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822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822A
KR20020026822A KR1020010059891A KR20010059891A KR20020026822A KR 20020026822 A KR20020026822 A KR 20020026822A KR 1020010059891 A KR1020010059891 A KR 1020010059891A KR 20010059891 A KR20010059891 A KR 20010059891A KR 20020026822 A KR20020026822 A KR 2002002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power supply
in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자와후미오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2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부를 입출력 커넥터부에 대하여 밸란스를 좋게 배치하여 입출력용 커넥터부에 있는 콘택트의 기판 접속부의 보호를 충분하게 도모함과 동시에 전원 커넥터부에 있는 콘택트와 전원측의 전원단자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는 외부 커넥터(C)와 접속하는 입출력 커넥터부(10)과, 전원에 접속된 전원 커넥터부(20)를 갖고 있다. 전원 커넥터부(20)는 입출력 커넥터부(10)의 양측에 나뉘어 입출력 커넥터부(10)과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원 커넥터부(20)는 커넥터 하우징(21)에 고정되고, 전원의 전원단자(5)에 접촉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접속된 탭 콘택트(2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등에 이용되며, 외부 커넥터와 접속하는 입출력용 커넥터부와, 전원(예를들면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밧데리)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들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평 9-63716호 공보 참조)
이 전기 커넥터(100)은 휴대전화기의 바디(body, B)내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기판(미도시)의 단부상에 실장되어, 외부 커넥터(미도시)와 접속하는 입출력 커넥터부(110)와,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밧데리(미도시)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입출력 커넥터부(110)는 전면(117)에 외부 커넥터 수용 홈부(112)를 구비한 절연성의 커넥터 하우징(111)를 갖고 있다. 그래서, 외부 커넥터 수용 홈부(112)내에는 커넥터 하우징(111)에서 연장되어 나온 평판부(113)에 복수의 신호용 콘택트(114)를 소정 피치로 배열한 신호용 커넥터부(118)와, 신호용 커넥터부(118)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동축 커넥터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용 커넥터(114)와 동축 커넥터부(115)의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는 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커넥터 수용 홈부(112)의 길이가 긴 방향의 양 단부에는 한쌍의 보강금속편(116)가 취부되어 있다. 각 보강금속편(116)은 외부 커넥터 수용홈부(112)에 삽입된 평판기부(116a)와, 평판기부(116a)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커넥터 하우징(111)에로의 계지부(116b)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기부(116a)에는 그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회로기판에의 고정각부(116c)와, 상단에서 길이가 긴방향 내측에 연장된 보강부(116d)와, 전단에서 길이가 긴 방향 외측에 연장된 단자부(116e)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부(116d)는 외부 커넥터 수용 홈부(112)를 형성하는 얇은 상벽의 하면을 따라 배치되어 그 상벽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116e)는 내장된 밧데리를 충전시에 충전기기의 전원단자가 접촉하는 전원용 단자로서 사용된다.
한편, 전원 커넥터부(120)는 입출력 커넥터부(110)의 커넥터 하우징(111)과 공통의 하우징(121)를 가지며, 이에 따라 입출력 커넥터부(110)와는 일체로 되어 있다. 전원 커넥터부(120)는 입출력 커넥터부(110)에 대하여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커넥터 하우징(121)에는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전원용 콘택트(1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전원용 콘택트(122)는 회로기판에 접속된 기판접속부(미도시)와, 기판접속부에서 꺽여서 연장되어 밧데리의 전원단자에 롤면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접촉부(122a)와를 구비하는 리프형 콘택트로 되어 있다.
