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998A -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998A
KR20020037998A KR1020000068034A KR20000068034A KR20020037998A KR 20020037998 A KR20020037998 A KR 20020037998A KR 1020000068034 A KR1020000068034 A KR 1020000068034A KR 20000068034 A KR20000068034 A KR 20000068034A KR 20020037998 A KR20020037998 A KR 2002003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charge
discharge valve
retai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석
노철기
박경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7998A/ko
Publication of KR2002003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F04B39/10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circular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린더에서 압축된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내부의 상대적인 압력차에 의해 거동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와 상기 토출밸브와 함께 일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토출밸브의 강성을 보강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토출밸브 및 밸브 스프링의 거동을 한정하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밀폐형 압축기에서, 상기 리테이너에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밸브의 거동시 그 토출밸브가 상기 밸브 스프링과 함께 자체 탄성 변형력 및 상기 리테이너 경사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어 변화되는 저항력을 가지면서 거동하도록 상기 밸브 스프링의 일측 자유 단이 상기 리테이너의 경사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압력차에 의해 토출밸브가 거동하면서 토출구를 여는 과정에서 토출밸브의 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토출밸브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진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STRUCTURE FOR DISCHARGING ACTIVE GAS IN 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차에 의해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의 거동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유체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기기이다. 상기 압축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구부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구부의 형태에 따라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밀폐형 전동식 압축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 등으로 나눈다.
상기 밀폐형 압축기의 일예로, 밀폐형 전동식 압축기는 전동기구부의 회전 구동력이 크랭크축과 컨넥팅 로드에 의해 피스톤에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달되어 그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된 밸브조립체의 작동과 함께 가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밀폐형 전동식 압축기에서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어 그 실린더내부로의 가스 유입 유출을 제어하는 상기 밸브조립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상기 밸브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밸브조립체는 상기 실린더(10)의 단면과 상응하는 면적과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판(21)의 일측에 흡입구(22)가 관통 형성되고 그 흡입구(22)의 측부에토출구(2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의 일면에 상기 토출구(23)를 포함하는 소정 형상의 면적과 깊이를 갖도록 음각진 삽입홈(24)이 구비된 헤드(20)와, 상기 헤드(20)의 타면에 결합되어 흡입구(22)를 개폐하는 흡입밸브(30)와,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토출구(23)를 개폐하는 토출밸브(40)와,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토출밸브(40)의 강성을 보강하는 밸브 스프링(50)과,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50)의 움직임을 한정하는 리테이너(Retainer)(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밸브(40)는 소정 형상의 면적을 갖는 얇은 탄성 박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스프링(50) 또한 소정 폭과 상기 토출밸브(40)보다 긴 길이를 갖는 얇은 탄성 박판으로 소정의 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일정 두께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전면 고정부(61)와 그 전면 고정부(61)의 가운데 소정 길이로 절곡 연장된 전면 수직부(62)와 그 전면 수직부(62)에 이어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면 수평부(63)와 그 전면 수평부(63)에 이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전면 경사부(64)와 그 전면 경사부(64)에 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거동 제한부(65)와 그 거동 제한부(65)에 이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후면 경사부(66)와 그 후면 경사부(66)에 이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면 수평부(67)와 그 후면 수평부(67)에 이어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후면 수직부(68)와 그 후면 수직부(68)에 이어 상기 전면 고정부(61)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후면 고정부(6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밸브(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의 삽입홈(24) 저면에 접촉되도록 삽입되고 이어 그 삽입홈(24)에 상기 밸브 스프링(50)이 삽입되며 이어 그 삽입홈(24)에 리테이너(60)가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60)는 그 전면 고정부(61)와 후면 고정부(69)가 삽입홈(24)의 내측 양단에 위치하도록 끼워져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 스프링(50)의 단부가 삽입홈(24)의 저면과 떨어져 전면 수평부(63)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50)은 그 일측 단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60)의 후면 수평부측이 절곡되어 그 절곡된 부분이 지지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50) 그리고 리테이너(60)가 결합된 헤드(20)는 일면에 상기 흡입밸브(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10)에 접촉되고 상기 헤드(20)의 타면, 즉 토출밸브(40)가 위치하는 면에 토출 플레넘(Plenum)(S)이 구비된 헤드커버(70)가 복개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체결볼트(71)가 관통 체결됨에 의해 상기 실린더(1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커버(70)에 상기 실린더(10)내부로 가스의 흡입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미도시)가 상기 헤드(20)의 흡입구(22) 및 실린더(10) 내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헤드커버(70)의 토출 플레넘(S)과 헤드(20)의 삽입홈(24)은 하나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됨과 아울러 그 토출 플레넘(S)은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관(미도시)과 연통된다.
