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171A - 스포츠화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스포츠화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171A
KR20020026171A KR1020017015472A KR20017015472A KR20020026171A KR 20020026171 A KR20020026171 A KR 20020026171A KR 1020017015472 A KR1020017015472 A KR 1020017015472A KR 20017015472 A KR20017015472 A KR 20017015472A KR 20020026171 A KR20020026171 A KR 20020026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member
structural interface
central
attached
brid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샌드제프더블유.
Original Assignee
고스린 크레이지
밴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스린 크레이지, 밴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고스린 크레이지
Publication of KR2002002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1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10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 A63C10/106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01Snowboard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01Snowboard boots
    • A43B5/0403Adaptations for soles or accessories with soles for snowboard bind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15Accessories
    • A43B5/0417Accessories for soles or associated with soles of ski boots; for ski bindings
    • A43B5/0423Accessories for soles or associated with soles of ski boots; for ski bindings located on the sides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86Ski or like boot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 A43B5/049Ski or like boot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with an upper made of composite material, e.g. fibers or core embedded in a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4Shoes for cyclis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10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10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 A63C10/103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on the sides of the sho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40)가 개시된다. 구조적 인터페이스(40)의 실시예는 브리지 부재(46)에 의해 함께 연결된 측면 빔 부재(42)와 중앙 빔 부재를 포함한다. 측면 빔 부재(42) 및 중앙 빔 부재(44)는 연결 수단 및/또는 부착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47,48.49)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는 예를 들면, 스노우보드 바인딩 또는 자전거 페달과 같은 스포츠 장치와 결합된다.

Description

스포츠화 인터페이스{Sports Shoe Interface}
스포츠화 또는 부츠는, 통상 강성 섕크(shank)를 갖는 자전거 페달, 스키 바인딩 또는 스노우보드 바인딩과 같은 장치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강성 섕크는 밑창(footbed) 하부에 위치되며, 판 스프링 구조로서 작용하며, 페달, 또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상의 부착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핀 또는 보스를 장착하기 위한 토대(foundation)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포츠들은 섕크에 의해 전체 밑창 내로 전달되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충격력과 관련된다. 섕크는 통상 발(foot)과 밀착되기 때문에,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 흡수재를 포함하기 위한 공간이 거의 또는 전혀 없으며, 연성 재료가 발 하부의 소정의 위치에 부가되는 경우 조차도 강성 섕크의 존재를 여전히 지각할 수 있으며 불쾌감을 유발한다. 따라서, 스포츠 활동 중 또는 후에, 이러한 스포츠 부츠의 착용자는 발의 피로감 및/또는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농구 또는 육상과 같은 다른 고충격성 스포츠를 위해 설계된 신발류는 다양한 충격 흡수재로 겉창(outsole)을 제조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자전거, 스키 및 스노우보드와 같은 스포츠의 인기는 매년 증가되고 있다. 더욱이, 신규한 고속 체어 리프트 기술에 의해, 스키어들 및 스노우보더들은 과거에 가능했던 것 보다 더 많이 하루 중에 산의 슬로프를 내려올 수 있다. 따라서 스키 및 스노우보드 부츠는, 발 및 스키어/보더들에게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에 대한 "감각(feel)"을 제공하면서도, 경량이며, 편안하며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충격력에 기인하는 발의 피로 및/또는 발의 통증을 최소화하면서, 착용자가 편안하게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지지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포츠화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착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 인터페이스(structural interface)를 갖는 스포츠 부츠(boot)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스포츠화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포츠 부츠의 개략 절개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스포츠 부츠의 다른 개략 사시도.
도 3b는 선 3B-3B를 따른 도 3a의 스포츠 부츠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스노우 보드의 바인딩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스노우보드 부츠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점선으로 도시한 스포츠 부츠의 윤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점선으로 도시한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a의 선 7-7을 따른, 도 6b의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측면 빔 부재(beam member)와,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중앙 빔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브리지 부재는 밑창의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이 장착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가 장착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은, 측면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중앙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측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리지 부재의 제 1 측부는 측면 빔 부재에 연결되며, 브리지 부재의 제 2 측부는 중앙 빔 부재에 연결된다.
