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872A -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872A
KR20020038872A KR1020000068750A KR20000068750A KR20020038872A KR 20020038872 A KR20020038872 A KR 20020038872A KR 1020000068750 A KR1020000068750 A KR 1020000068750A KR 20000068750 A KR20000068750 A KR 20000068750A KR 20020038872 A KR20020038872 A KR 2002003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base member
leg
fractur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700B1 (ko
Inventor
구자교
한정수
한창수
차인혁
김진우
심형준
이상호
이계영
Original Assignee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한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한창수 filed Critical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7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61H2001/0248Hip by separating the legs later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재(12)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된 구동수단(14)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측단 및 상기 구동수단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골절 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14)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이송부재(22)와, 상기 이송부재를 구동하는 모터(24)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된 이동블록(26)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16)은 다리의 장딴지부가 놓이는 전방프레임(46)과 다리의 대퇴부가 놓이는 후방프레임(48)이 상기 이동블록(26)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게 되되, 상기 전방프레임(46)의 전단은 상기 이동블록에 3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후방프레임(48)의 후단은 상기 베이스에 2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므로, 골절 환자가 회복운동을 할 시에 무릎을 구부리고 펴는 운동 및 다리를 벌리고 오므리는 운동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apparatus for a recovering exercise for bone-fracture patient}
본 발명은 골절 환자가 골절부의 회복운동을 할 시에 사용되는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다리를 사용하여 이동하므로, 인체의 대퇴골 및 경골, 비골 등의 다리뼈는 골절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골절이 되면 석고나 고정장치등으로 고정하여 골유합이 될 때까지 장기간 골절된 뼈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골유합이 되어 석고나 고정장치를 떼어 내더라도 바로 운동을 하기는 힘들며, 장기간 다리를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운동을 하게 되면 골절부위나 관절부위에 이상이 생기게 되므로, 서서히 운동을 하면서 정상상태로 움직이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골절 환자는 회복운동장치로 일정한 기간동안 다리 운동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회복운동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 회복운동장치는 간단한 프레임에 다리를 올려 놓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무릎을 굽히고 펴는 운동을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종래 회복운동장치는 한가지 운동(예를 들면, 무릎운동)만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양 다리 사이를 벌리는 운동 등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회복운동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무릎을 굽히고 펴는 운동 및 양 다리 사이를 벌리고 오무리는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절 환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어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구동수단이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동된 상태도.
도3은 도2의 베이스부재의 사시도,
도4는 도2의 구동수단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입면도,
도6은 도4에서 화살표 B-B선에 다른 단면도,
도7은 도1의 프레임의 사시도(제1조인트부재가 분리된 상태),
도8는 도7의 C부의 분해사시도,
도9는 도7의 하측링크에 결합된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도2에서 화살표 A에서 바라본 구속레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베이스부재 14 : 구동수단
16 : 프레임 18 : 구속레버
20 : 몸체 22 : 이송부재
24 : 모터 26 : 이동블록
34b : 원통돌출부 44 : 플랜지
46 : 전방프레임 48 : 후방프레임
50 : 제1조인트부재 52 : 구동력전달부재
54 : 지지부재 56, 58 : 전방길이조절링크
60 : 발 안치대 62, 64 : 하측링크
66, 68 : 후방길이조절링크 70 : 제2조인트부재
72, 72' : 상측링크 86 : 핸들
92, 94 : 제1, 제2베벨기어 98 : 전동나사부재
100 : 전동너트 108 : 볼
110 : 스프링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된 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측단 및 상기 구동수단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골절 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케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된 이동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다리의 장딴지부가 놓이는 전방프레임과 다리의 대퇴부가 놓이는 후방프레임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전방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이동블록에 3 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후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2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골절환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도록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프레임에는 골절환자의 발을 놓도록 발 안치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이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동하는 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구동수단과 베이스부재를 연결하는 구속레버가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12)와, 상기 베이스부재(12)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된 구동수단(14)과, 상기 베이스부재(12)의 타측단 및 상기 구동수단(14)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골절 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프레임(16)으로 이루어진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2)와 상기 구동수단(14)은 그 일측에서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구속레버(18)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14)과 베이스부재(12)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이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동하는 각도를 