상기 밀폐형 전동식 압축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동기구부의 회전 구동력이 크랭크축과 컨넥팅 로드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피스톤(11)에 전달되면 그 피스톤(11)이 실린더(10)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1)이 실린더(10)의 상사점(a)에서 하사점(b)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밸브(70)의 일측이 휘어지면서 상기 헤드(20)의 흡입구(22)가 열리게 되어 상기 흡입관 및 소음기를 거친 냉매 가스가 실린더(10)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사점(b)으로 이동한 피스톤(11)이 상사점(a)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흡입밸브(7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헤드(20)의 흡입구(22)를 막게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10) 내부에 흡입된 냉매 가스가 점점 압축되면서 설정된 압력상태가 되면 상기 실린더(10) 내부와 상기 헤드커버 토출 플레넘(S)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50)이 휘어지면서 토출구(23)가 열리게 되어 압축된 냉매 가스가 헤드의 토출구(23)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50)의 거동은 리테이너(60)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냉매 가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토출되며 그 토출된 냉매 가스는 상기 헤드커버(70)의 토출 플레넘(S)을 거치면서 상기 토출관을 통해 토출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와 헤드커버 토출 플레넘(S)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50)이 상기 토출구(23)를 개폐하는 동작에서 상기 피스톤(11)이 하사점(b)으로부터 상사점(a)에 이르게 되면서 실린더(10) 내부의 가스가 압축되면서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토출밸브(40)가 휘어져 상기 밸브 스프링(50)에 접촉됨과 동시에 이어 상기 밸브 스프링(50)의 단부가 상기 리테이너(60)의 전면 수평부(63)와 전면 경사부(64)가 만나는 점(P)에 지지되면서 곡선, 즉 포물선 형태로 휘어져 그 곡선의 정점이 상기 리테이너(60)의 거동 제한부(65)에 접촉 지지되면서 거동이 제한되며 이때 상기 토출밸브(40)가 상기 밸브 스프링(50)과 함께 휘어져 최대 열림량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1)이 상사점(a)에서 하사점(b)으로 이동하게 되면 최대 열림 상태에서 압력차 및 밸브 스프링(50)과 토출밸브(40)의 탄성력에 의해 급히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토출구(23)를 닫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냉매 가스가 압축되면서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토출밸브(40)가 휘어지면서 상기 밸브 스프링(50)에 접촉되어 일체가 됨과 동시에 그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50)의 단일 강성으로 저항하다가 최대 열림 상태인 상기 리테이너(60)의 거동 제한부까지 순간적으로 휘어지면서 열리게 되어 토출되는 압력 파에 의한 반사 충격량이 실린더(10)측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실린더(10) 내측으로 진동이 증가되어 진동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차에 의해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의 거동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밸브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상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가 구비된 밸브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 가스 토출구조가 구비된 밸브조립체의 단면도,
도 7,8,9는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 가스 토출구조의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 구조에서 토출밸브가 거동시 작용하는 저항력과 본 발명에서 토출밸브가 거동시 작용하는 저항력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 20 ; 헤드
23 ; 토출구 40 ; 토출밸브
60 ; 헤드커버 64 ; 경사부
80 ; 밸브 스프링 81 ; 곡면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린더에서 압축된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내부의 상대적인 압력차에 의해 거동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와 상기 토출밸브와 함께 일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토출밸브의 강성을 보강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토출밸브 및 밸브 스프링의 거동을 한정하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밸브의 거동시 그 토출밸브가 상기 밸브 스프링과 함께 자체 탄성 변형력 및 상기 리테이너 경사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어 변화되는 저항력을 가지면서 거동하도록 상기 밸브 스프링의 자유 단이 상기 리테이너의 경사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 가스 토출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그 전동기구부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 가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압축기구부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구부는 상기 전동기구부에 연결되는 크랭크축의 편심부에 결합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컨넥팅 로드와 상기 컨넥팅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1)과 상기 피스톤(11)이삽입되는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밸브조립체와 상기 밸브조립체에 결합되는 헤드커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조립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0)의 단면과 상응하는 면적과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판(21)의 일측에 흡입구(22)가 관통 형성되고 그 흡입구(22)의 측부에 토출구(2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의 일면에 상기 토출구(23)를 포함하는 소정 형상의 면적과 깊이를 갖도록 음각진 삽입홈(24)이 구비된 헤드(20)와, 상기 헤드(20)의 타면에 결합되어 흡입구(22)를 개폐하는 흡입밸브(30)와,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토출구(23)를 