하기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측면 빔 부재, 중앙 빔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는 개별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면 빔 부재, 중앙 빔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는 함께 성형되어 단일의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빔 부재, 적어도 하나의 중앙 빔 부재 및, 밑창의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브리지 부재를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브리지 부재는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한다. 다른 특징은 측면 또는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가 측면 또는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양태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측부를 갖는 브리지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브리지 부재의 제 1 측부는 각각의 측면 빔 부재에 연결되며, 브리지 부재의 제 2 측부는 각각의 중앙 빔 부재에 연결된다. 다른 특징은, 측면 빔 부재, 중앙 빔 부재 및 브리지 부재가 개별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면 빔 부재, 중앙 빔 부재 및 브리지 부재는 함께 성형되어 단일의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스포츠화는 갑피(upper), 구조적 인터페이스 및 겉창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갑피의 측부에 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측면 빔 부재와, 갑피의 중앙부에 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브리지 부재를 포함한다. 부가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중간창(midsole)이 겉창과 갑피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완충재가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게다가, 발 지지용 패딩층(padd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는, 측면 빔 부재,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브리지 부재를 갖는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포츠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갑피를 제조하는 단계와,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측면 빔 부재를 갑피의 측부에 연결하는 단계와,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중앙 빔 부재를 갑피의 중앙부에 연결하는 단계 및, 겉창을 갑피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중앙 및 측면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를 중앙 및 측면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스노우보드 보더용 구조적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 시스템은 갑피의 측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빔 부재와, 갑피의 중앙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빔 부재 및,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브리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시스템은, 측면 및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 및, 상기 연결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또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구조적 지지 시스템은 측면 및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구조적 인터페이스가 고성능의 경량 신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EVA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다른 충격 흡수재와 같은, 신발류에 통상적인 경량의 완충재가 스포츠화를 제조할 때 얇은 겉창에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스포츠화 및 섕크 디자인에서 보다 스노우보드와 같은 스포츠 용품에 발을 더욱 밀착시켜, 착용자의 제어를 증가시킨다. 발의 하부에 대형의 구조적 섕크가 없기 때문에, 스포츠 활동 중 발로 미리 전달되는 대부분의 지각성 진동 하중은 배제된다. 또한,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단일 유닛으로서 성형될 수 있으며, 미국 신발 사이즈 3 내지 14의 발 사이즈의 전체 범위를 커버하는데 단 4개의 사이즈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풀-사이즈(full-size) 발 섕크에 비해 비용 절감이 실현되며, 브리지 부재는 제조 중에 신발 내에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부가의 장점은 스노우보드와 같은 스포츠에 실현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측면 빔 부재가 착용자의 발로부터 바인딩으로, 따라서 스노우보드로 제어력을 전달하는 향상된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향상된 제어가 이루어진다. 중앙 및 측면 빔 구조는 또한, 강한 구조적 연결에 부가하여, 바인딩에 대한 넓은, 따라서 더욱 안정된 연결 영역을 제공한다. 더욱이, 수평 및 수직력이 측면 빔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운동 중의 스포츠화 내에서의 발의 측방향 이동 또는 "몸부림(wallowing)"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또한 얇은 브리지 부재에 의해 스포츠 용품에 대한 발의 낮은 배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편안함을 위해 적절한 양의 충격 흡수 겉창 및 발 하부에 안창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스노우보드 보더는 그의 발이 편안하고 안락한 경우, 스노우 보드의 향상된 제어를 확실히 할 수 있다. 게다가, 발의 하부에 두꺼운 지지 섕크가 없기 때문에 발에 차가운 환경이 전달되는 것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스포츠화 내에 사용되는 구조적 인터페이스(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측면 수직 빔 부재(4)와, 중앙 수직 빔 부재(6)를 포함한다. 상기 빔 부재들(4,6)은 스포츠화의 밑창의 중앙부의 중앙 및 측부 상의 외측 경계에 일치하도록 성형되며, 얇은 웨브 일 수 있는 브리지 부재(8)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영역(10A,10B,10C,10D)은 핀 또는 보스와 같은 연결 수단(도시 않음)을 위한 가능한 장착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연결 수단은 자전거 페달 부착 장치 또는 스노우보드 바인딩과 같은 부착 장치와 결합되도록 성형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양 빔 부재(4,6)는 스노우보드 바인딩과 결합된 핀 또는 보스를 결합하거나 포획하기 위한, 트랙을 갖는 블록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소의 장착 위치들은 측면 또는 중앙 빔 부재 상의 다른 위치에 지정될 수도 있다.
