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943A - 전자 변압기 - Google Patents

전자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943A
KR20020029943A KR1020027002968A KR20027002968A KR20020029943A KR 20020029943 A KR20020029943 A KR 20020029943A KR 1020027002968 A KR1020027002968 A KR 1020027002968A KR 20027002968 A KR20027002968 A KR 20027002968A KR 20020029943 A KR20020029943 A KR 2002002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input
output
capacitor
induc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451B1 (ko
Inventor
우고 프란체스쿠티
펠릭스 프랑크
Original Assignee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타실로 다우너 ; 랄프 프레준 ; 요아힘 베르너
Publication of KR2002002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regulated and galvanically isolated DC output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회로와 출력 회로를 가지며, 자체의 변환기 기능에 추가로, 전력-성분 수정을 수행하는 전자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변압기는 변환기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전류 측정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따라서, 전자 스위치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회로가 다른 전위의 논리 접점(LM)과 전력 접점(PM)을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Description

전자 변압기{ELECTRONIC TRANSFORMER}
이와 같은 회로는 공지되어 있고 종래 기술에서, 예컨대, 전력을 100W까지 상승시키는 DC/DC 변환기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제어 회로는 PWM-IC의 형태이며, 전류와 전압을 모니터링하지만, 전자 스위치는 수직 전력 MOSFET(vertical power MOSFET)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은 세 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1a는 소위 BIFRED 변환기(Boost Integrated Flyback Rectifier Energy Storage DC/DC Converter)를 도시하고, 도 1b는 소위 BIBRED 변환기(Boost Integrated Buck Rectifier Energy Storage DC/DC Converter)를 도시하며 도 1c는 소위 PFC 귀선 변환기(PFC = Power Factor Correction)를 도시한다.
2001년부터, 모든 광 장치의 메인 전류 고조파(mains current harmonics)는 IEC1000-3-2에 적합해야 한다. 소위 PFC 회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메인에서 나온 전류가 메인 전압에 비례한다면, 전류 PFC가 바람직하다. 도 1a내지 1c에 도시된 회로는 단지 고차 싱글엔드 변환기이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입력측상에 이 회로에 연결된 추가의 PFC 회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먼저, 도 1a 내지 도 1c의 회로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경우에, BIFRED 및 BIBRED 변환기의 입력측은 이러한 경우에 다음과 같이 동일하게 구성된다: 적어도 DC 전압 성분을 갖는 입력 전압(UE)은 두 개의 입력 단자 사이에 공급된다. 제 1 입력 단자에는 다이오드(D1)와 인덕턴스(L1)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병렬 회로가 인덕턴스(L1) 다음에 있는 제 1 접점(VP1)과 제 2 접점(VP2) 사이에 배치되고, 이러한 병렬 회로중 하나의 브랜치는 전자 스위치(S1)와 병렬 저항(RS)으로부터 형성된 직렬 회로를 포함한다. 제 2 병렬 브랜치는 커패시터(C1)와 인덕턴스(L2)를 포함한다. 병렬 저항(RS)는 부하 전류에 대략 비례하고, 스위치(S1)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ST)에 공급되는 전압(US)의 형태에 부합하는 변수를 결정한다. RS 를 통과하는 전류가 특정값보다 크다면, 스위치는 자체의 회로와 2차측에 연결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다. 도 1a에 도시된 BIFRED 변환기는, 2차측상의 인덕턴스(L3)를 포함하며, 인덕턴스(L2)와 함께 2-권선 저장 코일을 형성한다. 다이오드(D2)는 인덕턴스(L3)와 직렬로 배치된다.전압(UA)은 출력 단자에서 발생되고, 커패시터(C2)는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된다.
도 1b에 도시된 BIBRED 변환기는, 2차측상의 인덕턴스(L3)를 포함하며, 인덕턴스(L2)와 함께 순 AC 변압기(pure AC transformer)를 형성한다. 커패시터(C2)는 인덕턴스(L3)와 직렬로 배치되고, 이렇게 형성된 직렬회로는 다이오드(D2)와 병렬이 된다. 다음으로, 이렇게 형성된 병렬 회로는 인덕턴스(L4)와 직렬로 배치된다. 커패시터(C3)는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단자에서 출력 전압(UA)이 발생된다.
