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727A -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727A
KR20020033727A KR1020027000400A KR20027000400A KR20020033727A KR 20020033727 A KR20020033727 A KR 20020033727A KR 1020027000400 A KR1020027000400 A KR 1020027000400A KR 20027000400 A KR20027000400 A KR 20027000400A KR 20020033727 A KR20020033727 A KR 20020033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asing pipe
tip cover
tip
sand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우치미츠노리
Original Assignee
이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727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8Improving by compacting by inserting stones or lost bodies, e.g. compac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파이프(11)의 선단에 설치되는 선단 덮개(12)를 대략 원추사다리꼴형상의 선단 덮개 케이스(13)와, 이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볼밸브(16)와, 이 볼밸브(16)가 접촉하여 케이싱파이프(11)의 선단내를 밀폐상태로 하는 밸브시트부(14)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 선단 덮개 케이스(13)에는, 그 바깥쪽에 주위의 토압을 측정하는 토압센서(S1)를 설치하고, 안쪽에 케이싱파이프(11)내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S2)를 설치하고, 또한 그 내부에는 압축공기를 보내주기 위한 공기공급구를 설치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cover case (13)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sing pipe (11) has a conical trapezoidal tip cover case (13), and a ball valve (16) housed in the tip cover case (13) so as to be movable. ) And a valve seat portion 14 in contact with the ball valve 16 to keep the inside of the tip of the casing pipe 11 closed. And the tip cover case 13 is provided with the earth pressure sensor S1 which measures the surrounding earth pressure on the outer side, and the pressure sensor S2 which measures the air pressure in the casing pipe 11 inside, Inside it was installed an air supply port for sending compressed air.

Description

모래말뚝형성방법과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Sand pile formation method and its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

종래, 이와 같은 모래말뚝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 제2791914호에 나타낸 것이 있었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such a sand pile, there existed what was shown by Japanese Patent No. 2791914.

이 특허에 나타낸 모래말뚝 조성장치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에 바이브로해머(46)를 구비하고, 위쪽에 모래 투입용 호퍼(42)와 압축공기공급관 (43)을 설치한 모래말뚝 조성용 중공관(41)의 하부에, 가압수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는 하향 실린더(44)와, 이 하향 실린더(44)로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복수매의 모래다지기겸 배출날개(45)를 방사상으로 설치한 것이다. 47은 하향 실린더 (44)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수 공급관을 나타낸다.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shown in this patent has a sand pile having a vibro hammer 46 at its head and a sand hopper 42 and a compressed air supply pipe 43 disposed thereon. On the lower part of the composition hollow tube 41, the downward cylinder 44 driven by the supply of pressurized water, and the plurality of sand compactor and discharge wings 45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ownward cylinder 44 are radially disposed. It is installed. 47 denotes a pressurize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pressurized water to the downward cylinder 44.

그리고 이 장치를 사용한 모래말뚝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다.And sand pile formation method using this apparatus is as follows.

먼저, 중공관(41)을 바이브로해머(46)로 소정의 심도까지 박아 넣고 호퍼 (42)로부터 모래를 투입함과 동시에, 압축공기공급관(43)으로 압축공기를 불어 넣는다. 이 때 중공관(41)내의 공기압은, 주위의 토양이 관내에 유입하지 않을 정도로 하고, 절대로 관내의 투입모래가 관 밖으로 배출되는 큰 공기압으로 하여서는안된다.First, the hollow tube 41 is driven to the predetermined depth with the vibro hammer 46, sand is injected from the hopper 42, and compressed air is blown into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43. At this time, the air pressure in the hollow tube 41 is such that the surrounding soil does not flow into the pipe, and the air pressure in the pipe should never be a large air pressure from which the sand injected into the pipe is discharged out of the pipe.

이 상태에서 실린더(44)내에 가압수를 압입하여 배출날개(45)를 복수회, 일정속도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중공관(41)내의 투입모래의 일부를 남기고 대부분 배출날개(45)와의 접촉저항에 의하여 중공관(41)의 아래쪽으로 강제적으로 압출하여 배출한다. 이 때 중공관(41)도 소정 길이만큼 지반으로부터 뽑아 낸다. 이로써 배출된 모래는 배출날개(45)에 의하여 단단히 다져지게 된다.In this state, pressurized water is injected into the cylinder 44 to move the discharge blade 45 up and down at a plurality of times at a constant speed, thereby leaving a part of the injection sand in the hollow tube 41 and in most cases contact resistance with the discharge blade 45. By force is extruded to the bottom of the hollow tube 41 and discharged. At this time, the hollow tube 41 is also taken ou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and discharged thereby is firmly compacted by the discharge blade (45).

이렇게 하여 모래가 연질 지반중으로 배출되면, 관(41)내의 압력을 해제하고, 다시 호퍼(42)로부터 소정량의 모래를 투입하여 중공관(41) 하단의 변위에 따른 토압(土壓)과 균형을 유지하는 관내 가압과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한 모래의 배출·다지기 및 중공관(41)의 소정길이의 뽑아 냄을 행한 후, 이 조작을 반복하여 모래말뚝을 조성하여 가는 것이다.When sand is discharged into the soft ground in this way, the pressure in the pipe 41 is released,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sand is introduced again from the hopper 42 to balance with earth pressur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ipe 41. After the discharge and compaction of the sand and the extraction of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hollow tube 41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ube and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4 to maintain the pressure, the operation is repeated to form the sand pile.

