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650A -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650A
KR20020027650A KR1020027003397A KR20027003397A KR20020027650A KR 20020027650 A KR20020027650 A KR 20020027650A KR 1020027003397 A KR1020027003397 A KR 1020027003397A KR 20027003397 A KR20027003397 A KR 20027003397A KR 20020027650 A KR20020027650 A KR 20020027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bsorbent member
members
artic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셉 디팔마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397,305 external-priority patent/US6264776B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396,716 external-priority patent/US6689933B1/en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20020027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by depositing continuous layers of fibrous material between webs, e.g. wrapping layers of fibrou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65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three-dimensional; with split absorbent core
    • A61F2013/45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three-dimensional; with split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core in separated 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재가 그의 수직 높이를 따라서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고, 수직으로 배치된 표면 계면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또한, 흡수부재를 인접 배치시키고 특수한 소정의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를 갖도록 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흡수 구조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Absorbent Article Having Vertically Orientated Absorbent Members and Method for Forming}
여러가지 체액 및 분비물을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흡수용품(특히, 일회용 흡수용품)에 또는 흡수용품(특히, 일회용 흡수용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광범위하게 다양한 유형의 구조체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시판되고 있는 흡수용품은 기저귀, 성인용 실금용품, 생리대 및 붕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일회용품은 일반적으로 유체를 수용하는 성분, 흡수하는 성분 및 보유하는 성분을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흡수용품의 성분들은 액체 투과성 톱시트(topsheet), 흡수코어 및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backsheet)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흡수용품의 성분들은 흔히 유체 흡입 영역, 예를들면 착용자 몸쪽에 향하는 평면상(planar) 주표면과 수평방식으로 플라잉(plying) 또는 배열된다.이러한 흡수용품에서 그를 통한 유체 소통의 본질 또는 성질은 이 유체가 수평 플라이 또는 플라이들을 통해 횡단할 때 변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변할 것이다. 따라서,이러한 흡수용품은 성분들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수평 의존성을 경험할 수 있다. 게다가, 통례적으로 흡수코어를 구성하는 섬유들은 측면으로 이웃하는 배열의 매트 내의 섬유들과 랜덤하게 배향되어 유체 흡입이 대표적으로 방사상 방식 또는 패턴으로 위킹된다.
흡수용품 개발에 있어서 주요 목표 중의 하나는 흡수용품의 흡수용량의 이용율을 증가, 개선 또는 최대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형의 제품들은 톱시트 위에 침착된 액체를 원형 패턴으로 분배시키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구조체들은 일반적으로 폭보다 길이의 치수가 더 크기 때문에, 이러한 액체 분배는 유체, 예를들면 분비물이 흡수용품의 말단부 영역의 흡수용량을 바람직하게 이용하기도 전에 흡수용품의 세로방향 측변 에지에 도달하는 바람직하지않은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인식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사건의 발생은 흡수용품의 말단부 영역의 전혀 이용되지않은 또는 덜 이용된 흡수용량을 이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지않게 흡수용품의 측변으로부터의 누출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흡수용품은 그것이 이용되는 환경에 고유적인 또는 관련된 요인으로 인해 그와 같은 광범위한 상태 및 적용 하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그에 의해 흡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유체 및 분비물은 유속 뿐만 아니라 형태, 상 또는 조성을 포함하여 그러한 성질 또는 파라미터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비물은 예를들면 적혈구, 점액, 혈장 및 조직 파편을 포함할 수 있는 월경분비물의 경우와같이 다상이고 이(異)성분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생리대(또한 월경 패드라고도 부름), 여성용 패드, 오버나이트 패드, 팬티 라이너 및 팬티 실드(shield)는 월경기간 전, 월경기간 동안 및 월경기간 후에 배출되는 월경분비물 및 다른 체액을 흡수시키기 위해 여성 착용용으로 의도된 것이다. 생리대는 인체의 외음부 근처에 정렬되도록 의도되고, 일반적으로 접착제에 의해 또는 기계적으로 언더가먼트에 부착됨으로써 제자리에 고정되는 외부 장치이다. 또한, 생리대는 대표적으로 몇가지 주목할만한 점에서 팬티 라이너 및 팬티 실드와 다르다. 일반적으로, 생리대가 팬티 라이너 또는 팬티 실드보다 크기가 더 크고, 더 한정된 3차원 형상을 가지며, 캘리퍼가 더 두껍고, 더 큰 유체 용량을 가진다.
