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068A -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 Google Patents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068A
KR20020035068A KR1020020019851A KR20020019851A KR20020035068A KR 20020035068 A KR20020035068 A KR 20020035068A KR 1020020019851 A KR1020020019851 A KR 1020020019851A KR 20020019851 A KR20020019851 A KR 20020019851A KR 20020035068 A KR20020035068 A KR 20020035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ing
lecture
qualification
listening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한국웹기반교육(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웹기반교육(주) filed Critical 한국웹기반교육(주)
Priority to KR102002001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5068A/ko
Publication of KR2002003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068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 컨텐츠(Content)와 강의형태의 사이버학습 컨텐츠를 결합하여 자격증 취득의 중대에 관한 것으로서, 오(o), 엑스(x)와 4지선다, 5지선다 형태의 모의고사와 기출문제를 단지 정답, 오답만을 보여주거나 해설을 텍스트(Text)로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그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려움이 있기에 문제풀이 마다 정답, 오답확인과 함께 두 경우 모두 전문강사의 해설강의 및 보충강의를 청취함으로 교육효과를 증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omitted}
본 발명은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교육) 방 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설과 전문 강사의 해설 및 보충강의 청취를 통하여 학습능력 증대를 시키는 발명이다.
"지급은 연봉시대", "내 몸값은 내가 정한다!" 라는 말이 있듯이, 자기 능력 개발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말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기 능력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가 자격증인데, 기존 오프라인(Off line 이란? 어떤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지 않고 서로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교육에서는 하나의 강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물리적인 자원들(장소, 책·걸상, 칠판, 등)이 필요했고, 시간 측면에서는 정해진 시간에만 해야 한다는 불한한 점이 있었다. 온라인(On line이란? 어떤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서로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통한 교육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안이 되었다. 하지만 온라인교육이 시행되더라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교육이 되는지가 제일 중요한 문제이다.
기출문제 모의고사를 제공하는 영진출판사(http://www.youngjin.com)의 경우 모의고사의 해설보기 의 경우 텍스트(Text)로 되어 있어 수험자들에게 교육효과가 크게 미치지 못한다. 한국산업인력공단(http://www.hrdkorea.or.kr)의 경우는 O/X, 4지선다, 5지선다 형태의 모의고사와 기출문제를 단지 정/오답만을 보여주거나 해설을 텍스트(Text)로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그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므로 교육효과가 효과적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기 능력의 개발과 표현을 위해 필요한 수단인 자격중 취득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On line : 어떤 물리적인 매체를 통하여 서로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통신이 주도적 역할을 하는 이 시대에 온라인교육이 가지는, 시간, 장소,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서 수강인원이 구애받지 않는 큰 장점을 이용하여 수험자는 취득하려는 자격시험 문제풀이 중 해설과 전문 강사의 강의를 청취함으로 급속히 발전하는 시대에 발맞추어 나아갈 수 있도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전체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문제풀기 과정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자격증 분류 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자격증 종류 선택 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수험자 유의사항 화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맛보기 문제풀이 화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맛보기 문제풀이 정답보기 화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강의청취 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결재하기 화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문제풀기 화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과정 중 점수 확인 화면 구성도.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온라인으로 수험자와 학습 서버를 연결해야 한다. 온라인 연결 방법에는 국가 및 사설 기간망(이하 인터넷이라고 함)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라인(Line)을 단말기(이하 컴퓨터라 함)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System) 구성도이다.