마찬가지로 도 1c에 도시된 PFC 귀선 변환기는 두 개의 입력 단자에 의해 형성된 입력부를 포함하고, 전압(UE)가 입력부에 공급된다. 하나의 입력 단자에 다이오드(D1)와 인덕턴스(L1)가 연결된다. D1 과 L1 사이의 접점은 선택적으로 커패시터(C1)를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인덕턴스(L1)에는 다이오드(D2)와 인덕턴스(L2)로 형성된 직렬 회로와, 커패시터(C2)가 각각 연결된다. D2 와 L2 사이의 접점은 커패시터(C3)를 통해 접지된다. 또한 다이오드(D4)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접점에 연결될 수 있고 다이오드(D4)의 제 2 연결부는 다이오드(D1)과 인덕턴스(L1) 사이의 접점에 연결된다. L2 과 C2 사이의 접점은 스위치(S1)와 병렬 저항(RS)을 통해 접지된다. 병렬 저항(RS) 양단에서 강하되는 전압(US)은 제어 회로(ST)의 입력 신호로서 사용되고, 다음에 스위치(S1)를 제어한다. PFC 귀선 변환기는 인덕턴스(L2)와 함께, 2-권선 저장 코일을 형성하는 2차측상의 인덕턴스(L3)를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다이오드(D3)와 커패시터(C4)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되고, 커패시터(C4)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은 출력 전압(UA)로서 탭 오프(tap-off)된다. 선택적으로, 또한 2차측은 도 1b의 2차측과 같은 방식으로 설계(도시안됨)될 수 있다. 각각의 접지는 도 1a 내지 도 1c에서 M으로 표기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PFC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이것은 커패시터(C), 인덕턴스(L), 및 스위치(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도성 커플링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는 입력 회로 및 출력 회로를 갖는 전자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출력 회로는 양단에 출력 전압이 발생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입력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DC 전압 성분을 포함하는 전압원과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 제 1 입력 단자와 유도성 커플링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며 인덕턴스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데,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 사이의 접점은 전자 스위치를 통해 제 2 입력 단자에 연결되며, 인덕턴스는 접점과 제 1 입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커패시터는 접점과 유도성 커플링 사이에 배치되는 직렬회로; 제 2 입력 단자와 유도성 커플링의 제 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센서 저항; 및 적어도 출력 전압과 센서 저항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이 입력신호로서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호간에 유도성 커플링을 통해 연결되는 입력 회로와 출력 회로를 갖는 전자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출력 회로는 양단에 출력 전압을 발생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를 가지며, 입력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DC 전압 성분을 갖는 전압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 제 2 입력 단자와 센서 저항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포함하는데,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 사이의 접점은 다이오드를 통해 유도성 커플링의 제 2 연결부에 연결되고, 센서 저항의 제 2 연결부는 유도성 커플링의 제 1 연결부에 연결되며, 인덕턴스는 접점과 제 2 입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커패시터는 접점과 센서 저항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직렬 회로; 제 1 입력 단자와 센서 저항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전자 스위치; 제 1 입력 단자와 유도성 커플링의 제 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저장 커패시터; 적어도 출력 전압과 센서 저항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이 입력신호로서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변환기는 저전압 백열전구와,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반도체 등의 동작에 적합하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소위 BIFRED 변환기를 도시한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소위 BIBRED 변환기를 도시한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소위 PFC 귀선 변환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PFC 회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는 공지된 BIFRED 회로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변환기를 도시한다.;
도 3b-e는 다른 전류 경로가 강조된 도 3a의 변환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f는 BIBRED 회로에 기초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변환기를 도시한다;
도 3g는 PFC 귀선 회로에 기초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변환기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회로배치에 대한 전류 IL1, IS1및 ID2의 시간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FC를 구비하는 전자 변환기를 형성하기 위해, PFC를 구비하지 않은 전자 변환기와 비교하여 추가의 제어 또는 추가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은 전자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를 갖는 전자 변환기와 청구항 제 8 항의 특징부를 갖는 전자 변환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서로로부터 한 편으로는 제어 회로의 기준 전위를 다른 한 편으로는 PFC의 기준 전위를 절연시키는 사상에 기초한다.