개폐하는 토출밸브(40)와, 일측에 곡면부(81)가 구비되어 상기 토출밸브(40)의 강성을 보강하는 밸브 스프링(80)과, 경사부(64)가 구비되어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80)의 거동시 그 경사부(64)와 마찰 저항력을 가지면서 움직이도록 함과 아울러 그 거동을 한정하는 리테이너(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밸브(40)는 소정 형상의 면적을 갖는 얇은 탄성 박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 스프링(80)은 소정 형상을 갖는 박판 형태로, 소정의 길이와 면적을 갖는 평면 고정부(82)와 그 평면 고정부(82)에 이어 곡면 형태로 절곡 연장되는 곡면부(8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스프링(80)의 직선 길이는 상기 토출밸브(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일정 두께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전면 고정부(61)와 그 전면 고정부(61)의 가운데 소정 길이로 절곡 연장된 전면 수직부(62)와 그 전면 수직부(62)에 이어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면 수평부(63)와 그 전면 수평부(63)에 이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전면 경사부(64)와 그 전면 경사부(64)에 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거동 제한부(65)와 그 거동 제한부(65)에 이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후면 경사부(66)와 그 후면 경사부(66)에 이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면 수평부(67)와 그 후면 수평부(67)에 이어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후면 수직부(68)와 그 후면 수직부(68)에 이어 상기 전면 고정부(61)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후면 고정부(6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밸브(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에 삽입되어 그 일측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단이 토출구(23)를 개폐 가능하도록 막게 된다. 상기 밸브 스프링(80)은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에 삽입되어 그 평면 고정부(82)가 토출밸브(40)의 일측단과 접촉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타측단, 즉 곡면부(81)측이 상기 토출구(23)측에 위치하되 상기 토출밸브(40) 끝이 곡면부(81)내에 위치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토출밸브(4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그 전면 고정부(61) 및 후면 고정부(69)가 헤드(20) 삽입홈(24)의 양쪽 내측에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80)을 감싸며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밸브 스프링(80)의 곡면부(81)측 끝은 상기 리테이너(60)의 전면 경사부(64)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80)의 일측은 상기 리테이너(60)의 후면 수평부(67)측이 절곡되어 그 절곡된 부분이 지지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80) 그리고 리테이너(60)가 결합된 헤드(20)는 그 타면에 상기 흡입밸브(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10)에 접촉되고 이어 상기 헤드(20)에 토출 플레넘(S)이 구비된 헤드커버(70)가 복개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체결볼트(71)가 관통 체결됨에 의해 상기 실린더(10)에 각 부품들이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헤드(20)의 삽입홈(24)과 헤드커버(70)의 토출 플레넘(S)은 하나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 가스 토출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동기구부의 회전 구동력이 크랭크축과 컨넥팅 로드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피스톤(11)에 전달되면 그 피스톤(11)이 실린더(10)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1)이 실린더(10)의 상사점(a)에서 하사점(b)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밸브(70)의 일측이 휘어지면서 상기 헤드(20)의 흡입구(22)가 열리게 되어 상기 흡입관 및 소음기를 거친 냉매 가스가 실린더(10)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사점(b)으로 이동한 피스톤(11)이 상사점(a)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흡입밸브(3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헤드(20)의 흡입구(22)를 막게 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10) 내부에 흡입된 냉매 가스가 점점 압축되면서 상기 피스톤(11)이 상사점(a)에 이르게 되면 상기 토출밸브(40)가 상기 밸브 스프링(80)과 함께 자체 탄성 변형력 및 상기 리테이너 전면 경사부(64)와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어 변화되는 저항력을 가지면서 거동하여 상기 토출구(23)를 열게 됨으로써 압축된 냉매 가스가 헤드(20)의 토출구(23)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80)이 거동하는 과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지속적인 압력 증가로 상기 토출밸브(40)가 휘어지면서 상기 밸브 스프링(80)에 접촉된다. 이어 상기 토출밸브(40)가 상기 밸브 스프링(80)과 접촉된 상태에서 그 밸브 스프링(80)의 곡면부(81) 끝이 리테이너의 전면 경사부(64)의 내벽에 마찰 접촉되면서 휘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80)사이의 마찰 접촉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80)은 변화되는 저항력을 받으면서 휘어져 상기 리테이너의 거동 한정부(65)에 지지되어 최대 열림량 상태가 된다. 