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527A -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527A
KR20020034527A KR1020000064915A KR20000064915A KR20020034527A KR 20020034527 A KR20020034527 A KR 20020034527A KR 1020000064915 A KR1020000064915 A KR 1020000064915A KR 20000064915 A KR20000064915 A KR 20000064915A KR 20020034527 A KR20020034527 A KR 20020034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suction
refrigerant
c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영민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102000006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4527A/ko
Publication of KR2002003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6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sidebranch resonators, e.g. 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는, 흡입관이 연결되는 제 1 흡입구와 흡입 냉매의 유로소음을 흡수하는 공명기를 양쪽에 가지며 이들 사이에 제 2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제 1 흡입구와 제 2 흡입구 사이의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냉매유로를 축소시키는 벤투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상기 제 2 흡입구로 유도하도록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구 방향으로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벤투리부를 통과한 흡입냉매가 가이드에 의해 제 2 흡입구로 빠르게 유입되므로, 공명기로 유출되는 냉매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밀폐형 압축기의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Suction muffler of a closed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closed compress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evaporator)에서 증발된 저압의 냉매(冷媒)가스를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머플러(suction muffler)에 관한 것이다.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소요의 냉방이나 냉동 기능을 수행하는 에어컨 또는 냉장고 등의 냉동사이클에서, 증발된 저압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킴과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에 의해 크랭크축(crank shaft:3)이 회전되어 그 편심부(3a)에 장착된 커넥팅로드 (connecting rod:4)를 구동시키면, 커넥팅로드(4)의 선단에 설치된 피스톤(5)이 실린더(6)의 내부를 소정 스트로크(stroke)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5)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되면 밸브 플레이트(valve plate:7)의 토출밸브(도시하지 않음)가 닫힘과 함께 흡입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열려 흡입관으로부터 냉매가 실린더(6)내로 흡입되고, 피스톤(5)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여 냉매를 압축하면 흡입밸브가 닫힘과 함께 토출밸브가 열려 압축된 냉매가 토출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미설명 부호 1은 하우징(housing)이고, 8은 피스톤(5)에 냉동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픽업튜브(tube-oil pickup)이다.
이에 따라 밀폐형 압축기의 구동시에는 냉매의 흡입에 따른 유로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바, 실린더(6)의 입구쪽에는 흡입냉매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머플러(10)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 및 도 3에는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의 종래 흡입머플러(10)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머플러(10)에는, 케이스(11)의 한쪽에 흡입관(P)이 연결되는 제 1 흡입구(12)가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냉매의 유로소음을 흡수하는 공명기(14)가 형성된다. 제 1 흡입구(12)와 공명기(14) 사이에는 이들과 연통하는 제 2 흡입구(13)가 형성되고, 이 제 2 흡입구(13)의 출구에 냉매를 실린더(6)로 유도하는 베이스(1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흡입냉매가 제 1 흡입구(12)에서 제 2 흡입구(13)로 이동한 뒤 베이스(15)를 통해 실린더(6)의 내부로 흡입되며, 이때 발생되는 유로소음은 공명기(14)로 유입되어 흡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흡입구(12)와 제 2 흡입구(13) 사이에는 이들간의 냉매유로를 축소시킴으로써 케이스(11)의 외곽방향을 따라 흐르는 흡입냉매가 공명기(14)로 유입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벤투리부(16)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흡입머플러(10)에 의하면, 벤투리부(16)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빨라진 흡입냉매의 일부가 공명기(14)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으므로, 냉매의 일부 손실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압축기의 성능저하는 물론 냉동사이클 전체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 1 흡입구로부터 제 2 흡입구로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피스톤6 : 실린더
20 : 흡입머플러21 : 케이스
22 : 제 1 흡입구23 : 제 2 흡입구
24 : 공명기25 : 벤투리부
26 : 가이드27 : 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는, 흡입관이 연결되는 제 1 흡입구와 흡입 냉매의 유로소음을 흡수하는 공명기를 양쪽에 가지며 이들 사이에 제 2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제 1 흡입구와 제 2 흡입구 사이의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냉매유로를 축소시키는 벤투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상기 제 2 흡입구로 유도하도록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구 방향으로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벤투리부 출구쪽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제 2 흡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구의 중심선까지 냉매 흐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20)는 흡입냉매의 유로를 구성하는 케이스(21)와, 이 케이스(21)를 실린더(6)에 연결시키는 베이스(27)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21)는 그 한쪽에 흡입관(P)이 연결되는 제 1 흡입구(22)를 가지며, 다른쪽에 흡입냉매의 유로소음을 흡수하는 공명기(24)를 갖는 장방형으로 구성된다. 제 1 흡입구(22)와 공명기(24) 사이에는 그 상단의 입구가 상기 제 1 흡입구(22) 및 공명기(24)와 각각 연통하도록 구획된 2개의 제 2 흡입구(23)가 냉매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구(22)와 제 2 흡입구(23) 사이에는 이들간의 냉매유로를 축소시키는 벤투리부(25)가 형성된다. 이러한 벤투리부(25)는 제 1 흡입구(22)와 제 2 흡입구(23)간에 위치된 케이스(21)의 일부를 안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한다. 