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976A - 유체 제어용 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제어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976A
KR20020025976A KR1020027002055A KR20027002055A KR20020025976A KR 20020025976 A KR20020025976 A KR 20020025976A KR 1020027002055 A KR1020027002055 A KR 1020027002055A KR 20027002055 A KR20027002055 A KR 20027002055A KR 20020025976 A KR20020025976 A KR 2002002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actuator
valve
compensating
compensation
compens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뵉킹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0/002534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14731A1/de
Publication of KR2002002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02M63/0026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using piezoelectric or magnetostrictive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02M47/02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of accumulator-injector type, i.e. having fuel pressure of accumulator tending to open, and fuel pressure in other chamber tending to close, injection valves and having means for periodically releasing that closing pressure
    • F02M47/027Electrically actuated valves draining the chamber to release the clos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70Linkage between actuator and actuated element, e.g. between piezoelectric actuator and needle valve or pump plunger
    • F02M2200/701Linkage between actuator and actuated element, e.g. between piezoelectric actuator and needle valve or pump plunger mechanical

Abstract

작동을 위해 압전 액추에이터(2)와 협력하는 유체 제어용 밸브가 제안된다. 온도 변화에 의해 야기된 압전 액추에이터(2)의 행정 방향 팽창의 보상을 위해 금속으로 구성된 보상 부재(7)가 제공된다. 상기 금속은 압전 액추에이터(2)의 열팽창 계수에 대응하는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압전 액추에이터(2)와 보상 부재(7)는 정해진 온도 변화에서, 비교할 만한 행정 방향 팽창의 변화를 보인다. 이로 인해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 변화가 온도에 의해 보상된다. 상기 밸브는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당하다.

