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818A -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 Google Patents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818A
KR20020037818A KR1020000067724A KR20000067724A KR20020037818A KR 20020037818 A KR20020037818 A KR 20020037818A KR 1020000067724 A KR1020000067724 A KR 1020000067724A KR 20000067724 A KR20000067724 A KR 20000067724A KR 20020037818 A KR20020037818 A KR 20020037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lizer
locking
main body
case
gui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문수
Original Assignee
노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문수 filed Critical 노문수
Priority to KR102000006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7818A/ko
Publication of KR2002003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2Tuning forks or lik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통외부에 노출되는 이퀄라이져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이퀄라이져를 기타통에 설치하기 위하여 기타통에 형성하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기타통에서 발생하는 음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하는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는 밧데리를 설치하기 위한 밧데리홀더(21)가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로 향하는 잠금구(22)가 저면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이퀄라이져 본체(20);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잠금구(22)와 결합하는 푸쉬버튼식 잠금장치(31)가 상기 잠금구(22)와 대응하는 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케이스(30)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STRUCTURE OF GUITAR'S EQUALIZER}
본 발명은 통기타에 설치되는 이퀄라이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통외부에 노출되는 이퀄라이져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이퀄라이져를 기타통에 설치하기 위하여 기타통에 형성하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기타통에서 발생하는 음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또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하는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기타의 종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타줄을 튕길 때 발생하는 기타음을 별도의 스피커를 통하여 증폭시키기 위하여 기타통(10)의 소정위치에 이퀄라이져(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퀄라이져(1)는 기타통(10)에서 발생하는 저음, 중음, 고음 등 각종 음을 조절, 증폭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퀄라이져(1)는 기타통(10)에 설치되어 있는 잭(10a)을 통하여 스피커(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타를 연주할 때 기타통(10)에서 발생하는 음을 적절히 조절,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크게 들리게 할 수 있다.
이퀄라이져에는 밧데리가 설치되어 있는데, 밧데리는 수명이 다되었을 경우 밧데리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이퀄라이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 통기타용 이퀄라이져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밧데리(11)가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밧데리케이스(12)의 내부에 내장되는데, 밧데리케이스(12)의 타측면에는 탄성적인 착탈구(1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착탈구(12a)는 하단은 케이스본체(12b)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단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착탈구(12a)의 외측면에는 걸림턱(12a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져(1)의 본체(1a)에는 상기 착탈구(12a)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통로(1b)가 형성되어 있고 착탈구(12a)의 걸림턱(12aa)이 안내통로(1b)의 하단에 걸릴 수 있도록 안내통로(1b)의 하부에는 개구부(1c)가 형성되어 있다.
밧데리케이스(11)의 착탈구(12a)의 걸림턱(12aa)은 안내통로(1b)를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에는 착탈구(12a)를 내측으로 밀면서 안내통로(1b)를 통과하고 일단 안내통로(1b)를 통과한 후에는 안내통로(1b)의 하부의 개구부(1c)에 들어가 안내통로(1b)의 하단에 걸려 착탈구(12a)를 내측으로 미는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스스로 안내통로(1b)를 빠져 나오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밧데리케이스(12)의 상부판(12c)에는 착탈구(12a)의 걸림턱(12aa)를 이퀄라이져의 본체(1a)로부터 걸림을 해제시킨 후 밧데리케이스(12)를 이퀄라이져(1)로부터 빼 낼 때 용이하게 사용자가 상부판(12c)을 잡을 수 있도록 전후끝단에 손잡이부(12c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이퀄라이져의 밧데리 착탈구조는 다음과 같이 하여 밧데리를 이퀄라이져에 착탈하게 된다.
밧데리(11)를 이퀄라이져(1)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밧데리(11)를 밧데리케이스(12)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밧데리케이스(12)에 설치한다. 그 다음 밧데리케이스(12)를 이퀄라이져 본체(1a)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집어넣는다.
이 때 밧데리케이스(12)의 착탈구(12a)가 본체(1a)에 형성된 안내통로(1b)를 통과하면서 걸림턱(12aa)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내측으로 휘게 되고, 걸림턱(12aa)이 안내통로(1b)를 통과하면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상태가 밧데리(11)가 이퀄라이져(1)에 설치된 상태가 되는데, 걸림턱(12aa)이 안내통로(1b)의 하단에 걸려 있기 때문에 밧데리(11) 및 밧데리케이스(12)는 이퀄라이져 본체(1a)로부터 스스로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에 밧데리(11) 및 밧데리케이스(12)를 이퀄라이져 본체(1a)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밧데리케이스(12)의 착탈구(12a)의 상단을 내측으로 밀어 걸림턱(12aa)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밧데리케이스(12)의 상부판(12c)에 형성된손잡이부(12ca)를 손끝으로 잡아 들어 올리면 된다.