각각의 형상은 전류 측정 센서(병렬 저항,RS)가 1차측과 직렬로만 부하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경우에, PFC는 양(positive)의 방향으로 향하거나 및/또는 제어회로가 높은-주파수 전위에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 전류 측정은 PFC로부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저역 스너버(일반적으로 조절된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제어 회로의 기준 전위는 스위치가 스위칭온일 때, 그리고 특히, 스위치가 전력 트랜지스터일 경우, 양(positive)의 측정 신호가 제어 회로의 전류 측정 입력부에 공급되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에, 부하의 1차측 시퀀스, 제어 회로의 기준 전위 그리고 전류 측정 센서가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의 기준 전위는 전류 측정 센서와 부하의 1차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변형에서, 전류 측정 센서는 다이오드, 특히 쇼트키 다이오드에 의해 어떠한 음(negative)의 신호도 제어 회로의 전류 측정 입력부에 공급될 수 없는 방식으로 브릿지된다.
이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점이 종속항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변환기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변환기 회로에 기초하고, 대응하는 부품은 대응하는 참조 기호로 표기되며, 따라서 이것은 한 번 설명된 후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분리된 논리 접지(LM)와 분리된 전력 접지(PM)를 갖는 각각의 회로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전자 변환기에서 실행된다.
도 3a와 도 3f에 도시된 회로 변형에서, 이러한 경우에 전류 측정 센서에 따라 수행하는 센서 저항(RS)과 유도성 커플링(L2)의 제 2 연결부 사이의 접점은 논리 접지(LM)에 연결되지만, 제 2 입력 단자는 전력 접지(PM)에 연결된다. 도 3g에 도시된 전자 변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센서 저항(RS)과 유도성 커플링(L2)의 제 1 연결부 사이의 접점이 논리 접지(LM) 사이에 연결되지만, 제 1 입력 단자는 전력 접지(PM) 사이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회로 측정 수단은 각각의 변환기가 자체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PFC의 기능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도 3b 내지 3e 그리고 도 4와 함께 도 3a에 도시된 회로 배치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류(IL1및 IM)의 경로가 도 3b 내지 3e에서 강조된다. 도 4에서, 인덕턴스(L1)를 통과하는 전류(IL1), 스위치(S1)를 통과하는 전류(IS1), 다이오드(D2)를 통과하는 전류(ID2) 그리고 IM의 시간 프로파일이 시간에 대하여 도시되어있다. 일 주기가 시간(0)에서 (T)까지 이다. 이러한 경우에, 도 4에서 전류(IL1)의 시간 프로파일은 도 3b와 도 3d(1차측 회로만 해당)의 강조된 전류 경로에 해당하고, 전류(IS1)의 시간 프로파일은 도 3b와 3c의 강조된 전류 경로에 해당하며, 그리고 전류(ID2)의 시간 프로파일은 도 3d(2차측 회로만 해당)와 3e의 강조된 전류 경로에 해당한다.
시간(0) 내지 시간(t)는 다음과 같이 한정된다:
시간(0): 스위치(S1) 온
시간주기(0-t1): S1 및 D1 온
UL1=┃UE┃; UM=UC1; 전류(IL1)와 (IM)이 (S1)에서 합쳐짐.
시간(t1): 스위치(S1) 오프
시간주기(t1-t2): D1 및 D2 온
UL1=┃UE┃-UC1-UA; UM=-UA; 변압기 동작에 의해 전송된 전류(IL1)와 저장된 전류(IM)가 D2 에서 합쳐짐.
시간(t2): D1 이 스위칭 오프
시간주기(t2-t3): D2 온
UL1=0; UM=-UA
시간(t3): D2 가 스위칭 오프
시간주기(t3-T): 정지 위상; 전류가 흐르지 않음; 일시정지 동작을 표시.
검증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정함: UA=일정; UC1=일정.
추가로: UA< UC1. 인덕턴스 커플링의 권수비는 1:1이다.
메인 전압의 반주기 내에서 관계와 일시 동작동안의 관계는 각각의 경우에 다음과 같다:
시간(t2)에서 IL1=0 이기 때문에,
이고; 유사하게
이다.
제 1 근사값은 다음과 같다:
┃IE┃~┃UE┃ 및 ┃IE┃~ t1 2
여기서┃IE┃~┃UE┃ 그 자체는 회로가 실제의 변환기 기능에 추가하여 PFC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출력 전류(IA)가 입력 전류(IE)에 비례하는 것을 도시할 수 있다면, 이것은 회로가 PFC 기능에도 불구하고 자체의 변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키는 것이다.
한편, t ≤t1이라면:
이고;
t > t1이라면:
이다.
시간(t3)에서 IM은 0이기 때문에, 이것은
을 의미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이다.
한편:
이다.
