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528A -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528A
KR20020030528A KR1020000061386A KR20000061386A KR20020030528A KR 20020030528 A KR20020030528 A KR 20020030528A KR 1020000061386 A KR1020000061386 A KR 1020000061386A KR 20000061386 A KR20000061386 A KR 20000061386A KR 20020030528 A KR20020030528 A KR 20020030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de
normal
overloa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815B1 (ko
Inventor
전용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2000-006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815B1/ko
Priority to TW089124928A priority patent/TW509777B/zh
Priority to MXPA00011957A priority patent/MXPA00011957A/es
Priority to CNB001340360A priority patent/CN1163716C/zh
Priority to TR2000/03724A priority patent/TR200003724A2/xx
Publication of KR2002003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8Quick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0Quick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외조도, 도어개방시간, 고내온도상승 및 쾌속모드 선택여부에 대응하여 냉장고의 운전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운전제어방법에 의하면, 냉동실팬, 냉장실팬 및 응축기팬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제어하여 통상/정숙모드, 과부하통상/정숙모드,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한다. 통상/정숙모드는 고외조도에 따라 판단하고, 과부하통상/정숙모드는 도어개방시간,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상승에 따라 판단하며,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판단한다. 각각의 모드에 따라서는, 냉동실팬, 냉장실팬 및 응축기팬의 회전속도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어하여 냉장고의 운전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REFRIGERATO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기순환식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외조도, 도어개방시간, 고내온도상승 및 쾌속모드 선택여부에 대응하여 냉장고의 운전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살펴보면, 압축기에 의하여 생성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대기중으로 열을 방출하여 상온고압의 액체냉매가 된다.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는 건조기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모세관으로 보내지고, 모세관을 거치는 액체냉매는 증발하기 쉬운 기액혼합상태의 저압으로 감압되어 증발기로 보내진다. 기액혼합상태의 냉매는 증발기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기를 생성한 후, 응축기로 되돌아간다.
통상의 공기순환식(간접냉각방식) 냉장고에 있어서는, 증발기 주위의 냉기를 냉동실팬과 냉장실팬의 구동에 의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에 강제로 불어넣어 온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냉동실팬, 냉장실팬 및 응축기팬의 구동시에는 많은 소음이 발생하고, 특히 주위가 조용한 야간에는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들리게 된다.
본 출원인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21881호에 개시되어 있는 냉장고의 저소음 운전제어방법에서는, 고외온도와 조도를 검출하여 통상/정숙모드로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취침시 냉동실팬과 냉장실팬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냉동실팬과 냉장실팬이 항상 동일한 속도로 온/오프제어되어 제어성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의 상승과, 냉동실 및 냉장실도어의 개방에 따라 발생되는 과부하를 신속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단시간내에 강하시킬 수 있는 쾌속냉동/냉장모드의 운전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외조도, 도어개방시간, 고내온도상승 및 쾌속모드 선택여부에 따라 냉장고의 운전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외조도에 따라 통상/정숙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과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응축기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통상모드 실행 단계와; 정숙모드의 경우 냉동실팬, 냉장실팬 및 응축기팬을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정숙모드 실행 단계와; 도어개방시간과 고내온도상승에 따라 과부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과부하의 발생시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쾌속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쾌속모드의 선택시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와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과부하모드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쾌속냉동모드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쾌속냉장모드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능설정부20: 온도설정부
30: 온도감지부40: 도어감지부
50: 빛감지부60: 냉동실팬구동부
62: 냉동실팬70: 냉장실팬구동부
72: 냉장실팬80: 응축기팬구동부
82: 응축기팬90: 제어부
100: 운전제어장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의 운전제어장치(100)는 기능설정부(10), 온도설정부(20), 온도감지부(30), 도어감지부(40), 빛감지부(50), 냉동실팬구동부(60), 냉장실팬구동부(70), 응축기팬구동부(80)와 제어부(90)를 구비한다.
기능설정부(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단시간내에 강하시킬 수 있는 쾌속모드, 즉 쾌속냉동/냉장모드를 설정하여 제어부(90)에 입력하고, 온도설정부(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제어부(90)에 입력한다. 온도감지부(30)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90)에 입력하며, 냉동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온도센서(32)와 냉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온도센서(34)를 구비한다. 도어감지부(40)는 냉동실 및 냉장실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제어부(90)에 입력한다.