구속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좁고 긴 플레이트 형상이고, 그 일측단(우측단) 부에는 상기 구동수단(14)의 후술하는 힌지핀부가 회전자유롭게 끼워지는 구멍(12a)이 형성되고, 그 타측단(좌측단) 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술하는 조인트부재가 회전자유롭게 끼워지는 구멍(12b)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구속레버(18)의 판두께가 수용되는 깊이의 제1리세스부(12c)가 베이스부재의 폭방향 좌우측이 트이게 형성되고, 상기 제1리세스부(12c)의 우측부에는 상기 구속레버(18)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구멍(12d)이 형성되며, 상기 제1리세스부(12c)의 중간부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후술하는 원통돌출부가 출입하는 제2리세스부(12e)가 형성되고, 상기 제1리세스부(12c)의 좌측부에는 상기 구속레버(18)의 단부에 형성된 후술하는 사각돌출부가 출입하는 제3리세스부(12f)가 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구동수단(14)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몸체(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송부재(22)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부재를 구동하는 모터(24)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도록 이동블록(26)이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몸체(20)는, 반원통형으로 된 한쌍의 긴 레일부(28a)(28a)가 일단부에서 이어지는 형상의 케이스(28)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28)의 트인 타단부에 마무리부재(30)가 고정되며, 케이스의 상측 및 하측은 상, 하커버부재(32)(34)에 의해각각 덮어져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상커버부재(32)에는 상기 이동블록(26)의 후술하는 플랜지가 통과하는 슬롯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하커버부재(34)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구멍(12a)에 끼워지는 힌지핀부(34a)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2리세스부(12e)에 출입하는 원통돌출부(34b)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부(34a)가 원활히 회동하도록 상기 구멍(12a)에는 부시가 끼워져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힌지핀부(34a) 및 상기 원통돌출부(34b)는 상기 하커버부재(34)에 직접형성되거나 베이스부를 매개로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이송부재(22)는 볼 스크류나 리이드 스크류 등으로 되어 있고, 그 양단은 상기 몸체(20)에 베어링을 매개로 끼워진다. 상기 이송부재(22)는 상기 모터(24)의 모터축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24)는 스테핑 모터나 서보모터등으로 되어 있으며, 이 모터(24)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이송부재(22)의 양측에는 이 이송부재에 평행하게 가이드봉(36)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봉(36)의 양단은 상기 몸체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블록(26)은 상기 이송부재(22)에 외삽되는 전동나사를 가진 너트나 볼 너트등의 전동너트(38)가 삽입된 블록으로서, 그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봉(36)이 삽입되는 부시(40)가 삽입된 구멍이 형성되며, 그 폭방향 외측면에는 블록의 자중을 받치며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몸체에 케이스(28)의 내측면에 구름운동하는 로울러(42)(42')가 결합되며, 그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조인트부재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16)에 힌지결합되는 플랜지(44)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44)는 상기 이동블록에 직접 형성되거나 베이스부를 매개로 상기 이동블록에 체결된 구성이다.
도7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6)은 다리의 장딴지부가 놓이는 전방프레임(46)과 다리의 대퇴부가 놓이는 후방프레임(48)이 상기 이동블록(26)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전방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이동블록(26)에 3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후방프레임(48)의 후단은 상기 베이스부재(12)에 2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된다.
상기 전방프레임(46)은, 일단이 제1조인트부재(50) 및 슬라이더(51)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의 플랜지(44)에 2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프레임(48)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록(26)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재(52)와, 골절 환자의 무릎에 일치하도록 상기 후방프레임(48)에 힌지결합된 지지부재(54)을 구비한다. 지지부재(54)에는 전방길이조절 링크(56)(58)를 매개로 발 안치대(60)가 결합되어, 이 발 안치대(60)에 골절환자의 발을 놓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8)은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52)에 힌지결합되는 하측링크(62)(64)와, 상기 하측링크(62)(64)내에 인입 인출가능케 설치된 후방길이조절 링크(66)(68)와, 상기 양측의 후방길이조절 링크(66)(68)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12)의 구멍(12b)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2조인트부재(70)와, 상기 하측링크(62)(64) 및 상기 구동력전달부재(52)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하측링크(62)(64)의 상측에 결합된 상측링크(72)(7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조인트부재(50)는, 베이스부(50a)의 상측으로 원통형의 돌출부(50b)가 형성되고, 베이스부(50a)의 하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개의플랜지부(50c)(50c')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50b)는 상기 슬라이더(51) 및 중간판(74)을 매개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52)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50c)(50c')는 핀(76)에 의해 상기 플랜지(44)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51)는 상기 중간판(74)의 하부에 중간판(7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판(74)와 상기 슬라이더(51)사이에는 슬라이더(51)에 중심을 두고 회전하여 상기 중간판(74)에 걸리며 중간판(74)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도시하지 않은 링크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0b)는 상기 슬라이더(51)의 하측에 회동가능케 끼워져 있다. 이때 베어링이나 부시를 개재하여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판(74)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56)의 후술하는 반원형부의 단부가 끼워지는 돌출통부(74a)(7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52)는, 제1, 제2파이프 조인트부재(78)(80)을 매개로 상기 하측링크(62, 64) 및 상측링크(72, 72')에 그 양단부가 힌지결합된 후 소정의 각도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디귿자형을 이루어 다리의 오금부를 받치는 오금받침부(52a)와, 상기 오금받침부(52a)의 중앙에서 하나의 파이프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2b)와, 상기 연장부(52b)의 단부에서 반원형으로 갈라져 상기 돌출통부(74a)(74a')에 끼워지는 반원형부(52c)를 가진, 파이프부재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52b)는 상기 지지부재(54)의 후술하는 링부 속을 통과한다.