도 1의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통상 스포츠화 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따라서 인터페이스의 존재는 소비자에게는 통상 인식되지 않다. 그러나, 측면 빔 부재(4) 및 중앙 수직 빔 부재(6)와 관련된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는, 통상 선포(vamp) 또는 중간창의 측벽을 너머 상기 영역들(10A,10B,10C,10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외향 또는 수평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다.
구조적 인터페이스(2)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우레탄, 합금 또는 복합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가요성 및 내구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단일의 유닛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이상의 개별 부품으로서 제조된 후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빔 부재들(4,6)은 소정의 굽힘 및/또는 전단 특성과 제조 방법에 따라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브리지 부재(8)의 재료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빔 부재는 가요성이거나, 상이한 방식으로 응력에 대해 반응한다.
브리지 부재(8)는 적합하게는 얇은 웨브 재료이며 가요성을 가지므로, 발이 실질적으로 지각할 수 없다. 이러한 브리지 부재는 사용 중에 최소량의 압력을 발에 부여하도록 용이하게 만곡되거나 굽어진다. 상기 브리지 부재는 용이한 제조를 위해 중앙 및 측면 빔 부재를 연결하며, 스포츠화의 제조 중에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며, 발의 하부에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브리지 부재는 측면 빔 부재들 사이의 스페이서 부재로서 기능하며, 발을 위한 지지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를 지지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재차 참조하면, 중앙 및 측면 빔 부재(4,6)는 약 20mm 내지 30mm의 높이(h)와, 약 100mm 내지 140mm의 길이(l) 및, 약 2.5mm 내지 4.5mm의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브리지 부재(8)는 1.5mm 내지 2.5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H자 형상이며, 그의 중간부의 길이(b)는 측면 빔 부재의 길이(l) 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그러나, 상술한 중앙 및 측면 빔 부재의 길이, 높이 및 두께의 범위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사용 재료, 소정의 만곡 특성 및 신발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점선으로 도시한 갑피 또는 선포(22)를 가지며, 도 1의 구조적 인터페이스(2)를 포함하는 스포츠 부츠(20)의 개략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스포츠 부츠는 앞부리 영역(toe area)(24), 뒷굽 영역(25), 측면 영역(26) 및 중앙 영역(27)을 포함한다. 선포(22)는 착용자의 발 및 발목을 단단히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발에 스포츠 부츠를 고정하기 위한 끈(도시 않음) 등과 같은 다양한 공지된 형태의 조임 기구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포(22)는 가죽, 캔버스와 같은 내구성 재료 또는 직물 및/또는 방수 재료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갑피의 일부는 소가죽, 비닐 또는 가죽 등과 같은 직물 또는 다른 재료의 층을 부가함으로써 또한 보강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은, 종래 공지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 재료에 따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도록 및/또는 가요성 또는 강성을 부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층의 위치는 패션 또는 스타일 취향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스포츠 부츠 갑피 또는 선포(22)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임의의 형태의 신발 갑피가 구조적 인터페이스(2)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포(22)는 스티칭(stitching) 또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한 것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겉창(30)에 부착될 수 있으며, 구조적 인터페이스가 제조 중에 선포(22)와 일체 형성되거나 상기 선포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먼저, 선포가 겉창에 부착되기 전에, 겉창 또는 중간창(도시 않음)과 정렬되어 부착될 수 있다.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농구화와 같은 다른 고충격 스포츠화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재료 및 공정들로 신발창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측면 빔 구조는 또한 스포츠화의 수직 적층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발을 스노우 보드에 더욱 근접하게 한다. 이는 브리지 부재(8)가 얇으며, 대부분의 경우 1.5mm 내지 2.5mm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도 3a는 구조적 인터페이스(2)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단면도로 도시한 완충재(12) 및, 겉창(30)의 상부의 부츠의 중앙측으로부터 돌출된 핀(14,16)을 포함하는, 도 2의 스포츠 부츠의 사시도이다. 상기 핀(14,16)은 지점(10A,10B)(도 1 참조)에서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중앙 수직 빔 부재(6) 상에 장착되며, 전체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완충재(12) 내에 포위된다. 하나 이상의 핀이 또한 부츠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된다(도시 않음). 