그래서, 전기 커넥터(100)의 회로기판에로의 고정은 주로 전원 커넥터부(120)의 전원용 콘택트(122)의 회로기판에로의 접속과, 입출력 커넥터부(110)의 보강금속편의 회로기판에로의 고정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100)은 전원 커넥터부(120)가 입출력 커넥터부(110)에 대하여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기 커넥터(100)를 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전원용 콘택트(122)도 신호용 콘택트(114) 및 동축 커넥터부(115)에 대하여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밸런스(balance)가 나쁘고, 전기 커넥터(100)에 충격등의 요인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신호용 콘택트(114) 및 동축 커넥터(115)의 회로기판의 기판접속부(납땜 접속부)가 그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도 있고, 이들 신호용 콘택트(114) 및 동축 커넥터(115)의 회로기판에의 기판접속부의 보호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원용 콘택트(122)는 리프형 콘택트이므로 손상이 용이하고, 밧데리의 상하방향의 흔들거림에 의하여 밧데리의 전원단자와의 사이의 접촉압력이 저하된다. 또한 전원용 콘택트(122)와 밧데리의 전원단자와는 단일의 접점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접촉신뢰성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커넥터부를 입출력 커넥터부에 대하여 밸란스를 좋게 배치하여 입출력용 커넥터부에 있는 콘택트의 기판 접속부의 보호를 충분한 도모함과 동시에 전원 커넥터부에 있는 콘택트와 전원측의 전원단자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휴대전화기내에 조립하고, 내장 밧데리를 전기 커넥터에 접속하기 전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경사져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경사져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종래예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 전기 커넥터5 : 전원단자
10 : 입출력용 커넥터부11 : 커넥터 하우징
20 : 전원 커넥터부21 : 커넥터 하우징
21a : 단부22 : 탭 콘택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에서 청구항 1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외부 커넥터와 접속하는 입출력 커넥터부와,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 및 상기 전원 커넥터부가 공통의 커넥터 하우징에 의하여 일체로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부를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의 양측에 나누어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와 일체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 커넥터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전원의 전원단자에 접속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탭콘택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청구항 2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항 1의 기재에 의한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면 및 후면에 열려 있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탭콘택트가 상기 단부의 열려있는 상면 및 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휴대전화기내에 조립하고, 내장 밧데리를 전기 커넥터에 접속하기 전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경사져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경사져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은 휴대전화기의 몸체(2)의 하우징(3)내에 수용되어 있고, 하우징(3)내에 설치된 회로기판(미도시)의 단부상에 실장되어 있다. 그래서, 전기 커넥터(1)은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등의 외부기기에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외부 커넥터(C)와 접속하는 입출력 커넥터부(10)과, 휴대전화기의 덮개(4)에 내장된 밧데리 혹은 전지팩(전원)에 접속된 전원 커넥터부(20)를 갖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밧데리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밧데리의 하우징(6)에 설치된 4개의 전원단자(5)가 전원 커넥터부(20)의 4개의 탭 콘택트(22)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각 전원단자(5)는 단면コ자형의 기부(5a)와, 기부(5a)에서 전방(도 1에서는 좌측방향)에 연장되고, 상호간에 탭 콘택트(22)를 끼우는 한쌍의 탄성접촉부(5b)와, 기부(5a)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접속단자부(5c)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의 하우징(3)의 내벽(3a) 및 커넥터 하우징(11)의 외면에 의하여 전원단자(5)가 탭 콘택트(22)에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밧데리 하우징(6)의 수용공간을 정한다.