상기 토출밸브(40)가 최대 열림 상태가 되면서 상기 토출구(23)를 열게 되어 상기 실린더(10)내부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구(23)를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1)이 상사점(a)에서 하사점(b)으로 이동하게 되면 압력차 및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8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토출구(23)를 막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냉매 가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토출되며 그 토출된 냉매 가스는 상기 헤드커버(70)의 토출 플레넘(S)을 거치면서 상기 토출관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10)내부와 외부의 상대적인 압력차로 상기 토출밸브(40) 및 밸브 스프링(80)이 휘어지면서 토출구(23)를 여는 과정에서 상기 토출밸브(40)가 자체 강성 및 밸브 스프링(80)의 강성, 즉 탄성 변형력과 이어 밸브 스프링(80)과 리테이너(60)의 경사부(64)사이의 마찰력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40)와 밸브 스프링(80)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변화되는 저항력을 받으면서 휘어져 상기 토출구(23)를 열게 되므로 상기 토출밸브(40)의 초기 거동이 원활하게 됨은 물론 최대 열림량까지의 거동이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된다. 도 10은 종래 구조에서 토출밸브가 거동시 작용하는 저항력과 본 발명에서 토출밸브가 거동시 작용하는 저항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한 상기 토출밸브(40)의 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토출구(23)를 개폐하게 되므로 종래 구조에서와 같이 토출밸브(40)가 순간적으로 급하게 거동하여 토출구(23)를 열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반사 충격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는 실린더 내부와 외부의 상대적인 압력차에 의해 토출밸브가 거동하면서 토출구를 여는 과정에서 상기 토출밸브가 다단의 변화되는 저항력을 받으면서 거동하여 토출구를 열게 되므로 토출밸브 초기 거동 및 최대 열림량까지의 거동이 원활하게 됨으로써 토출밸브의 토출구 개폐성능 향상으로 압축효율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출밸브의 거동에 의한 반사 충격을 방지하여 진동 소음을 최소화하게 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실린더에서 압축된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내부의 상대적인 압력차에 의해 거동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와 상기 토출밸브와 함께 일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토출밸브의 강성을 보강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토출밸브 및 밸브 스프링의 거동을 한정하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밸브의 거동시 그 토출밸브가 상기 밸브 스프링과 함께 자체 탄성 변형력 및 상기 리테이너 경사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어 변화되는 저항력을 가지면서 거동하도록 상기 밸브 스프링의 자유 단이 상기 리테이너의 경사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프링은 상기 토출밸브의 거동시 그 토출밸브와 마찰 접촉을 이루는 곡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KR1020000068034A 2000-11-16 2000-11-16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KR20020037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34A KR20020037998A (ko) 2000-11-16 2000-11-16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34A KR20020037998A (ko) 2000-11-16 2000-11-16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998A true KR20020037998A (ko) 2002-05-23

Family

ID=1969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034A KR20020037998A (ko) 2000-11-16 2000-11-16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79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846A (ko) * 2006-04-17 2007-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장치
CN111140468A (zh) * 2019-12-16 2020-05-1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排气组件、压缩机和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846A (ko) * 2006-04-17 2007-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장치
CN111140468A (zh) * 2019-12-16 2020-05-1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排气组件、压缩机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7650A (en) Reciprocatory piston type compressor with noise free suction valve mechanism
US8297957B2 (en) Compressor
US5769126A (en) Discharge valve assembly in a reciprocating compressor
KR880000987B1 (ko) 압축기용 배출밸브
US593430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48657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압축장치
JP2005508480A (ja) 吐出バルブ及びこれを利用した圧縮機
US20040047750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020037998A (ko)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 토출구조
US6929456B2 (en) Valve assembly for reciprocating compressors
KR10048656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장치
KR10049452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KR100661360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253656B1 (ko) 압축기용 밸브 어셈블리
US20210310472A1 (en) Compres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2013481B1 (en) A compressor
JP2912785B2 (ja) 密閉型圧縮機
KR100194142B1 (ko) 리이드 밸브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KR10027373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JPH11230042A (ja) 吐出弁及びそれを備えた弁板装置
KR100455193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 장치
KR20120045958A (ko) 압축기
KR100631531B1 (ko) 압축기의 토출 밸브 장치
KR20060041041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결합체
KR2008001271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진동 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