또한 상기한 가압의 정도는, 중공관(41) 하단의 심도에 따른 토압을 미리 계산하여 둠으로써 이 토압에 의거하여 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The degree of pressurization described above is determined based on the earth pressure by calculating the earth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bottom of the hollow tube 41 in advance.

또 그 밖의 모래말뚝 형성장치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일본국 특공평 8-1060호에 나타낸 것이 있다.As another sand pile forming apparatus, there is one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1060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이것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압축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21)이 설치된 케이싱파이프(11)의 선단에 소정의 비중을 가지는 볼밸브(16)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 원통형상의 선단 덮개 케이스(13')를 설치하고, 케이싱파이프(11) 선단(도 16에 있어서는 하단)의 개구부분에는 이 볼밸브(16)로 폐쇄되는 밸브시트부(14)를 설치한 것으로, 지반에 케이싱파이프(11)를 박아 넣을 때에는이 볼밸브(16)가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케이싱파이프(11)의 선단을 폐쇄하고, 모래말뚝 형성용 모래를 배출할 때에는 모래와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볼밸브(16)가 밸브시트부(14)로부터 떨어져 선단 덮개 케이스(13')와의 사이에 모래배출용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this i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ball valve 16 having a predetermined specific gravity can be moved up and down at the distal end of the casing pipe 11 in which the nozzle 21 for introducing compressed air is provided therein. The tip cover case 13 'is provided, and the valve seat portion 14 which is closed by the ball valve 16 is provided at the opening of the tip of the casing pipe 11 (lower in Fig. 16). When the casing pipe 11 is driven in, the ball valve 16 closes the tip of the casing pipe 11 so as to prevent infiltration of soil. When the sand for sand pile formation is discharged, the ball is operated under pressure of sand and compressed air. The valve 16 is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 portion 14 so that a gap for sand discharge is formed between the tip cover case 13 '.

상기한 도 15에 나타낸 종래의 모래말뚝 형성장치는, 중공관 내부의 선단측에 모래다지기겸 배출날개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배출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하향 실린더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들은 중공관내에 투입되는 모래나 중공관을 끼워 넣을 때의 압력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음과 동시에, 모래배출시의 장해물로도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 장치에서는 하향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압수의 공급장치나, 그 제어장치 등의 부대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비가 대규모가 되어 그 준비나 작업에도 여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and pile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15, a sand compactor and a discharging wing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hollow tub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a downward cylinder for driving the discharging wing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they may be damaged by the sand introduced into the hollow tube or the pressure when the hollow tube is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e an obstacle during sand discharge. In addition, this apparatus requires a supply device for pressurized water to operate a downward cylinder, and an auxiliary device such as a control device,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facility becomes large and requires extra time for its preparation and work.

또 이 장치를 사용한 모래말뚝의 형성방법에서는, 중공관내에 소정량의 모래를 투입함과 동시에, 소정압의 압축공기를 불어 넣고, 이 상태에서 배출날개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모래를 단단히 다지고 소정의 길이만큼 중공관을 뽑아 낸다는 작업을 반복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능률이 매우 나빴다. 또 중공관의 뽑아냄에 따라 그 하단의 변위에 따른 토압과 균형을 유지하도록 관내의 공기압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토압은 계산값에 의거한 것이므로, 실제의 지반의 상황에 따라서는 반드시 최적의 공기압으로는 되지 않아 소망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도 있었다.In the method of forming a sand pile using this apparatus, a predetermined amount of sand is introduced into a hollow tube, a compressed ai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is blown, and a discharge wing is shaken in this state, so that sand is firmly fixed and predetermined The work of extracting the hollow tube by the length had to be repeated and the work efficiency was very bad. In addition, the air pressure in the pipe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balance with the earth pressur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lower end as the hollow tube is pulled out, but this earth pressure is based on the calculated value, so it is always optimal according to the actual ground situation. There was a fear that the desired work could not be done because it did not become the air pressure of.

또 도 16에 나타낸 장치는, 케이싱파이프를 박아 넣을 때, 그 선단이 볼밸브로 폐쇄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바닷물이나 점토질 토사가 침입할 염려는 없으나, 반면 모래를 배출할 때에는 이 볼밸브가 방해가 되어 그 배출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6, when the casing pipe is driven, the tip is closed by a ball valve, so there is no danger of seawater or clay soil invading therein. On the other hand, the ball valve is obstructed when sand is discharg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takes time.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모래말뚝 형성방법이나 장치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건이 다른 각종 연약지반에 있어서, 소정의 강도와 직경을 가지는 모래말뚝을 확실하고도 능률 좋게 형성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that the conventional sand pil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have, and in various soft grounds having different conditions, a method for reliably and efficiently forming a sand pile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diamete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pparatus for use in the method.