착용자에게 증가된 편안함을 제공하고 외관상 이러한 흡수용품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요망이 있다는 점에 비추어, 더 작거나 또는 벌크가 더 작은 흡수용품에 대한 지속된 요구 및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흡수용량을 더 완전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이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있는 광범위한 실시 및 수행 상태에 대해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응할 수 있는 개선된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에 대한 필요성 및 요구가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체액 및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개선된 누출 방지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를 갖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관련 흡수용품, 뿐만 아니라 그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으로 말해서 개선된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같은 흡수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 흡수패드 어셈블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흡수패드 어셈블리는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적어도 제1 및 제2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흡수부재는 각각 수직 높이를 갖는다. 제1 및 제2 흡수부재는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서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하고,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그들 사이에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선행기술은 흡수용품의 흡수용량을 요망할 수 있는 만큼 완전히 또는 충분히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선행기술은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이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있는 광범위한 실시 및 수행 조건에 응할 수 있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을 제공하지 못하고, 요망할 수 있는 만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응하지 못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특수 흡수용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이러한 흡수용품은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흡수패드 어셈블리는 각각 수직 높이를 가지고 대체로 평면상인 적어도 제1, 제2 및 제3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및 제2 흡수부재는 화학 조성이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흡수부재는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서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제1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형성한다. 제2 및 제3 흡수부재는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서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제2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접촉 표면을 갖는 흡수용품을 포함한다. 흡수용품은 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패드 어셈블리는 인접하는 불연속적이고 흡수성이 상이한 적어도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흡수부재는 접촉 표면에 대해 대체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또는 접촉 표면에 대해 대체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표면 계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이러한 및 유사한 흡수 구조체를 형성하는 특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 중 한 방법은 적어도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인접해서 배치하고,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각각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가 약 10:1 이하가 되도록 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흡수패드 어셈블리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수평으로 층상배치하고, 수평으로 층상배치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수직으로 재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액체 침투성 커버,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 및 커버와 백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에 의한 유체 처리 개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적어도 제1 및 제2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부재는 각각 수직 높이를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부재는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고,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흡수용품의 특정 형태는 생리대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흡수용품(들)"이라는 용어는 소변, 월경분비물, 혈액, 땀, 및 체내에서 배출되는 다른 배설물과 같은 체액 및 분비물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는 기저귀, 생리대, 용변연습용 속팬츠, 실금용 가먼트, 오버나이트 패드, 팬티 라이너, 겨드랑이 밑에 받치는 실드 등과 같은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게다가, 본원 명세서에서 흡수부재가 "수직 배향된"이라는 용어는 흡수부재의 일반적인 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고, 일반적으로 흡수용품 자체의 인체 접촉 표면 또는 인체 접촉면에 대한 관계이다.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는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가 약 10:1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이하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인접 흡수부재들이 "불연속"이라는 용어는 그러한 인접 흡수부재들이 그들 사이에 표면 계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표면 계면은 사실상 인접 흡수부재들간 또는 인접 흡수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의 유체 통과를 방해, 방지 또는 피하는 기능을 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하고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인접 흡수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화학 조성 또는 예를들면 섬유 배향 또는 두께와 같은 구조와같은 하나 이상의 성질 또는 특성이 다를 것이다. 인접 흡수부재들이 차이점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효과적인 성질 또는 특성은 당업계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에 의해 안내될 것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인접 흡수부재들이 그들 사이에 "표면 계면"을 형성한다는 용어는 인접 흡수부재들이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서로 근접하는 표면이 인접 흡수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접촉 표면"이라는 용어는 흡수될 유체가 최초로 접촉하는 흡수부재, 흡수패드 어셈블리, 흡수용품 등의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및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계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태양에 따른 패드 어셈블리를 갖는 흡수용품의 분해 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흡수용품의 부분 단면의 투시도.
도3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흡수용품의 단면의 단순화한 측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흡수용품의 단순화한 단편적인 평면도.
도6 내지 도10은 도4 및 도5의 실질적으로 선 A-A 및 B-B를 따라 절취한 흡수용품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순화한 다른 측면도.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흡수용품의 단순화한 단편적인 평면도.
도13은 도11 및 도12의 실질적으로 선 C-C 및 D-D를 따라 절취한 흡수용품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순화한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대한 상세한 설명>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선된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 뿐만 아니라 이러한 흡수제품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서는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른 흡수용품(일반적으로 참조 부호(30)으로 표시함)을 예시한다. 흡수용품은 기저귀, 용변연습용 속팬츠, 생리대, 팬티 라이너, 오버나이트 패드, 실금용 가먼트, 겨드랑이 밑에 받치는 실드, 또는 소변, 월경 분비물, 혈액, 땀, 배설물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흡수제품일 수 있다. 인식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흡수용품은 대표적으로 사실상 일회용이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흡수용품(30)을 생리대와 같은 여성용 위생용품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가 반드시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란다면, 본 발명을 상기한 바와 같은 다른 유형 또는 형태의 흡수용품에 또는 그것과 연관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흡수용품(30)은 흡수용품의 몸쪽 표면인 대체로 액체 침투성인 톱시트 또는 커버(32), 그 반대쪽인 흡수용품의 가먼트쪽 표면인 대체로 액체 불침투성인 백시트 또는 배플(34),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둘러싸인 흡수코어(35)를 포함한다.
생리대와 같은 여성용 위생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은 대표적으로 사용중일 때의 흡수용품의 위치와 관련된 것들과 같은 표준적인 또는 통상적인 특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생리대 디자인은 생리대의 측변으로부터 유체가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측변 플랩("윙"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가끔 있음)을 혼입한다. 이러한 특징의 다른 예는 백시트의 가먼트쪽 면에 또는 그 둘레에 접착제를 포함 또는 존재시키는 것이다. 흡수용품의 이러한 접착제 표면은 포장 상태일 때와 같이 사용 전에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박리지 등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표준적 또는 통상적인 것이고 당업계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더 넓은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들은 본원 명세서에서는 더 상세히 나타내거나 또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톱시트 또는 커버(3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몸과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일반적으로 흡수용품(30)의 접촉 표면을 형성한다. 사실상, 톱시트(32)는 합성 또는 천연 물질로부터의 직물 또는 부직 재료로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체액이 쉽게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적당한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다른 열결합가능한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코폴리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미세 다공성 필름 웹 및 망상 재료도 그 기능을 잘 해낸다. 또, 톱시트(32)는 구멍을 함유하고 한쪽 또는 양쪽 측변에서 부직재료에 의해 플랭킹(flanking)된 열가소성 필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넓적다리에 비교적 부드러운 감촉을 주고, 그를 통해 체액이신속하게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백시트 또는 배플(34)는 일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언더가먼트(도시하지 않음)의 내향면, 예를 들면 서혜부와 정면으로 향하도록 의도된다. 백시트(34)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또는 증기가 흡수용품(30)의 외부로 통과하도록 하지만 유체가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방지 또는 차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백시트(34)는 상기 성질 또는 특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가질 수 있는 적당한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당한 재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것과 같은 마이크로엠보싱된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톱시트(32) 및 백시트(34)는 흡수코어(35)의 주위 또는 둘레에서 정면으로 향해 접촉하고 동일 치수를 차지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게다가, 톱시트(32)는 주변부(32a)를 가지고, 백시트(34)는 주변부(34a)를 가지며, 두 주변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열 밀봉 초음파에 의해, 또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공지된 선택된 다른 적당한 기술에 의해 함께 접합 또는 밀봉시킨다.