수험자는 인터넷을 통해 학습서버에 접속하여 사이버 학습을 하기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 도를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구성 순서도의 첫 번째 단계는 온라인 접속단계, 자격증분류를 한국산업 인력공단, 대한상공회의소, 민간자격증 등의 카테고리(Category)로 나누어 선택하는 단계, 그다음 자격증종류, 급수, 필기, 실기·필기 여부를 선택하는 자격증 종류선택단계, 결제여부에 따라 맛보기와, 문제풀기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시험유형별로 문제풀기를 하는 단계, 전문 강사의 강의 청취를 하는 단계, 문제풀기가 종료되었을 경우 시험 종료를 하는 단계, 점수 확인을 하는 단계, 복습하기 단계를 거친 후 시험 종료가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자격증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하는 자격증 종류들(전자상거래, 컴퓨터활용능력등등)이 있으며, 자격증 종류(이하 급수포함), 맛보기, 문제풀기를 선택하는 단계가 있는데, 맛보기의 경우 제한시간을 두지 않으며, 제한된 문제 몇 개의 문제만 풀 수 있으며, 해설은 제한된 문제에 대하셔 모두 볼 수 있으나 제한된 문제 중 일부만 강의 청취가 가능하다. 문제풀기의 경우 제한시간을 두고, 전체문제가 해설과 강의청취가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수험자 유의사항 이다.
모든 자격시험을 보기전 수험자로서의 알아야할 사항들을 자격증명을 클릭하거나 맛보기나 문제풀기를 선택시 수험자 유의 사항을 새창(Pop up)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맛보기 문제풀기 화면이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최하는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맛보기 문제풀기는 제한된 문제를 5문제중 2문제만 강의청취를 할 수 있으며, 상단에는 문제유형을 써놓았으며, 시험시간을 표기하였고, 시험날짜에 대해 표기를 해놓았다. 다음 문제가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 4지선다형의 문제가 있고 하단 좌측에는 답을 선택하는 버튼이 있다. 하단 오른쪽의 복습하기 버튼은 수험자가 문제의 난이도가 높다고 생각되거나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은 복습하기 버튼을 눌러 차후 시험이 종료된 후 복습하기 단계에서 정·오답에 관계없이 전문 강사의 강의를 청취할 수 있게 하는 버튼이다. 정답보기는 문제의 정·오답을 알아보는 버튼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맛보기 문제풀기 정·오답 화면이다.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 정·오답은 자기가 선택한 보기에 대하여 정답은 오(o), 엑스(x) 로 표기되며, 정답을 알아볼 때에는 시험시간은 흘러가지 않는다. 화면에는 정답, 해설, 강의청취라는 항목이 있으며, 정답은 보기 중 정답을 표기해 놓았으며, 해설은 정답에 대한 해설을 텍스트(Text)형식으로 표기하였으며, 강의청취는 제한된 문제 중 일부문제에서만 강의 청취가 가능하며, 강의청취를 하기 위해서는 결재 후 가능하다. 이 화면에서도 복습하기 버튼이 있어 문제 난이도가 높다고 생각되거나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은 복습하기 버튼을 눌러 차후 복습하기 단계에서 정·오답에 관계없이 전문 강사의 강의를 청취할 수 있는 버튼이다.
도7은 본 발명의 강의청취를 하는 화면이다.
좌측은 문제풀이 강의를 해주는 곳이며, 오른쪽은 용어정리를 해주는 화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결재하기 화면이다.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를 들어본다면, 주최처는 오른쪽 폴더아이콘(FolderIcon) 버튼을 눌러 대한상공회의소를 선택하고, 자격명은 컴퓨터활용능력*급이 선택될 것이다. 출제년도와 회수를 선택하고, 결재종류를 예를 들어 핸드폰결제, 카드결재 등의 예를 들어 도시해 놓았다. 결재확인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도3의 화면이 출력되어 문제풀기를 할수있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기출문제 정답보기 화면이다.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문제풀기를 마친 후 정답보기 화면이며, 이부분에서 강의청취 버튼을 선택하면 도7의 화면이 전개되어 강의청취가 가능하다. 문제풀기 과정중 정답보기 화면에서는 하단의 우측에 있는 점수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10의 화면이 전개되어 점수와 맞은 문제, 틀린 문제의 번호들이 나타나 수시로 확인 가능하다.
도10은 본 발명의 점수 확인 화면이다.
