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179A -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 Google Patents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179A
KR20020029179A KR1020000059992A KR20000059992A KR20020029179A KR 20020029179 A KR20020029179 A KR 20020029179A KR 1020000059992 A KR1020000059992 A KR 1020000059992A KR 20000059992 A KR20000059992 A KR 20000059992A KR 20020029179 A KR20020029179 A KR 2002002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or
separator
condensate collector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철현
김순선
Original Assignee
신영균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균,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균
Priority to KR102000005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9179A/ko
Publication of KR2002002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4Dr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8Centrifuge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gaseous m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20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과 같은 외부와 격리되어 있는 선박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콤프레서에서 배출되는 응축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응축수와 분리시킬 수 있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콤프레서에서 배출된 공기를 수집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10),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분배기(20), 상기 분배기(20)를 통과한 공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분과 수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체(40),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수집기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 흐름 조절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Condensing water collector in compressor}
본 발명은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잠수함과 같은 외부와 격리되어 있는 선박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콤프레서에서 배출되는 응축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응축수와 분리시킬 수 있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사용되는 에어 콤프레서에서는 공기를 압축할 때 다량의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수분에는 기기의 동작에 필수적인 오일등이 혼합되게 된다. 일반적인 선박에서는 에어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나, 잠수함과 같이 외부와 격리되어 있는 선박의 경우에는 에어 콤프레서 작동시 발생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고, 계속 선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함내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함내부의 공기 오염은 승무원의 건강과 직결되어 유사시 작전 능력에도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는 일반 해수와 다른 오염물질에 의해 함선의 위치가 쉽게 판별될 수 있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잠수함과 같이 밀폐된 선박에 설치된 에어 콤프레서의 동작중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응축수를 응축수와 오염물질로 분리할 수 있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는 외부의 콤프레서에서 배출된 공기를 수집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공기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를 통과한 공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분과 수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체,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수집기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 흐름 조절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에서 사용하는 분리판의 일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 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에서 사용하는 분배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에서 사용하는 공기 흐름 조절판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유입관 20 : 분리체
40 : 분리체 60 : 공기 흐름 조절판
70 : 출구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가 외부의 콤프레서에서 배출된 공기를 수집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10),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분배기(20), 상기 분배기(20)를 통과한 공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분과 수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체(40),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수집기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 흐름 조절판(6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에서 사용하는 분리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원추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분리체(40)가 수집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분리체(40)는 상부 분리체(44)와 하부 분리체(5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 분리체(44)와 하부 분리체(50)는 서로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하부 분리체(50)는 상부 분리체(44)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하부 분리체(50)와 상부 분리체(44)가 서로 결합될 때 각각의 원추형 몸체의 장변이 서로 맞닿도록 한다.
또한, 최하부에 설치되는 분리체는 하부 분리체(50)가 없이 상부 분리체(44)가 단독으로 설치된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에서 사용하는 분배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에서 사용하는 분배기의 제 2 몸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해 분배기(20)는 일측에 중심축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제 2 홀(3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분배기(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추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몸체(24)와 상기 제 1 몸체(24)의 내측에 형성된 원추 형태의 공간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의 제 2 몸체(3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제 1 몸체(24)의 원추 형태의 공간의 측면부와 평행하게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제 1 홀(26)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몸체(24)와 제 2 몸체(30)는 서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에서 사용하는 공기 흐름 조절판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원형으로 형성된 공기 흐름 조절판(6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68)이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공기 흐름 조절판(60)은 응축수 수집기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의 조절판은 간격 조절링(64)에 의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공기 흐름 조절판(60)에 형성되는 홀(68)은 최하부에 설치된 조절판(60)에서 가장 작고, 상부에 설치된 조절판(60)으로 갈수록 홀(68)의 크기는 커지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 흐름 조절판(60)의 홀(68)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로 갈수록 압력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 콤프레서에서 방출되는 공기는 유입관(1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수집기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콤프레서에서 방출되는 공기이기 때문에 일정한 양의 유분과 수분이 함유되어 있고,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공기중의 수분은 액화된다.
유입관(10)은 수집기 내부에 설치된 분배기(20)의 상부로 연결되어 있고, 유입관(10)을 통과한 공기는 분배기(20)의 상부 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홀(26)을 통해 분리체(40)의 측면으로 유입된다.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 나선 형태의 구조물()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분리체(4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분리체(40)이 회전하면서 유분을 포함한 공기가 분리체(40)의 구조물()과 충돌하게 되고 충돌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응집기()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분리체(40)중 최하부에 형성된 분리 공간에 도달된 공기는 분리공간에서 이동된 공기는 유분을 포함한 수분과 공기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분은 하부의 수거 공간에 모여지고, 공기는 분리기()의 안쪽 공간을 통해 제 2 홀(32)을 지나게 된다.
