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706B1 -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706B1
KR100237706B1 KR1019970072785A KR19970072785A KR100237706B1 KR 100237706 B1 KR100237706 B1 KR 100237706B1 KR 1019970072785 A KR1019970072785 A KR 1019970072785A KR 19970072785 A KR19970072785 A KR 19970072785A KR 100237706 B1 KR100237706 B1 KR 100237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cooling fan
temperature
freezer compartmen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192A (ko
Inventor
김완용
김광일
김의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70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의 고내온도와 사전 설정된 고내설정온도로부터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차를 각각 산출하고,산출된 온도차에 따라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제어하여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조절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검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검출된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사전 설정된 냉동실의 온도변화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상기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 의해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한 다음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사전 설정된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 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상기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냉각팬의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하는 제 5단계;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의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6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온” 또는 “오프”상태로 구동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냉장실의 부하변동에 따라 냉동실 고내온도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냉장고의 고내온도와 설정온도 사이의 온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차에 따라 마이컴의 제어하에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구동제어한다. 특히, 2대의 증발기와 2대의 냉각팬을 구비한 냉장고 즉,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동실중발기와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장실증발기를 구비하고, 냉동실증발기와 냉장실증발기에 각각 설치되어 고내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냉동실냉각팬과 냉장실냉각팬를 구비하는 냉장고에서는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한 다음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하는 이른바, 순차제어방식에 따라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을 도 1a와 도 1b에 따라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은 내부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며, 이를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각각 검출한다(제 101단계). 이어,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즉, 냉동실의 고내설정온도(Tfs)와 냉동실의 허용오차온도(Tfh)의 합산값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제 102단계). 제 10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즉, 상기 냉동실의 고내설정온도(Tfs)와 상기 냉동실의 허용오차온도(Tfh)의 감산값 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제 103단계). 제 1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상기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으면 즉,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충분히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P)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정지”로 설정하고,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를 “정지”로 설정한다(제 104단계).
한편, 제 10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상기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보다 큰 경우에는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P)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하고, 상기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한다(제 105단계). 이어, 냉장실의 고내온도(Trp)가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즉,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Trs)와 냉장실의 허용오차온도(Trh)의 합산값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제 106단계). 제 106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즉,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Trs)와 상기 냉장실의 허용오차온도(Trh)의 감산값 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제 107단계). 제 10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으면 즉,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충분히 낮으면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를 “정지”로 설정한다(제 108단계). 한편, 제 106단계의 판단결과 냉장실의 고내온도(Trp)가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큰 경우에는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한다(제 109단계).
한편, 제 1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상기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지 않은 경우, 혹은 상기 제 10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 제 110단계로 진행한다. 또, 상기 제 104단계와 제 108단계 및 제 109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 110단계로 진행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10단계는 압축기(P)와 냉동실냉각팬(F1) 및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되었는 가를 판단한다. 제 110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와 냉동실냉각팬(F1) 및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되었는 가를 판단한다(제 111단계). 제 111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 모두 “정지”로 설정되었는 가를 판단한다(제 112단계). 제 112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 모두 “정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상태로 회귀하기 위해 리턴하는 반면에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 모두 “정지”로 설정된 경우에는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을 모두 “오프”시킨(제 113단계) 다음 리턴한다.
제 111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은 “온”시키고, 냉장실냉각팬을 “오프”시킨(제 114단계) 다음 리턴한다.