본 발명은 연질지반내에 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모래말뚝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 방법으로 모래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sand pile for improving the ground in a soft ground,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a sand pile by this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n embodiment of a sand pil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3은 도 1의 B-B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도 4는 도 1의 C-C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사용상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tep of the use state of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사용상태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tep of the use state of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사용상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tep of the use state of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사용상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tep of a use state of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9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showing a sand pile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10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showing a sand pile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원통형의 케이스에 소정량의 모래를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sand is put into a cylindrical case;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것의 케이스 내벽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나타낸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ress acting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shown in FIG. 11;

도 13은 중공의 원추사다리꼴형상의 케이스에 소정량의 모래를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sand is put into a hollow conical trapezoidal case;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것의 케이스 내벽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나타내는 설명도,1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ress acting on a case inner wall surface of the one shown in FIG. 13;

도 15는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of a sand pile forming apparatus;

도 16은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다른 종래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of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방법은, 연약한 지반속에 볼밸브식의 선단 덮개를 구비한 케이싱파이프를 박아 넣어 케이싱파이프내에 모래를 투입한 후, 투입한 모래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말뚝만을 지반중에 남기고 케이싱파이프를 뽑아 내도록 한 모래말뚝 형성방법에 있어서, 케이싱파이프를 지반으로부터 뽑아 낼 때에 선단 덮개 내부의 공기압을 그 주위에 있어서 측정된 토압과 같아지도록 제어하고, 이로써 케이싱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공동을 무너뜨리지 않고 이 공동내에 모래를 충전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sand pile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ing pipe having a ball valve type tip cover is inserted into a soft ground, and sand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pipe, leaving only the sand pile formed by the injected sand in the ground.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sand pile to be pulled out, when the casing pipe is pulled out of the grou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ip cover is controlled to be equal to the earth pressure measured around it, thereby not breaking down the cavity formed by the casing pipe. It is to fill the sand.

또 선단 덮개를 구비한 케이싱파이프로부터 배출된 모래를, 케이싱파이프의 재관입에 의하여 단단히 다짐과 동시에 직경을 확장하도록 한 모래말뚝 형성방법에 있어서, 케이싱파이프를 재관입시킬 때의 압력을 이 케이싱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토압계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제어함으로써, 소망의 강도와 직경을 가지는 모래말뚝을 형성하도록 하였다.In the sand pile forming method in which sand discharged from a casing pipe having a tip cover is secured by reintroduction of the casing pipe and expanded in diameter, the pressure at the time of reintroducing the casing pipe is applied to the casing pipe. By controlling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installed at the tip, the sand pile having the desired strength and diameter was formed.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장치는, 내부에 압축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이 설치된 케이싱파이프와, 이 케이싱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선단 덮개로 이루어지는 모래말뚝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단 덮개를 선단이 넓게 벌어진 대략 원추사다리꼴형상의 선단 덮개 케이스와, 이 선단 덮개 케이스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볼밸브와, 이 볼밸브가 접하여 케이싱파이프의 선단내를 밀폐상태로 하는 밸브시트부로 구성하고, 이 선단 덮개 케이스의 바깥쪽에 주위의 토압을 측정하는 토압 센서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안쪽에 케이싱파이프내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또한 그 내부에는 압축공기를 보내주기 위한 공기공급구를 설치하였다.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nd pil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casing pipe provided with a nozzle for introducing compressed air therein and a tip cover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sing pipe, wherein the tip cover has a wide end. A tip cover case having a substantially conical trapezoid shape, a ball valve housed in the tip cover cas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valve seat portion in which the ball valve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casing pipe to be sealed.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in the casing pipe was installed inside the outside, and an air supply port for sending compressed air was installed inside the inside.

또 상기 장치의 선단 덮개의 선단에 케이싱파이프의 관입 압력을 측정하는 토압계를 설치하였다.Moreover, the earth pressure gauge which measures the penetration pressure of a casing pipe was install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front cover of the said apparatus.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 종래의 것과 동일 기능부품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functional part as the conventional thing here.

도 1은 본 발명의 모래말뚝 형성장치의 선단부분의 단면도, 도 2, 도 3, 도 4는 각각 그 A-A선, B-B선,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 모래말뚝 형성장치는 케이싱파이프(11)의 선단(도 1에 있어서는 하단)에 볼밸브식의 선단 덮개(12)를 설치한 것으로, 해저 등에 퇴적한 점토질층 등의 연약지반을 개량할 때에 이 연약지반내에 모래말뚝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p portion of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line B-B, and line C-C, respectively. This sand pil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ball valve type tip cover 12 at the tip of the casing pipe 11 (lower in Fig. 1), and is used to improve the soft ground such as the clay layer deposited on the sea floor. Used to form sand piles in soft ground.

케이싱파이프(11)는 연직상태에서 연약지반내에 타설하기 위한 모래가 충전되는 일정한 내경을 가지는 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에어제트를 분출하는 노즐부(21)가 그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부(21)는 에어제트를 아래쪽을 향하여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케이싱파이프(11)의 선단의 안 둘레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볼밸브가 압접하는 밸브시트부(14)가 설치되어 있다.The casing pipe 11 is a tubular shape having a constant inner diameter filled with sand for placing in a soft ground in a vertical state, and a nozzle portion 21 for blowing an air jet penetrates a wall thereof. . The nozzle portion 21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air jet downward. Moreover, the valve seat part 14 which the ball valve described later press-contacts is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ront-end | tip of this casing pipe 11.