도시된 핀(14,16)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지만, 대략 직사각형의 보스와 같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른 연결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연결 수단에 부가하여 또는 연결 수단 대신에, 부착 장치가 구조적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선 3B-3B를 따른 스포츠 부츠(20)의 정면 단면도이다. 상기 핀(14)은 중앙 빔 부재(6)에 연결되며 선포(22)의 중앙측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며, 핀(15)은 측면 빔 부재(4)에 연결되며 선포(22)의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완충재(12)는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둘러싸며, 이러한 구조체는 겉창(30)의 상부에 위치된다. 패딩 재료(18)는 브리지 부재(8)와 완충재(12)의 상부에 첨가될 수 있으며, 발과 접촉하기 위한 테리 직물(terrycloth)과 같은 안창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구조적인 변형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패딩층(18)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및/또는 중간창이 겉창에 부가하여 포함될 수 있다. 중간창이 사용되는 경우,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신발의 제조 중에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도 4는 스노우보드(35)에 부착된 스노우보드 바인딩(31,33)과 정렬되며 결합되는 연결 수단을 갖는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스노우보드 부츠(21,23)를 도시한다. 상기 스노우보드 부츠(21)와, 상기 부츠 내의 구조적 인터페이스 및 바인딩(31)은 함께 구조적 지지 시스템을 형성한다. 상기 구조적 지지 시스템은 편향이 방지되어, 스노우보드 바인딩과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노우보드로 전달되는 힘을, 보더가 스노우보드를 조작하기 위해 발의 중앙 및 측부를 통해 작용시킬 수 있다. 게다가, 화살표(f)(도 3에도 도시함) 방향의 수직 충격력이 두 개의 성분으로 분할된다. 스노우보드(35)로부터의 충격력인 제 1 성분은, 스포츠화의 겉창, 중간창 및 임의의 내부 패딩의 완충재에 의해 조절된다.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연결 수단에 작용하는 바인딩으로부터의 점력(point force)인 제 2성분은, 빔 부재(4,6)(도 3b)에 의해 스노우보드 부츠의 선포 내로 지향된다. 측면 빔 상에 작용하는 바인딩으로부터의 수직력은 발바닥에 작용하기 보다는 발을 지나 효과적으로 통과된다. 따라서,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브리지 부재(8)(도 1 및 도 2 참조)는 발바닥에 바인딩으로부터의 힘에 기인하는 임의의 상당한 량의 압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그 결과,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노우보드 부츠는, 적합한 재료에 의해 충격력이 흡수되어 발이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보더에게 향상된 제어를 제공한다. 발의 편안한 상태는, 보더가 발의 통증에 신경쓰기 보다는 스노우보드의 제어에 전념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구조적 인터페이스(4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측면 빔 부재(42) 및 중앙 빔 부재(44)는 브리지 부재(46)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도 5c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윤곽을 갖는 3개의 보스(47,48,49)가 빔 부재들(42,44)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빔 부재(42)는 중앙 빔 부재(44) 보다 길고, 따라서 중앙 빔 부재보다, 보스(47,48)와 같은 연결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적 고정점을 많이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빔 부재 사이즈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측면 빔 부재 보다 길고, 측면 빔 부재 보다 많은 연결 수단 및/또는 부착 장치를 갖는 중앙 빔 부재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5d는 구조적 인터페이스(10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측면 빔 부재(102) 및 중앙 빔 부재(104)는 브리지 부재(106)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각각 채널 또는 트랙(109,111)을 갖는 두 개의 부착 장치(108,110)가 중앙 빔 부재(104)에 부착된다. 각각의 트랙(109,111)는, 예를 들면 스노우보드 바인딩(도시 않음)의 부분인 핀 또는 보스와 같은 결합 부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립(116)을 갖는 개구(114)는 측면 빔 부재(102)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보스 또는 핀과 같은 연결 수단을 수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부착 장치가 개구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형태의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장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6a는 스포츠 부츠 내의 적소에 장착된 도 6b의 구조적 인터페이스(50)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스포츠 부츠(60)의 윤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의 구조적 인터페이스(50)는 도 5a 내지 도 5c의 인터페이스(40)와 유사하지만, 중앙 빔 부재(44)와는 약간 상이한 형상을 갖는 중앙 빔 부재(54)를 갖는다. 구조적 인터페이스(50)는 연결 수단 또는 장착 수단을 위한 3개의 장착 위치(57,58,59)(도 6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a의 점선 7-7을 따른 구조적 인터페이스(50)의 단면(70)을 도시한다. 브리지 부재(56)는 겉창(30)과 지지 패딩(68) 사이에 개재된다. 스포츠 부츠(60)의 선포(67)는 측면 및 중앙 빔 부재(52,54)에 접착식 부착, 스티칭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간창 층 또는 부가의 완충층과 같은 다른 층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러한 부가의 층들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노우보드와 같은 스포츠에서, 최대의 제어를 위해 발이 가능한 한 스노우보드와 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밑창에 최소량의 패딩이 사용되어야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스(53,55)는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측면 및 중앙 빔 부재(52,54)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보스(53,55)는 스포츠화의 제조 중에 겉창(30)의 측부 에지(32) 및 중앙 에지(34)와 결합되는 노치(73,75)를 포함한다. 