상기 지지부재(54)는 한쌍의 무릎조인트부재(82)(84)를 매개로 상기 상측링크(72)(72')에 힌지 결합된 후 직선을 이루며 전방으로 연장된 두개의직선연장부(54a)(54a')와, 상기 양 직선연장부(54a)(54a')의 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분기되어 디귿자형을 이루며 링부(54b)의 외면에 고정되는 장딴지받침부(54c)를 가진, 파이프부재로 되어 있다. 상기 링부(54b)의 내부로 상기 연장부(52b)가 통과하게 되는데, 링부(54b)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52b)가 통과할 정도로 적당한 크기로 되어 있고, 링부(54b)는 직선연장부(54a)(54a')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상기 전방길이조절 링크(56)(58)는, 상기 직선연장부(54a)(54a')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단부에는 발 안치대(60)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발 안치대(60)는 그네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전방길이조절 링크(58)는 직선연장부(54a)에 결합된 핸들(86)를 돌리면 이동되어 발안치대(60)가 전체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은 후술하는 하측링크에 결합된 길이조절수단(도9에 도시)과 유사하다. 이때, 상기 전방길이조절 링크(58)은 후술하는 후방길이조절 링크(68)와 유사하게 그 삽입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하측링크(62)(64)는, 그 전방단에는 상기 제2파이프 조인트부재(80)가 끼워져 상기 제1파이프 조인트부재(78)에 힌지결합되고, 후방측에는 플랜지(62a)(64a)가 형성된 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62a)(64a)에는 커넥팅부재(88)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하측링크중의 하나(64)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길이조절수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 길이조절수단은, 하측링크(64)의 일측에는 사각박스(90)가 결합되고, 이사각박스(90)의 내부에는 핸들(86)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92)가 결합된 한편, 이 제1베벨기어(92)에 물리는 제2베벨기어(94)가 설치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92)는 베어링으로 지지된 축부재(96)에 고정되며, 상기 축부재(96)의 일단은 사각박스(9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 연장부에 상기 핸들(86)이 결합되며, 상기 하측링크(64)의 내부에는 상기 제2베벨기어(94)에 연결된 전동나사부재(98)가 설치되며, 상기 전동나사부재(98)는 상기 후방길이조절 링크(68)의 단부에 고정된 전동너트(100)에 결합되어 상대운동하며, 상기 후방길이조절 링크(68)는 하측링크(64)에 고정된 핀(102)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구조이다.
상기 후방길이조절 링크(68)는 상기 하측링크(64)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후방길이조절링크(68)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홈(68a)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링크(64)의 내부에 끼워진다. 상기 슬롯홈(68a)에는 상기 핀(102)이 끼워져 후방길이조절 링크(68)의 회전운동을 구속한다.