이 밸브시트부(14)는 케이싱파이프(11)의 안 둘레면으로부터 축심측이 됨에 따라 하향 경사진 상면부(14a)와, 이 상면부(14a)의 안 둘레측에 파이프의 안 둘레면과 평행하게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한 안 둘레면부(14b)와, 또한 이 안 둘레면부 (14b)의 아래쪽으로 연속하여 순서대로 파이프의 안둘레측에 근접한 테이퍼형상의 하면부(14c)를 가지고 있다. 즉, 이 하면부(14c)는 위쪽으로 원호형상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밸브시트부(1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주위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리브(14d)로 보강되고, 이 리브(14d)를 거쳐 케이싱파이프(11)의 안 둘레에 접하여 고정되어 있다.The valve seat portion 14 is an axial si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pipe 11,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14a inclined downwar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4a. An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14b which protrudes downward in parallel and protrudes downward, and further has a tapered lower surface portion 14c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pipe in sequence in succession below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14b. That is, this lower surface part 14c is in the state which protruded upward in circular arc shape. As shown in Fig. 2, the valve seat portion 14 is reinforced with a plurality of ribs 14d radially installed around the valve seat portion 14, and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ing pipe 11 via the ribs 14d. have.

선단 덮개(12)는 중공원추형상의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에 상기 밸브시트부 (14)에 압접하는 볼밸브(16)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한 것이다. 이 선단 덮개케이스(13)는 그 안 둘레면에 안쪽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복수의 리브(15)(도시한 예에서는 4개)를 돌출설치한 것으로서, 이 리브(15)는, 그 상단이 케이싱파이프(11)의 선단(도 1에 있어서 하단)과 접하고 있다. 또 리브(15)의 안쪽 끝은, 그 위쪽 절반부분이 케이싱파이프(11)의 안 둘레면과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연직부(15a)가 되고, 아래쪽 절반부분이 하측이 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축심측으로 경사진 2단의 경사부 (15b, 15c)로 되어 있다.The tip cover 12 accommodates the ball valve 16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14 in the hollow cone-shaped tip cover case 13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The tip cover case 13 is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ribs 15 (four in the illustrated example) so as to protrude inwardly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upper end of which is the casing pipe. I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lower part in FIG. 1) of (11). In addition, the inner end of the rib 15 becomes a vertical portion 15a that is vertically continuous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pipe 1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lower half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axial side. It consists of inclined parts 15b and 15c of two steps which inclined.

선단 덮개 케이스(13)의 하단 바깥 둘레면에는 보강통(20)이 끼워 맞춰져 있다.A reinforcing tube 20 is fitted to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cover case 13.

이 보강통(20)의 안쪽에는 역사다리꼴형상의 1 쌍의 보강부재(18, 18)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십자형상으로 조합시킨 형상으로 설치되고, 그 교차점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지지대부(17)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지지대부(17) 위에 상면이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밸브받이부(19)가 설치되어 있다.Inside the reinforcing tube 20, a pair of reinforcing trapezoidal members 18 and 18 of an inverted trapezoid shape are installed in a cross-sectional shape in plan view, and the support base portion 17 protrudes upward from the intersection point. And a valve receiving portion 19 whose upper surface is curved in an arc shape is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17.

볼밸브(16)는 점토질 토사(실트)보다도 작은 비중이 되도록 중공으로 되어 있고, 평상시는 상기 밸브받이부(19) 위에 얹어 놓여져 있으며, 시공시에 점토질 토사가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에 진입하면 이 점토질 토사에 의하여 부상하여 밸브시트부(14)에 압접함으로써 케이싱파이프(11)의 하단을 봉쇄하도록 되어 있다.The ball valve 16 is hollow so as to have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clay soil (silt), and is normally placed on the valve receiving portion 19, and when clay soil enters the tip cover case 13 during construction, The lower end of the casing pipe 11 is sealed by floating by the clay soil and pressure-contacting the valve seat 14.

여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장치에서는 중공의 대략 원추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된 선단 덮개 케이스(13)의 바깥쪽에 주위의 토압을 측정하기 위한 토압센서(S1)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토압센서(S1)와 대향한 선단 덮개 케이스(13)의 안쪽에 그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S2)를 설치하고 있다. 또 선단 덮개(12)의 선단(도 1에 있어서 하단), 즉 보강부재(18)의 교차점의 아래쪽에는 케이싱파이프(11)을 박아 넣을 때의 관입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토압계(S3)를 설치하고 있다.In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 pressure sensor (S1)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earth pressure on the outer side of the tip cover case 13 formed in a hollow substantially conical trapezoidal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earth pressure sensor ( Inside the tip cover case 13 facing S1), a pressure sensor S2 for measuring the pressure therein is provided. In addition, a pressure gauge S3 for measuring the penetration pressure when the casing pipe 11 is driven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ip cover 12 (the lower end in FIG. 1), that is, at the bottom of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reinforcing member 18. Doing.

