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002A -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002A
KR20010068002A KR1020010019838A KR20010019838A KR20010068002A KR 20010068002 A KR20010068002 A KR 20010068002A KR 1020010019838 A KR1020010019838 A KR 1020010019838A KR 20010019838 A KR20010019838 A KR 20010019838A KR 20010068002 A KR20010068002 A KR 2001006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questionnaire
difficulty
questions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148B1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김성용
주식회사 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용, 주식회사 만파 filed Critical 김성용
Priority to KR10-2001-001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1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148B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완성된 문제 형태로 저장하는 설문형DB와, 각각의 지문이 해체되어 저장되는 지문형DB를 입력창을 통하여 과목, 범위, 단원별로 구성하고, 상기의 DB로부터 일정한 조건에 따른 검색을 통하여 완성된 문제를 자동적으로 출제하게 하여, 사이버강의와 다양하게 연계시킴과 동시에 오답률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하고 그에 따른 유사문제를 자동적으로 구성하여 응시케 함으로써 학습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인터넷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A Trial Examination of Automatic Making questions System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응시자의 요구에 따른 문제를 출제자가 설문과 지문에 대하여 과목, 범위, 난이도, 키워드, 해설, 정,오답을 체계적으로 확립하여 문제 DB를 작성하고, 이를 응시자로 하여금 일정한 조건이나 검색에 의하여 용이하게 응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응시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점진적인 학습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의 능률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식전달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와 연관되게 지식전달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능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함과, 이에 대한 성취동기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의고사를 활용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나 모의고사를 출제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자 집단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교육현장에서는 집단적 모의고사를 간헐적으로 시행하고 있을 뿐이고, 현 시점에서는 점진적인 학습진도에 따른 모의고사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므로, 개인에 따른 학습성취도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습동기의 부여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모의고사를 일정한 조건에 의한 검색으로 자동적으로 구성, 출제하게함으로써 교육자로 하여금 출제의 부담을 덜게 하고, 강의에 따른 진도별 모의고사를 응시자로 하여금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식전달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학습자의 응시에 따른 각종 성적통계와 함께 오답문제에 대한 유사문제를 자동적으로 출제, 응시케 함으로써 개인별 학습성취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학습문제를 추출하여 이를 제공하고 응시자로 하여금 문제풀이를 통하여 학습정도를 스스로 진단해볼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모의고사 시스템은 소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시스템은 일종의 모의고사 응시 시스템으로서 출제자들에게 의뢰하여 넘겨받아 완성된 문제를 인터넷상에 올려 응시자로 하여금 응시케 하는 정도가 전부였다.
즉, 응시자의 요구에 따른 문항에 대한 예문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그에 따라 가장 근접한 몇몇의 문제만을 출제하여 이를 응시자로 하여금 자로 응시케 하는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에 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문제를 응시케 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출제자에게 의뢰하여야만 하고 이미 DB에 저장된 문제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사문제도 언제나 지정된 문제가 출제될 뿐이므로 오답에 따른 유사문제의 다양한 구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출제자의 입력에 의한 출제 외에 일정한 조건식, 즉 과목, 범위, 단원, 키워드, 난이도 등에 의한 자동출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일정한 조건식에 의하여 구성된 문제의 정답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출제된 문제를 강의와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출제문제에 응시, 제출된 답안을 자동적으로 채점하고 그에 따른 각종 성적통계를 산출하고, 학습자의 학습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생성하여, 응시자의 오답률에 따라 DB상의 설문과 지문의 난이도를 조절, 난이도에 따른 유사문제가 자동출제 되게 하는 인터넷 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설문DB 200 : 지문DB
300 : 검색부 400 : 유형선택부
500 : 자동출제부 600 : 성적분석부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정도에 따른 문제에 대한 과목과 범위, 그리고 단원 및 설문, 음성, 그림 설문과 해설 지문번호 등 그에 대한 정답과 키워드 및 난이도에 대하여 미리 입력하게 되는 설문DB(100)와,
상기 설문DB(100)에 따른 지문내용과 해설, 이의 정, 오답 키워드와 난이도에 대하여 입력, 저장하는 지문 DB(200)와,
상기 설문, 지문DB(100),(200)에 대하여 과목, 범위, 단원 및 키워드 난이도에 대하여 검색시에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있는 검색부(300)를 갖추되,
또한, 4지선다, 5지선다, 그리고, O,X 문제 및 단답형등의 문제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유형선택부(400)를 통해 진도별 모의고사, 전범위 모의고사, 모의고사및 해설강의 그리고, 사이버 강의 및 모의고사를 자동출제케 하는 자동출제부(500)가 마련되며, 응시를 통해 성적조회와 정답과 오답에 대한 해설 그리고, 각각 개인별에 따른 성적 통계의 성적 분석부(600)가 마련 되어서 구성되는 기본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같이 설문과 지문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DB의 구축 단계(ST1), 구축된 DB로부터 일정한 조건에 의하여 검색하고 문제유형을 선택함으로써 모의고사가 출제되는 단계(ST2)의 흐름을 갖게 되며, 출제된 모의고사가 진도별 강의와 연계되고 학습자가 모의고사에 응시하는 단계(ST3), 모의고사 응시에 따른 성적처리, 정답·해설, 개인별 성적 통계가 산출되는 단계(ST4), 학습자의 오답에 따라 DB상의 설문과 지문의 오답률(가중치)이 변경되고 오답에 따른 유사문제가 출제되어 이를 응시하는 단계(ST5)의 흐름을 갖는다.