상기 후방길이조절 링크(66)(68)는 양측의 연장관(104)(106)을 매개로 상기 제2조인트부재(70)에 회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조인트부재(70)는 그 길이방향축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 상기 연장관(104)(106)은 상기 후방길이조절 링크(66)(68)에 고정되거나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2조인트부재(70)는, 원판부(70a)의 양측으로 원통로드부(70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원판부(70a)의 하측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의 구멍(12b)에 끼워지는 돌출부(70c)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상측링크(72)(72')에는 상기 커넥팅부재(88) 및 상기 제1파이프 조인트부재(78)에 힌지결합되도록 플랜지(72a)(72b)(72'a)(7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파이프 조인트부재(78)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52)가 내부에 끼워져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부(78a)와, 상기 플랜지(72b)(72'b)에 끼워지도록 트인 슬롯홈이 형성된 머리부(78b)와, 상기 제2파이프 조인트부재(80)의 머리부에 끼워지는 플랜지(78c)를 구비한다. 상기 머리부(78b)는 상기 플랜지(72b)(72'b)에 핀으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2파이프 조인트부재(80)는 상기 하측링크(62)(64)의 단부에 끼워져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부(80a)와, 상기 플랜지(78c)에 끼워지도록 트인 슬롯홈이 형성된 머리부(80b)를 구비한다. 상기 머리부(80b)는 상기 플랜지(78c)에 핀으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무릎조인트부재(82)(84)는 상기 상측링크(72)(72') 및 지지부재(54)의 단부에 끼워져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부(82a)(84a)와, 서로 힌지결합되는 암,수머리부(82b)(84b)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팅 부재(88)는 그 양단에 상기 상측링크의 플랜지(72a)(72'a) 및 상기 하측링크의 플랜지(62a)(64a)에 끼워지는 트인 슬롯홈을 가지고 있으며, 핀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상기 구속레버(18)는 도2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12)의 구멍(12a)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측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몸체(20)에 구비된 원통돌출부(34b)에 끼워져 미끄러지는 슬롯구멍(18a)이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사각돌출부(18b)가 형성된 긴 플레이트로 되어 있다.
상기 사각돌출부(18b)는 상기 슬롯구멍(18a)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구멍(18c)이 형성되고, 이 구멍(18c)에는 상기 원통돌출부(34b)의 측면에 밀착하여 걸리도록 볼(108), 이 볼(108)을 원통돌출부(34b)측으로 미는 스프링(110), 이 스프링(11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12)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6)에는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환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다수의 센서를 부착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상측링크(72) 및 제2조인트부재(7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서, 환자가 무릎을 굽히고 펴는 운동("무릎운동"이라 함)을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2)와 구동수단(14)이 직선상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6) 위에 다리를 올려 놓는다. 이때, 전방프레임(46)에는 무릎 아래쪽(장딴지)이 위치하고, 후방프레임(48)에는 무릎 위쪽(허벅지)가 위치하게 하는데, 이와 같이 다리를 올려 놓으면, 지지부재(54)와 상측링크(72)(72')의 힌지결합부에는 무릎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 안치대(60)에는 환자의 발을 놓는다.
다음, 핸들(86)을 돌리면, 제1베벨기어(92), 제2베벨기어(94) 및 전동나사부재(98)를 통해 전동너트(100)가 결합된 전방길이조절 링크(58) 및 후방길이조절 링크(68)가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되는데, 환자의 다리길이에 맞추어 프레임의 전체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에 의한 프레임의 전체길이 조절은 다리를 프레임(16)위에 올려 놓기 전에 행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의 조작에 의해, 운동량, 이동블록(26)의 이동거리 등을 세팅하고, 모터(24)를 구동하면, 이송부재(22)의 회전에 따라 이동블록(26)이 이동하고, 이 이동블록(26)의 운동은 제1조인트부재(50) 및 중간판(74)을 통해 구동력전달부재(52)에 힘을 가하여, 지지부재(54)와 상측링크(72)(72')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방 프레임(46)과 후방프레임(48)을 굽히고 펴지게 하여 무릎을 운동시키게 된다.
상기 무릎운동의 경우에는 슬라이더(51)의 직선운동 및 돌출부(50b)에 의한 회동운도은 생기지 않으며 핀(76)에 의한 회동운동만 일어난다. 이때, 상기 중간판(74)과 상기 슬라이더(51) 사이에 결합된 도시하지 않은 링크를 회전시켜 중간판(74)에 걸리게 하여 슬라이더(51)의 슬라이딩운동을 구속한다.
따라서, 제1조인트부재(50)과 제2조인트부재(70)는 1자유도로 회동하므로, 지지부재(54)와 상측링크(72)(72')의 운동에 따라 회동하며, 상기 상측링크(72)(72')는 하측링크(62)(64) 및 구동력전달부재(52)에 4절링크기구(커넥팅부재, 제1, 제2파이프조인트부재에 의함)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54)와 상측링크(72)(72')의 힌지결합부의 위치이동에 따라 적절히 회동한다.