또한 도시생략하였으나, 이 선단 덮개 케이스(13)에는 그 내부에 압축공기를 보내주기 위한 공기공급구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ront cover case 13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ort for sending compressed air therein.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장치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 configuration.

다음에 이 모래말뚝형성장치를 사용한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방법에 대하여 해저의 연약지반에 모래말뚝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Next, the sand pile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forming sand piles on the soft ground of the sea bed.

먼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말뚝형성장치의 선단을 해수 중에 넣으면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에는 그 하단개구로부터 해수가 침입한다. 이 때 어느정도 해수가 침입하면 그 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해수는 밸브시트부(14) 위쪽의 케이싱파이프(11)내에 침입하는 일은 없다.First, as shown in FIG. 5, when the front-end | tip of a sand pile forming apparatus is put in seawater, seawater invades from the lower end opening in the front cover case 13. At this time, if the seawater intrudes to some extent, the air pressure inside thereof increases, so that the seawater does not enter the casing pipe 11 above the valve seat portion 14.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더욱 장치를 하강시키면, 마침내 선단 덮개(12)가 연약한 점토질 토사층(31)에 도달하여 그 속으로 관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점토질 토사층(31)에 선단 덮개(12)가 관입되면 선단 덮개 케이스(13)의 하단개구로부터 점토질 토사가 침입하여 이 점토질 토사보다도 비중이 작은 볼밸브(16)가 밀어 올려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시트부(14)의 하면부에 압접한다. 따라서 케이싱파이프(11)의 하단이 막혀 점토질 토사가 케이싱파이프(11)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device is further lowered from this state, the tip cover 12 finally reaches the soft clay soil layer 31 and is introduced into it. When the tip cover 12 is introduced into the clay soil layer 31 in this way, clay soil enters from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tip cover case 13, and a ball valve 16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clay soil is pushed up. As shown in FIG. 3, the valve seat portion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14.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casing pipe 11 is blocked and clay soil is prevented from invading into the casing pipe 11.

또한 이 때 선단 덮개(12)의 점토질 토사층(31)내로의 관입량이 커지면, 볼밸브(16)가 받는 부력도 커진다.At this time, when the penetration amount of the tip cover 12 into the clay soil layer 31 increases, the buoyancy force applied to the ball valve 16 also increases.

이와 같이 하여 선단 덮개(12)가 점토질 토사층(31)을 통과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토질 토사층(31)의 아래쪽의 경질 토사층(32)에 관입되면, 볼밸브 (16)는 한층 큰 부력을 받아 밸브시트부(14)에 압접하므로 이 상태에서 케이싱파이프(11)내에 모래(S)를 투입한다. 또한 이 때 투입하는 모래(S)의 양은, 모래의 자중에 의하여 볼밸브(16)가 하강하지 않을 정도로 한다.In this way, when the tip cover 12 passes through the clay soil layer 31 and penetrates into the hard soil layer 32 below the clay soil layer 31, the ball valve 16 generates a greater buoyancy force. In this state, sand S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pipe 11 because it is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14. In addition, the amount of sand S injected at this time is such that the ball valve 16 does not fall by the weight of sand.

그리고 볼밸브(16)가 하강하지 않도록 케이싱파이프(11)내에 모래(S)를 투입하면, 다시 그 선단을 경질 토사층(32)내에 관입시킨다. 이에 의하여 볼밸브(16)에는 더욱 큰 부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케이싱파이프(11)내에 모래(S)를 투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볼밸브(16)가 하강하지 않을 정도의 모래(S)를 추가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싱파이프(11)내로의 모래(S)의 투입과, 경질 토사층(32)내로의 관입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덮개(12)가 경질 토사층 (32)의 아래쪽의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지반(33)에 도달할 때까지 장치전체를 관입시킨다.Then, when sand S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pipe 11 so that the ball valve 16 does not descend, the tip thereof is again introduced into the hard soil layer 32. As a result, a greater buoyancy acts on the ball valve 16, so that sand S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sing pipe 11, so that sand S is added so that the ball valve 16 does not fall. Input. In this way, while the input of the sand S into the casing pipe 11 and the penetration into the hard soil layer 32 are alternately repeated, as shown in FIG. 8, the front cover 12 is lower than the hard soil layer 32. The entire apparatus is introduced until it reaches the ground 33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of.

이 때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장치에서는, 그 관입에 따라 변화하는 주위의 토압에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의 압력이 대응하도록 토압센서(S1)와 압력센서(S2)의 측정치를 대비하여 도시 생략한 공기공급구로부터 이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에 압축공기를 보내주도록 하고 있다.At this time, in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ion of the earth pressure sensor S1 and the pressure sensor S2 is omitted, so that the pressure in the tip cover case 13 corresponds to the earth press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Compressed air is sent from the air supply port into the tip cover case 13.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선단 덮개(12)가 소정의 지반(33)에 도달하면, 장치의 전체가 위쪽으로 뽑아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장치에서는, 선단덮개 케이스(13)내의 압력이 주위의 토압과 거의 같아지도록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에 개구한 공기공급구(도시 생략)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이 뽑아냄에 수반하여 선단 덮개 케이스(13)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공동(도 9의 부호 34참조)내의 공기압도 주위의 토압과 같게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 공동이 무너지는 일은 없다.And when the front cover 12 reaches the predetermined ground 33 in this way, the whole apparatus will be pulled out upward. At this time, in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an air supply port (not shown) opened in the tip cover case 13 so that the pressure in the tip cover case 13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surrounding earth pressure. With this extraction, the air pressure in the cavity (see reference numeral 34 in Fig. 9) formed under the tip cover case 13 is also kept the same as the earth pressure around it. Therefore, this cavity does not collapse.