또한, 빛감지부(50)는 냉장고의 외부에 설치되며 조도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제어부(90)에 입력한다. 냉동실팬구동부(60)는 냉동실팬(62)의 구동을 제어하고, 냉장실팬구동부(70)는 냉장실팬(72)의 구동을 제어하며, 응축기팬구동부(80)는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응축기팬(82)의 구동을 제어한다. 냉동실팬(62)과 냉장실팬(72)은 고속, 중속 및 저속으로 각각 구동되고, 응축기팬(82)은 고속과 저속으로 구동된다. 제어부(90)는 기능설정부(10), 온도설정부(20), 온도감지부(30), 도어감지부(40)와 빛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운전제어장치(100)를 갖는 본 발명의 냉장고는 통상/정숙모드, 과부하모드와 쾌속모드로 운전된다. 통상/정숙모드는 빛감지부(5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제어부(90)에 의하여 설정된다. 빛감지부(50)는 주간 또는 실내등의 점등시 실측조도가 기준조도, 예를 들어 8럭스이상의 경우 온되고, 제어부(90)는 빛감지부(50)의 온신호에 따라 정숙모드에서 통상모드로 전환하는 통상모드신호를 출력한다. 빛감지부(50)는 야간 또는 실내등의 소등시 실측조도가 기준조도미만의 경우 오프되고, 제어부(90)는 빛감지부(50)의 오프신호에 따라 통상모드에서 정숙모드로 전환하는 정숙모드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빛감지부(50)의 기준조도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과부하모드는 과부하통상/정숙모드로 나뉘어져 있으며 냉동실 및 냉장실도어가 도어감지부(40)의 감지에 의하여 도어개방설정시간, 예를 들어 30초이상 열려있을 때와 온도감지부(30)에 의하여 감지되는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예를 들어 5℃이상 상승되었을 때, 즉 온도편차가 5℃이상일 때 운전된다. 이와 같은 과부하통상/정숙모드는 도어개방시간에 따른 냉동실/냉장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와, 냉동실온도상승에 따른 냉동실온도상승 과부하통상/정숙모드와, 냉장실온도상승에 따른 냉장실온도상승 과부하통상/정숙모드로 세분화되어 있다.
쾌속모드는 기능설정부(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쾌속냉동/냉장모드를 의미한다. 쾌속냉동모드는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로 세분화되어 있고, 쾌속냉장모드는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로 세분화되어 있다.
표 1에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각 제어모드에 따라 냉동실팬구동부(60), 냉장실팬구동부(70) 및 응축기팬구동부(80)에 의하여 제어되는 냉동실팬(62), 냉장실팬(72) 및 응축기팬(82)의 인가전압과 회전속도가 나타나 있다.
냉동실팬 냉장실팬 응축기팬
통상모드 인가전압 +10VDC +10VDC +10VDC
회전속도 중속 중속 고속
정숙모드 인가전압 +8VDC +8VDC +8VDC
회전속도 저속 저속 저속
과부하통상모드(냉동실/냉장실도어 30초 개방) 인가전압 +10VDC→+14VDC +10VDC→+14VDC +10VDC
회전속도 중속→고속 중속→고속 고속
과부하통상모드(고내온도 +5℃상승) 냉동실+5℃상승 인가전압 +10VDC→+14VDC +10VDC +10VDC
회전속도 중속→고속 중속 고속
냉장실+5℃상승 인가전압 +10VDC +10VDC→+14VDC +10VDC
회전속도 중속 중속→고속 고속
과부하정숙모드(냉동실/냉장실도어 30초 개방) 인가전압 +8VDC→+10VDC +8VDC→+10VDC +8VDC
회전속도 저속→중속 저속→중속 저속
과부하정숙모드(고내온도 +5℃상승) 냉동실+5℃상승 인가전압 +8VDC→+10VDC +8VDC +8VDC
회전속도 저속→중속 저속 저속
냉장실+5℃상승 인가전압 +8VDC +8VDC→+10VDC +8VDC
회전속도 저속 저속→중속 저속
쾌속냉동통상모드 인가전압 +10VDC→+14VDC +10VDC +10VDC
회전속도 중속→고속 중속 고속
쾌속냉동정숙모드 인가전압 +8VDC→+14VDC +8VDC +8VDC
회전속도 저속→고속 저속 저속
쾌속냉장통상모드 인가전압 +10VDC +10VDC→+14VDC +10VDC
회전속도 중속 중속→고속 고속
쾌속냉장정숙모드 인가전압 +8VDC +8VDC→+14VDC +8VDC
회전속도 저속 저속→고속 저속
표 1을 참조하면, 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와 냉장실구동부(70)는 직류 10V를 냉동실팬(62)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각각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10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정숙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 냉장실팬구동부(70) 및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8V를 냉동실팬(62), 냉장실팬(72) 및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각각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정숙모드에 있어서는 통상모드보다 소음의 발생이 적고, 전원의 사용량이 줄어든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이 초기운전시간, 예를 들어 240분이 경과되면 (S200), 제어부(90)는 빛감지부(40)의 온/오프신호에 의하여 통상/정숙모드인가를 판단한다(S202). 단계 S204에서 제어부(90)는 통상모드를 실행하고, 단계 S206에서는 정숙모드를 실행한다. 단계 S200에서 초기운전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단계 S204로 진행한다.