제 110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와 냉동실냉각팬(F1) 및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압축기 및 냉장실냉각팬을 모두 “온”시킨(제 115단계) 다음 리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은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우선적으로 제어하고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냉동실의 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하게 되므로,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냉동실의 온도변화구간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냉장실의 부하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하는 도중에 냉장실의 부하가 변화하는 경우 돌아오는 다음 차례의 냉장고 고내온도 제어루틴를 대기하여야 하는등 냉장고의 고내온도를 능률적으로 제어하는데 크게 미흡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적정온도이하를 만족하는 상태하에서 냉장실의 부하변동에 따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순환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20 : 응축기
25 : 송풍팬 30 : 냉장실증발기
35 : 냉장실냉각팬 40 : 팽창장치
50 : 냉동실증발기 55 : 냉동실냉각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의 고내온도와 사전 설정된 고내설정온도로부터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차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차에 따라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제어하여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조절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검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검출된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사전 설정된 냉동실의 온도변화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상기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 의해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한 다음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사전 설정된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 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상기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냉각팬의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하는 제 5단계;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의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6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온” 또는 “오프”상태로 구동하는 제 7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순환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20)로 공급하며, 응축기(20)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송풍기(25)에 의해 강제적으로 냉각시킨후 냉장실증발기(30)로 공급한다. 상기 냉장실증발기(30)는 상기 응축기(20)와 연통된 제 1배관과 냉동실증발기(50)와 연통된 제 2배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이 배설되어 있으며, 제 1배관을 통해 고온고암으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팽창장치(40)로 공급하며, 제 2배관을 통해 냉동실증발기(50)로부터의 냉매를 공급받는다. 상기 팽창장치(4)는 상기 냉장실증발기(30)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팽창시키고,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냉동실증발기(50)로 공급한다. 상기 냉동실증발기(50)는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공급받아 냉장실증발기(30)로 공급한다. 이때, 냉동실냉각팬(55)이 ‘온’되여 냉매와 냉동실 고내공기 사이에 열교환동작을 촉진한다. 상기 냉장실증발기(30)는 냉동실증발기(5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상기 압축기(10)로 공급한다. 이때, 냉장실냉각팬(35)이 ‘온’되여 냉매와 냉장실 고내공기 사이에 열교환동작을 촉진하게 된다. 냉동실증발기(50)와 냉장실증발기(30)에서 흡열된 냉매는 압축기(10)로 공급되고, 압축기(10)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20)로 다시 공급하는 순환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과정은 냉동냉장고에 냉장된 마이컴(미도시)이 냉동실 및 냉장실의 고내온도와 설정된 고내온도를 비교하고, 그 온도차에 따라 압축기(10)와 냉동실냉각팬(50) 및 냉장실냉각팬(30)을 온/오프제어하게 되는데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설정된 고내온도의 차이에 따라 냉장실냉각팬(35)과 냉동실냉각팬(55) 및 압축기(10)를 운전한다. 이때, 마이컴은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냉장실의 부하변동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냉동실냉각팬(35)를 구동시킨다. 이를 도 3a와 도 3b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이 내부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도중에 냉장실의 부하변동에 따라 냉장실냉각팬의 “온”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도 3a에서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각각 검출한다(제 201단계). 이어,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즉, 냉동실의 고내설정온도(Tfs)와 냉동실의 허용오차온도(Tfh)의 합산값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제 202단계). 제 20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즉, 상기 냉동실의 고내설정온도(Tfs)와 상기 냉동실의 허용오차온도(Tfh)의 감산값 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제 203단계). 제 2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상기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으면 즉,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충분히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P)에 대한 작동상태변수와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를 모두 “정지”로 설정한다(제 204단계). 이어,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Trs)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제 205단계). 제 2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Trs) 보다 큰 경우에는 냉장실팬(F2)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한다(제 206단계). 상기 제 2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지 않은 경우, 혹은 제 2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Trs)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제 212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제 20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Tfp)가 상기 냉동실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보다 큰 경우에는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P)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하고, 상기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한다(제 207단계). 이어, 냉장실의 고내온도(Trp)가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즉,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Trs)와 냉장실의 허용오차온도(Trh)의 합산값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제 208단계). 제 208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즉,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Trs)와 상기 냉장실의 허용오차온도(Trh)의 감산값 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제 209단계). 제 209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으면 즉,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충분히 낮으면 상기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를 “정지”로 설정한다(제 210단계).