이것으로부터
IA~t1 2및 IA~┃IE┃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환기 내의 에너지 균형은 올바르게 되고, 높은 효율이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유도성 커플링은 또한 단일 코일에 의해 제공되고, 단일 코일의 제 1 연결부에서 1차측의 제 1 연결부는 유도성 커플링의 2차측의 제 1 연결부에 연결되며, 단일 코일의 제 2 연결부에서 1차측의 제 2 연결부는 유도성 커플링 2차측의 제 2 연결부에 연결된다.

Claims (15)

  1. 유도성 커플링(L2,L3)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된 입력 회로 및 출력 회로를 가지며,
    상기 출력 회로는:
    - 양단에 출력 전압(UA)이 발생되는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회로는:
    - 적어도 하나의 DC 전압 성분을 갖는 전압원(UE)과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
    - 상기 제 1 입력 단자와 상기 유도성 커플링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인덕턴스(L1)와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덕턴스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VP1)은 전자 스위치(S1)를 통해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인덕턴스(L1)는 상기 접점(VP1)과 상기 제 1 입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커패시터(C1)는 상기 접점(VP1)과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 사이에 배치되는 직렬 회로;
    - 상기 제 2 입력 단자와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의 제 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센서 저항(RS); 및
    - 적어도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센서 저항(RS) 양단에서 강하된전압(US)이 입력 신호로서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S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어 회로(ST)를 구비한, 전자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저항(RS)과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 제 2 연결부 사이의 접점(VP2)은 논리 접지(LM)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입력 단자는 전력 접지(PM)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 접지와 상기 논리 접지는 다른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오드(D1)는 상기 제 1 입력 단자와 상기 인덕턴스(L1)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은 저장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은 AC 변압기를 가지며, 상기 AC 변압기의 1차측(L2)은 상기 입력 회로의 일부분이고, 상기 AC 변압기의 2차측(L3)은 상기 출력 회로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C 변압기의 2차측(L3)과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직렬 회로는 출력 다이오드(D2)와 병렬로 배치된 병렬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커패시터(C2)와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회로는 인덕턴스(L4)와 직렬로 배치된 직렬 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직렬 회로는 상기 출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2 커패시터(C3)와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8. 상호간에 유도성 커플링을 통해 연결된 입력 회로 및 출력 회로를 가지며,
    상기 출력 회로는:
    - 양단에 출력 전압(UA)이 발생되는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회로는:
    - 적어도 하나의 DC 전압 성분을 갖는 전압원(UE)과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
    - 상기 제 2 입력 단자와 센서 저항(RS)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인덕턴스(L1)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덕턴스(L1)와 상기 커패시터(C1) 사이의 접점은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의 제2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 저항(RS)의 제 2 연결부는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의 제 1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덕턴스(L1)는 상기 접점과 상기 제 2 입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C2)는 상기 접점과 상기 센서 저항(RS)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직렬 회로;
    - 상기 제 1 입력 단자와 상기 센서 저항(RS)의 제 1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전자 스위치(S1);
    - 상기 제 1 입력 단자와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의 제 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저장 커패시터(C3); 및
    - 적어도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센서 저항(RS)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US)이 입력 신호로서 공급되며, 공급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S1)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제어 회로(ST)를 구비한, 전자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저항(RS)과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의 제 1 연결부 사이의 접점은 논리 접지(LM)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는 전력 접지(PM)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 접지와 논리 접지는 다른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입력 다이오드(D1)는 상기 인덕턴스(L1)와 상기 제 2 입력 단자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다이오드(D1)와 상기 인덕턴스(L1) 사이의 접점은 커패시터(C1)를 통해 상기 제 1 입력 단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다이오드(D1)와 상기 인덕턴스(L1) 사이의 접점은 제 2 입력 다이오드(D4)를 통해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의 제 2 연결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은 저장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커플링(L2,L3)은 AC 변압기를 가지며, 상기 AC 변압기의 1차측(L2)은 상기 입력 회로의 일부분이 되고, 상기 AC 변압기의 2차측(L3)은 상기 출력 회로의 일부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커패시터(C4)와, 상기 저장 코일(L3) 및 출력 다이오드(D3)로 형성된 직렬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병렬 회로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가 상기 센서 저항(RS)과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KR1020027002968A 2000-07-06 2001-06-27 전자 변압기 KR100824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2043A DE10032043A1 (de) 2000-07-06 2000-07-06 Elektronischer Wandler