흡수코어(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패드 어셈블리(36)에 의해 형성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패드 어셈블리는 수평축 X-X, 수직축 Z-Z 및 길이축 Y-Y를 갖는 3 차원 구조이다. 흡수패드 어셈블리(36)은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40), (42), (44), (46), (48), (50) 및 (52)를 포함한다. 사실상, 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는 대표적으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이러한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 내에 포함되는 흡수부재의 특정 갯수 또는 본성은 일반적으로 고찰중의 어셈블리가 응용될 특정 응용의 요구되거나 또는 바람직한 성능 척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당업계 숙련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본원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흡수부재 (40) 및 (42)는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41)을 그들 사이에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인접 흡수부재(42) 및 (44)는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43)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고, 인접 흡수부재(44) 및 (46)은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45)를 그들 사이에 형성하며, 인접 흡수부재(46) 및 (48)은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47)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고, 인접 흡수부재(48) 및 (50)은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49)를 그들 사이에 형성하며, 인접 흡수부재(50) 및 (52)는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51)을 그들 사이에 형성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표면 계면(41), (43), (45), (47), (49) 및 (51)은 각각 흡수용품(30)의 접촉 표면에 대해 대체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흡수부재들은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된다. 즉, 인접 흡수부재들은 일반적으로 X-X축 상의 동일 위치를 갖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예를들면, 흡수부재(40)의 어떤 부분도 인접하는 흡수부재(42)의 부분과 동일한 X-X축 위치 밑에 놓이거나 또는 동일한 X-X축 위치를 갖지 않는다.
각 흡수부재(40), (42), (44), (46), (48), (50) 및 (52)는 일반적으로 평면상이고, 흡수용품(30)의 접촉표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각 흡수부재는 수직 높이(h), 수평 폭(w) 및 세로방향 길이(l)을 갖는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사용되는 흡수부재의 구체적인 높이, 폭 및 길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흡수부재들이 응용될 응용 분야의 특정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흡수부재는 일반적으로 폭이 약 0.03 ㎜ 내지 약 20 ㎜ 이하의 범위, 높이가 약 1 ㎜ 내지 약 15 ㎜의 범위일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부재는 대표적으로 폭이 약 8 ㎜ 이하(예를 들면, 약 0.5 ㎜ 내지 약 8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5 ㎜ 이하(예를 들면, 약 1 ㎜ 내지 약 5 ㎜의 범위)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부재는 일반적으로 폭 대 높이 비가 생리대와 같은 흡수용품에서 보통 얻어지거나 또는 실현되는 것보다 훨씬 더 낮도록 배열하는 것이 유리하다. 폭 대 높이 비가 상당히 낮은 이러한 흡수부재 배열은 Y-Y 및 Z-Z축 방향에서의 위킹을 촉진하는 데, 그 이유는 유체가 인접 흡수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가로지르는 것보다는 근접한 섬유로 이동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인접 흡수부재의 수직 배향은 유체 흡입 영역에 근접한 선택된 다수의 흡수재료의 이용을 촉진하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관련 흡수용품의 설계를 허용한다. 당업계 숙련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생리대와 같은 다양한 여성용 위생용품을 포함하여 적어도 몇몇 흡수용품은 가변적인 또는 광범위한 가능한 또는 있음직한 성분들을 갖는 유체들과 관련해서 그 역할을 만족스럽게 해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다수의 상이한 흡수재료를 유체 흡입 영역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흡수패드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의 개발은 당업계 기술의 상당한 진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수평 의존성과 관련된 것과 같은 복잡성을 피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흡수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의 특수 배향된 흡수부재의 이점을 보다 더 충분히 실현하기 위해 폭 대 높이의 비가 1 미만이다.
흡수패드 어셈블리(36)의 각 흡수부재의 높이 및 폭은 동일하지만,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가 반드시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하고, 필요하다면, 높이, 폭 또는 양자 모두가 상이한 흡수부재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부재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과 같은 다양한 적당한 흡수재료로 제조 또는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기 위한 선택된 흡수부재는 셀룰로오스 섬유, 계면활성제 처리 멜트블로운 섬유, 목재 펄프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면섬유 또는 다른 섬유들의 블렌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친수성 유형의 천연 또는 합성 섬유로 제조 또는 형성할 수 있다.