제어부(90)는 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한 후, 과부하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08). 과부하모드로 판단되면, 과부하모드, 즉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고(S210), 종료한다. 단계 S212에서 제어부(90)는 쾌속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쾌속모드로 판단되면, 쾌속모드, 즉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고(S212), 종료한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의 과부하모드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도 3a 및 도 3b를 설명하면,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이 초기운전시간, 예를 들어 240분이 경과되면(S300), 제어부(90)는 빛감지부(40)의 온/오프신호에 의하여 통상/정숙모드인가를 판단한다 (S302). 단계 304에서 제어부(90)는 통상모드를 실행하고, 단계 S306에서는 정숙모드를 실행한다. 단계 S300에서 초기운전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단계 S304로 진행한다.
제어부(90)는 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한 후, 단계 S308에서 도어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냉동실 및 냉장고도어가 도어개방설정시간, 예를 들어 30초이상 열려 있으면, 냉동실/냉장실의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설정한다(S310). 냉동실 및 냉장실도어가 도어개방설정시간미만으로 닫히면, 제어부(90)는 온도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냉동실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예를 들어 5℃이상인가를 판단한다 (S312). 냉동실온도가 설정온도보다 5℃이상이면, 냉동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설정한다(S314). 제어부(90)는 온도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예를 들어 5℃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16).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보다 5℃이상이면, 냉장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설정한다(S318). 단계 S320에서 제어부 (90)는 과부하통상/정숙모드가 설정되었으면,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한다 (S322).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도어개방시간에 따른 냉동실/냉장실 과부하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와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4V를 냉동실팬(62)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각각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10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도어개방시간에 따른 냉동실/냉장실 과부하정숙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와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0V를 냉동실팬(62)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각각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8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냉동실온도상승에 따른 냉동실 과부하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는직류 14V를 냉동실팬(6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0V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중속으로 구동시키며,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10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냉장실온도상승에 따른 냉장실 과부하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는 직류 10V를 냉동실팬(62)에 인가하여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4V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키며,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10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냉동실온도상승에 따른 냉동실 과부하정숙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는 직류 10V를 냉동실팬(62)에 인가하여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구동부(70)와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8V를 냉장실팬(72)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각각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냉장실온도상승에 따른 냉장실 과부하정숙모드의 경우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0V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냉동실팬구동부(60)와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8V를 냉동실팬(62)와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각각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단계 S320에서 과부하통상/정숙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한 후(S324), 종료한다. 제어부(90)는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실행 후, 냉동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 예를 들어 20분이상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26). 냉동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이상 경과하면, 냉동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한다(S328). 제어부(90)는 냉동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미만이면, 온도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냉동실온도센서(32)의 감지온도가 냉동실의 설정온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30). 냉동실온도센서(32)의 감지온도가 냉동실의 설정온도에 도달되었으면, 단계 S328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332에서 제어부(90)는 냉장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 예를 들어 20분이상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냉장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이상 경과하면, 냉장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한다(S334). 제어부(90)는 냉장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미만이면, 온도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냉장실온도센서(34)의 감지온도가 냉장실의 설정온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36). 냉장실온도센서(34)의 감지온도가 냉장실의 설정온도에 도달되었으면, 단계 S334로 진행한다.