컴퓨터활용능력시험예의 총점수를 나타내고 합격, 불합격 여부를 표시하는 메시지(message)가 나타나며, 맞은 문제, 틀린 문제의 번호가 구별되어 나타난다.
틀린 문제에 대해서는 복습을 할 수 있도록 각 번호들에 강의청취 기능과 같이 링크(Link)되어 있어 번호를 누름과 동시 강의청취가 가능하다. 그리고 복습하기에 체크(Check)를 하였다면 정답인 경우에도 번호를 누름과 동시 강의청취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마치기 버튼에서 마치기 버튼을 선택하면 다음 회 문제 시험응시를 할 것인가, 시험 종료를 할 것인가에 대해 질문을 하여 응시한다면 도 8의 화면으로 전개되어 결재후 문제풀기를 할 수 있다. 종료를 선택하면 시험종료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온라인을 통하여 자격취득을 할 자격 있는 모든 사람이 자격시험대비 문제풀이를 할 경우 문제의 정·오답을 선택할 시 정답 시에는 보충강의를 오답 시에는 해설 강의를 텍스트(Text)형식이 아닌, 어떠한 자격시험에 대해서 노하우(Knowhow)와 전문성을 지닌 전문 강사가 듣고 볼 수 있도록 녹음하여 수험자들은 아주큰 교육효과를 올릴 수 있다.
또한, 수험자들은 전문 강사의 강의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 수 없기에 맛보기 문제풀이를 이용하여 수험자가 무료로 한정된 문제에 한하여 강의 청취를 할 수 있어 강의 청취를 할 경우와 하지 않을 경우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수험자 자신이 느낄 수 있다.
또한, 수험자가 문제 풀이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문제를 임의로 선택을 했을 경우 정답이 나올 수 있는데, 그런 경우에도 전문 강사의 해설 강의를 청취함으로 인하여 한 문제 한 문제를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어 학습 효과가 크게 향상 된다.
또한, 전문 강사의 강의청취를 들어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복습하기 버튼을 체크하여 마지막에 복습하기 체크한 부분과 틀린 문제는 다시 한번 복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학습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번 결재로 한번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므로 수험자는 더욱더 신중과 열의를 가지고 시험에 응시하여 효과적으로 자격시험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온라인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수험자는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시험응시가 가능하여 수험자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9)

  1. 온라인을 통하여 자격시험 문제풀이를 하는데 에 있어서,
    ⓐ 자격증 분류를 선택하는 단계,
    ⓑ 자격증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
    ⓒ 결재 여부에 따라 맛보기문제풀기와, 문제풀기를 하는 단계,
    ⓓ 전문 강사의 강의를 청취하는 단계,
    ⓔ 점수를 확인하는 단계,
    ⓕ 복습하기 단계
    ⓖ 종료 후 다음 시험응시여부를 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방법 및 구성.
  2. 청구항1의 ⓐ는 자격중 분류를 한국산업인력공단, 대한상공회의소, 민간자격증 등의 카테고리(Category)로 나누어 선택하는 방법.
  3. 청구항1의 ⓑ는 청구항2에서 분류를 선택한 후 자격시험종류, 급수 등의 카테고리를 나누어 선택하는 방법.
  4. 청구항1의 ⓒ는
    ⓐ 미결재시 제한된 문제의 대해서 강의 청취를 하는 방법.
    ⓑ 결재시 문제풀기를 하는 방법
  5. 청구항4의 ⓑ는 한번결재시 1회 문제풀기에 제한하는 방법과,
    문제풀기 제한시간을 두는 방법과,
    문제를 번호순서에 관계없이 수험자가 선택하여 문제풀이를 하는 방법.
  6. 청구항1의 ⓓ는 정답일 경우에는 보충강의를 청취, 오답일 경우에는 해설 강의를 들으며, 강의 청취시 복습하기 체크(Check)버튼을 이용하여 ⓕ단계에서 다시 한번 재강의 청취를 하는 방법.