흡수부재의 구성 재료는 미국 특허 제4,100,324호에 기술된 일반적으로 코폼(coform)이라고 알려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코폼은 미국 위스콘신주 니나 소재의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Kimberly-Clark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 섬유 및 다수의 개별화된 목재 펄프 섬유의 에어폼(airform) 매트릭스로 제조된 부직재료이고, 천 같은 피니쉬(finish)를 갖는다. 열가소성 폴리머 섬유는 일반적으로 평균 직경이 10 마이크론 미만이고, 개별화된 목재 펄프 섬유가 매트릭스 전체에 걸쳐 분산되어 이들 미세섬유가 서로 이격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재료는 먼저 멜트블로운 미세섬유를 갖는 제1 공기 스트림 및 목재 펄프 섬유를 함유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을 이용하고, 난류 상태에서 두 스트림을 합체하여 형성 표면을 따라 통합된 공기 스트림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서지 재료의 본성을 갖는 흡수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서지 재료를 구성하는 데는 다양한 직포 및 부직웹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서지 재료는 폴리올레핀 필라멘트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층일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층은 스테이플 또는 다른 길이의 복합 섬유, 이성분 섬유 및 호모폴리머 섬유 및 이러한 섬유와 다른 유형의 섬유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지 재료는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에어레이드 웹일 수 있다. 본디드 카디드 웹은 예를 들면 분말 본디드 카디드 웹, 적외선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본디드 카디드 웹은 임의로 상이한 섬유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된 웹 중의 섬유 길이는 약 3 ㎜ 내지 약 60 ㎜의 범위일 수 있다.
특정 서지 재료의 예는 엘리스(Ellis) 등의 미국 특허 제5,490,846호 및 라티머(Latimer)의 미국 특허 제5,364,382호에서 발견할 수 있다. 서지 재료는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수성 재료는 목적하는 수준의 습윤성및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가공처리할 수 있다.
또다른 가능한 적당한 흡수재료는 킴벌리 클라크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한 프리즘(PRISM)으로 알려진 재료이다. 프리즘에 대한 설명은 스트랙(Strack) 등의 미국 특허 제5,336,552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 특허에 기재된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고로 본원 명세서에 혼입시킨다. 프리즘은 일반적으로 부직포이고, 다성분 스트랜드의 횡단면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구별이 분명한 대역에 배열되고 다성분 스트랜드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걸쳐 존재하는 제1 및 제2 폴리머 성분을 포함하는 압출된 다성분 폴리머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랜드는 스펀본딩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연속 필라멘트이다. 스트랜드의 제2 성분은 다성분 스트랜드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다성분 스트랜드의 주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다성분 스트랜드간의 결합은 열을 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다성분 스트랜드의 제1 폴리머 성분은 스트랜드의 약 20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제2 폴리머 성분은 스트랜드의 약 80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성분 스트랜드의 제1 폴리머 성분은 스트랜드의 약 40 내지 약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제2 폴리머 성분은 스트랜드의 약 60 내지 약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스트랜드"라는 용어는 다이와 같은 형성 오리피스를 통해 폴리머를 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된 가늘고 긴 압출물을 의미한다. 스트랜드는한정된 길이를 갖는 불연속 스트랜드인 섬유, 및 연속 스트랜드 물질인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스테이플 다성분 섬유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본디드 카디드 방법에 의해 부직포를 형성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부직포는 연속 스펀본드 다성분 필라멘트를 압출, 연신 및 이동 형성 표면 상에 부설하여 제조한다.
사용될 수 있는 부직재료의 유형은 분말 본디드 카디드 웹, 적외선 본디드 카디드 웹, 및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을 포함한다. 적외선 및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은 임의로 상이한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된 웹 중의 섬유 길이는 약 1.0 내지 3.0 인치의 범위내일 수 있고, 평균 벌크 밀도는 약 0.02 g/cc 내지 약 0.12 g/c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적당한 흡수재료는 보통 초흡수제로 불리는 물질을 포함한다. 초흡수제는 입자상 및 섬유상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공지의 초흡수제 물질은 다우 케미칼(Dow Chemical)의 AFA-1 30-53C, 및 스톡하우젠 컴파니(Stockhausen Company; 미국 노쓰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W77553 및 FAV880A를 포함한다. 스톡하우젠의 W77553은 소수성 표면 처리를 갖는 벌크 중합된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스톡하우젠의 FAV880A는 가교결합도가 높은 표면 초흡수제이다. AFA 130-53C는 더 다우 케미칼 컴파니(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850 내지 1400 마이크론의 현탁중합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물질이다.
보통 초흡수제라고 부르는 친수콜로이드 물질은 수불용성이고 약하게 가교결합되고 부분 중화된 히드로겔 형성 폴리머 조성물 형태일 수 있다. 그것은 불포화되고 중합가능하며 산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및 가교결합된 작용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초흡수제는 메이어(Meyers) 등의 미국 특허 제4,798,603호 및 브랜트(Brandt) 등의 미국 재등록 특허 제32,649호 및 페더센(Pedersen) 등의 미국 특허 제4,467,012호, 뿐만 아니라 켈렌버거(Kellenberger)의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제0,339,4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 및 유럽 특허 출원에 개시된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원 명세서에 참고로 혼입시킨다.
