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413A -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413A
KR20020035413A KR1020000069332A KR20000069332A KR20020035413A KR 20020035413 A KR20020035413 A KR 20020035413A KR 1020000069332 A KR1020000069332 A KR 1020000069332A KR 20000069332 A KR20000069332 A KR 20000069332A KR 20020035413 A KR20020035413 A KR 2002003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ir suction
suction pipe
lock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2577B1 (ko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US09/834,681 priority Critical patent/US6530118B2/en
Priority to CN01110785.5A priority patent/CN1221209C/zh
Priority to DE10124220A priority patent/DE10124220C2/de
Priority to FR0108231A priority patent/FR2816194B1/fr
Priority to JP2001218854A priority patent/JP3527220B2/ja
Publication of KR2002003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공기흡입관과; 공기흡입관의 선단부 외측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설치되는 솔과 공기흡입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을 억제하는 탄성지지부를 가지는 솔브러쉬와; 공기흡입관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연장관; 및 흡입연장관을 흡입연장관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솔브러쉬 조립체에 따르면, 솔브러쉬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흡입연장관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여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Brush assembly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니스터형과 같은 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에 연결되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되는 흡입브러쉬(3)를 구비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1)의 내부는 먼지필터 등이 설치되는 집진실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구동실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본체(1)는 공기흡입관(6)과 흡입연장관(7)에 의해 흡입브러쉬(3)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흡입관(6)은 청소기본체(1)에 연결되는 호스부(4)와 흡입연장관(7)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부(5)로 구분된다. 상기 손잡이부(5)에는 손잡이와 구동스위치 등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비교적 공간이 넓은 거실이나 복도 등을 청소할 때는, 상기 흡입브러쉬(3)가 연결된 흡입연장관(7)을 손잡이부(5)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다가, 책상이나 탁자, 또는 소정 높이의 좁은 공간에 있는 먼지 등을 청소할 경우에는, 흡입연장관(7)을 손잡이부(5)에서 분리시킨 다음, 소정의 솔브러쉬(9)를 손잡이부(5)에 대신 장착하여 사용하게된다. 이러한 솔브러쉬(9)는 청소기의 구입시 함께 제공되는 제품으로서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솔브러쉬를 별도로 보관하다가 유실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필요한 때에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연장관과 솔브러쉬를 상호 교체하는데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솔브러쉬와 흡입연장관의 상호 교체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공기흡입관에 흡입연장관을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흡입연장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해제버튼을 누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해제버튼을 누른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9는 해제버튼을 누른 상태로 흡입연장광을 공기흡입관으로부터 빼내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공기흡입관 13..손잡이부
13b..선단부 20..솔브러쉬
21..브러쉬몸체 23..솔
25..탄성지지부 25a..요철
30..흡입연장관 40..판스프링
41..로킹돌기 50..메인 흡입브러쉬
60..해제버튼 63..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는,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의 선단부 외측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설치되는 솔과 상기 공기흡입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을 억제하는 탄성지지부를 가지는 솔브러쉬와; 상기 공기흡입관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연장관; 및 상기 흡입연장관을 상기 흡입연장관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는, 공기흡입관(10)과, 상기 공기흡입관(1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 솔브러쉬(20)와, 흡입연장관(30) 및 로킹/해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흡입관(10)은 청소기 본체(1;도1참조)에 연결되는 호스부(11)와, 상기 호스부(11)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3)를 구비한다. 상기 호스부(11)는 변형이 가능한 예컨대 고무 등의 재질로 된 부분으로서, 상기 손잡이부(13)와 청소기본체(1)를 연결한다. 상기 손잡이부(13)는 청소작업시 사용자가 파지 할 수 있는 손잡이(13a)와, 파이프형의 선단부(13b)를 가진다. 상기 손잡이(13a)에는 구동스위치(13c)가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3)는 호스부(11)와는 달리 단단한 플라스틱 재로 형성된다.