이와 같이 종래 통기타용 이퀄라이져의 구조는 밧데리의 수명이 다되었을 경우에 이퀄라이져(1)를 기타통(10)에 고정한 상태에서 밧데리(11) 및 밧데리케이스(12)를 이퀄라이져 본체(1a)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밧데리(11) 및 밧데리케이스(12)가 이퀄라이져 본체(1a)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고 밧데리케이스(12)의 상부판(12c)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퀄라이져(1)의 전체적인 면적이 크게 되고 그만큼 기타통(10)의 구멍을 크게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통기타는 기타통(10)에서 발생하는 음의 질을 변화시키고 자칫 기타가 불량이 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외관적으로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밧데리를 이퀄라이져의 안쪽에 설치하고 밧데리를 교환하여야 할 경우 이퀄라이져 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내부의 밧데리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이퀄라이져의 외부노출면적의 최소화함으로써 기타통의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기타통에서 발생하는 음의 변질을 방지하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하는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는 밧데리홀더가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로 향하는 잠금구가 저면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이퀄라이져 본체;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를 착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의 잠금구와 결합하는 푸쉬버튼식 잠금장치가 상기 잠금구와 대응하는 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기타의 기타통에 이퀄라이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기타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밧데리 착탈구조가 구성된 이퀄라이져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으로서 종래 이퀄라이져의 밧데리 착탈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퀄라이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퀄라이져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퀄라이져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퀄라이져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밧데리홀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부쪽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퀄라이져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잠금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의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퀄라이져 본체의 잠금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배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A-A선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케이스의 잠금 및 해제홈과 안내돌부, 그리고 잠금 및 해제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케이스의 잠금 및 해제홈과 안내돌부, 그리고 잠금 및 해제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잠금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퀄라이져 1a: 본체
1b: 안내통로 1c: 개구부
10: 기타통 10a: 잭
11: 밧데리 12: 밧데리 케이스
12a: 착탈구 12aa: 걸림턱
12b: 케이스 본체 12c: 상부판
12ca: 손잡이부
20: 이퀄라이져 본체 21: 밧데리 홀더
21a: 상부면 21b: 탄성지지대
21ba: 끝단부 21bb: 돌출부
21c: 후방지지대 22: 잠금구
22a: 끝단부 22b: 잠김홈
23: 안내홈 24: 밧데리
30: 본체 케이스 31: 잠금장치
32: 안내돌출부 33: 설치대
33a: 걸림홈 40: 케이스
41: 슬롯 42: 잠금 및 해제홈
42a: 잠금홈 42b: 해제홈
43: 안내돌부 44: 돌출부
50: 취부구 51: 취부날개
52: 톱날형상걸림턱 53: 관통공
54: 개구부 60: 탄성스프링
70: 잠금 및 해제부재 71: 중심축
72: 레바 72a: 돌출봉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퀄라이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퀄라이져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퀄라이져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이퀄라이져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밧데리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이퀄라이져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잠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본체케이스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기타용 이퀄라이져의 구조는 이퀄라이져 본체(20)와 본체 케이스(30)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이퀄라이져 본체(20)가 본체 케이스(30)내에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저면에는 밧데리홀더(21)가 부착되어 있고, 본체 케이스(30)와 결합하기 위한 잠금구(22)가 저면 양측에 각각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30)는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를 본체 케이스(3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잠금구(22)와 결합하는 푸쉬버튼식 잠금장치(31)가 상기 잠금구(22)와 대응하는 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져 본체(20)의 4개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스(30)의 4개의 측벽내면에는 상기 이퀄라이져(20)의 안내홈(2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안내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퀄라이져 본체(20)는 상기 안내홈(23)이 본체 케이스(30)의 안내돌출부(32)를 따라 이동하면서 본체 케이스(3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이탈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밧데리홀더(21)는 상부면(21a)과, 그 좌우 양측에 형성된 탄성지지대(21b)와, 그리고 후방지지대(2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지지대(21b)의 끝단부(21ba)는 밧데리(24)를 취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내면에는 돌출부(21bb)가 형성되어 있다. 밧데리홀더(21)는 플라스틱 사출방식에 의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밧데리(24)를 설치할 때에는 밧데리(24)의 밧데리홀더(21)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밀면 탄성지지대(21b)의 끝단부(21ba)를 외부로 벌리면서 홀더(21)내에 삽입되고 탄성지지대(21b)의 탄성과 끝단부(21ba)의 돌출부(21bb)에 의하여 견고하게 취부된다. 