추가로, "저속" 초흡수제라고 알려진 물질도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저속" 초흡수제라는 용어는 흡수시간 지수(ATI)가 5분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분을 초과하는 초흡수제이다. 초흡수제의 흡수 속도의 조정은 폴리머의 입자 크기, 표면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을 변경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저속 초흡수제는 앤더슨(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제5,843,063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 특허의 기재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원 명세서에 혼입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기 위한 적당한 흡수재료는 폭스(Faulks) 등의 미국 특허 제5,853,402호(이 특허에 기재된 내용을 전체적으로 본원 명세서에 혼입시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연속 기포 구조의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흡수성 발포체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게다가, 그리스배치 3세(Griesbach III)의 미국 특허 제5,506,277호(이 특허에 기재된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원 명세서에 혼입시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스타치(starch) 발포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당한 흡수재료로서 스텀프(Stumpf)의 미국 특허제3,668,054호(이 특허에 기재된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원 명세서에 혼입시킴)에 기재된 주름진 고벌크 부직포와 같은 주름진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본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속 박막 내에 이식된 초기 정렬된 텍스타일 섬유의 주름진 웹을 포함한다. 이어서, 얻은 웹-접착제 재료를 주름지게 하여 각 측변을 따라 루트(root) 가까이에서 불규칙하게 연결된 다수의 퍼로우(furrow) 및 그루브(groove)를 제공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재료는 멜트블로운 또는 에어레이드 또는 에어폼드를 포함하여 여러가지 적당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다수의 미세하고 보통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스레드 또는 필라멘트로서 수렴형 고속 기체(예: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시키고, 이 고속 기체 스트림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어지게 하여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의미한다. 이어서, 멜트블로운 섬유를 대표적으로 고속 기체 스트림이 날라서 수집표면 상에 침착시켜서 랜덤하게 분포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 또는 불연속일 수 있고, 수집표면 상에 침착될 때는 일반적으로 점착성을 갖는다. 멜트블로운 재료는 보그트(Vogt) 등의 미국 특허 제5,656,361호(이 특허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로 본원 명세서에 완전히 혼입시킴)에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게다가, 예를들면 응고제, 용해제 또는 초흡수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여러가지 첨가제를 함유 또는 포함하는 흡수부재 구성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인접 흡수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화학 조성 또는 예를들면 섬유 배향 또는 두께와 같은 구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성질 또는 특성이 다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이러한 인접 흡수부재는 선행 기술로는 쉽게 얻을 수 없었던, 밀도 이외의 선택된 한가지 성질 또는 특성이 다른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다. 특히, 인접 흡수층에 의한 또는 그들간의 수평 의존성의 최소화 또는 제거는 특수 또는 특정 성질 또는 특성을 위해 선택된 흡수재료를 이용하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는 반드시 특수 또는 특정 흡수재료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하다면, 당업계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흡수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이러한 제품이 그 역할을 잘 해낼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을 더 잘 취급하거나 또는 역점을 두어 다룰 수 있도록 광범위한 종류의 재료를 계획 및 개발하여 왔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인접 흡수부재들을 필요하다면, 느슨하게 플라잉(plying)하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접착제, 열 또는 초음파 기술, 스레딩(threading) 또는 소우잉(sewing) 기술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적당한 접합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완전한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한 흡수코어로서 혼입시켜야 하는 것으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도4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은 이러한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아마도 다른 흡수재료를 포함하여 다른 흡수요소들이 거기에 인접해서 플라잉되거나, 폴딩(folding)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흡수용품의 중앙부에 놓아서 혼입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11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가 거기에 인접해서 플라잉되거나, 폴딩(folding)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다른 흡수요소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그러한 다른 흡수 요소를 포함하는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흡수용품(60) 및 (62)의 단순화한 단편적인 평면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용품(60)은 백시트(64), 흡수코어(66) 및 톱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흡수코어(66)은 상기한 것과 유사하게 중앙에 위치한 또는 놓인 흡수패드 어셈블리(70), 및 제1 및 제2 세로방향 측변(76) 및 (80)에 있는 추가의 흡수요소(72) 및 (74)를 포함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추가 흡수 요소(72) 및 (74)는 특수 응용에 요망될 수 있는 바에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일 수 있다.
도5는 백시트(82), 흡수코어(84) 및 톱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62)를 예시한다. 흡수코어(84)는 상기한 것과 유사하게 중앙에 위치한 또는 놓인 흡수패드 어셈블리(86) 및 그의 주변부(92)에 있는 흡수요소(90)을 포함한다.
도6 내지 도10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흡수용품의 특수한 다른 형태를 예시하는 흡수용품 단면의 측면도이다. 예를들면, 도6은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104)가 흡수 요소(106) 위에 놓이는 방식으로 놓인 흡수코어(102)를 갖는 흡수용품(100)을 예시한다.
도7은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114)가 흡수요소(117) 및 (118)과 나란하게 놓이는 방식으로 놓인 흡수코어(112)를 갖는 흡수용품(110)을 예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 요소들은 특수한 응용에 요망될 수 있는 바에 따라 단일 부재로서 또는 다수 부재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8 내지 도10은 도6 및 도7에 도시한 흡수용품(100) 및 (110)의 선택된 특징들을 조합한 특수한 다른 실시태양을 예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도8은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124)가 흡수요소(126) 위에 놓이면서 또한 흡수요소(127) 및 (128)과 나란하게 놓이는 방식으로 놓인 흡수코어(122)를 갖는 흡수용품(120)을 예시한다.
도9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흡수패드 어셈블리(134)를 포함하는 흡수코어(132)를 갖는 흡수용품(130)을 예시한다. 흡수용품(130)은 아래에 놓인 흡수요소(136)이 측변 흡수요소(137) 및 (138)과 연속해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도8에 도시한 흡수용품(120)과 유사하다. 측변 흡수요소(137) 및 (138)은 엘보우(elbow) 영역(139a) 및 (139b)에서 폴딩되어 흡수요소(136) 위에 놓인다.