상기 솔브러쉬(20)는 틈새나, 탁자, 선반 등과 같이 비좁거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솔브러쉬(20)는 손잡이부(13)의 선단부(13b)의 외측에 소정 거리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솔브러쉬(20)를 이용하여 청소를 할 때에는 솔브러쉬(20)를 손잡이(13a)로부터 이격되게 B방향으로 전진시켜서 사용하고, 상기 선단부(13c)에 흡입연장관(30)을 연결하여 청소를 할 때는 솔브러쉬(20)를 손잡이(13a) 측으로 즉, A방향으로 후진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솔브러쉬(20)는 파이프형의 브러쉬몸체(21)와, 이 브러쉬몸체(21)의 단부에 설치되는 솔(23) 및 브러쉬몸체(21)의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탄성지지부(25)를 구비한다. 상기 브러쉬몸체(21)의 공기흡입구(21a) 단부는 공기흡입구(21a)의 중심축(x)에 대해 소정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구(21a)의 단부는 약 45도 기울기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솔(23)의 끝단도 브러쉬몸체(21)와 마찬가지로 소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25)는 선단부(13b)의 외측을 탄성지지하도록 브러쉬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솔브러쉬(20)이 자유로운 이동을 억제시키는 마찰력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탄성지지부(25)에는 손잡이부(13)의 선단부(13b)에 형성된 인입홀(H1,H2)에 탄력적으로 로킹결합되는 요철(25a)이 형성된다. 따라서, 브러쉬몸체(21)를 A방향으로 후진시키면 요철(25a)은 상기 인입홀(H1)에 삽입되어 브러쉬몸체(21)의 이동을 억제하는 동시에 자유로운 움직임을 억제시킨다. 반대로, 브러쉬몸체(21)를 B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요철(25a)은 상기 인입홀(H2)에 로킹됨으로서, 그 위치에서의 브러쉬몸체(21)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억제시킨다.
또한, 솔브러쉬(20)를 이동시킬 때, 그 솔브러쉬(2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회전을 억제시키기위한 회전 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방지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관(10)의 선단부(13b)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13d)와, 상기 가이드돌기(13d)에 대응되게 솔브러쉬(20)의 내주에 형성된 가이드홈(26)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13d)와 가이드홈(26)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흡입연장관(30)은 공기흡입관(10)의 선단부(13b)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흡입연장관(30)의 외경은 솔브러쉬(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이 흡입연장관(30)의 일단에는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메인 흡입브러쉬(50;도2참조)가 연결된다.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상기 흡입연장관(30)과 공기흡입관(10)의 연결을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로킹/해제수단은, 흡입연장관(30) 내에 설치되는 판스프링(40)과, 공기흡입관(10)의 선단부(13b)에 형성된 로킹홀(H3)과, 솔브러쉬(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해제버튼(60) 및 스프링(63)을 구비한다. 상기 판스프링(40)은 흡입연장관(30) 내주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흡입연장관(30)에 형성된 통과공(3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킹돌기(41)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40)은 로킹돌기(41)가 통과공(31) 내외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상기 선단부(13b)에 형성된 로킹홀(H3)은 상기 로킹돌기(41)에 대응되는 위칭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연장관(30)의 일단을 선단부(13b) 내로 삽입시키면, 로킹돌기(41)가 상기 로킹홀(H3)에 삽입됨으로서, 흡입연장관(30)은 공기흡입관(10)에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로킹홀(H3)에 대응되도록 솔브러쉬(20)에는 통과공(H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해제버튼(60)은 이동되면서 로킹홀(H3)에 삽입된 로킹돌기(41)를 흡입연결관(30) 내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통과공(H4)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해제버튼(60)은 버튼부(61)와, 이 버튼부(61)에서 연장되어 로킹홀(H3)에 대응되는 해제봉(62)을 가진다. 그리고, 브러쉬몸체(21)의 외측에는 해제버튼(60)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지지부(64)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64) 내에는 해제버튼(60)을 로킹홀(H3)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63)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버튼부(61)를 누르면, 해제봉(62)이통과공(H4)을 통과하여 로킹홀(H3)로 삽입되면서, 그 로킹홀(H3)에 로킹된 로킹돌기(41)를 밀어내어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연장관(30)을 공기흡입관(10)의 선단부(13b)에 삽입결합시, 로킹홀(H3)의 위치와 로킹돌기(41)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정렬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 위치정렬수단은 공기흡입관(10)의 선단부(13b) 내주에 형성된 위치정렬홈(13e)과, 이 위치정렬홈(13e)에 대응되는 위치정렬돌기로서 상기 로킹돌기(4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렬홈(13e)은 선단부(13b)의 입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상기 로킹홀(H3)까지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흡입연장관(30)을 선단부(13b) 내부로 삽입시, 로킹돌기(41)는 위치정렬홈(13e)을 따라 이동되다가 로킹홀(H3)에 마주하면, 그 로킹홀(H3)에 삽입되어 로킹된다. 여기서, 상기 로킹돌기(41)가 위치정렬돌기의 역할을 하였지만, 상기 위치정렬홈(13e)을 다른 위치에 복수개 형성하고, 그 각각의 위치정렬홈에 대응되는 별도의 위치정렬돌기를 흡입연장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실바닥이나 복도 등의 피청소면이 아인 비좁은 틈새나 탁자 등을 청소할 경우에는, 솔브러쉬(20)를 이용하게 된다. 이 때에는 흡입연장관(30)이 공기흡입관(10)의 선단부(13b)에서 분리된 상태 즉,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솔브러쉬(20)를 B방향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청소를 한다. 그러면, 솔(23)을 이용하여 탁자나 벽 등의 청소면에 있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털어내면서 솔브러쉬(20)의공기흡입구(21a)로 먼지 및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한다.