DE10032043.0 2000-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943A true KR20020029943A (ko) 2002-04-20
KR100824451B1 KR100824451B1 (ko) 2008-04-22

Family

ID=764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968A KR100824451B1 (ko) 2000-07-06 2001-06-27 전자 변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00667B2 (ko)
EP (1) EP1297614B1 (ko)
KR (1) KR100824451B1 (ko)
CN (1) CN1280975C (ko)
AU (1) AU775252B2 (ko)
DE (1) DE10032043A1 (ko)
TW (1) TWI223491B (ko)
WO (1) WO2002003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1222C (zh) * 2004-11-05 2007-10-03 华中科技大学 一种电能质量调节器
US7535734B2 (en) * 2006-10-19 2009-05-19 Heng-Yi Li High power-factor AC/DC converter with parallel power processing
US20080285319A1 (en) * 2007-05-18 2008-11-20 Deisch Cecil W Method and apparatus achieving a high power factor with a flyback transformer
US8060218B2 (en) 2007-08-02 2011-11-15 Synecor, Llc Inductive element for intravascular implantable devices
US8004210B2 (en) * 2008-05-28 2011-08-23 Harmgardt Hans L G LED replacement for low voltage lamps
US7812550B2 (en) * 2008-05-28 2010-10-12 Revlite Technologies Inc. LED replacement for low voltage lamps
TW201032448A (en) * 2009-02-23 2010-09-01 Delta Electronics Inc Power conversion circuit capable of distributing input current
EP3150025B1 (en) * 2014-05-30 2018-03-14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river for driving a load
WO2017198512A1 (en) * 2016-05-16 2017-11-2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A bifred converter and a method of driving an output lo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702587A (en) 1986-07-15 1988-02-10 Combustion Electromagnetics Inc. Dc to dc converter current pump
US4837495A (en) * 1987-10-13 1989-06-06 Astec U.S.A. (Hk) Limited Current mode converter with controlled slope compensation
WO1996008073A1 (fr) * 1994-09-05 1996-03-14 Tdk Corporation Alimentation electrique a facteur de puissance ameliore
US5790389A (en) * 1996-05-31 1998-08-04 Virginia Power Technologies, Inc. Consolidated soft-switching AC/DC converters
US5959849A (en) * 1997-06-23 1999-09-28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Single-switch AC/DC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PF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46901A (en) 2002-01-14
KR100824451B1 (ko) 2008-04-22
AU775252B2 (en) 2004-07-22
US20020154521A1 (en) 2002-10-24
CN1386316A (zh) 2002-12-18
TWI223491B (en) 2004-11-01
DE10032043A1 (de) 2002-01-17
WO2002003536A1 (de) 2002-01-10
EP1297614A1 (de) 2003-04-02
US6600667B2 (en) 2003-07-29
EP1297614B1 (de) 2012-05-30
CN1280975C (zh)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9604B2 (en) Power feedback power factor correction scheme for multiple lamp operation
US8063577B2 (en) Method and a driver circuit for LED operation
US8390209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version of an input AC voltage to a DC voltage, retrofit lamp having a circuit arrangement such as this, as well as a lighting system
US20200014245A1 (en) Single-stage transmitt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CN105305848A (zh) 操作在边界导通模式中的无桥式升压pfc变换器的升压电感消磁检测
JP4152745B2 (ja) 多レベル入力ラインの力率修正用の切り換え可能な電力変換装置
TWI580303B (zh) 具有調光偵測的發光二極體驅動器系統
CN102318173A (zh) 用于发光装置的电子镇流器的功率因数校正电路
CN208959336U (zh) 用于驱动led装置的驱动器电路和led电路
JPH11507176A (ja) 力率補正機能を有する単一スイッチ・バラスト
CN111082685A (zh) 电力变换装置
US20050237771A1 (en) Circuit for converting an AC voltage to a DC voltage
KR20020029943A (ko) 전자 변압기
EP3503366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KR101092218B1 (ko) 간단한 구조의 전류원을 이용한 led 구동회로
US10742118B2 (en) Quasi-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dynamic switching losses
KR100420964B1 (ko)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US7394207B2 (en) Circuit arrangement having a full bridge with switching load relief for operating lamps
US7061190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lamps
KR100420962B1 (ko) 고역률 하프 브리지형 컨버터
Dos Santos et al. A charge-pump led driver with PFC and low-frequency-flicker reduction
JP2004519818A (ja) 回路装置
KR20030023372A (ko) 전자식 안정기의 전력공급회로
US20100289334A1 (en) Inverter
JP3931591B2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