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796A -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 - Google Patents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796A
KR20020037796A KR1020000067679A KR20000067679A KR20020037796A KR 20020037796 A KR20020037796 A KR 20020037796A KR 1020000067679 A KR1020000067679 A KR 1020000067679A KR 20000067679 A KR20000067679 A KR 20000067679A KR 20020037796 A KR20020037796 A KR 20020037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vinegar
hair
shamp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영
Original Assignee
이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영 filed Critical 이후영
Priority to KR102000006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7796A/ko
Publication of KR2002003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7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모공을 막아 모발의 성장을 방해하는 피지를 제거하고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탈모를 방지하도록, 100을 기준으로 허브 추출물 1.5∼4중량%, 휘트프로틴 3∼6중량%, 레시틴 5∼8중량%, 아미노산 1.5∼4중량%,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 72∼87중량%, 염화나트륨 2∼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하는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허브 추출물은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천연식초로는 사과식초를 사용한다.
또 100을 기준으로 허브 추출물 0.5∼2중량%, 휘트프로틴 1∼3중량%, 레시틴 2∼5중량%, 아미노산 0.5∼2중량%,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 10∼70중량%, 염화나트륨 1∼2중량%, 샴푸원료 20∼30중량%, 나머지 물을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하는 발모제 샴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Hair Tonic Composite and Shampoo}
본 발명은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브 추출물과 천연식초 등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의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는 혈액순환부전설, 남성호르몬과잉설, 피지분비과잉설, 유전적 요인설, 스트레스설 등이 있다.
이러한 탈모증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주로 사용하는 발모제로는 미녹시딜 함유제제가 있다.
상기한 미녹시딜은 혈압강하의 목적으로 개발된 고혈압 치료제이었는 데, 사용상의 부작용으로 발모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는 발모제로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미녹시딜의 발모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체로 혈관확장효과를 통한 혈류량 증가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미녹시딜은 잔털이 굵어지는 것으로서, 사용을 중단하면 효과도 중지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는 문제가 있다.
미녹시딜 이외에도 발모제로서 은행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38214호),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제157667호), 녹두분과 대두분 등 곡분과 홍합분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제260673호), 한방에서 사용하는 상백피와 측백엽 및 생강 등의 즙액을 함유하는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제201589호) 등이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탈모방지나 발모가 이루어지는 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탈모가 방지되고 발모가 이루어지는 발모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식물의 추출물과 다양한 천연원료 및 약품을 사용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특정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이 탈모방지 및 발모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확실한 탈모방지나 발모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공을 막아 모발의 성장을 방해하는 피지를 제거하고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탈모를 방지하도록 허브 추출물과 천연식초 등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발모제 조성물은 100을 기준으로 허브(herb) 추출물 1.5∼4중량%, 휘트프로틴(wheat protein) 3∼6중량%, 레시틴(lecithin) 5∼8중량%, 아미노산(amino acid) 1.5∼4중량%,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sodiumbicarbonate) 72∼87중량%, 염화나트륨(NaCl) 2∼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허브 추출물은 사이프리스 오일(cypress oil), 그레이프프룻 오일(grapefruit oil), 라벤더 오일(lavander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및 티트리 오일(tea-tree oil)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티트리 오일 대신에 멜라루카 오일(melaluca oil)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허브 추출물은 사이프리스 오일(cypress oil), 그레이프프룻 오일(grapefruit oil), 라벤더 오일(lavander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및 티트리 오일(tea-tree oil)에 시다우드 오일(cedarwood oil)을 더 추가하여 1:1:2:2:2: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사이프리스 오일(cypress oil), 그레이프프룻 오일(grapefruit oil), 라벤더 오일(lavander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및 티트리 오일(tea-tree oil)에 시다우드 오일(cedarwood oil) 이외에도 비슷한 효능을 갖는 다른 여러가지 허브 식물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천연식초로는 사과식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미식초나 감식초, 포도식초, 매실식초, 살구식초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천연식초는 대사를 신속하게 진행시킴과 동시에 체내에서 생성된 노폐물과 각종 산성 물질을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방을 분해하고 혈관을 청소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중탄산나트륨을 천연식초 대신에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천연식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염화나트륨은 각 성분이 고르게 혼합되도록 작용하는 촉매로서 기능한다.
