10)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폴대(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며, 끝마디에 다시 고무줄을 매듭한 다음, 록킹팁(12)에 본드를 도포하여 폴대(10)의 양끝 내면에 강제로 끼워넣어 고정하게 된다.
한편, 일반팁의 경우에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6)의 내부에 일반팁(18)이 끼워지는데, 이 일반팁(18)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턱(20)과 이격된 타단에는 고무줄(22) 걸림용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팁(18)을 폴대(16)의 내부에 끼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일반팁(18)의 구멍(24)에 고무줄(22)을 매듭한 후, 이 고무줄(22)을 폴대(16)의 내부에 삽입.관통시키는 방법으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폴대(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며, 마지막 폴대(10)를 연결시킨 후, 일반팁(18)의 구멍(24)에 고무줄(22)을 매듭하여 마무리 한다.
한편,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폴대용 록킹장치의 캡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폴대(26)에 삽입된 캡(28)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턱(30)과 이격된 타단에는 고무줄(32) 걸림용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폴대(26)를 다수개 연결하기 위한 매개인 컨넥터(36)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28)의 구멍(34)에 고무줄(32)을 매듭한 후, 이 고무줄(32)을 컨넥터(36)와 폴대(26) 내부에 삽입.관통시키는 방법으로 또 다른 폴대(26) 내부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캡(28)은 컨넥터(36)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무줄(32)의 탄성력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폴대용 록킹팁(12)은 그 끝단이 텐트 설치에 따른 아이렛의 구멍에 삽입되면, 고정이 되어 이탈되지 않으므로 활모양으로 휘어진 폴대(10)가 텐트의 설치도중 튕겨져나올 염려가 없으나,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0)의 양편에 록킹팁(12)을 매개로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된 폴대(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폴대(10)가 파손되거나 또는 폴대(10)의 기능이 상실되어 교체하고자 할 경우, 이 폴대(10)의 내부에는 매듭진 고무줄이 관통.연결되어 있고, 아울러 이 록킹팁(12)은 폴대(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이 록킹팁(12)이 폴대(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한 파손된 폴대(10)를 교체하기가 어려우며, 이에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폴대(10) 전체에 따른 교체비용이 사용자에게 크게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팁의 경우에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6)의 양편에 일반팁(18)을 매개로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폴대(16)의 내부에 고정되지 않고 고무줄(22)의 탄성력에만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파손된 폴대(16)를 교체하기가 용이하나, 일반팁(18)의 끝단을 아이렛의 구멍에 고정할 때, 활 모양으로 휘어진 폴대(16)가 텐트의 설치도중 튕겨져나와, 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캡의 경우에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넥터(36)를 매개로하여 다수개의 폴대(26)를 연결하는 과정시, 이 컨넥터(36)의 내부에 삽입된 캡(28)은 단순히 고무줄(32)의 탄성력으로 폴대(26)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어서, 캡(28)이 폴대(26) 및 컨넥터(3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설치작업의 불편함과 설치시간을 지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대와 체결이 견고 및 용이하면서도 폴대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폴대 만을 신속.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폴대의 내부로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록킹팁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고자 타단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을 형성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대 내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결합되는 록킹팁의 외주면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의 센터와 일치되는 상태에서 'V'모양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이 형성된 록킹팁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조와, 아울러 컨넥터를 매개로하여 다수개로 연결된 폴대에 삽입되도록 캡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타단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을 형성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대의 내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결합되는 캡의 외주면에는 나선식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록킹팁 혹은 캡에 요홈과 나선식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고정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폴대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폴대만을 신속.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폴대용 록킹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폴대용 일반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는 종래의 폴대용 캡을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폴대용 록킹장치의 록킹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은 도 4의 록킹팁이 폴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는 도 6의 B-B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폴대용 록킹장치의 캡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26,40,60 : 폴대 12,42 : 록킹팁
14,20,30,46,66 : 환턱 18 : 일반팁
22,32,48,68 : 고무줄 24,34,50,70 : 구멍
28,64 : 캡 36 : 컨넥터
44,62 : 돌기 52 : 요홈
54,72 : 가이드홈
본 고안의 도 4 내지 도 8은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인 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 내지 도 3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폴대(40)의 내부에 록킹팁(42)이 끼워지는데, 먼저 폴대(40)의 일정깊이 내면에는 돌기(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44)와 결합되는 록킹팁(42)은 걸림용 환턱(46)과 고무줄(48) 걸림용 구멍(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팁(42)의 일정 외주면에는 구멍(50)의 센터와 일치되도록 'V'모양으로 요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홈(52)이 형성된 록킹팁(42)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54)의 깊이와 내경은 상기 요홈(52)이 형성된 록킹팁(42)의 반대 외주면으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고 내경이 좁아지도록 편심되어 있다.