도10은 상기한 바와 같은 흡수패드 어셈블리(144)를 포함하는 흡수코어(142)를 갖는 흡수용품(140)을 포함한다. 흡수용품(140)은 아래에 놓인 흡수요소(146) 및 측변 흡수요소(147) 및 (148)이 연속적으로 하나의 덩어리로 형성되어 대체로"U자형" 단면을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흡수용품(120) 및 (130)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흡수용품(160) 및 (162)의 단순화한 단편적인 평면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용품(160)은 백시트(164), 흡수코어(166) 및 톱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흡수코어(166)은 중앙에 위치한 또는 놓인 흡수요소(170), 및 그의 세로방향 측변(176) 및 (180)에 위치한 상기한 바와 유사한 흡수패드 어셈블리(172) 및 (174)를 포함한다.
도12는 백시트(182), 흡수코어(184) 및 톱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162)를 예시한다. 흡수코어(184)는 중앙에 위치한 또는 놓인 흡수 요소(186), 및 그의 주변부에 위치한 상기한 바와 유사한 흡수패드 어셈블리(190)을 포함한다.
도13은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흡수용품의 단면의 대표적인 측면도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도13은 흡수요소(204) 및 일반적으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 제1 부분(206) 및 제2 부분(208)을 포함하는 흡수코어(202)를 갖는 흡수용품(200)을 예시한다. 도13의 횡단면도에서, 흡수패드 어셈블리 부분(206) 및 (208)은 흡수요소(204)의 세로방향 측변(210) 및 (212)를 따라서 위치한다. 흡수패드 어셈블리 부분(206) 및 (208)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일 흡수패드 어셈블리 또는 별개의 흡수패드 어셈블리의 일부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도13은 도12에 도시한 흡수용품의 단면의 측면도인 것으로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흡수용품 구조는 제조 또는 만들기가 요망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비추어, 이러한 흡수용품의 아마도 공정상 더 친밀한 형태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제1 부분(206) 및 제2 부분(208)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접합하거나 또는 연속인, 아래에 놓인 흡수요소(204)를 갖는 흡수코어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상기 실시태양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조합이 가능하고 본원 명세서에 포괄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다양한 상기 실시태양에 대한 이러한 가능한 변경은 위에 놓이거나 또는 아래에 놓이는 다른 선택된 흡수용품 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보이드(void)층을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 내에 상기한 바와 같은 흡수패드 어셈블리 아래에 놓이는 유체 보유 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응용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흡수패드 어셈블리에 대해 위에 놓이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유체 서지 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게다가, 경우에 따라, 이러한 위에 놓이거나 또는 아래에 놓이는 각 층이 이처럼 위에 놓이거나 또는 아래에 놓이는 정도는 특정 응용에 대해 요망될 수 있는 바대로 부분적이거나 또는 완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 구조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선택된 흡수부재를 인접 배치시키고, 인접 배치된 흡수부재를 목적하는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를 갖는 구조를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배향시킴으로써 편리하게 형성 또는 제조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구조체는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가 약 10:1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이하인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조체를 형성 또는 제조하는 것은 본원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에 의해 안내되는, 예를들면 인접 흡수부재의 갯수, 크기 및 모양 뿐만 아니라 이러한 흡수부재의 성질, 특성 및 구성 재료를 포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요망되는 하나 이상의 변수 또는 파라미터를 요망하는 대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흡수부재는 처음에 후속 재배향을 요하거나 또는 요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배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한 특정한 형성 방법에서는, 흡수부재를 수평으로 층상배치한 후 수직으로 재배향하여 목적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 흡수부재는 필요하다면 느슨하게 플라잉하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접착제, 열 또는 초음파 기술, 스레딩 또는 소우잉 기술 또는 당업계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적당한 접합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르면, 이러한 결합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요구될 수 있는 재배향 이전에 이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흡수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절단 단계 또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접 배치된 흡수부재는 그 흡수패드 어셈블리가 응용될 특수 용도에 적합한 요망되는 선택된 모양 또는 형태의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제공 또는 공급하도록 적절히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은 특수 응용에서 요망될 수 있는 배향 이전, 이후, 또는 이전 및 이후에 일어날 수 있다. 인접 흡수부재의 이러한 절단을 달성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슬릿 블레이드(slit blade) 및 분사수 컷팅(water jet cutting)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흡수코어가 본 발명에 따른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1개 함유하는 흡수용품에 대해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는 반드시 그렇게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당업계 숙련자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필요하다면, 본 발명은 이러한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2개 또는 다른 선택된 다수를 함유하는 흡수용품으로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흡수용품은 특정 응용에 요망될 수 있는 바에 따라 2 개 이상의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서로 간격을 두거나, 위에 놓거나, 부분적으로 위에 놓거나 또는 다른 선택된 관계로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요망될 수 있는 바대로 흡수용량을 더 완전히 또는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흡수용품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수패드 어셈블리 및 흡수용품이 노출될 수 있는 가능한 광범위한 실시 및 수행 조건에 대해 더 효과적이고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응할 수 있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흡수용품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명세서에 예시적으로 기술한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어떠한 요소, 부분, 단계, 성분 또는 구성요소 부재하에서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그의 바람직한 몇몇 실시태양과 관련시켜 설명하고 예시의 목적상 많은 세부적인 사항들을 나타내었지만, 당업계 숙련자에게는 본원 발명의 추가 실시태양을 실시할 수 있고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몇몇 세부적인 사항들을 본 발명의 기본 원칙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당히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Claims (66)

  1.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수직 배향된 적어도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부재가 각각 수직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부재가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서로에 대해 수평 배치되며,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에 대향하여 제2 흡수부재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불연속적인 제3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가 각각 상이한 조성을 갖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20 ㎜ 미만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0.5 ㎜ 내지 약 8 ㎜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1 ㎜ 내지약 5 ㎜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 대 높이의 비가 1 미만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서지 (surge)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초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열가소성 폴리머 섬유 및 다수의 개별화된 목재 펄프 섬유의 에어폼(airform)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부직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다성분 스트랜드의 횡단면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구별이 분명한 대역에 배열되고 다성분 스트랜드의 길이를 따라서 연속해서 걸쳐있는 제1 및 제2 폴리머 성분을 포함하는 압출된 다성분 폴리머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흡수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
  13. 대체로 평면상인 적어도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가 각각 수직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가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서로에 대해 수평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제1의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가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서로에 대해 수평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제2의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형성하며, 적어도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가 상이한 화학 조성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20 ㎜ 미만인 흡수용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0.5 ㎜ 내지 약 8 ㎜인 흡수용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1 ㎜ 내지 약 5 ㎜인 흡수용품.