제 2 홀(32)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 흐름 조절판(60)의 하부로 유입된다. 공기 흐름 조절판(60)을 구성하는 각각의 판에는 다수의 홀(68)이 형성되어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지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판에 형성된 홀(68)은 하부에 설치되는 조절판에 형성된 홀(68)의 지름보다 크도록 하여 각각의 홀(68)을 통과한 공기는 점차 부피가 팽창하면서 부피가 팽창하면서 압력이 약화된다. 공기의 압력이 약화되기 때문에 외부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도 적어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공기 흐름 조절판(60)은 간격 조절링(64)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홀(68)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모든 공기 흐름 조절판(60)을 통과한 공기는 출구관(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시에는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될 때보다 압력이 크게 낮아져 있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콤프레서에서 방출되는 유분을 포함하는 압축 공기를 본 발명에 따른 수집기에 유입시키게 되면 내부의 회전에 의해 유분과 공기를 분리시킬 있어 유분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에어 콤프레서에서 고압의 공기가 방출될 경우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외부의 콤프레서에서 배출된 공기를 수집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10),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분배기(20), 상기 분배기(20)를 통과한 공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분과 수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체(40),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수집기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 흐름 조절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2. 상기 분배기(20)는 일측에 중심축과 평행하게 제 2 홀(3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분배기(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추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몸체(24)와 상기 제 1 몸체(24)의 내측에 형성된 원추 형태의 공간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의 제 2 몸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24)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제 1 홀(26)이 원추 형태의 공간의 측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체(40)는 원추 형태로 형성된 상부 분리체(44)와 하부 분리체(5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리체(44)와 하부 분리체(50)는 각각의 원추형 몸체의 장변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6. 제 4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리체(50)는 상부 분리체(44)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7. 제 4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분리체(40)와 하부 분리체(50)는 서로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 조절판(60)은 조절판(60)각각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절링(6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9. 상기 공기 흐름 조절판(6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6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10. 상기 홀(68)의 지름은 최하부에 설치된 조절판(60)에서 가장 작고, 상부에 설치된 조절판(60)으로 갈수록 홀(68)의 지름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KR1020000059992A 2000-10-12 2000-10-12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KR20020029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92A KR20020029179A (ko) 2000-10-12 2000-10-12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92A KR20020029179A (ko) 2000-10-12 2000-10-12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79A true KR20020029179A (ko) 2002-04-18

Family

ID=1969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992A KR20020029179A (ko) 2000-10-12 2000-10-12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91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448A (ko) * 2002-06-28 2004-01-07 부국환경 주식회사 수증기의 응축 장치
KR20040046536A (ko) * 2002-11-27 2004-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448A (ko) * 2002-06-28 2004-01-07 부국환경 주식회사 수증기의 응축 장치
KR20040046536A (ko) * 2002-11-27 2004-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437B2 (en) Vertically arranged separator for separating liquid from a gas flow
EP1453609B1 (en) Axial demisting cyclone
US20190030546A1 (en) Inlet Device For Gravity Separator
EP2136137B1 (en) Steam/water conical cyclone separator
US20160008741A1 (en) Fluid separator
US4187089A (en) Horizontal vapor-liquid separator
AU2002339764A1 (en) Axial demisting cyclone
US4755194A (en) Method for introducing a mixture of gas and liquid into a separator vessel
EA03948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ов и воды
JP2011500320A (ja) 気流中における液滴分離装置
EP2183042B1 (en) Liquid separator
US5033915A (en) Low pressure drop steam/water conical cyclone separator
KR20020029179A (ko) 콤프레서의 응축수 수집기
JPH11147014A (ja) 流速可変の気液分離器
CN108465301A (zh) 气体压缩机组合式旋风折流大口径气液复分离装置
RU2293595C1 (ru) Сепаратор
JPH0566163B2 (ko)
US11850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separate and condition multiphase flow
SU1655539A1 (ru) Сепаратор
JPH09220421A (ja) 旋回式気液分離装置
JP2002085924A (ja) 気液分離器
RU2147913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сепаратор
RU2770379C1 (ru) Аппарат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CA2583076A1 (en) A system for separating an entrained liquid component from a gas stream
SU1766526A1 (ru) Цикл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