한편, 솔브러쉬(20)를 이용하여 청소하다가, 도 2의 메인 흡입브러쉬(50)를 이용하여 청소를 해야 할 경우에는,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솔브러쉬(20)를 A방향으로 후진시킨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25)의 요철(25a)이 상기 인입홀(H1)에 인입되게 이동되어 자세고정된다. 그런 다음, 흡입연장관(30)의 일단을 A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기흡입관(10)의 선단부(13b) 내측으로 밀어넣는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돌기(41)와 위치정렬홈(13e)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흡입연장관(30)을 선단부(13b) 내부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돌기(41)가 위치정렬홈(13e)에 접촉되어 눌린상태로 이동되면서 흡입연장관(30)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이 상태에서, 흡입연장관(30)을 A방향으로 더 밀어넣으면, 로킹돌기(41)는 위치정렬홈(13e)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6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홀(H3) 내로 삽입되고, 흡입연장관(30)은 공기흡입관(10)이 선단부(13b) 내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연장관(30)에 연결된 메인 흡입브러쉬(50)를 이용하여 거실바닥과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와는 달리 솔브러쉬(20)를 손잡이부(13)에서 분리하지 않고, 그 손잡이부(13)에 흡입연장관(30)을 직접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솔브러쉬(20)를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입연장관(30)을 솔브러쉬(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버튼(60)을 사용자의 손으로 누른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해제봉(63)이 통과홀(H4)을 지나 로킹홀(H3)에 삽입되면서 그 로킹홀(H3)에 로킹되어 있던 로킹돌기(41)를 흡입연장관(30) 내로 밀어낸다. 이 상태에서, 흡입연장관(30)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방향으로 빼내면, 흡입연장관(30)은 선단부(13b)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에 따르면, 솔브러쉬를 공기흡입관 외측에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공기흡인관에 흡입연장관을 착탈시킬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가짐으로서, 솔브러쉬를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흡입연장관을 솔브러쉬에 장착 및 분리시킴에 의해 솔브러쉬 또는 메인 흡입브러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솔브러쉬와 흡입연장관 등을 공기흡입관에 일체로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기의 관리 및 보관 등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의 선단부 외측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설치되는 솔과 상기 공기흡입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을 억제하는 탄성지지부를 가지는 솔브러쉬와;
    상기 공기흡입관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연장관; 및
    상기 흡입연장관을 상기 흡입연장관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상기 흡입연장관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흡입연장관 내에 설치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공기흡입관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돌기가 로킹결합되는 로킹홀과;
    상기 솔브러쉬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해 상기 로킹홀에 결합된 상기 로킹돌기를 해제시키도록 상기 솔브러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버튼과;
    상기 해제버튼을 상기 로킹홀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브러쉬의 상기 공기흡입관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고,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공기흡입관의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게 상기 솔브러쉬의 내주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상기 공기흡입관 측으로 돌출되게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솔브러쉬이 이동시 상기 공기흡입관의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인입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로킹결합됨으로서, 상기 솔브러쉬의 이동거리를 한정하고 움직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6. 상기 솔브러쉬를 상기 공기흡입관에 장착시 상기 로킹홀과 상기 로킹돌기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정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렬수단은,
    상기 흡입연장관의 외측면과 상기 공기흡입관의 내주면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위치정렬홈과 위치정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브러쉬의 선단면과 솔의 끝단은 상기 솔브러쉬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브러쉬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은,
    상기 솔브러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손잡이가 마련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며, 변형이 가능한 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브러쉬 조립체.