또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상기한 천연식초의 냄새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향신료를 약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식초를 함유하므로 두피의 제일 바깥쪽에 형성되는 각질층을 연화시키고, 모공을 막은 비듬과 피지의 혼합물인 지루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공을 막은 지루가 제거되면, 모근이 남아있는 경우 막힌 모공속에서 자란 모발이 외부로 노출되어 새롭게 발모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천연식초의 성분이 흡수되므로 두피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지방의 분해가 촉진되어 탈모의 진행이 억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항균효과와 긴장완화의 효과가 있는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므로 비듬균이 제거되고, 가려움증이 해소되며, 모공이 확대된다.
따라서 비듬균에 의한 두피의 손상때문에 발생하는 탈모현상이 방지되고, 모공이 확대되므로 지루에 의하여 쉽게 막히지 않아 모발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휘트프로틴을 함유하므로 모근 및 모발에 영양이 공급되어 모발이 안정되게 두피에 정착되고, 탈모가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영양제로서 휘트프로틴을 함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근 및 모발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외용 피부 도포용 겔이나 젤 또는 액제, 유탁제, 연고 등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샴푸 등의 화장품(무스, 헤어 크림, 린스, 토닉 등)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발모제 샴푸는 100을 기준으로 허브(herb) 추출물 0.5∼2중량%, 휘트프로틴(wheat protein) 1∼3중량%, 레시틴(lecithin) 2∼5중량%, 아미노산(amino acid) 0.5∼2중량%,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 10∼70중량%, 염화나트륨 1∼2중량%, 샴푸원료 20∼30중량%, 나머지 물을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샴푸원료로는 나트륨염이나 황산염 등 일반적으로 샴푸의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천연식초를 10중량%보다 적게 함유시키면 충분한 탈모방지와 발모가 이루어지지 않고, 70중량%보다 많게 함유시키면 식초 특유의 냄새와 자극성 때문에 사용이 어렵다.
상기한 천연식초는 바람직하게는 30∼40% 정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40%를 넘는 경우에는 균일한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혼합에 주의가 필요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샴푸에 있어서도 천연식초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약간의 향신료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물로는 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모제 샴푸에 있어서도 각 성분의 기능은 상기한 발모제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작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발모제 샴푸는 회전점도계 스핀들넘버 IV3-12로 측정하여 대략 4,000∼8,000mPa·s 정도 범위의 점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발모제 샴푸는 pH값이 대략 4∼6 정도의 범위에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발모제 샴푸는 대략 1주일에 4∼7번 사용하여 머리를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100을 기준으로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한 허브 추출물 2.5중량%, 휘트프로틴 4중량%, 레시틴 6중량%, 아미노산 2중량%, 사과식초 81.5중량%, 염화나트륨 4중량% 및 약간의 향신료를 고르게 혼합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00을 기준으로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티트리 오일, 시다우드 오일을 1:1:2:2:2:2의 비율로 혼합한 허브 추출물 3중량%, 휘트프로틴 4중량%, 레시틴 6중량%, 아미노산 2중량%, 사과식초 81중량%,염화나트륨 4중량% 및 약간의 향신료를 고르게 혼합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00을 기준으로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한 허브 추출물 1.2중량%, 휘트프로틴 2중량%, 레시틴 3중량%, 아미노산 1중량%, 사과식초 30중량%, 염화나트륨 1.5중량%, 샴푸원료 30중량%, 나머지 물 및 약간의 향신료를 고르게 혼합하여 발모제 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00을 기준으로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한 허브 추출물 1.2중량%, 휘트프로틴 2중량%, 레시틴 3중량%, 아미노산 1중량%, 사과식초 40중량%, 염화나트륨 2중량%, 샴푸원료 20중량%, 나머지 물 및 약간의 향신료를 고르게 혼합하여 발모제 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100을 기준으로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한 허브 추출물 1.2중량%, 휘트프로틴 2중량%, 레시틴 3중량%, 아미노산 1중량%, 중탄산나트륨 35중량%, 염화나트륨 2중량%, 샴푸원료 25중량%, 나머지 물 및 약간의 향신료를 고르게 혼합하여 발모제 샴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발모제 조성물 및 발모제 샴푸의 실시예를 각각 20명의 대머리증상을 보이는 사람에게 사용하게 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여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상기한 실시예의 사용은 1주일간 하루에 한번 10분간 발모제 조성물로 마사지하거나 발모제 샴푸로 머리를 감도록 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발모상태 매우좋음 16 18 16 17 15
좋음 3 2 3 3 4
변화없음 1 1 1
모발영양상태 매우좋음 15 16 16 15 15
좋음 5 4 4 5 5
변화없음
상기에서 발모상태는 대머리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전체적으로 발모가 이루어졌으면 매우좋음으로, 부분적으로 발모가 이루어졌으면 좋음으로, 변화가 없으면 변화없음으로 평가하였다.
또 모발영양상태는 손상을 입은 모발의 굵기와 상태를 보아 전체적으로 굵기가 굵어지고 매끄럽게 되었으면 매우좋음으로, 부분적으로 굵어지고 매끄럽게 되었으면 좋음으로, 변화가 없으면 변화없음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상기에서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5에 있어서 발모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는 대머리 상태로 오래 방치되어 모근까지 완전히 제거된 경우로서 모공이 개방되어도 발모된 모발이 없는 경우로 확인되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모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모공이 막힌 상태로 내부에서 자란 모발이 바깥으로 노출되므로 발모와 동시에 대략 2㎜ 이상의 모발이 관찰되어, 발모여부를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한 관찰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및 발모제 샴푸는 모근이 존재하는 상태로 모공이 막혀 대머리 증상으로 보이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에 의하면, 지루 등에 의하여 막혔던 모공을 개방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모가 이루어지고, 모근 및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여 탈모를 방지한다.
또 비듬균을 제거하므로 두피의 손상을 방지하여 두피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발모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막힌 모공 속에서 자란 모발이 두피 바깥쪽으로 대략 2㎜ 이상 길게 노출되므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에 의한 발모효과는 다시 모발이 빠지고 모공이 막히는 오랜 기간 후에 대머리 증상이 나타나므로, 계속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수개월마다 한번씩 사용하여도 대머리 증상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있다.