일체 성형 구조가 적합하지만, 핀, 보스 및/또는 다른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는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형성 후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수단은 제거될 수 있으며, 또는 상이한 형태의 바인딩 또는 다른 장치와 스포츠 부츠를 결합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다른 형태의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와 교환 가능하다.
도 8은 구조적 인터페이스(80)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80)는 공통의 얇은 브리지 부재(87)에 의해 함께 연결된 다수의 측면 빔 부재(82,83)와 다수의 중앙 빔 부재(84,85,86)를 포함한다. 각각의 빔 부재(82 내지 86)는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포츠 장치로의 연결을 위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도록 스포츠화의 겉창 또는 중간창에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빔 부재(82,83Z)는 각각 하나의 보스(88,89)를 각각 지지하며, 중앙 빔 부재(85)는 하나의 핀을 지지한다. 또한, 중앙 빔 부재(84,86)는 각각 두 개의 핀(90,91; 93,94)을 지지한다. 따라서, 연결 수단 및/또는 부착 장치의 상이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브리지 부재(8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 중에 스포츠화 또는 부츠 내의 구조적 인터페이스(8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본원에 개시된 각각의 구조적 인터페이스 실시예는 연결 수단 또는 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단일 유닛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단일 부품 구성은, 미국 신발 사이즈 3 내지 14를 커버하기 위해 단 4개의 상이한 사이즈의 구조적 인터페이스 유닛만이, 따라서 단 4개의 몰드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효과적이다. 선택적으로, 빔 부재들, 브리지 부재, 연결 수단 및/또는 부착 장치 중 일부 또는 모두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재료로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음 성능 기준 및/또는 교환성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였지만,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구조적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X 또는 H형인 단일의 브리지 부재를 사용하였지만, 상이한 형상을 갖는 브리지 부재, 뿐만 아니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전장을 갖는 복수의 브리지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적 인터페이스가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측면 또는 중앙 빔 부재에 연결된 핀, 보스 또는 부착 장치의 수 및 특정 형상은, 사용되는 결합 장치 또는 바인딩의 형태 및/또는 관련된 스포츠 활동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측면 빔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며, 밑창의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를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4. 측면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중앙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 1 및 제 2 측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브리지 부재의 제 1 측부를 상기 측면 빔 부재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리지 부재의 제 2 측부를 상기 중앙 빔 부재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빔 부재, 상기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는 단일의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빔 부재, 상기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부재는 함께 성형되어 단일의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측면 빔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며 밑창의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브리지 부재를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또는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또는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10. 적어도 하나의 측면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빔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 1 및 제 2 측부를 갖는 브리지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브리지 부재의 제 1 측부를 상기 각각의 측면 빔 부재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리지 부재의 제 2 측부를 상기 각각의 중앙 빔 부재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빔 부재, 상기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브리지 부재는 개별적으로 성형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빔 부재, 상기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브리지 부재는 함께 성형되어 단일의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스포츠화용 구조적 인터페이스 제조 방법.