여기서, 입출력 커넥터부(1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2)에 길이가 긴 방향(도 2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연장되어 외부 커넥터 수용요부(13)를 구비한 절연성의 커넥터 하우징(11)을 갖고 있다. 그래서, 커넥터 하우징(11)에는 상면 및 후면에 열린 단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커넥터 수용요부(13)내에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1)에서 연장되어 나온 평판부(14)에 복수의 신호용 콘택트(15)를 소정 피치로 배열한 신호용 커넥트부(16)와, 신호용 커넥터부(16)의 편측에 배치된 동축 커넥터부(1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신호용 콘택트(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1)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다인부(tine or tyne, 15a)에 의하여 회로기판상의 신호용 도전로에 남땜접속되어 있다. 또한 동축 커넥터부(17)의 내부도체(17a)는 커넥터 하우징(11)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다인부(17c)에 의하여 회로기판에 납땜 접속되고, 외부 도체(17b)는 커넥터 하우징(11)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다인부(17d)에 의하여 회로기판에 납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커넥터 수용요부(13)에는 도 2 및 도 5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용 커넥터부(16) 및 동축 커넥터부(17)를 덮도록 외부 커넥터 수용요부(13)의 가장자리에 전방에서 압입고정되는 금속제의 쉴드쉘(18)이 설치되어 있다. 쉴드쉘(18)은 금속판을 타발 및 곡면가공 하므로써 형성하고, 이 길이가 긴 방향의 양측벽(18a)에는 회로기판에 납땜에 의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리텐션레그(18b)가 하방을 향하여 연출, 즉 연장되어 뻗어 있다. 각 리텐션레그(18b)는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고정할 때 보강적인 역할을 줌과 동시에 회로기판의 접지로에 접속되어 쉴드쉘(18)의 접지기능도 갖는다. 또한 쉴드쉘(18)의 양측벽(18a)의 전단에는 외측에서 만곡되어 절곡되어진 한쌍의 외부 커넥터 도입안내부(18c)가, 하벽전단에는 하측에서 만곡되어 절곡되어진 외부 커넥터 도입 안내부(18d)가 , 상벽전단에는 상측에서 만곡되어 절곡되어진 외부 커넥터 도입 안내부(18e)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쉴드쉘(18)은 신호용 커넥터부(16) 및 동축 커넥터부(17)의 쉴드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부 커넥터 수용요부(13)을 규정하고 있는 비교적 얇은 상벽을 보강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한편, 전원 커넥터부(20)은 입출력 커넥터부(10)의 길이가 긴 방향측에 균등하게 분리되서 배치되고, 분래되어진 각 전원 커넥터부(20)는 입출력 커넥터부(10)의 커넥터 하우징(11)과 공통의 커넥터 하우징(21)을 갖고, 이에 의하여 입출력 커넥터부(10)와 일체로 되어 있다. 그래서 각 커넥터 하우징(21)에는 밧데리의 전원단자(5)의 탄성접촉부(5b)에 끼워 들어가 접촉하는 두 개의 탭 콘택트(22)가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탭 콘택트(22)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상의 전력용 도전로에 납땜접속된 표면실장 다인부(22a)를 갖는다. 그래서 각 커넥터 하우징(21)에는 상면 및 후면에 열린 단부(21a)가 형성되고, 각 탭 콘택트(22)는 단부(21a)의 열린 상면 및 후면에 노출되도록 커넥터 하우징(21)에 하면측에서 압입 고정된다.
탭 콘택트(22)는 회로기판상의 전력용 도전로에 납땜 접속되므로써, 밧데리에서의 전력을 회로기판에 공급함과 동시에, 커넥터 하우징(21)의 전후방향에서 연장되어 전키 커넥터(1)를 회로기판에 고정하는 납땜지지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전원 커넥터부(20)이 입출력 커넥터부(10)의 길이가 긴 방향 양측에 균등하게 분리되어 배치되므로서, 납땜지지로서의 기능을 갖는 탭 콘택트(22)가 입출력 커넥터부(10)에 있는 신호용 커넥터부(16) 및 동축 커넥터부(17)에 대하여 균등하게 밸런스가 좋게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기 커넥터(1)에 충격등의 요인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신호용 커넥터(15)의 다인부(15a) 및 동축 커넥터부(17)의 다인부(17c, 17d)가 각각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들 다인부(15a, 17c, 17d)의 보호를 충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 하우징(21)의 하면의 각 탭 콘택트(22)의 둘레에는 납땜 휠렛 형성용의 공간(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탭 콘택트(22)를 회로기판상에 납땜접속하면, 각 탭 콘택트(22)의 둘레에는 납땜 휠렛이 형성되므로써, 납땜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커넥터 하우징(21)의 전방의 벽(26)에는 전면에 열려 있는 개구부(24)가 형성됨고 동시에, 금속제의 충전용 단자(23)가 하면측에서 압입고정되어 있다.