  17.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각각의 폭 대 높이의 비가 1 미만인 흡수용품.
  18.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서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19.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초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20.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열가소성 폴리머 섬유 및 다수의 개별화된 목재 펄프 섬유의 에어폼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부직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21.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다성분 스트랜드의 횡단면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구별이 분명한 대역에 배열되고 다성분 스트랜드의 길이를 따라서 연속해서 걸쳐있는 제1 및 제2 폴리머 성분을 포함하는 압출된 다성분 폴리머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22.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제2 흡수부재 및 제3 흡수부재 중 하나이상이 흡수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23. 제 13 항에 있어서, 흡수용품의 가먼트쪽에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를 더 포함하는 흡수용품.
  24. 제 13 항에 있어서, 흡수용품의 몸쪽 표면에 액체 침투성 커버를 더 포함하는 흡수용품.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생리대 형태의 흡수용품.
  26. 인접하는 불연속적이고 흡수성이 다른 적어도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부재가 흡수용품의 접촉 표면에 대해 대체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접촉 표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형성하는 것인 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접촉 표면을 갖는 흡수용품.
  27. 제 26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제1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서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28. 제 26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제1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초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29. 제 26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제1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열가소성 폴리머 섬유 및 다수의 개별화된 목재 펄프 섬유의 에어폼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부직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30. 제 26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제1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다성분 스트랜드의 횡단면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구별이 분명한 대역에 배열되고 다성분 스트랜드의 길이를 따라서 연속해서 걸쳐있는 제1 및 제2 폴리머 성분을 포함하는 압출된 다성분 폴리머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31. 제 26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제1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흡수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32. 제 26 항에 있어서, 흡수용품의 가먼트쪽에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를 더 포함하는 흡수용품.
  33. 제 26 항에 있어서, 흡수용품의 몸쪽 표면에 액체 침투성 커버를 더 포함하는 흡수용품.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생리대 형태의 흡수용품.
  35. 적어도 제1 흡수부재와 제2 흡수부재를 인접 배치시키고,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제1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가 약 10:1 이하가 되도록 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어 배향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가 약 1:1 이하인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절단하여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배향시키기 전에 절단하는 것인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배향시킨 후에 절단하는 것인 방법.
  40. 제 37 항에 있어서, 절단 단계가 슬릿 블레이드 컷팅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1. 제 37 항에 있어서, 절단 단계가 분사수 컷팅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2. 제 35 항에 있어서, 배향시키기 전에,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결합 단계가 접착제 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결합 단계가 열 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5. 제 42 항에 있어서, 결합 단계가 초음파 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6. 제 35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어 배향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20 ㎜ 이하인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어 배향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8 ㎜ 이하인 방법.
  48. 제 35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어 배향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높이가 약 15 ㎜ 이하인 방법.
  49. 제 35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어 배향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가각각 수직 높이를 가지고,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서 서로에 대해 수평 배치되고,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는 것인 방법.
  50. 제 3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가 각각 상이한 조성을 갖는 것인 방법.
  51. 제 3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를 수평으로 층상배치시킨 후 수직으로 재배향시키는 방법.
  52. 제 35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어 배향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 대 높이의 비가 1 미만인 방법.
  53. 제 3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서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4. 제 3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초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5. 제 3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열가소성 폴리머 섬유 및 다수의 개별화된 목재 펄프 섬유의 에어폼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부직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6. 제 3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다성분 스트랜드의 횡단면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구별이 분명한 대역에 배열되고 다성분 스트랜드의 길이를 따라서 연속해서 걸쳐있는 제1 및 제2 폴리머 성분을 포함하는 압출된 다성분 폴리머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7. 제 35 항에 있어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이 흡수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8.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3 흡수부재를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인접 배치시키고, 수평 폭 대 수직 높이의 비가 약 10:1 이하가 되도록 배향시키는 방법.
  59. 적어도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를 수평으로 층상배치시키고,
    수평으로 층상배치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를 수직으로 재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흡수패드 어셈블리 형성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수평으로 층상배치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를 절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61. 제 59 항에 있어서, 수평으로 층상배치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를 수직 배향시키기 전에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2. 제 59 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재배향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이 약 20 ㎜ 이하인 방법.