  13. 갑피와,
    상기 갑피의 측부에 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측면 빔 부재와, 상기 갑피의 중앙부에 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를 갖는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브리지 부재를 갖는 구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갑피에 연결되는 겉창을 포함하는 스포츠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위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및 상기 갑피에 연결되는 중간창을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완충재를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
  18. 제 13 항에 있어서, 발 지지용 패딩층을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
  19. 측면 빔 부재와,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브리지 부재를 갖는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포츠화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갑피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측면 빔 부재를 상기 갑피의 측부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적 인터페이스의 중앙 빔 부재를 상기 갑피의 중앙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갑피에 겉창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화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및 측면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연결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 제조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및 측면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스포츠화 제조 방법.
  22. 갑피의 측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빔 부재와, 상기 갑피의 중앙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브리지 부재를 갖는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노우보드 부츠와,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 및,
    상기 연결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를 구비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포함하는 스노우보드 보드용 구조적 지지 시스템.
  23. 갑피의 측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빔 부재와, 상기 갑피의 중앙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 빔 부재 및,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 부재를 갖는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노우보드 부츠와,
    상기 측면 및 중앙 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포함하는 스노우보드 보더용 구조적 지지 시스템.
KR1020017015472A 1999-06-02 2000-05-03 스포츠화 인터페이스 KR200200261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23,978 US6226897B1 (en) 1999-06-02 1999-06-02 Sports shoe interface
US09/323,978 1999-06-02
PCT/US2000/011983 WO2000072712A1 (en) 1999-06-02 2000-05-03 Sports shoe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171A true KR20020026171A (ko) 2002-04-06

Family

ID=2326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472A KR20020026171A (ko) 1999-06-02 2000-05-03 스포츠화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226897B1 (ko)
EP (1) EP1199952B1 (ko)
JP (1) JP4643026B2 (ko)
KR (1) KR20020026171A (ko)
CN (1) CN1367655A (ko)
AT (1) ATE400198T1 (ko)
CA (1) CA2374148A1 (ko)
DE (1) DE60039430D1 (ko)
HK (1) HK1046623B (ko)
TW (1) TW544290B (ko)
WO (1) WO2000072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3746B2 (en) * 2003-07-25 2005-12-13 Nike, Inc. Soccer shoe having independently supported lateral and medial sides
US7634831B2 (en) * 2004-06-04 2009-12-22 Nike, Inc. Footwear products, methods for making footwear products, and structures used in making footwear products
CN100584234C (zh) * 2004-06-04 2010-01-27 耐克国际有限公司 鞋产品、制造鞋产品的方法及用于制造鞋产品的结构
US7685742B2 (en) * 2006-07-21 2010-03-30 Nike, Inc. Impact-attenuation system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MY167466A (en) * 2007-06-29 2018-08-29 Chien Howah Tin A shoe sole strengthener
US20090256334A1 (en) * 2008-04-14 2009-10-15 Lynn Handel Temporary snowboard fastener
US9873033B2 (en) * 2010-10-27 2018-01-23 Ben C Debney Snowboard combination boot and binding system
ITTV20120186A1 (it) * 2012-09-28 2014-03-29 Alpinestars Res Srl Calzatura sportiva
US9572394B2 (en) 2013-03-01 2017-02-21 Nike, Inc. Foot-support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160021977A1 (en) * 2014-07-22 2016-01-28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shank
US9220970B1 (en) 2014-11-14 2015-12-29 The Burton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and boot