따라서, 냉동실과 냉장실의 과부하에 대하여 온도를 빠른 시간내에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숙모드의 실행에 의하여 소음의 발생을 줄이고, 전원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쾌속냉동모드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도 4를 설명하면, 냉동사이클이 정상적으로 운전되는 냉장고의 통상/정숙모드에서(S400),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기능설정부(10)로부터 쾌속냉동모드가 제어부(90)에 입력되면(S402), 제어부(90)는 빛감지부(5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인가를 판단한다(S404). 제어부(90)는 쾌속냉동통상모드로 판단되면, 쾌속냉동통상모드를 실행한다(S406). 쾌속냉동정숙모드로 판단되면, 쾌속냉동정숙모드를 실행한다(S408).
표 1을 살펴보면, 쾌속냉동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는 직류 14V를 냉동실팬(6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0V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중속으로 구동시키며,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8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쾌속냉동정숙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는 직류 14V를 냉동실팬(6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8V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저속으로 구동시키며,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8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90)는 냉장고의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가 제1 운전시간, 예를 들어 90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410). 제1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냉동실팬구동부(60)는 냉동실팬(62)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S412). 쾌속냉동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는 직류 10V를 냉동실팬(62)에 인가하여 고속에서 중속으로 구동시킨다. 쾌속냉동정숙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70)는 직류 8V를 냉동실팬(72)에 인가하여 고속에서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90)는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제2 설정운전시간, 예를 들어 60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414). 제2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한다. 따라서, 통상/정숙모드에 대응하여 냉동실의 쾌속냉동을 빠른 시간내에 수행할 수 있으며, 쾌속냉동정숙모드의 실행에 의하여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쾌속냉장모드에 따라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도 5를 설명하면, 냉동사이클이 정상적으로 운전되는 냉장고의 통상/정숙모드에서(S500),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기능설정부(10)로부터 쾌속냉장모드가 제어부(90)에 입력되면(S502), 제어부(90)는 빛감지부(5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인가를 판단한다(S504). 제어부(90)는 쾌속냉장통상모드로 판단되면, 쾌속냉장통상모드를 실행한다(S506). 쾌속냉장정숙모드로 판단되면, 쾌속냉장정숙모드를 실행한다(S508).
표 1을 다시 참조하면, 쾌속냉장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는 직류 10V를 냉동실팬(62)에 인가하여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4V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키며,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8V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쾌속냉장정숙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구동부(60)과 응축기팬구동부(80)는 직류 전원 8V를 냉동실팬(62)과 응축기팬(82)에 인가하여 각각 저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구동부(70)는 직류 14V를 냉장실팬(72)에 인가하여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90)는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의 실행 후, 냉장실온도가 쾌속냉장온도, 즉 설정온도보다 예를 들어 -7℃이하인가를 판단한다(S510).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이하이면,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한다. 단계 S510에서 냉동실온도가 설정온도보다 -7℃이하가 아니면,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 예를 들어 40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514).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한다.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단계 S510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통상/정숙모드에 대응하여 냉장실의 쾌속냉장을 빠른 시간내에 수행할 수 있으며, 쾌속냉장정숙모드의 실행에의하여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에 의하면, 고외조도, 고내온도상승, 도어개방시간 및 쾌속모드 선택여부에 대응하여 냉장고의 운전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정숙모드에서 과부하모드, 쾌속냉동모드와 쾌속냉장모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정숙모드의 실행으로 인하여 소음의 발생과 전원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고외조도에 따라 통상/정숙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과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응축기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통상모드 실행 단계와;
    정숙모드의 경우 상기 냉동실팬, 냉장실팬 및 응축기팬을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정숙모드 실행 단계와;
    도어개방시간과 고내온도상승에 따라 과부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과부하의 발생시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쾌속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쾌속모드의 선택시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와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시간에 따른 과부하의 발생시 과부하통상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냉동실팬, 냉장실팬 및 응축기팬을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과부하통상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과부하통상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온도상승에 따른 과부하의 발생시 과부하통상모드 실행 단계는,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상승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냉동실온도가 상승된 경우 상기 냉동실팬과 응축기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냉장실온도가 상승된 경우 상기 냉장실팬과 응축기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과부하통상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과부하통상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시간에 따른 과부하의 발생시 과부하정숙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냉동실팬과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과부하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과부하정숙모드를종료하는 단계와;