한편, 제 208단계의 판단결과 냉장실의 고내온도(Trp)가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상한값 큰 경우에는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한다(제 211단계). 한편, 제 209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Trp)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지 않으면 제 2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 206단계와 제 210단계 및 제 211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 212단계로 진행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12단계는 압축기(P)와 냉동실냉각팬(F1) 및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운전”으로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제 212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와 냉동실냉각팬(F1) 및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되었는 가를 판단한다(제 213단계). 제 213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 모두 “정지”로 설정되고 냉장실냉각팬(F2)가 “운전”으로 설정되었는 가를 판단한다(제 214단계). 제 214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 모두 “정지”로 설정되고, 상기 냉장실냉각팬(F2)이 “운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냉각팬(F1)을 “오프”시키고 상기 냉장실냉각팬(F2)을 “온”시킨(제 215단계) 다음 리턴한다.
한편, 제 214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정지”로 설정되고 상기 냉장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운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냉각팬(F1)이 “정지”로 설정되고 상기 냉장실냉각팬(F2)이 “정지”로 설정된 것인 지를 판단한다(제 216단계). 제 216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냉동실냉각팬(F1)과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정지”로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리턴하는 반면에, 제 216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냉각팬(F1)과 냉장실냉각팬(F2)이 모두 “정지”로 설정된 경우에는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모두 “오프”시킨(제 217단계) 다음 리턴한다.
한편, 제 213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 및 냉동실냉각팬(F1)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F1)은 “온”시키고, 냉장실냉각팬(F2)을 “오프”시킨(제 218단계) 다음 리턴한다.
제 212단계의 판단결과 압축기(P)와 냉동실냉각팬(F1) 및 냉장실냉각팬(F2)의 작동상태변수가 모두 “운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압축기 및 냉장실냉각팬을 모두 “온”시킨(제 219단계) 다음 리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냉동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하는 도중에 냉장실의 부하가 변화하는 경우 신속하게 냉장실냉각팬을 구동시키므로 냉장실의 부하변동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소비전력을 절감함은 물론 냉장고의 정온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의 고내온도와 사전 설정된 고내설정온도로부터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차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차에 따라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제어하여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조절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검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검출된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사전 설정된 냉동실의 온도변화구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상기 온도변화구간의 하한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 의해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한 다음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사전 설정된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 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가 상기 냉장실의 고내설정온도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냉각팬의 작동상태변수를 설정하는 제 5단계;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의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6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 및 냉장실냉각팬을 “온” 또는 “오프”상태로 구동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압축기와 냉동실냉각팬에 대한 작동상태변수를 모두 “정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냉장실의 고내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냉장실냉각팬의 작동상태변수를 “운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1019970072785A 1997-12-23 1997-12-23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10023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785A KR100237706B1 (ko) 1997-12-23 1997-12-23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785A KR100237706B1 (ko) 1997-12-23 1997-12-23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192A KR19990053192A (ko) 1999-07-15
KR100237706B1 true KR100237706B1 (ko) 2000-01-15

Family

ID=1952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785A KR100237706B1 (ko) 1997-12-23 1997-12-23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348B (zh) * 2021-03-09 2023-12-22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192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7872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EP210256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operating in free cooling mode
US20070113567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19815A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11007244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140019594A (ko) 냉장고의 운전제어 방법
KR2015011848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308529B1 (ko) 냉장고용에어커튼팬구동방법및그장치
KR100237706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JP3884388B2 (ja) 冷蔵装置の温度制御方法及び冷蔵装置の運転制御装置
KR100400470B1 (ko) 냉장고의 팬 제어방법
CN1213274C (zh) 电子冰箱低温驱动控制方法
KR100229488B1 (ko) 독립냉각방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13048717B (zh) 制冷控制方法和冰箱
KR100252822B1 (ko) 인버터에어컨의압축기제어방법
KR100502310B1 (ko) 에어컨의 실외기 모터 제어를 위한 실내기 온도 프로그램로직 설정 방법
KR20030064559A (ko) 급속 냉동방법
KR20060035242A (ko) 저온 냉방 운전 영역에서의 실외기 팬모터 제어 방법
KR100237930B1 (ko) 인버터 에어컨의 압축기 제어 방법
KR100190127B1 (ko) 냉장고의 냉장실 온도제어방법 및 온도제어장치
KR20010103437A (ko)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
JPH08303920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20110048715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70081675A (ko) 냉장고
CN113819709A (zh) 系统控制方法、装置、冰箱、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