또 이 뽑아 냄에 연동하여 케이싱파이프(11)내에 압축공기가 도입됨과 동시에, 노즐부(21)로부터는 에어제트가 분사되고, 이에 의하여 케이싱파이프(11)내에 투입된 모래(S)가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밸브시트부(14)에 압접하고 있던 볼밸브 (16)가 밀어 내려진다. 따라서 케이싱파이프(11)의 하단이 개방되어 케이싱파이프 (11)내의 모래는 밸브시트부(14)로부터 볼밸브(16)와 선단 덮개 케이스(13)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아래쪽의 공동(34)내로 배출된다.In addition,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pipe 11 in conjunction with the extraction, and an air jet is injected from the nozzle portion 21, whereby sand S injected into the casing pipe 11 is pressed downward. As a result, the ball valve 16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14 is pushed down.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casing pipe 11 is opened so that the sand in the casing pipe 11 i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9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all valve 16 and the tip cover case 13 from the valve seat portion 14. Likewise discharged into the cavity 34 below it.

이 때,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장치에서는 선단 덮개 케이스(13)는 하단이 넓게 벌어진 중공의 원추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래(S)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 이유는 볼밸브(16)가 하강하였을 때, 그 주위와 선단 덮개 케이스(13)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래의 통과 간극이 원통형의 선단 덮개 케이스의 경우보다도 넓어지고, 또한 모래(S)와 선단 덮개 케이스(13)의 내면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이 거의 없어지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n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p cover case 13 is formed in a hollow conical trapezoidal shape with a wide bottom, the sand S is smoothly discharged. The reason is that when the ball valve 16 is lowered, the passage gap of sand formed between the periphery thereof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cover case 13 is wid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tip cover case, and the sand S and This is becaus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tip cover case 13 is almost eliminated.

이 마찰이 없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The reason why this friction disappears is as follows.

즉, 종래의 원통형의 선단 덮개 케이스의 경우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높이(H)만큼 모래(S)를 채우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의 중량과 모래의 내부 마찰각의 함수로서 나타내는 수평방향력(P)이 생긴다. 이 P는 모래와 케이스 내벽면의 마찰에 의하여 위쪽으로 δ기운다. P를 벽면에 대하여 연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분해하면, 각각 벽면에 연직으로 작용하는 힘(PN)과, 벽면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PL)이 된다. 그리고 벽면에 연직으로 작용하는 힘(PN)에 모래와 벽면의 마찰에 의하여 벽면에 수평방향으로 PNF의 마찰력이 상향으로 발생한다. 이 때 일반적으로 PNF> PL이 되어 모래가 아래쪽으로 이동 불가능하거나, 또는 이동에 지장이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tip cover cas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and S is filled by the height H, the weight of the sand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the sand as shown in FIG. The horizontal direction force P is shown as follows. This P tilts upward by friction between sand and the inner wall of the case. When P is decom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the force P N acting vertically on the wall surface and the force P L acting horizontally on the wall surface, respectively. The friction force of P NF is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wall by the friction between sand and the wall due to the vertical force P N acting on the wall. At this time, it is generally P NF > P L and sand cannot be moved downward or it is hindered to move.