  63. 제 59 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재배향된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각각의 폭 대 높이의 비가 1 미만인 방법.
  64. 제 59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3 흡수부재를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수평으로 층상배치시킨 후 수직으로 재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5. 인접하는 불연속적인 수직 배향된 적어도 제1 및 제2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부재가 각각 수직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부재가 그의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서 서로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고, 수직 배치된 표면 계면을 그들 사이에 형성하는 것인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액체 침투성 커버,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 및 커버와 백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흡수용품에 의한 유체 처리 개선 방법.
  66. 제 65 항에 있어서, 흡수용품이 생리대 형태인 방법.
KR1020027003397A 1999-09-15 2000-08-28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KR200200276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96,716 1999-09-15
US09/397,305 US6264776B1 (en) 1999-09-15 1999-09-15 Method for forming an absorbent structure having vertically orientated absorbent members
US09/397,305 1999-09-15
US09/396,716 US6689933B1 (en) 1999-09-15 1999-09-15 Absorbent article having vertically orientated absorbent members
PCT/US2000/040757 WO2001019307A2 (en) 1999-09-15 2000-08-28 Absorbent article having vertically orientated absorbent members and method for form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50A true KR20020027650A (ko) 2002-04-13

Family

ID=2701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397A KR20020027650A (ko) 1999-09-15 2000-08-28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KR (1) KR20020027650A (ko)
CN (1) CN1390117A (ko)
AR (1) AR025649A1 (ko)
AU (1) AU2612801A (ko)
BR (1) BR0013970A (ko)
DE (1) DE10085036T1 (ko)
GB (1) GB2371232B (ko)
MX (1) MXPA02001871A (ko)
WO (1) WO200101930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157B1 (ko) * 2003-07-14 2006-01-10 주식회사 바이오휘네셀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KR100774562B1 (ko) * 2003-07-07 2007-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
KR100816574B1 (ko) * 2006-01-31 2008-03-24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22629B1 (ko) * 2007-06-28 200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3080A1 (en) * 2003-05-27 2004-12-02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Absorbent pads
JP2007202575A (ja) * 2006-01-30 2007-08-16 Livedo Corporation 吸収用積層体およ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0324A (en) *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015604A (en) * 1976-03-25 1977-04-05 Personal Products Company Absorbent product with side leakage control means
US4636209A (en) * 1983-03-07 1987-01-13 Kimberly-Clark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fluid transfer layer
US4627848A (en) * 1984-04-23 1986-12-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natomical pad
US5151091A (en) * 1988-10-24 1992-09-29 Mcneil-Ppc,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multiple canals
MY110013A (en) * 1988-10-24 1997-11-29 Mcneil Ppc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multiple canals.
US5336552A (en) * 1992-08-26 1994-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US5817704A (en) * 1996-03-08 1998-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eterogeneous foam materials
GB9712249D0 (en) * 1997-06-13 1997-08-13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Absorbent lay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62B1 (ko) * 2003-07-07 2007-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
KR100542157B1 (ko) * 2003-07-14 2006-01-10 주식회사 바이오휘네셀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KR100816574B1 (ko) * 2006-01-31 2008-03-24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22629B1 (ko) * 2007-06-28 200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208623D0 (en) 2002-05-22
BR0013970A (pt) 2004-03-09
DE10085036T1 (de) 2002-09-05
AU2612801A (en) 2001-04-17
GB2371232A (en) 2002-07-24
MXPA02001871A (es) 2002-08-12
WO2001019307A2 (en) 2001-03-22
WO2001019307A3 (en) 2002-03-21
AR025649A1 (es) 2002-12-04
GB2371232B (en) 2004-07-14
CN1390117A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52B1 (ko) 신속한분배스트립을갖는흡수제품
EP1397102B1 (en) Absorbent article with fluid acquisition system
US6264776B1 (en) Method for forming an absorbent structure having vertically orientated absorbent members
EP1276447B1 (en) Absorbent article with fluid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429760B2 (ja) 混合吸収体コアを有する衛生吸収製品
AU9470198A (en) Absorbent article
WO1998037846A1 (en) Stretchable absorbent structure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6413338B1 (en) Method for forming an absorbent structure having vertically orientated flow regulating walls
US11833017B2 (en) Diaper pants having a partial non-overlapping waist panel structure free of inner material and elastics
US6436328B1 (en) Method for forming an absorbent structure
KR100260293B1 (ko) 큰개구가특정하게분포된이중층상면시이트를갖는생리대
US6479728B1 (en) Absorbent structure with angularly orientated absorbent members
KR19990023013A (ko) 큰 천공의 선택된 분포를 갖는 이중층의 필름 상면시이트를 갖는 생리대
KR20010080473A (ko) 천공 라이너를 구비한 흡수 용품
WO2000009056A1 (en) Elastic-sided absorbent pad with soft, comfortable side panels
US6689933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vertically orientated absorbent members
KR20020027650A (ko)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JPH08510664A (ja) 吸収物品、特に生理ナプキン
EP1263372B1 (en) Incontinent pad
KR20020027651A (ko) 수직 배향된 유동 조절 벽을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방법
US6645187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vertically oriented flow regulating walls
KR102672060B1 (ko) 흡수 용품
CN117794491A (zh) 用于吸收制品的吸收主体
KR20020026271A (ko) 나선형으로 감긴 흡수요소 및 그의 형성 방법
MXPA96006415A (en) Absorbent article that has a trenz impregn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