따라서 밧데리(24)는 일단 설치된 후에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자중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밧데리홀더(21)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잠금구(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부(22a)가 본체 케이스(30)의 잠금장치(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끝단부(22a)의 양측면에 잠김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0)의 잠금장치(31)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0)와 일체로 된 설치대(33)에 설치되는데, 설치대(33)의 내면에는 상기 잠금장치(31)의 탄성적인 돌출부(44)가 걸리는 걸림홈(33a)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장치(31)는 푸쉬버튼식으로 한번 누르면 잠금상태가 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하 잠금장치(31)의 구성을 도 9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3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롯(41)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잠금 및 해제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벽의 내면에 후술하는 잠금 및 해제부재(70)의 돌출봉(72a)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외부로 돌출되려는 탄성을 갖는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40); 상기 케이스(40)의 상부로 삽입되어 케이스(40)내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취부날개(51)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상기 케이스(40)의 슬롯(41)에 삽입되어 상하이동을 하는 톱날형상걸림턱(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횡방향으로 원형상의 관통공(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53)의 중간위치심에서 하향으로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는 취부구(50); 상기 취부구(50)의 개구부(54)에 설치되어 케이스(40)에 대하여 취부구(50)에 상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스프링(60); 그리고 상기 취부구(50)의 관통공(5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면이 반원형상인 중심축(71), 상기 중심축(71)과 소정각도를 갖도록 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40)의 잠금 및 해제홈(42)에 삽입 및 이탈되는 돌출봉(72a)이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레바(72)로 된 잠금 및 해제부재(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잠금장치(31)가 결합되면 취부구(5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날형상걸림턱(52)이 상기 케이스(40)의 슬롯(41)에 삽입되어 상하이동을 하게 되므로 취부구(50)의 상하이동거리는 슬롯(41)의 길이범위로 한정된다.
잠금장치(31)는 그 케이스(40)의 양측면에 탄성을 갖는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30)의 설치대(30)에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 넣으면 돌출부(44)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였다가 설치대(33)의 걸림홈(33a)에 삽입되므로 잠금장치(31)는 설치대(33)로부터 상향으로는 빠져 나오지 않게 된다.
잠금장치(31)를 본체 케이스(30)의 설치대(33)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치대(33)의 개구된 내측면을 통하여 분리시킨다.
상기 잠금장치(3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잠금구(22)가 잠금장치의 취부구(50)의 상단을 누르면 취부구(50)는 탄성스프링(60)을 누르면서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취부구(50)가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취부구(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잠금 및 해제부재(70)도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잠금 및 해제부재(70)의 돌출봉(72a)이 케이스(40)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돌부(43)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레바(72)는 회동하게 되고 돌출봉(72a)이 케이스(40)의 후면에 형성된 잠금 및 해제홈(42)의 잠금홈(42a)을 만나면 탄성에 의하여 잠금홈(32a)에 삽입하게 된다.
이 때 취부구(50)의 취부날개(51)는 케이스(40)의 상단에 의하여 내측으로 굴절하게 되므로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잠금구(22)를 취부하게 된다. 이 상태가 잠금장치(31)의 잠금상태가 된다.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퀄라이져 본체(20)를 다시 누르는데, 이 때 취부구(50)가 하향이동하면서 잠금 및 해제부재(70)의 돌출봉(72a)은 케이스(40)의 해제홈(42b)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퀄라이져 본체(20)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취부구(50)는 탄성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돌출봉(72a)은 해제홈(42b)의 상단이 점점 폭이 좁아지므로 해제홈(42b)으로부터 빠져나가 케이스(40)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취부구(50)는 원래의 위치로 올라 가고 이때 취부날개(5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벌어지므로 잠금구(22)는 잠금장치(31)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푸쉬버튼식 잠금장치(31)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이외에도 다른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져 본체(20)가 기타통(10)에 고정되는 본체 케이스(30)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고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밧데리(24)가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저면에 설치되므로 기타통(10)외부에 노출되는 이퀄라이져의 면적을 최소화할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퀄라이져의 설치를 위하여 기타통(10)에 형성하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는 밧데리를 이퀄라이져의 안쪽에 설치하고 이퀄라이져 본체를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하여 밧데리교환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기타통외부에 노출되는 이퀄라이져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이퀄라이져의 설치를 위하여 기타통에 형성하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기타통에서 발생하는 음의 변질을 방지하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기타통(10)에 설치되어 기타통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을 조절, 증폭하는 기능을 통기타용 이퀄라이져에 있어서,