충전용 단자(23)은 금속판을 타발 및 곡면 가공하여 형성하고, 그 하단측에는 회로기판에 납땜에 의하여 고정되는 리텐션레그(23a)가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각 리텐션레그(23a)는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고정할시 보강적인 역할을 함과 동시에 탭 콘택트(22)에서 외측의 탭 콘택트(22)에 접속된 회로기판의 전력용 도전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밧데리를 충전할 때, 밧데리의 전원단자(5)를 탭 콘택트(22)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충전기기(미도시)의 접촉자를 개구부(24)를 통하여 충전용 단자(23)에 접촉시키면, 전력용 도전로 및 탭 콘택트(22)를 통하여 밧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의 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를 휴대전화기의 몸체(2)에 정합(整合)하도록 닫는다. 그러면, 밧데리의 전원단자(5)의 탄성 접촉부(5b)가 상방에서 전원 커넥터부(20)의 탭 콘택트(22)를 끼워넣고, 이에 의하여 전원단자(5)와 탭 콘택트(22)가 접촉하여 밧데리가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밧데리에서의 전력이 회로기판에 공급된다. 이때 각 탭 콘택트(22)는 커넥터하우징(21)의 단부(21a)의 열려있는 상면 및 하면에 노출되고, 전면(12)측의 일부가 커넥터 하우징(2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밧데리의 전원단자(5)는 탭 콘택트(22)의 상방측에서만 접촉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탭 콘택트(22)의 경사진 후방에서도 접촉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전원 커넥터부(20)의 전원 콘택트로서 리프형의 콘택트가 아닌, 상방향 및 전후방향에서 연장된 탭 콘택트(22)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콘택트 자신의 강도가 높고, 전원단자(5)의 접촉시와 접촉후에 있어서 탭 콘택트(22)가 피괴되기 어렵고, 밧데리의 상하방향의 흔들림이 생겨도 전원 커넥터부에 있는 콘택트와 전원측의 전원단자와의 사이의 접촉압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탭 콘택트(22)는 전원단자(5)의 탄성접촉부(5b)와 양측에 있어서 2점 접촉을 하므로, 리프형의 콘택트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노트북형의 퍼스날컴퓨터(노트 PC)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노트 PC 에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외부 커넥터(C)를 입출력 커넥터부(10)에 접속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노트 PC 의 회로기판과 휴대전화기의 회로기판이 신호용 커넥터부(16)을 통하여 접속되고,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축 커넥터(17)는 휴대전화기내의 회로기판을 검사할때에 사용되거나, 혹은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안테나를 자동차내의 안테나로 교체할 때 사용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전기 커넥터는 외부커넥터(C)와 전원과에 접속되는 용도가 있으면,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탭 콘택트(22)는 회로기판상에 납땜 접속되는 표면실장 다인부(22a)만이 아닌 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 혹은 쓰루홀에 납땜 접속되는 DIP 다인부를 병용하여 구비하여도 좋다. 이 DIP 다인부는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고정할때의 보강으로서 리텐션레그와 비슷한 기능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구항 1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전원 커넥터부를 입출력 커넥터부의 양측에 분리하여 입출력 커넥터부와 일체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 커넥터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전원의 전원단자에 접촉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접속된 탭 콘택트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원 커넥터부가 입출력 커넥터부의 양측에 나뉘어 배치되므로써, 납땜지지로서의 기능을 가진 탭 콘택트가 입출력 커넥터부에 있는 콘택트에 대하여 균등하게 밸런스가 좋게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기 커넥터에 충격등의 요인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콘택트의 회로기판에의 기판접속부가 그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들 기판접속부의 보호를 충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커넥터부의 전원 콘택트로서 리프형의 콘택트가 아닌 탭 콘택트를 채용하기 때문에 콘택트 자신의 강도가 높고, 전원측의 전원단자의 접촉시와 접촉후에 있어서 탭 콘택트가 파괴되기 어렵고, 전원 커넥터부에 있는 콘택트와 전원측의 전원단자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이 상면 및 후면에 열려 있는 단부를 갖고, 상기 탭 콘택트가 상기 단부의 열려있는 상면 및 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기 때문에, 전원측의 전원단자를 탭 콘택트의 상방에서만 접촉시키는 것이 아닌 탭 콘택트의 경사진 후방에서도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탭 콘택트의 강도가 보강된다.