    과부하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과부하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온도상승에 따른 과부하의 발생시 과부하정숙모드 실행 단계는,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상승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냉동실온도가 상승된 경우 상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과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냉장실온도가 상승된 경우 상기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냉동실팬과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과부하통상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과부하통상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냉동통상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냉동실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쾌속냉동통상모드가 제1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쾌속냉동통상모드가 제2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동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냉동정숙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냉동실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쾌속냉동정숙모드가 제1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쾌속냉동정숙모드가 제2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동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냉장통상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장실온도가 쾌속냉장온도에 도달되면, 쾌속냉장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냉장실온도가 쾌속냉장온도이상이면, 쾌속냉장통상모드의 운전시간이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쾌속냉장통상모드가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장통상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냉장정숙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냉동실팬과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장실온도가 쾌속냉장온도에 도달되면, 쾌속냉장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냉장실의 온도가 쾌속냉장온도이상이면, 쾌속냉장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쾌속냉장정숙모드가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장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10. 고외조도에 따라 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도어개방시간과 고내온도상승에 따라 과부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도어개방시간에 따른 과부하의 발생시 냉동실/냉장실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냉동실/냉장실 과부하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 냉장실팬 및 응축기팬을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냉동실/냉장실 과부하정숙모드의 경우 상기 냉동실팬과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고내온도상승에 따른 과부하의 발생시 냉동실 및 냉장실온도가 상승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냉동실온도가 상승된 경우 냉동실온도상승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냉장실온도가 상승된 경우 냉장실온도상승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과부하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고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과부하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온도상승 과부하통상모드의 경우 상기 냉동실팬과 응축기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온도상승 과부하정숙모드의 경우 상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과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온도상승 과부하통상모드의 경우 상기 냉장실팬과 응축기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온도상승 과부하정숙모드의 경우 상기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동실팬과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15. 고외조도에 따라 통상모드/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쾌속냉동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과 응축기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쾌속냉동통상모드 실행 단계와;
    쾌속냉동정숙모드의 경우 상기 냉동실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냉장실팬과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쾌속냉동정숙모드 실행 단계와;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가 제1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쾌속냉동통상/냉동정숙모드가 제2 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동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16. 고외조도에 따라 통상/정숙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쾌속냉장통상모드의 경우 냉동실팬은 중속으로 구동시키고, 냉장실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며,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쾌속냉장통상모드 실행 단계와;
    쾌속냉장정숙모드의 경우 상기 냉동실팬과 응축기팬은 저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팬은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쾌속냉장정숙모드 실행 단계와;
    상기 냉장실온도가 쾌속냉장온도에 도달되면,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냉장실온도가 쾌속냉장온도이상이면,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의 운전시간이 설정운전시간에 도달되면, 쾌속냉장통상/정숙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2000-0061386A 2000-10-18 2000-10-18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38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386A KR100389815B1 (ko) 2000-10-18 2000-10-18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TW089124928A TW509777B (en) 2000-10-18 2000-11-23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refrigerator
MXPA00011957A MXPA00011957A (es) 2000-10-18 2000-12-04 Metodo para controlar la operacion de un refrigerador.
CNB001340360A CN1163716C (zh) 2000-10-18 2000-12-07 用于控制冰箱的工作的方法
TR2000/03724A TR200003724A2 (tr) 2000-10-18 2000-12-13 Bir buzdolabının çalışmasını kontrol için yön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386A KR100389815B1 (ko) 2000-10-18 2000-10-18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528A true KR20020030528A (ko) 2002-04-25
KR100389815B1 KR100389815B1 (ko) 2003-06-27

Family

ID=1969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386A KR100389815B1 (ko) 2000-10-18 2000-10-18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389815B1 (ko)
CN (1) CN1163716C (ko)
MX (1) MXPA00011957A (ko)
TR (1) TR200003724A2 (ko)