    밧데리를 설치하기 위한 밧데리홀더(21)가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로 향하는 잠금구(22)가 저면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이퀄라이져 본체(20);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잠금구(22)와 결합하는 푸쉬버튼식 잠금장치(31)가 상기 잠금구(22)와 대응하는 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케이스(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져 본체(20)의 잠금구(22)는 그 끝단부(22a)가 본체 케이스(30)의 잠금장치(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잠김홈(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케이스(30)의 잠금장치(3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롯(41)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잠금 및 해제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벽의 내면에 잠금 및 해제부재(70)의 돌출봉(72a)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부(43)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40);
    상기 케이스(40)의 상부로 삽입되어 케이스(40)내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취부날개(51)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상기 케이스(40)의 슬롯(41)에 삽입되어 상하이동을 하는 톱날형상걸림턱(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횡방향으로 원형상의 관통공(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53)의 중간위치에서 하향으로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는 취부구(50);
    상기 취부구(50)의 개구부(54)에 설치되어 케이스(40)에 대하여 취부구(50)에 상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스프링(60); 그리고
    상기 취부구(50)의 관통공(5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면이 반원형상인 중심축(71), 상기 중심축(71)과 소정각도를 갖도록 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40)의 잠금 및 해제홈(42)에 삽입 및 이탈되는 돌출봉(72a)이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레바(72)로 된 잠금 및 해제부재(7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30)의 잠금장치(31)는 본체 케이스(30)와 일체로 된 설치대(33)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대(33)의 내면에는 걸림홈(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홈(33a)에 잠금장치(31)의 케이스(40)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돌출부(44)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잠금장치(31)가 설치대(3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KR1020000067724A 2000-11-15 2000-11-15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KR20020037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724A KR20020037818A (ko) 2000-11-15 2000-11-15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724A KR20020037818A (ko) 2000-11-15 2000-11-15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67U Division KR200221640Y1 (ko) 2000-11-15 2000-11-15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818A true KR20020037818A (ko) 2002-05-23

Family

ID=1969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724A KR20020037818A (ko) 2000-11-15 2000-11-15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78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3407A (zh) * 2018-11-04 2019-01-18 深圳视感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电池舱的吉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43U (ko) * 1994-08-01 1996-03-16 노문수 기타용 이퀄라이저
KR960027679U (ko) * 1995-01-28 1996-08-17 고준웅 기타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장치
US5693898A (en) * 1996-03-08 1997-12-02 Fishman; Lawrence R. Hinged control panel for electrified acoustic guitar
KR19990008484U (ko) * 1997-08-05 1999-03-05 임병열 기타 앰프의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43U (ko) * 1994-08-01 1996-03-16 노문수 기타용 이퀄라이저
KR960027679U (ko) * 1995-01-28 1996-08-17 고준웅 기타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장치
US5693898A (en) * 1996-03-08 1997-12-02 Fishman; Lawrence R. Hinged control panel for electrified acoustic guitar
KR19990008484U (ko) * 1997-08-05 1999-03-05 임병열 기타 앰프의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3407A (zh) * 2018-11-04 2019-01-18 深圳视感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电池舱的吉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784B1 (en) Control mechanism for retractable tube assembly
US20090290322A1 (en) Enclosure operable between unlocked and locked states and including a switch device
CA2538584A1 (en) Mountable lockout device
KR101042826B1 (ko) 모뎀과 같은 전자 장치를 위한 장착 어셈블리
JPH08162079A (ja) 電子機器筐体
KR100475574B1 (ko) 컴퓨터
KR200221640Y1 (ko)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KR20020037818A (ko)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JP2573372Y2 (ja) 蛍光灯ユニットにおけるソケットカバーの取付構造
JPH04307082A (ja) パチンコ機
KR100381858B1 (ko) 선풍기
KR101240267B1 (ko) 배터리 록킹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207853Y1 (ko) 통기타용 이퀄라이져의 밧데리 착탈구조
JP4416478B2 (ja) 配線器具用カバー装置
US20070028656A1 (en) Lockable pull handle
JP2002042603A (ja) スピーカマイクの押しボタン装置
JPH0139008Y2 (ko)
KR960002605Y1 (ko) 카 오디오 노브(Knob) 결합장치
KR20040072546A (ko) 엘리베이터용 누름버튼
JP2005294357A (ja) ケースの組立構造
JP2007010250A (ja) 換気装置
JPH11202407A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二重安全装置
JP3916503B2 (ja) 部材挿入口開閉機構
KR20060110997A (ko) 컴퓨터의 드라이브브라켓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