상기 DB의 구축단계(ST1)에서는, 해당과목의 총목차를 단원별로 상세하게 입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총목차를 과목, 범위, 단원별, 난이도로 구성하고, 기존에 출제되어 있는 기출문제 또는 각종 수험서에 소개되어 있는 문제를 해당 과목, 범위, 단원에 맞춰 입력하고(101),이에 대하여 문제유형을 입력하는 단계(102)를 거쳐,
또한, 설문부분과 지문부분이 나뉘어져 구성되도록 하되, 설문부분에는 문자, 음성, 그림 등으로 구성되는 문제를 제시하는 내용(103)에 그에 대한 해설 및 정답, 키워드, 난이도 등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고(104), 지문부분은 지문내용과 그에 따른 해설, 정오, 키워드, 난이도 등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105)의 동작 흐름을 갖는 것이다.
이어서 모의고사가 출제되는 단계(ST2)에서는, 신규지문을 입력(201)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문DB로부터 범위, 단원, 난이도(가중치)에 따라 하나의 완성된 문제를 검색, 선택하도록 하고, 지문DB로부터는 범위, 단원, 난이도(가중치)에 따라 각각의 지문을 검색,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202)를 거쳐, 4지선다, 5지선다, O,X문제, 단답형 등의 유형을 선택함으로써 모의고사가 출제(203)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모의고사가 응시되는 단계(ST3)에서는, 출제된 모의고사가 진도별로 배열되는 진도별 모의고사나 전범위에 걸쳐 응시되는 전범위 모의고사로 활용하거나 개개의 강의에 따른 학습식 모의고사를 구성되거나 진도별 모의고사에 따라 해설강의를 추가하는 형태로 이용되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제출된 답안이 전산망을 통하여 처리되는 동작 흐름을 갖는다.
모의고사 응시에 따른 성적 처리 단계(ST 4)에서는, 답안이 제출되면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성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별 성적을 누적함으로써 개인별 학습성취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오답률을 조정하는 단계(ST 5)에서는, 각각의 문제와 지문에 대한 누적된 오답률을 통계 처리하여 오답률에 따른 난이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오답처리된 문제가 지니고 있는 속성인 과목, 범위, 단원, 키워드, 난이도에 따라 유사문제가 자동으로 출제되어 이에 대하여 응시자가 별도의 문항을 통해 오답에 따른 유사문제를 응시함으로서, 오답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교육자로 하여금 모의고사 출제를 위한 시간, 노력 등을 덜어줌으로써 모의고사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모의고사 응시를 통한 각종 개인별 통계를 통하여 개인별 학습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학습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성적통계를 통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유사문제를 연습함으로써 실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모의고사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획일적 학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게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입력정도에 따른 문제에 대한 과목과 범위, 그리고 단원 및 설문, 음성, 그림 설문과 해설 지문번호 등 그에 대한 정답과 키워드 및 난이도에 대하여 미리 입력하게 되는 설문DB(100)와,
    상기 설문DB(100)에 따른 지문내용과 해설, 이의 정, 오답 키워드와 난이도에 대하여 입력, 저장하는 지문 DB(200)와,
    상기 설문, 지문DB(100),(200)에 대하여 과목, 범위, 단원 및 키워드 난이도에 대하여 검색시에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있는 검색부(300)를 갖추되,
    4지선다, 5지선다, 그리고, O,X 문제 및 단답형등의 문제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유형선택부(400)를 통해 진도별 모의고사, 전범위 모의고사, 모의고사 및 해설강의 그리고, 사이버 강의 및 모의고사를 자동출제케 하는 자동출제부(500)가 마련되며, 응시를 통해 성적조회와 정답과 오답에 대한 해설 그리고, 각각 개인별에 따른 성적 통계의 성적 분석부(600)가 마련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출제부(500)은 설문과 지문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DB의 구축 단계(ST1),
    구축된 DB로부터 일정한 조건에 의하여 검색하고 문제유형을 선택함으로써모의고사가 출제되는 단계(ST2),
    출제된 모의고사가 진도별 강의와 연계되고 학습자가 모의고사에 응시하는 단계(ST3),
    모의고사 응시에 따른 성적처리, 정답·해설, 개인별 성적 통계가 산출되는 단계(ST4),
    학습자의 오답에 따라 DB상의 설문과 지문의 오답률(가중치)이 변경되고 오답에 따른 유사문제가 출제되어 이를 응시하는 단계(ST5)의 흐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모의고사 출제 시스템.