이에 대하여 중공의 원추사다리꼴형상의 선단 덮개 케이스의 경우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높이(H)만큼 모래(S)를 채우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의 중량과 모래의 내부 마찰각의 함수로서 표시되는 수평방향력(P)이 생기고, 이 P는, 모래와 케이스 내벽면의 마찰에 의하여 위쪽에 δ기우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벽면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θ만큼 기울어짐으로써, 벽면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PN)이 원통형의 경우에 비하여 작아지고, 반대로 벽면에 평행으로 작용하는 힘(PL)은 원통형의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그리고 벽면에 연직으로 작용하는 힘(PN)에 모래와 벽면의 마찰에 의하여 벽면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PNF)도 작아진다. 벽면의 경사각도(θ)의 크기에의하여 PNF< PL이 되는 경사각도가 존재하고, 결과적으로 모래와 벽면의 마찰력이 외견상, 제로가 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hollow conical trapezoidal tip cover cas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sand S is filled by the height H, as shown in Fig. 14, the weight of the sand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the sand are shown. The horizontal force P, which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P, arises, and this P is similarly tilted upwar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sand and the inner wall of the case. However, since the wall surface is inclined by θ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force P N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form, whereas the force P L acting in parallel with the wall surface becomes cylindrical. Larger than the case. In addition, the friction force P NF acting horizontally on the wall by the friction between sand and the wall is also reduced by the force P N acting on the wall surface vertically. This is because the inclination angle at which P NF <P L exists due to the magnitude of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wall surface, and as a resul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and and the wall surface is apparently zero.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모래말뚝형성장치가 경질 토사층으로부터 뽑아내짐으로써 케이싱파이프(11)내에 투입된 모래(S)가 선단 덮개(12)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배출되고, 그 아래쪽에 형성된 공동(34)내에 모래(S)가 충전된다. 그리고 케이싱파이프(11)가 소정의 길이에 걸쳐 뽑아내지면, 이번에는 다시 이 케이싱파이프(11)를 배출한 모래에 관입되도록 밀어 내린다. 이 때 볼밸브(16)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덮개 케이스(13)내에 침입한 모래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밸브시트부(14)에 압접하여 케이싱파이프(11)의 하단을 봉쇄한다. 따라서 토사층에 형성된 공동내에 투입된 모래는, 선단 덮개(12)로 가압되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이 넓어진다.In this way,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is pulled out of the hard soil layer, and the sand S introduced into the casing pipe 11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ip cover 12, and sand (in the cavity 34 formed below) is removed. S) is charged. Then, when the casing pipe 11 is pulled out over a predetermined length, this time the casing pipe 11 is pushed down again so as to penetrate into the discharged s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the ball valve 16 is pushed up by the sand which penetrated into the tip cover case 13, is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part 14, and the lower end of the casing pipe 11 is sealed off. Therefore, the sand thrown into the cavity formed in the soil layer is pressurized by the tip cover 12, and as shown in FIG. 10, the diameter becomes wider.

이 때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방법에서는, 선단 덮개(12)의 선단에 설치된 토압센서(S3)로 케이싱파이프(11)의 관입압력을 측정하고, 그 관입압력이 토질에 따른 소정의 압력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케이싱파이프(11)의 재관입에 의하여 가압된 모래는, 소정의 외경 및 소정의 길이, 나아가서는 소정의 압밀도를 가지는 모래말뚝이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sand pile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etration pressure of the casing pipe 11 is measured by the earth pressure sensor S3 provided at the tip of the tip cover 12, so that the penetration pressure is a predetermined pressure according to the soil quality. It is controlled. Therefore, the sand pressurized by the re-penetration of the casing pipe 11 becomes a sand pile having a predetermined outer diameter,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density.

이하, 동일한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질 토사층 (32)내 및 점토질 토사층(31)내에 소정의 외경 및 압밀도의 모래말뚝(SP)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below, and as shown in FIG. 10, the sand pile SP of predetermined outer diameter and density is formed in the hard soil layer 32 and the clay soil layer 31. As shown in FI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모래말뚝의 형성방법에서는, 케이싱파이프로 형성된 공동을 무너뜨리지 않고 그 내부에 모래를 충전하여 모래말뚝을 형성할 수 있고, 또이 모래말뚝을 단단하게 굳혀 소망의 강도와 직경으로 할 수도 있으므로 해저지반 등의 무너지기 쉬운 연약지반의 개량에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sand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nd pile can be formed by filling sand therein without breaking down the cavity formed by the casing pipe, and the sand pile is hardened to a desired strength and diameter. It is also useful for improving fragile soft grounds such as seabeds.

또 본 발명의 모래말뚝형성장치는,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모래말뚝의 형성이 확실하고, 또한 이 때의 모래의 배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 작업능률이 향상하여 시공일수나 시공비,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이유에 의해 지반개량을 행할 수 없었던 지역으로의 도입이 촉진된다는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the sand pil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simple configuration, the sand pile is surely formed, and the sand is discharged smoothly at this tim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thereby reducing work days, construction costs, labor costs, etc. Can be. Therefore, for these reason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troduction into the area where the ground improvement could not be performed is promoted.

Claims (4)

