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405A -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405A
KR20020039405A KR1020000069184A KR20000069184A KR20020039405A KR 20020039405 A KR20020039405 A KR 20020039405A KR 1020000069184 A KR1020000069184 A KR 1020000069184A KR 20000069184 A KR20000069184 A KR 20000069184A KR 20020039405 A KR20020039405 A KR 2002003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terminal
transmitting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9405A/ko
Publication of KR2002003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4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데이터 통신에서 정해진 크기까지는 여러 패킷을 동시에 전송하여 패킷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줄임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다중패킷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는, 단말기가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패킷을 저장하는 패킷버퍼와, 상기 패킷버퍼에 저장된 일정크기 이하의 여러 패킷을 한번의 파워 온(power on) 시간동안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재전송하는 다중전송버퍼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와;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다중전송버퍼를 통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패킷의 수신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가지고 있는 기지국;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중버퍼 개념을 이용한 패킷의 전송은 기전송된 하나의 패킷에 대한 응답의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면 정해진 크기까지 여러개의 패킷을 한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워 온을 할 수 있는 한정된 기회를 거의 모두 사용할 수 있게되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multi packet transmission apparatus in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데이터 통신에서 정해진 크기까지는 여러 패킷을 동시에 전송하여 패킷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줄임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다중패킷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전송방식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패킷(packet)을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고, 이와같이 수신된 응답값에 따라 현재의 패킷의 재전송이나 다음 패킷으로의 이동을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응답(ACK)이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최대로 송수신할 수 있는 패킷의 수가 정해진다.
저속통신에서는 이러한 지연시간(delay time)이 데이터 처리율(throuput)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고속통신에서는 최대 크기의 패킷이 몇개가 전송되는가에 따라서 속도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컴퓨터(PC)(10)에서 사용하는 윈도우 방식은 정해진 크기만큼의 패킷을 전송한 후 그에 대한 응답이 제시간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윈도우를 점점 줄여나가면서 패킷을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PC(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하나의 PPP(Point to Point Protocol)로 만들어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며, 수신된 응답에 따라 다음 패킷의 전송이나 현재 전송된 패킷을 재전송한다.
그러므로, 단말기(20)가 파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 패킷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패킷만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나,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크기가 최대 1500 바이트 정도이므로 384kbps 이상의 속도를 요구하는 고속 데이터 통신에서는 이러한 응답지연시간이 데이터 처리율에 병목(bottleneck)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선으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일지라도 응답을 받지 못하면 어떠한 데이터를 보내야할 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응답지연시간이 길어질수록송수신할 수 있는 패킷의 수가 줄어드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정해진 크기까지는 여러개의 패킷을 한번에 전송하여 응답시간을 줄이므로써 데이터 통신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패킷 전송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 패킷 전송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PC 20, 200 : 단말기
21, 210 : 인터페이스부 22, 32, 220, 320 : 데이터 처리부
23, 230 : 패킷버퍼 24 : 단일전송버퍼
30, 300 : 기지국 31, 310 : 데이터 수신부
240 : 다중전송버퍼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다중패킷 전송장치의 실시예는,
단말기(200)가 컴퓨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20)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를 통해 처리된 패킷을 저장하는 패킷버퍼(230)와,
상기 패킷버퍼(230)에 저장된 일정크기 이하의 여러 패킷을 한번의 파워 온(power on) 시간동안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재전송하는 다중전송버퍼(240)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200)와;
기지국(300)이 상기 단말기(200)의 다중전송버퍼(240)를 통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10)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를 통해 전송된 패킷의 수신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320)를 가지고 있는 기지국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전송버퍼(240)는 여러개의 패킷을 모아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기(200)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을때 패킷을 전송 또는 재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답신호의 송수신시,
로크(lock)을 잡기위한 프리엠블 타임(preamble time)과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포스트앰블 타임(postamble time)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 패킷 전송장치의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정한 크기 이하의 여러 패킷을 한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다중버퍼내에서 전송할 여러개의 패킷을 합친후 한번의 파워온 동안에 다중버퍼내의 패킷을 모두 전송한다.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최대한 빨리 응답이 송수신되어야 하므로 최소한의 프리앰블 타임(preamble time)과 포스트앰블 타임(postamble time)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패킷모드에서는 파워 온후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횟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중전송버퍼를 사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한다.