EP3218073B1 (en) 2014-11-14 2021-05-19 The Burton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US9149711B1 (en) 2014-11-14 2015-10-06 The Burton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and boot
EP3103630B1 (fr) * 2015-06-11 2020-12-09 Rossignol Lange S.R.L. Chaussure de sport co-injecté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0139A (fr) * 1962-12-14 1964-01-24 Baudou S A R L élément de protection ou de renforcement perfectionné, pour chaussures
US4125274A (en) * 1974-12-19 1978-11-14 Gertsch Ag Safety ski binding and ski boot combination
US3952429A (en) 1975-01-13 1976-04-27 Vulcan Corporation Sectional shoe mid-sole
FR2385346A1 (fr) * 1977-03-28 1978-10-27 Beyl Jean Joseph Alfred Ensemble forme par une chaussure de ski et une fixation specialement concue pour recevoir celle-ci
US4410199A (en) 1980-12-16 1983-10-18 Eisenberg Joel Howard Cross-country ski boot binding
US4372062A (en) 1980-12-29 1983-02-08 Joel H. Eisenberg Ski boot
US5046267A (en) * 1987-11-06 1991-09-10 Nike, Inc.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control device
JPH0330022U (ko) * 1989-07-26 1991-03-25
CA2089313A1 (en) 1993-02-11 1994-08-12 Randy Jespersen Boot binding system for a snowboard
US5474322A (en) * 1994-07-21 1995-12-12 Crush Snowboard Products, Inc. Snowboard binding
US5720117A (en) 1995-06-16 1998-02-24 Ariat International, Inc. Advanced torque stability shoe shank
US5690351A (en) * 1995-07-21 1997-11-25 Karol; Chris Snowboard binding system
FR2741817B1 (fr) * 1995-12-04 1998-02-13 Salomon Sa Dispositif de retenue d'une chaussure de snowboard sur une planche
US5692321A (en) 1995-12-12 1997-12-02 Holstine; Michael P. Athletic boot
US5784809A (en) 1996-01-08 1998-07-28 The Burton Corporation Snowboarding boot
FR2745692B1 (fr) * 1996-03-06 1998-05-29 Salomon Sa Insert pour chaussure destinee a la pratique du surf sur neige
FR2746265B1 (fr) * 1996-03-22 1998-04-17 Rossignol Sa Chaussure de surf
FR2749483B1 (fr) * 1996-06-06 1998-09-11 Salomon Sa Dispositif de retenue d'une chaussure sur une planche de glisse
JP3358941B2 (ja) 1996-06-19 2002-12-24 株式会社シマノ スノーボードブーツのクリート位置構造
US5970631A (en) * 1996-07-23 1999-10-26 Artemis Innovations Inc. Footwear for grinding
IT1285538B1 (it) * 1996-10-22 1998-06-08 Twinex S R L Attacco con bloccaggio rapido della calzatura particolarmente per tavole da neve
EP0991451B1 (en) * 1997-04-18 2002-07-24 The Burton Corporation An interface for engaging a snowboard boot to a binding
US5845421A (en) 1997-06-13 1998-12-08 Shimano Inc. Snowboard shoes and cycle shoes having an intermediate sol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26897B1 (en) 2001-05-08
JP4643026B2 (ja) 2011-03-02
HK1046623B (zh) 2008-12-05
WO2000072712A1 (en) 2000-12-07
HK1046623A1 (en) 2003-01-24
CA2374148A1 (en) 2000-12-07
WO2000072712A9 (en) 2001-06-07
DE60039430D1 (de) 2008-08-21
CN1367655A (zh) 2002-09-04
ATE400198T1 (de) 2008-07-15
US20010001909A1 (en) 2001-05-31
EP1199952B1 (en) 2008-07-09
TW544290B (en) 2003-08-01
JP2003500140A (ja) 2003-01-07
EP1199952A4 (en) 2005-01-26
EP1199952A1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709B1 (ko) 스노우보딩용 부츠
US10201210B2 (en) Restraint configured to allow relative heel/forefoot motion
CA1304935C (en) Athletic shoe for aerobic exercise and the like
US6170175B1 (en) Footwear with in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US20010018805A1 (en) Sole-support assembly for a boot
US7370443B2 (en) Footwear item for racket sports
EP1355703B1 (en) In-line roller skate with internal support and external ankle cuff
US6168172B1 (en) In-line roller skate
US8499475B2 (en) Articulating footwear for sports activity
KR20020026171A (ko) 스포츠화 인터페이스
US6371494B1 (en) Sports boot with variable rigidity
EP0570048B1 (en) Biomechanical ski-boot
US20020053147A1 (en) Upper reinforcing element
US20050178028A1 (en) Ski boot
US20030110664A1 (en) Sports shoe
US6145867A (en) Shoe/shoe retention device assembly on gliding element
EP0954225A1 (en) Tri-point skate boot
CA2279409A1 (en) Tri-point skate bo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