TW (1) TW509777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72B1 (ko) * 2005-09-13 2007-11-05 최철훈 조도에 따라서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냉장고
KR100842388B1 (ko) * 2002-12-30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CN103411383A (zh) * 2013-08-30 2013-11-2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
KR20190106292A (ko) *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냉장고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WO2019205512A1 (zh) * 2018-04-26 2019-10-3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双温冷藏电器的温度控制方法及装置
CN113280563A (zh) * 2021-05-27 2021-08-2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判断冰箱运行在白天或夜间的方法
CN113915931A (zh) * 2020-07-09 2022-01-1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食物存储期限提醒方法、装置、冷冻设备、服务器和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26772C (zh) * 2005-05-26 2009-08-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冰箱
KR20080003660A (ko) * 2006-07-03 2008-0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온도 전환실을 갖는 냉장고
DE102006040379A1 (de) * 2006-08-29 2008-03-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angsbelüftetem Verflüssiger
TWI394926B (zh) * 2008-11-17 2013-05-01 Ind Tech Res Inst 電冰箱及其溫度控制方法
DE102009000665A1 (de) * 2009-02-06 2010-08-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sowie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Kältegeräts
KR101663835B1 (ko) * 2010-08-06 2016-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CN102080918B (zh) * 2011-01-04 2012-08-22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控制冰箱噪声的方法及装置
CN102519217A (zh) * 2011-12-16 2012-06-27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变频冰箱及其控制方法
CN102927788B (zh) * 2012-11-19 2015-10-2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啤酒柜及啤酒柜的控制方法
CN103017442A (zh) * 2012-12-13 2013-04-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一种具有强制制冷功能的冰箱及其控制方法
CN105157343B (zh) * 2015-09-30 2018-07-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N106247728A (zh) * 2016-07-29 2016-12-2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和冰箱
CN109373698B (zh) * 2018-11-05 2021-03-19 广州美的华凌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风机转速控制方法、冰箱及可读存储介质
CN111089449B (zh) * 2018-11-23 2020-10-0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及其制冷控制方法
KR20220084714A (ko) * 2020-12-14 202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E102021208479A1 (de) * 2021-08-04 2023-02-09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Verflüssiger-Ventilato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ältegeräts mit einem Verflüssiger-Ventilator
CN117190573A (zh) * 2022-05-30 2023-12-08 青岛海尔特种制冷电器有限公司 磁场保鲜冰箱及其制冷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755A (ko) * 1998-05-11 1999-12-06 윤종용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538175B1 (ko) * 1998-09-02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6109048A (en) * 1999-01-20 2000-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compressor with variable compression capacit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88B1 (ko) * 2002-12-30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773472B1 (ko) * 2005-09-13 2007-11-05 최철훈 조도에 따라서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냉장고
CN103411383A (zh) * 2013-08-30 2013-11-2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
KR20190106292A (ko) *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냉장고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WO2019205512A1 (zh) * 2018-04-26 2019-10-3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双温冷藏电器的温度控制方法及装置
CN113915931A (zh) * 2020-07-09 2022-01-1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食物存储期限提醒方法、装置、冷冻设备、服务器和介质
CN113280563A (zh) * 2021-05-27 2021-08-2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判断冰箱运行在白天或夜间的方法
CN113280563B (zh) * 2021-05-27 2022-05-1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判断冰箱运行在白天或夜间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0011957A (es) 2002-05-23
CN1357737A (zh) 2002-07-10
TR200003724A2 (tr) 2002-08-21
TW509777B (en) 2002-11-11
KR100389815B1 (ko) 2003-06-27
CN1163716C (zh)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815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JP3238916B2 (ja) インバータ冷蔵庫の運転速度可変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221881B1 (ko) 냉장고의 저소음 운전 제어 방법
KR19980054656A (ko) 에어커튼팬의 작동방법
KR100308529B1 (ko) 냉장고용에어커튼팬구동방법및그장치
WO2017104929A1 (ko) 냉장고, 냉장고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00038948A (ko) 인버터 냉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KR100400470B1 (ko) 냉장고의 팬 제어방법
KR100397558B1 (ko) 냉장고 고내 온도 제어 방법
KR2005005672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64559A (ko) 급속 냉동방법
KR100196943B1 (ko) 냉장고의 팬 회전속도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100300581B1 (ko) 냉난방사이클의 제어방법
KR100397559B1 (ko) 냉장고 고내 온도 제어 방법
KR100437391B1 (ko) 냉장고의 온도 제어방법
KR100421617B1 (ko) 전자식 냉장고의 저온 운전제어방법
KR20010103437A (ko)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
KR19990005705A (ko) 외기온도 감지기능이 구비된 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JPH1038440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0182584B1 (ko) 냉장고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7930B1 (ko) 인버터 에어컨의 압축기 제어 방법
KR100309425B1 (ko) 차량의경사로진입시에어컨디셔너제어방법
KR100237706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20040003703A (ko) 인버터 에어컨에서 압축기 주파수제어방법
KR100484971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