한편, 냉매는 그 흐름의 특성상 케이스(21)의 벽면을 따라 흐르게 되는 바, 벤투리부(25)가 제 2 흡입구(23)를 향하도록 벤투리부(25)의 출구와 공명기(24) 사이에 위치된 케이스(21)의 상면 일부는 안쪽으로 절곡되어 적절히 경사지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케이스(21)의 상면에는 제 1 흡입구(22)로부터 이동하는 흡입냉매가 제 2 흡입구(23)로 향하도록 냉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26)가 제 2 흡입구(2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6)는 냉매가 벤투리부(25)를 통과하여 제 2 흡입구(23)로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케이스(21)의 벤투리부(25) 출구쪽의 절곡면으로부터 제 2 흡입구(2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냉매가 공명기(24)로 유입되지 않도록 그 끝단이 제 2 흡입구(23)의 측벽에 접한 상태로 제 2 흡입구(23)에 삽입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6)는 케이스(21)의 양측벽으로부터 제 2 흡입구(23)의 중심선까지 냉매가 흘러가는 방향을 따라 'V'자 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냉매가 제 2 흡입구(23)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베이스(27)는 케이스(21)의 제 2 흡입구(23) 하단의 출구에 결합되고, 제 2 흡입구(23)를 실린더(6)의 흡입측과 연통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20)는, 흡입관(P)으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케이스(21)의 벤투리부(25)에 의해 제 1 흡입구(22)로부터 제 2 흡입구(23)로 매우 빠르게 이동하게 되며, 특히 벤투리부(25)의 출구에서 제 2 흡입구(23)까지의 케이스(21) 상면이 제 2 흡입구(23)를 향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가이드(26)가 벤투리부(25) 출구쪽의 절곡면으로부터 제 2 흡입구(2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가 머플러(20)내의 전체 공간으로 퍼지지 않고 케이스(21)의 벽면을 타고 흐르는 냉매까지 모두 빠른 속도로 제 2 흡입구(23)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흡입냉매의 유로소음은 공명기(24)로 유입되어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또한, 벤투리부(25)의 출구와 공명기(24) 사이에 형성된 케이스(21)의 절곡부에 의해 제 2 흡입구(23)와 케이스(21) 상면간의 간격, 즉 양자간에 형성되는 냉매유로가 협소하기 때문에 흡입냉매의 대부분이 공명기(24)로 유입되지 않고 제 2 흡입구(23)로 유입되게 된다. 특히 가이드(26)는 그 끝단이 제 2 흡입구(23)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케이스(21) 양측벽으로부터 제 2 흡입구(23)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은 냉매의 공명기(24) 유입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머플러(20)의 제 1 흡입구(22)에서 제 2 흡입구(23)까지 이동하는 흡입냉매의 유동적 손실이 최대한 억제되어 상대적으로 냉동능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벤투리부를 통과한 흡입냉매가 가이드에 의해 제 2 흡입구로 빠르게 유입되므로, 공명기로 유출되는 냉매량을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밀폐형 압축기의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흡입관이 연결되는 제 1 흡입구와 흡입 냉매의 유로소음을 흡수하는 공명기를 양쪽에 가지며 이들 사이에 제 2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제 1 흡입구와 제 2 흡입구 사이의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냉매유로를 축소시키는 벤투리부를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상기 제 2 흡입구로 유도하도록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구 방향으로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벤투리부 출구쪽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끝단이 상기 제 2 흡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구의 중심선까지 냉매 흐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020000064915A 2000-11-02 2000-11-02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20034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915A KR20020034527A (ko) 2000-11-02 2000-11-02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915A KR20020034527A (ko) 2000-11-02 2000-11-02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527A true KR20020034527A (ko) 2002-05-09

Family

ID=1969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915A KR20020034527A (ko) 2000-11-02 2000-11-02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452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079A (ja) * 1986-07-21 1988-02-06 Matsushita Refrig Co 密閉型電動圧縮機
US4960368A (en) * 1988-07-29 1990-10-02 Empresa Brasileira De Compressores S/A-Embraco Suction system for hermetic compressor of refrigeration
JPH04219481A (ja) * 1990-12-17 1992-08-10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KR19980058625U (ko) * 1997-02-25 1998-10-26 김광호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10054950A (ko) * 1999-12-08 2001-07-02 이충전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079A (ja) * 1986-07-21 1988-02-06 Matsushita Refrig Co 密閉型電動圧縮機
US4960368A (en) * 1988-07-29 1990-10-02 Empresa Brasileira De Compressores S/A-Embraco Suction system for hermetic compressor of refrigeration
JPH04219481A (ja) * 1990-12-17 1992-08-10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KR19980058625U (ko) * 1997-02-25 1998-10-26 김광호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10054950A (ko) * 1999-12-08 2001-07-02 이충전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8215C2 (ru) Всасы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холодильного компрессора
JP3909306B2 (ja) 圧縮機用吸入マフラー、圧縮機及び冷媒循環回路を有する装置
US20060045762A1 (en) Suction muffler for compressor
CA2069208C (en) Refrigeration compressor having a contoured piston
KR20050033613A (ko) 냉매 압축기
KR100382453B1 (ko)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압축기
JP2004044568A (ja) 吐出脈動低減構造を有する往復動式圧縮機
JP2006144729A (ja) 密閉型圧縮機
US7150605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0864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20034527A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00398678B1 (ko)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왕복동식 압축기
JP2004052749A (ja) 往復動式圧縮機
KR100382502B1 (ko)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10033064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구조
KR200358823Y1 (ko) 압축기의매니폴드
KR0134144Y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200317644Y1 (ko)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20240003656A (ko)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230072198A (ko) 밀폐형 왕복동형 압축기
KR0126748Y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88000115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순환장치
KR950001690Y1 (ko) 기액분리기를 내장한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KR20020087178A (ko) 오일분리기
KR017686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