한편, 첨부된 예시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캡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폴대(60)의 일정깊이 내면에는 돌기(6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62)와 결합되는 캡(64)은 걸림용 환턱(66)과 고무줄(68) 걸림용 구멍(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턱(66)과 구멍(70) 사이의 캡(64) 외주면에는 나선식의 가이드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록킹팁을 폴대의 내부에 끼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팁(42)의 구멍에 고무줄(48)을 매듭한 후, 이 고무줄(48)을 폴대(40) 내부에 삽입.관통시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폴대(40) 내부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록킹팁(42)은 이 록킹팁(42)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52)과 폴대(40) 내면에 돌출된 돌기(44)를 수평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록킹팁(42)의 환턱(46)이 폴대(40) 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폴대(40)에 록킹팁(42)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록킹팁(42)을 손으로 잡고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대(40)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44)가 록킹팁(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4)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 록킹팁(42)을 계속적으로 회동시, 이 록킹팁(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4)의 깊이와 내경은 상기 요홈(52)이 형성된 반대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얕고 좁게 편심되어 있어서, 결국 돌기(44)가 가이드홈(54)에 조여지게 되고, 이에따라 록킹팁(42)이 더 이상의 회동이 정지되어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록킹팁(42)을 매개로하여 다수개로 연결된 폴대(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폴대(40)가 파손되거나 또는 폴대(40)의 기능이 상실되어 교체하고자 할 경우, 먼저 폴대(40)에 연결된 록킹팁(42)을 역순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이 폴대(42)의 돌기(44)와 록킹팁(42)의 요홈(5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록킹팁(42)을 폴대(4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록킹팁(42)의 구멍(50)에 매듭진 고무줄(48)을 해체하여 록킹팁(42)과 분리시킨후, 상기 다수개로 연결된 폴대(40)를 고무줄(48)의 일끝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잡아당겨 파손된 폴대(40)를 교체한 다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무줄(48)에 폴대(4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마지막으로 고무줄(48)의 일끝을 록킹팁(42)에 매듭지어 상기와 같은 록킹팁(42)의 결합방법으로 폴대(40)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예시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4)을 폴대(60)의 내부에 끼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캡(64)의 구멍(70)에 고무줄(68)을 매듭한 후, 이 고무줄(68)을 폴대(60) 내부에 삽입.관통시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폴대(60) 내부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캡(64)에 형성된 나선식의 가이드홈(72)에 폴대(60)의 돌기(62)를 삽입.밀착 후, 이 캡(64)의 환턱(66)이 폴대(60)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체결된 캡(64)을 폴대(6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폴대(60)에 연결된 캡(64)을 체결방향의 역순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캡(64)을 폴대(6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록킹팁(12)이 폴대(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폴대(10)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파손된 폴대(10) 만을 교체하기가 어렵거나, 혹은 폴대(16,26)와 일반팁(18) 혹은 캡(28) 간에 단순히 고무줄(22,32)의 탄성력으로 삽입되어 있어 폴대(16,26)의 연결.설치과정에서 일반팁(18) 혹은 캡(28)이 쉽게 분리됨으로서, 설치작업성을 저하시켰다, 그러나 본 고안은 록킹팁(42) 혹은 캡(64)은 폴대(40,60)와 착탈이되면서 체결.고정이되도록 요홈(52)과 가이드홈(54,72)이 형성되어 있어, 폴대(40,60)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파손된 폴대(40,60) 만을 신속.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록킹팁(42)과 캡(64)이 폴대(40,6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설치작업의 번거로움과 설치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폴대의 내면에 돌출된 돌기와 록킹팁 혹은 캡 간에 착탈 및 조임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록킹팁 혹은 캡에 요홈과 나선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고정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폴대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폴대 만을 신속.