연약한 지반속에 볼밸브식의 선단 덮개를 구비한 케이싱파이프를 박아 넣고, 상기 케이싱파이프내에 모래를 투입한 후, 투입한 모래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말뚝만을 지반속에 남기고 상기 케이싱파이프를 뽑아내도록 한 모래말뚝형성방법에 있어서,Sand pile is formed by driving a casing pipe having a ball valve type end cover in the soft ground, and putting sand into the casing pipe, and leaving only the sand pile formed by the injected sand in the ground and extracting the casing pipe. In the method, 케이싱파이프를 지반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선단 덮개 내부의 공기압을 그 주위에 있어서 측정된 토압과 같아지도록 제어하고, 이로써 케이싱파이프로 형성된 공동을 무너뜨리지 않고 이 공동내에 모래를 충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말뚝형성방법.When the casing pipe is removed from the grou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ip cover is controlled to be equal to the earth pressure measured around it, thereby filling sand into the cavity without breaking down the cavity formed by the casing pipe. Pile formation method. 선단 덮개를 구비한 케이싱파이프로부터 배출된 모래를, 케이싱파이프의 재관입에 의하여 단단히 굳힘과 동시에 지름이 넓어지도록 한 모래말뚝형성방법에 있어서,In the sand pile forming method in which the sand discharged from the casing pipe having the tip cover is firmly solidified by reintroduction of the casing pipe, and the diameter thereof is widened. 케이싱파이프를 재관입시킬 때의 압력을, 선단 덮개에 설치된 토압계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제어함으로써, 소망의 강도와 지름을 가지는 모래말뚝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말뚝형성방법.A method of forming a sand pile, wherein the pressure at the time of re-injecting the casing pipe is controlled based on a measured value of a tonometer provided on the tip cover to form a sand pile having a desired strength and diameter. 내부에 압축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이 설치된 케이싱파이프와;A casing pipe provided with a nozzle for introducing compressed air therein; 상기 케이싱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선단 덮개로 이루어지고,Comprising a tip cover installed on the tip of the casing pipe, 상기 선단 덮개는, 선단이 넓게 벌어진 대략 원추사다리꼴형상의 선단 덮개 케이스와;The tip cover includes: a tip cover case having a substantially conical trapezoidal shape with a wide open tip; 상기 선단 덮개 케이스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볼밸브와;A ball valve housed in the front cover case so as to be movable; 상기 볼밸브가 접촉하여 케이싱파이프의 선단내를 밀폐상태로 하는 밸브시트부로 구성되고,And a valve sea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ll valve to keep the inside of the casing pipe closed. 상기 선단 덮개 케이스에는, 그 바깥쪽에 주위의 토압을 측정하는 토압센서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안쪽에 선단 덮개 케이스내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또한 그 내부에는 압축공기를 보내주기 위한 공기공급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래말뚝형성장치.The tip cover case is provided with an earth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earth pressure on the outside thereof, and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in the tip cover case is provided therein, and inside the air for sending compressed air. Sand pil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port is install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선단 덮개의 선단에, 케이싱파이프의 관입압력을 측정하는 토압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말뚝형성장치.A sand pil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the penetration pressure of the casing pipe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tip cover.
KR1020027000400A 2000-05-12 2000-06-28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 KR2002003372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9559A JP3584201B2 (en) 2000-05-12 2000-05-12 Sand pile forming equipment
JPJP-P-2000-00139559 2000-05-12
PCT/JP2000/004287 WO2001086076A1 (en) 2000-05-12 2000-06-28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727A true KR20020033727A (en) 2002-05-07

Family

ID=1864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400A KR20020033727A (en) 2000-05-12 2000-06-28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584201B2 (en)
KR (1) KR20020033727A (en)
CN (1) CN1205393C (en)
TW (1) TW479096B (en)
WO (1) WO2001086076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783B1 (en) * 2014-03-27 2014-12-15 성렬수 Injection tip equipment for excavating ground
KR102145372B1 (en) * 2019-05-20 2020-08-18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Casing dead-end apparatus taking the V-type symmetry circle cone and method constructing compaction pil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1780A (en) * 2010-12-13 2011-04-27 广东省第二建筑工程公司 Water flushing construction method of static tubular pile of sand pile tip
JP4854101B1 (en) * 2011-09-22 2012-01-18 井森工業株式会社 Casing pipe end li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0B2 (en) * 1993-07-13 1996-01-10 井森工業株式会社 Tip cover of casing pipe for sand pile formation
JPH09279565A (en) * 1996-04-15 1997-10-28 Nippon Kaikou Kk Ground improvement construction method
JP3893572B2 (en) * 1997-03-12 2007-03-14 国土総合建設株式会社 Sand pile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783B1 (en) * 2014-03-27 2014-12-15 성렬수 Injection tip equipment for excavating ground
KR102145372B1 (en) * 2019-05-20 2020-08-18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Casing dead-end apparatus taking the V-type symmetry circle cone and method constructing compaction pil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86076A1 (en) 2001-11-15
CN1205393C (en) 2005-06-08
JP2001323448A (en) 2001-11-22
JP3584201B2 (en) 2004-11-04
CN1360655A (en) 2002-07-24
TW479096B (en) 200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6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mpacted piers with multiple lifts
US8152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support piers from one or more successive lifts formed in a soil matrix
US4618289A (en) Method of forming a cast-in-place support column
US91696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support piers from one or more successive lifts formed in a soil matrix
KR20020033727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and pile
CA264140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support piers from one or more successive lifts formed in a soil matrix
JP5718306B2 (en) Underground consolidated body construction method and underground solid body creation device for creating a solid body using the method
CN1337499A (en) Method for pouring concrete into guide pipe in non-driven pile
CN105926568B (en) A kind of supporting bracing means and method of the embedded inclinometer pipe that drills
JP307257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high strength cast-in-place concrete pile and compacted pile used for this construction method
JP2000273900A (en) Air suction type soil discharge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KR900005913B1 (en) Base stake inflated in bump state at lower end there of and its construction
JP2535484B2 (en) Ogre drain placing device
CA1337893C (en) Injection apparatus for foundation piles
JPS6330449B2 (en)
JP2000080645A (en) Construction method for cast-in-place pile
JP3547094B2 (en) Drilling equipment
NO20190772A1 (en) Hollow subsea foundations
JPS5841374B2 (en) Foundation pile stabilization method and device
JPH0458854B2 (en)
JPH04293818A (en) Rotary instrusive steel tube pile construction method
JPH0711634A (en) Construction method of pile having bag body
GB2127882A (en) In situ pil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