KR10-2001-0019838A 2001-04-13 2001-04-13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방법 KR10043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838A KR100432148B1 (ko) 2001-04-13 2001-04-13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838A KR100432148B1 (ko) 2001-04-13 2001-04-13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002A true KR20010068002A (ko) 2001-07-13
KR100432148B1 KR100432148B1 (ko) 2004-05-17

Family

ID=1970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838A KR100432148B1 (ko) 2001-04-13 2001-04-13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1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068A (ko) * 2002-04-11 2002-05-09 한국웹기반교육(주)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KR101229860B1 (ko) * 2011-10-20 2013-02-05 주식회사 매쓰홀릭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2693A (ko) * 2019-12-26 2021-07-06 김복동 교육 솔루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667B1 (ko) 2019-01-22 2021-04-14 (주)캠버스 난이도 기반 온라인 모의시험 제공 시스템
KR102655103B1 (ko) 2021-03-22 2024-04-05 최보연 학습문제 출제 시스템 및 학습문제 출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34A (ko) * 2000-07-24 2000-10-05 한수규 온라인 교육 사업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068A (ko) * 2002-04-11 2002-05-09 한국웹기반교육(주) 자격시험을 위한 문제풀이형 사이버학습
KR101229860B1 (ko) * 2011-10-20 2013-02-05 주식회사 매쓰홀릭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2693A (ko) * 2019-12-26 2021-07-06 김복동 교육 솔루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148B1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eith et al. Reflective Teaching Practices in Teachers and Their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 Self-Development.
Chen et al. Personalized mobil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ystem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and learning memory cycle
Gross et al. Attaining information literacy: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 level, self-estimates of skill, and library anxiety
Olpak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eer instruction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chievements in statistics and probability
Wiesbeck An evaluation of simulated conversations as an assessment of pre-servic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in parent-teacher conversations
Ondrusek et al.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formation literacy test
Dinh et al. Factors affect students’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courses in a private university in Vietnam
Wills Link teacher behaviours: student nurses' perceptions
Ekinci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As a foreign language aid: A literature review
Carlson et al. The impact of a diagnostic reminder system on student clinical reasoning during simulated case studies
KR2000001805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 방법및 그 장치
Banno A Cross‐Cultural Survey of Students' Expectations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KR100432148B1 (ko) 인터넷상의 모의고사 자동출제 방법
Baliram et al. A Meta-Analytic Synthesis: Examining the Academic Impacts of Feedback on Student Achievement.
Alzyoudi et al.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Doğan et a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mapping: The case of Turkey
Oksana et al. Problems and Prospects of Formation of Digital Competence of Future Scientific and Pedagogical Worker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Gamification: Opportunities Kahoot, Quizlet in the European Union.
Abbas et al. Teachers’ Practices Towards Strengthening Digital Literacyskills
Nazari et al. A triangulated analysis of the English language needs of Iranian EAP undergraduate physiotherapy students
Murnane et al. The School as a Workplace: What Matters to Teachers?.
Arkhipova et al. Specific aspe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lication by teachers within the inclusive education
Chernikova What makes observational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effective?
Yanuarto et al. The Moderating Model of Teaching Anxiety on Teaching Beliefs and TPACK Effect to ICT Literacy amo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llis et al. Developing and using a rubric to provide feedback and improve CSD clinical writing
Saeed Effect of using task-based approach on the achievement of fifth primary class pup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