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폴대의 내부로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록킹팁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타단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을 형성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대의 내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결합되는 록킹팁의 외주면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의 센터와 일치되는 상태에서 'V'모양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이 형성된 록킹팁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깊이와 내경은 요홈이 형성된 반대 외주면으로 갈수록 얕고 좁게 편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3. 컨넥터를 매개로하여 다수개로 연결된 폴대에 삽입되도록 캡의 일단에는 걸림용 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타단에는 고무줄 걸림용 구멍을 형성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대의 내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와 결합되는 캡의 외주면에는 나선식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KR2019970001681U 1997-02-04 1997-02-04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KR200145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681U KR200145350Y1 (ko) 1997-02-04 1997-02-04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DE29716799U DE29716799U1 (de) 1997-02-04 1997-09-18 Verschlußvorrichtung für Zeltstangen
US08/966,181 US6042297A (en) 1997-02-04 1997-11-07 Locking device for tent po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681U KR200145350Y1 (ko) 1997-02-04 1997-02-04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465U KR19980057465U (ko) 1998-10-15
KR200145350Y1 true KR200145350Y1 (ko) 1999-06-15

Family

ID=1949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681U KR200145350Y1 (ko) 1997-02-04 1997-02-04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42297A (ko)
KR (1) KR200145350Y1 (ko)
DE (1) DE2971679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898Y1 (ko) * 1998-11-06 2001-05-15 최주태 보호피복을 형성한 텐트용 폴
US6230728B1 (en) * 2000-01-26 2001-05-15 Frank P. Reese Umbrella-type tent apparatus and method
DE10028307C1 (de) * 2000-06-07 2001-10-25 Michael Holtermans Zeltgestänge
KR100408071B1 (ko) * 2001-07-13 2003-12-03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연결줄
US6881162B2 (en) 2002-02-04 2005-04-19 Lifetime Products, Inc. Basketball goal-system that is capable of being assembled without tools
US7128078B2 (en) * 2004-10-06 2006-10-31 Goal King Co. Ltd. Tent pole assembly for shoring up
US20060276690A1 (en) * 2005-05-11 2006-12-07 Farris Jesse L Iii Visualization system
US8100280B1 (en) 2005-12-30 2012-01-24 Home Products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laundry hamper
US8708844B2 (en) * 2006-01-20 2014-04-29 Lifetime Products, Inc. Basketball system
US7559335B2 (en) * 2006-04-25 2009-07-14 Gilliam Licensing Group Llc Self-erecting structure
US20080039242A1 (en) * 2006-08-08 2008-02-14 Nye S Curtis Basketball system
US8062152B2 (en) 2007-08-14 2011-11-22 Lifetime Products, Inc.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basketball system
US8776813B2 (en) 2010-06-14 2014-07-15 Easton Technical Products, Inc. Tent po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s
US8992350B2 (en) 2011-06-29 2015-03-31 Lifetime Products, Inc. Triggerless handle mechanism and shock absorbing elements for basketball system
CN102383643B (zh) * 2011-08-30 2013-06-19 南京际华三五二一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帐篷横杆快速锁紧装置
US9149032B2 (en) * 2012-03-09 2015-10-06 Paul Michael Mettler Collapsible waterfowl decoy
US10633885B2 (en) 2013-12-13 2020-04-28 NTH Innovations, LLC Conne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collapsible structures
US11009056B2 (en) 2013-12-13 2021-05-18 NTH Innovations, LLC Connection apparatus for collapsible structures
US9915081B2 (en) 2013-12-13 2018-03-13 NTH Innovations, LLC Conne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collapsible structures
KR102308467B1 (ko) * 2020-12-03 2021-10-05 권정수 전기 충격용 신축 호신봉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7458A (en) * 1943-07-10 1945-01-16 Coplen George Drill bit
DE1800452U (de) * 1959-09-12 1959-11-19 Bonner Kunststoff G M B H Zerlegbares rohrgeruest aus kunststoff.