한편, 환자가 양 다리 사이를 벌리고 오므리는 운동("히프운동"이라 함)을 할 경우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14)을 베이스부재(12)의 전방부측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구동수단(14)과 베이스부재(12)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구속레버(18)는 구동수단(14)가 더 이상 회동하지 구속하게 되는데,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된 볼(108)이 구동수단의 하측에 돌출된 원통돌출부(34b)에 걸리어, 구동수단이 벌려진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슬롯구멍(18a)은 구속레버(18)가 회동하는 중에 상기 원통돌출부(34b)가 미끄러지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상태에서, 무릎운동을 할 경우에 마찬가지로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고, 모터를 구동하면, 환자의 다리는 베이스부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이고, 구동수단이 이동블록(26)은 환자의 다리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직선운동하므르, 환자의 다리가 벌려지게 되어 히프운동이 되는 것이다.
상기 히프운동에서는 상기 중간판(74)과 상기 슬라이더(51) 사이에 결합된 도시하지 않은 링크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중간판(74)에 걸리지 않게 하여 슬라이더(51)가 슬라이딩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50b)에 의한 회동운동이 생기고, 핀(76)에 의한 회동운동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부재(54)와 상측링크(72)(72')의 운동에 따라 서로 회동하며, 상기 상측링크(72)(72')는 하측링크(62)(64) 및 구동력전달부재(52)에 4절링크기구(커넥팅부재, 제1, 제2파이프조인트부재에 의함)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54)와 상측링크(72)(72')의 힌지결합부의 위치이동에 따라 적절히 회동하여, 기구의 히프 조인트 포인트와 일치하지 않는 이용자의 히프 조인트 포인트를 일정한 임의의 위치에 유지시켜서 운동 중에 기구와 이용자의 관절이 어긋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4)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므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원통돌출부(34b)와 사각돌출부(18b)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제2리세스부(12e) 및 제3리세스부(12f)에 각각 수용되며, 베이스부재(12)의 자체의 두께는 제1리세스부(12c)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 무릎을 굽히고 펴는 운동 및 양 다리 사이를 벌리고 오무리는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골절 환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어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4)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된 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측단 및 상기 구동수단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골절 환자의 다리를 올려 놓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된 이동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다리의 장딴지부가 놓이는 전방프레임과 다리의 대퇴부가 놓이는 후방프레임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에 따라 꺽여지고 펴지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전방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이동블록에 3자유도로 운동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후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2자유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골절환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도록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에는 골절환자의 발을 놓도록 발 안치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동하는 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구동수단과 베이스부재를 연결하는 구속레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KR10-2000-0068750A 2000-11-18 2000-11-18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KR100386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750A KR100386700B1 (ko) 2000-11-18 2000-11-18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750A KR100386700B1 (ko) 2000-11-18 2000-11-18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872A true KR20020038872A (ko) 2002-05-24
KR100386700B1 KR100386700B1 (ko) 2003-06-02

Family

ID=1969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750A KR100386700B1 (ko) 2000-11-18 2000-11-18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701B1 (ko) * 2000-11-22 2003-06-02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621B1 (ko) 2008-03-20 2010-0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운동 재활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0173B1 (fr) * 1989-07-26 1991-11-15 Jb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redressement, fixation, compression, elongation du rachis
JPH08168503A (ja) * 1994-12-19 1996-07-02 Hitachi Ltd 指伸展装具
KR0156901B1 (ko) * 1995-11-22 1998-11-16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701B1 (ko) * 2000-11-22 2003-06-02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골절환자용 회복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700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960B1 (ko)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1059828B1 (ko)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
US76954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joint rehabilitation
US5280783A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full extension of leg
EP2273963B1 (en) Leg support instrument and supporting method
US4915374A (en) Recumbent exercise cycle with articulated pedals
KR100936621B1 (ko) 하지 운동 재활 기구
KR102443794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2586197B1 (ko) 운동 보조 장치
EP1137378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ierung der laufbandtherapie
US20100241037A1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toe
JP4085422B2 (ja) 関節駆動装置
KR20170056475A (ko) 무릎 관절 유연성 재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34986A (ko) 복합관절 운동용 재활운동기구
FR2759901A1 (fr) Dispositif pour produire un deplacement passif continu
DE602004014596D1 (de) Gelenkverbindung für eine knieorthese mit einstellbarem bewegungsbereich
KR100386700B1 (ko)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KR20120119737A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220130619A (ko) 무릎 재활훈련기구
KR100465108B1 (ko) 골절 환자의 회복운동장치
JP4411649B2 (ja) 下肢訓練装置
EP2740457A2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CN210301033U (zh) 髌骨角度调整仪
KR20180026068A (ko) 보행 재활 장치
CN108685670B (zh) 关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