Claims (2)

  1. 외부 커넥터와 접속하는 입출력 커넥터부와,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 및 상기 전원 커넥터부가 공통의 커넥터 하우징에 의하여 일체로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부를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의 양측에 나누어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와 일체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 커넥터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전원의 전원단자에 접속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탭 콘택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면 및 후면에 열려 있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탭콘택트가 상기 단부의 열려있는 상면 및 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10059891A 2000-10-02 2001-09-27 전기 커넥터 KR20020026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2573 2000-10-02
JP2000302573A JP2002110299A (ja) 2000-10-02 2000-10-02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822A true KR20020026822A (ko) 2002-04-12

Family

ID=1878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891A KR20020026822A (ko) 2000-10-02 2001-09-2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076956A1 (ko)
EP (1) EP1193811A1 (ko)
JP (1) JP2002110299A (ko)
KR (1) KR20020026822A (ko)
CN (1) CN13492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00B1 (ko) * 2006-09-15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 구조를 갖는 모터
KR102631004B1 (ko) * 2023-03-21 2024-01-30 이기석 일체형 체결식 커넥터 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917A (ja) * 2001-12-21 2003-07-04 Tyco Electronics Amp Kk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シールド型コネクタ
TWM271281U (en) * 2004-11-08 2005-07-2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7096518A (ja) * 2005-09-27 2007-04-12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TWM428516U (en) * 2011-12-06 2012-05-01 Tuton Technology Co Ltd Battery connector capable of easy battery replac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842A (ja) * 1994-02-15 1995-08-29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の端子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と電子機器本体
US5533908A (en) * 1994-08-31 1996-07-09 The Whitaker Corporation Latch and mounting member for a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584713A (en) * 1994-12-09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al connector
JPH0963716A (ja) * 1995-08-25 1997-03-07 Hirose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用複合コネクタ
JP3084518B2 (ja) * 1997-10-03 2000-09-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I/oコネクタ及びその一体型コンタク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00B1 (ko) * 2006-09-15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 구조를 갖는 모터
KR102631004B1 (ko) * 2023-03-21 2024-01-30 이기석 일체형 체결식 커넥터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9287A (zh) 2002-05-15
EP1193811A1 (en) 2002-04-03
JP2002110299A (ja) 2002-04-12
US20020076956A1 (en)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7942B2 (en) Connector having metal shell with anti-displacement structure
US6469905B1 (en) Guide rail device for receiving a GBIC module
US5454734A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KR101158929B1 (ko) 평면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이에 이용되는 쉴드 부재
JP4267608B2 (ja) 電気コネクタ
US600735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ed power contacts
US700121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2005027733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US20110143593A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grounding means
US20080108235A1 (en) Connector,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US7527525B2 (en) Jack connector
WO2002058191A3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006164943A (ja) 電気コネクタ
EP331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JP3640759B2 (ja) コネクタ
KR20070067620A (ko)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KR20020026822A (ko) 전기 커넥터
JPH0822852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H09245861A (ja) 電気コネクタ
US2003011935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KR20170099058A (ko) Emc 스프링을 포함하는 usb 커넥터
US702931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ell
US629382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645013B1 (en) Electronic system and connector used therein
US6793538B2 (en) Slim modular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