Claims (9)

100을 기준으로 허브 추출물 1.5∼4중량%, 휘트프로틴 3∼6중량%, 레시틴 5∼8중량%, 아미노산 1.5∼4중량%,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 72∼87중량%, 염화나트륨 2∼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허브 추출물은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허브 추출물은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티트리 오일, 시다우드 오일을 1:1:2:2:2: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식초는 사과식초, 현미식초, 감식초, 포도식초, 매실식초, 살구식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식초의 냄새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향신료를 첨가하는 발모제 조성물.
100을 기준으로 허브 추출물 0.5∼2중량%, 휘트프로틴 1∼3중량%, 레시틴 2∼5중량%, 아미노산 0.5∼2중량%,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 10∼70중량%, 염화나트륨 1∼2중량%, 샴푸원료 20∼30중량%, 나머지 물을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하는 발모제 샴푸.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허브 추출물은 사이프리스 오일, 그레이프프룻 오일,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1:1:2:2: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발모제 샴푸.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식초는 사과식초, 현미식초, 감식초, 포도식초, 매실식초, 살구식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발모제 샴푸.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식초의 냄새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향신료를 첨가하는 발모제 샴푸.
KR1020000067679A 2000-11-15 2000-11-15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 KR20020037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679A KR20020037796A (ko) 2000-11-15 2000-11-15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679A KR20020037796A (ko) 2000-11-15 2000-11-15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796A true KR20020037796A (ko) 2002-05-23

Family

ID=1969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679A KR20020037796A (ko) 2000-11-15 2000-11-15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77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34A (ko) * 2001-03-30 2002-10-11 최동재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8068A (ko) 2020-01-06 2021-07-14 차순례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909A (ja) * 1985-09-02 1987-03-09 Kurooda Japan Kk 植物種子蛋白の水溶性加水分解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H0248516A (ja) * 1988-08-11 1990-02-19 Shiseido Co Ltd 養毛料
JPH05921A (ja) * 1991-06-25 1993-01-0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化粧料
US5217711A (en) * 1991-10-16 1993-06-08 Mariana De Oliveira Hair care system
JPH0826937A (ja) * 1994-07-12 1996-01-30 Daimu Internatl Kk 養毛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909A (ja) * 1985-09-02 1987-03-09 Kurooda Japan Kk 植物種子蛋白の水溶性加水分解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H0248516A (ja) * 1988-08-11 1990-02-19 Shiseido Co Ltd 養毛料
JPH05921A (ja) * 1991-06-25 1993-01-0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化粧料
US5217711A (en) * 1991-10-16 1993-06-08 Mariana De Oliveira Hair care system
JPH0826937A (ja) * 1994-07-12 1996-01-30 Daimu Internatl Kk 養毛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34A (ko) * 2001-03-30 2002-10-11 최동재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8068A (ko) 2020-01-06 2021-07-14 차순례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6379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0747651B1 (ko) 두발 건강유지 및 모발 생장촉진 원료추출물
KR20200091611A (ko) 맥주효모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 방지용 기능성 삼푸 조성물
KR20090120726A (ko) 샴푸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7934A (ko) Em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285B1 (ko) 한방 샴푸 제조방법
KR102296279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1134B1 (ko) 발모촉진제 제조방법
KR101944259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KR20200032847A (ko) 발모촉진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7635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품
KR20090049390A (ko) 탈모예방 및 발모성장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7796A (ko) 발모제 조성물 및 샴푸
KR101685895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2132170A1 (e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and skin diseases
KR100298647B1 (ko)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16150A (ko) 모발촉진제
KR102359906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55502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촉진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2224A (ko) 두피보호 및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627

Effective date: 200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