또한, 패킷모드에서 단말(200)은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때만 파워를 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오버헤드 타임(overhead time)(프리앰블+포스트앰블)이 크므로 데이터의 재전송을 물리계층에서 수행함으로써 재전송 횟수를 줄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버퍼 개념을 이용한 패킷의 전송은 기전송된 하나의 패킷에 대한 응답의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면 정해진 크기까지 여러개의 패킷을 한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워 온을 할 수 있는 한정된 기회를 거의 모두 사용할 수 있게되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단말기가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패킷을 저장하는 패킷버퍼와,
    상기 패킷버퍼에 저장된 일정크기 이하의 여러 패킷을 한번의 파워 온(power on) 시간동안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재전송하는 다중전송버퍼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와;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다중전송버퍼를 통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전송된 패킷의 수신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가지고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패킷 전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전송버퍼는 여러개의 패킷을 모아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패킷 전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을때패킷을 전송 또는 재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패킷 전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신호의 송수신시,
    로크(lock)을 잡기위한 프리앰블 타임(preamble time)과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포스트앰블 타임(postamble time)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패킷 전송장치.
KR1020000069184A 2000-11-21 2000-11-21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 KR20020039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184A KR20020039405A (ko) 2000-11-21 2000-11-21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184A KR20020039405A (ko) 2000-11-21 2000-11-21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405A true KR20020039405A (ko) 2002-05-27

Family

ID=1970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184A KR20020039405A (ko) 2000-11-21 2000-11-21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940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231A (ja) * 1989-08-08 1991-03-25 Toshiba Corp パケット通信装置のバッファ制御方式
JPH1023017A (ja) * 1996-06-28 1998-01-23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H1051495A (ja) * 1996-07-31 1998-02-20 Kokusai Electric Co Ltd マルチメディア多重化通信システム
JPH11163938A (ja) * 1997-12-01 1999-06-18 Nec Corp バースト性をもつ低速汎用データの固定長パケット多重装置
KR19990084805A (ko) * 1998-05-11 1999-12-06 구자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증가를 고려한 전송채널속성 및 전송속도 가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231A (ja) * 1989-08-08 1991-03-25 Toshiba Corp パケット通信装置のバッファ制御方式
JPH1023017A (ja) * 1996-06-28 1998-01-23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H1051495A (ja) * 1996-07-31 1998-02-20 Kokusai Electric Co Ltd マルチメディア多重化通信システム
JPH11163938A (ja) * 1997-12-01 1999-06-18 Nec Corp バースト性をもつ低速汎用データの固定長パケット多重装置
KR19990084805A (ko) * 1998-05-11 1999-12-06 구자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증가를 고려한 전송채널속성 및 전송속도 가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7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9049017B2 (en) Efficient TCP ACK prioritization in wireless networks
US845705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data packet window size for data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477675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EP176829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ing data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483223B2 (en) Packet transmission via multiple lin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07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frame aggregation based on aggregation limits or parameters
MXPA05005415A (es) Uso de tramas inactivas para el control de confirmacion de trama negativa.
CA2542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channels
KR100370077B1 (ko)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US20030028837A1 (en) Method for driving retransmission timer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ing radio link protocol
KR20050078096A (ko) 데이터 프레임 재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네트워크 장치
KR101018685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동 재송 요구 리셋을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30820A (ko) 무선 통신 환경에서 자동 반복 요구 리셋을 수행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US20100074178A1 (en) Method for Indication of Consecutive Data Units in a RAN
EP3902348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150575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acknowledged transport layer protocols
KR20020039405A (ko) 데이터 전송에서의 다중패킷 전송장치
US7154850B1 (en)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ing time out control
EP3595338A1 (en) Wireless stereo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JP2000059347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0236369A (ja) データ伝送方法と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10094288A (ko) 인터 프로세서 통신장치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WO2003084115A1 (fr) Procede instantane de gestion d&#39;erreurs d&#39;un canal n de systeme de telecommunications et appareil a cet effet
CA2623280A1 (en) Transport block size (tbs) signaling enh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