DE1932333U (de) * 1965-12-02 1966-02-10 Kettler Metallwaren Heinz Winkelstueck fuer zeltgeruest.
FR1475006A (fr) * 1966-02-18 1967-03-31 Tente, notamment pour la plage
US3661411A (en) * 1970-11-16 1972-05-09 Jewell Mfg Co Joint construction
US3730544A (en) * 1971-04-01 1973-05-01 Hvcor Inc Collapsible ski pole
US3851601A (en) * 1973-02-09 1974-12-03 J Davis Display case stand
CH613741A5 (en) * 1977-01-26 1979-10-15 Hans Kyburz Load-bearing framework, by the unit building method, for erecting small buildings, in particular for playing purposes
US4142809A (en) * 1978-05-17 1979-03-06 Shell Irving W Connector assembly
US4175576A (en) * 1978-08-18 1979-11-27 Jack Iby Tent
US4265261A (en) * 1979-12-07 1981-05-05 Barker Joseph K Tent
US4417597A (en) * 1980-08-19 1983-11-29 Montgomery Rodney L Awning structure
JPS60133684U (ja) * 1984-02-13 1985-09-06 北川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保持具
US5029847A (en) * 1989-08-07 1991-07-09 Helen Ross Foldable exercise stick
US5197504A (en) * 1990-07-23 1993-03-30 The North Face Self-contained tent system
US5375938A (en) * 1993-07-15 1994-12-27 Steccone Products Co. Interior sleeve for tubular members
CA2137855C (en) * 1994-10-12 1999-03-30 Raymond E. Hoyt, Iii Flexible couplings with walk-off detect and lock-on feature
KR970013945U (ko) * 1995-09-18 1997-04-28 텐트의 폴 어셈블리
US5683199A (en) * 1996-07-18 1997-11-04 Tehan; Frank V. Elastic cord retaining end tip for sectional p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465U (ko) 1998-10-15
US6042297A (en) 2000-03-28
DE29716799U1 (de) 199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5350Y1 (ko) 텐트 폴대용 록킹장치
KR200182863Y1 (ko) 텐트폴의 연결구조
US6507980B2 (en) Holder
US20080028576A1 (en) Binding Band And Binding Band Set
US4917552A (en) Pin drive anchor with locking sleeve
KR970016254A (ko) 관이음매
KR100638637B1 (ko) 와이어링 간격유지용 밴드케이블
US5816732A (en) Cable connection device
US4781138A (en) Standoff mooring bar for boats
US20070160418A1 (en) Quick assembly bolt jacket
US5683199A (en) Elastic cord retaining end tip for sectional poles
US4662595A (en) Support brace assembly
KR20100098023A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u볼트 어셈블리
JP3047516U (ja) テントポール用ロッキング装置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200375502Y1 (ko) 콘넥터용 잠금장치
US5560144A (en) No-tie system for coupling fishing lines
JPH10169394A (ja) ロックボルトの定着方法及び先端キャップ
KR200280126Y1 (ko) 통발과 고리줄 탈착구의 체결장치
KR200198588Y1 (ko) 텐트용 폴고정구
KR100349241B1 (ko) 이탈방지 착용클립이 구비된 무선마이크용 송신기
JPS602701Y2 (ja) 公衆電話機用送受器コ−ド取付け構造
KR200292294Y1 (ko) 케이블체인의 링크플레이트 연결구
JPH1064354A (ja) 通信線用保護カバー
KR20000000552U (ko) 천막용 아일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