  7. 청구항1의 ⓔ는 시험 종료 후 아라비아 숫자로 점수를 표기하는 화면과, 각문제의 번호 에 틀린 문제와 정답을 맞힌 문제가 분리되어 틀린문제에와 청구항6에서 말한 복습하기 체크(Check)해놓은 문제에 대해서는 복습을 할 수 있도록 문제번호에 강의청취를 할 수 있도록 링크(Link)를 해놓은 방법.
  8. 청구항1의 ⓕ는 청구항7에서 링크(Link)되어 있는 번호에 대해서 다시 한번 강의 청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9. 청구항1의 ⓖ는 문제풀기 종료 후 이어서 다음회 문제풀기를 할 것 인가에 대해 질문하는 방법.
KR1020020019851A 2002-04-11 2002-04-11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KR20020035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851A KR20020035068A (ko) 2002-04-11 2002-04-11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851A KR20020035068A (ko) 2002-04-11 2002-04-11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068A true KR20020035068A (ko) 2002-05-09

Family

ID=1972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851A KR20020035068A (ko) 2002-04-11 2002-04-11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506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990U (ko) * 1999-02-09 1999-06-25 이용수 인터넷인공지능학습프로그램
KR20000054083A (ko) * 2000-05-22 2000-09-05 유완상 인터넷을 이용한 기술자격시험 맞춤교육방법
KR20010068002A (ko) * 2001-04-13 2001-07-13 김성용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
KR20010090664A (ko) * 2000-04-10 2001-10-19 남헌기 인터넷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104915A (ko) * 2000-05-16 2001-11-28 박철수 교육지원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990U (ko) * 1999-02-09 1999-06-25 이용수 인터넷인공지능학습프로그램
KR20010090664A (ko) * 2000-04-10 2001-10-19 남헌기 인터넷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104915A (ko) * 2000-05-16 2001-11-28 박철수 교육지원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083A (ko) * 2000-05-22 2000-09-05 유완상 인터넷을 이용한 기술자격시험 맞춤교육방법
KR20010068002A (ko) * 2001-04-13 2001-07-13 김성용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ry et al. Why one-shot information literacy sessions are not the future of instruction: A case for online credit courses
Osterman Digital literacy: Definition, theoretical framework, and competencies
Curtis The impact of teacher efficacy and beliefs on writing instruction
RU106016U1 (ru) Система обучения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Hudson et al. Developing an instrument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development
Baxter Using computer simulations to assesss hands-on science learning
Bullock Programmed instruction
Hudaya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IN APPLYING PRINCIPLES OF LANGUAGE ASSESSMENT
Hasegawa Students’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in academic essay writing in higher education
WO2012090038A1 (ru) Система обучения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Karunia et al. STEM integrated flipped classroom learning tools on biodiversity materials to improv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McLean et al. Using online decision trees to support students’ self-efficacy in the laboratory
Fernández et al. Extending mathematical practices to online teaching
Fani et al. Examining the impact of concurrent and cumulative group dynamic assessment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Iranian EFL learners
KR20020035068A (ko)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Vesapuisto et al. Improving the learning process of circuit analysis at university of vaasa
Bafadal et al. Artistic Supervision Model Development for Improved Pedagogic Competence of Primary School Teachers
Clark et al. The performance of engineering students on the group embedded figures test
Shelton et al. The examination of a vignette activity sequence in a second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Wang et 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orizon knowledge for teaching addition and subtraction: An analysis of video presentations
Egorova et al. DISTANCE ASSESSMENT METHODS OF STUDENTS'KNOWLEDGE OF THE EXACT DISCIPLINES IN A TECHNICAL UNIVERSITY
Parkes et al. Higher Education Music Teacher Educators and Assessment: Their Understandings, Efficacy, and Satisfaction
KR20060106316A (ko) 공무원시험대비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Gülbahar et al. Exploring the Effect of Online Course Design on Students’ Knowledge Transfer and Retention through Learning Analytics
Fuson US English-speaking kindergarten and first-grade children from backgrounds of poverty can understand place val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