KR10-2000-0069332A 2000-11-06 2000-11-21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KR10041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34,681 US6530118B2 (en) 2000-11-06 2001-04-12 Sub-suction pip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CN01110785.5A CN1221209C (zh) 2000-11-06 2001-04-19 真空吸尘器辅助吸管组件
DE10124220A DE10124220C2 (de) 2000-11-06 2001-05-18 Hilfssaugrohr-Anordnung für einen Staubsauger
FR0108231A FR2816194B1 (fr) 2000-11-06 2001-06-22 Dispositif de conduit d'aspiration secondaire pour aspirateur
JP2001218854A JP3527220B2 (ja) 2000-11-06 2001-07-18 掃除機の補助吸込管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59 2000-11-06
KR20000065659 2000-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413A true KR20020035413A (ko) 2002-05-11
KR100412577B1 KR100412577B1 (ko) 2003-12-31

Family

ID=1969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332A KR100412577B1 (ko) 2000-11-06 2000-11-21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4950A (zh) * 2010-07-26 2012-02-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狭缝吸嘴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088B1 (ko) * 2018-02-05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0642B2 (ja) * 1992-04-07 200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960030403U (ko) * 1995-03-31 1996-10-22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고정구조
KR19990048506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100287840B1 (ko) * 1998-06-30 2001-05-02 전주범 청소기용다단연장관의흡입브러쉬체결구조
KR20010047085A (ko) * 1999-11-17 2001-06-15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보조흡입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4950A (zh) * 2010-07-26 2012-02-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狭缝吸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2577B1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5661B1 (en) Vacuum cleaner
JP3527220B2 (ja) 掃除機の補助吸込管組立体
US7260869B2 (en) Accessory assembly for vacuum cleaners
US20070209149A1 (en) Vacuum cleaner
EP1733673B2 (en) Vacuum cleaner
KR20090058917A (ko) 청소기
GB2403132A (en) Tilting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body portion
KR20060068792A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JP5786118B2 (ja) 電気掃除機
KR20190021521A (ko) 청소기
JP2024063100A (ja) 真空掃除機用のアタッチメント
KR20090122652A (ko) 청소기
KR100412577B1 (ko)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US8011061B2 (en)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US20090044359A1 (en) Suction brush having hair removal unit for vacuum cleaner
EP1330175B1 (en) Vacuum cleaner
KR100299426B1 (ko) 진공청소기용보조브러쉬홀더
JP4309315B2 (ja) 電気掃除機
EP4226828A1 (en) Vacuum cleaner
CN212489737U (zh) 延长管组件及手持式吸尘设备
KR20020036609A (ko) 청소기의 솔브러쉬 조립체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2977795B1 (ja) 真空掃除機用補助ブラシホルダ
KR19990048506A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960007460B1 (ko) 착탈가능한 물걸레판을 갖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