Description

유체 제어용 밸브{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s}
상기 밸브는 예를 들면 EP 0 477 400 A1 에 공지된다. 상기 간행물에서 밸브 부재의 작동 피스톤이, 계단식 홀의, 직경이 더 작은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반면,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직경이 더 큰 피스톤은 계단식 홀의, 직경이 더 큰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두 피스톤 사이에 하나의 유압 챔버는, 큰 피스톤이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면, 밸브 부재의 작동 피스톤이 계단식 홀 직경의 변환비 만큼 확대된 경로를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밸브 부재, 작동 피스톤, 직경이 큰 피스톤 및 압전 액추에이터는 하나의 공통 축에 연달아 놓여있다.
압전 액추에이터를 제어 부재로 사용하기 위해, 온도의 함수로서 길이 팽창의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행정은 그 길이의 단지 약 1/1000 내지 1.5/1000 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기의 짧은 행정은 여러가지 응용을 위해 변환되어야만 한다. 사용된 여러가지 재료들의 상이한 온도 팽창계수에 의해 압전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해 가능한 행정보다 행정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더 큰 세팅 효과가 야기된다.
공차 보상을 위해, EP 0 477 400 A1의 밸브에서는 유압 챔버에서 정해진 누출량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온도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바와 같이, 밸브 구조의 느린 변화 시 유압 유체가 누출될 수 있으며 상기 효과를 행정 방향으로 보상할 수 있다. 유압 유체의 점도는,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야기되는 바와 같이, 빠른 변화 시 유압 유체가 누출되지 않고, 압전 액추에이터의 편향이 작동 피스톤에 전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피스톤과 둘러싸는 실린더 벽 사이의 환형 틈 형태에서 정해진 누출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스톤의 제작 시 매우 낮은 공차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보상은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 또한 유출된 유압 유체는 다시 유압 챔버로 재공급되어야만 하고, 이를 위해 해당 장치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유체 제어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이중 전환 밸브로서 밸브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단면도.
도 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단면도.
도 5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단면도.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유체 제어를 위한 밸브는 상기와 달리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고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거의 1의 또는 1의 열팽창 계수는 1.0과 약 1.1 사이의 값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경우 상기 비는 1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서는 부품수가 현저히 감소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부품들만이 측정되면 되기 때문에, 밸브의 간단한 조립과 측정 과정의 감소가 결과로서 나타난다. 이로 인해 특히 밸브의 제작 비용과 조립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보상 부재가, 압전 액추에이터를 감싸는 원통형 환형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가 동일한 온도 영향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상 부재의 상기 실시예로 인해 최상의 보상 작용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보상 부재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간단한 구성을 야기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보상 부재를 압전 액추에이터에 단지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보상 부재가 여러가지 형태, 예를 들면 원통형 횡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보상 부재의 형태가 밸브 구조의 공간적 조건에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가 점점 더 서로 인접하게 되므로써, 온도 영향이 두 부재에 동일한 범위로 작용하는 것이 보장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가 공간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특히 공동 챔버에 배치되어 있다. 온도 변화는 동일한 방식으로 양 부품에 작용함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부재의 길이 변화가 보상된다.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의 열팽창 계수가 동일하다면, 바람직하게 보상 부재의 유효 길이가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에 상응하는 구조가 선택된다. 상기 유효 길이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축에 평행하는 보상 부재의 팽창을 의미한다. 상기 유효 길이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축 방향으로 보상 부재의 팽창을 위해 제공된다.
보상부재가 Invar로 구성되는 것이 밸브의 작동을 위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와 증강기 사이에 공기 틈이 제공된다. 공기틈은 단지 몇 ㎛ 이다.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가 정확히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지지 않는다면, 상기 방식으로 나머지 에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전달 부재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보상 부재는 커넥팅 로드의 일부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달 부재는 매우 간단하게 제작되며, 제조 공차로 인한 작은 어려움만 나타난다.
밸브의 강성 실시예는 증강기가 기계적 증강기, 특히 레버로 구현될 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버의 지지부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축에 위치한다.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의 팽창비가 정확히 상응하지 않거나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 팽창과 더불어 또 다른 부품의 길이 팽창이 보상되어야 하면, 보상 부재의 유효 길이가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와 같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설명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를 위한 밸브가 도시된다. 밸브는, 압전 액추에이터(2)가 배치된 하나의 하우징(1)을 포함한다. 압전 액추에이터(2)의 자유 단부에, 압전 액추에이터(2)의 축(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커넥팅 로드(5)를 포함하는 전달 부재(3)가 연결된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판 스프링(6)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Invar로 제작된 보상 부재(7)가 커넥팅 로드에 통합되어 있다. 보상 부재(7)는 여기서 나사선 결합에 의해 커넥팅 로드와 연결된다. 그러나 다른 방식의 결합,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한 결합도 사용될 수 있다. 보상 부재(7)와 압전 액추에이터(2)는 거의 길이가 같으며, 공간적으로 서로 좁은 간격으로 하나의 공통 챔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팅 로드(5)는, 지지부 축(9)을 가진 레버(10)용 지지부를 형성하는 레그(8)로 연장된다. 도 1에서 지지부 축(9)은 압전 액추에이터 축(4)과 동일선상에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를 위한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부의 축(9)은 압전액추에이터(2)의 축과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휴지 위치에서 레그(8)와 레버(10) 사이에 공기 틈(11)이 형성된다. 이 때 공기 틈은 단지 몇 ㎛ 이다. 레버(10)는, 상기 레버(10)를 길이(B)의 짧은 레버 암과 길이(A)의 긴 레버 암으로 분할하는 베어링(12)에 지지된다. 비율(A/B)에 의해 변환비가 결정된다. 레버(10)는 밸브 부재(13)의 개방 방향으로 긴 레버 암으로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14)에 의해 압축된다. 길이(A)의 긴 레버 암은 밸브 부재(13)의 피스톤(15)에 작용한다. 휴지 위치에서 피스톤(15)은, 압축 스프링(14)보다 더 큰 스프링 상수를 갖는 압축 스프링(16)에 의해 밸브 시트(17)에 대해 가압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가 단일 전환 유출 밸브 또는 공급 밸브로 도시된다. 그러나 이중 전환 밸브로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다. 밸브는 밸브 부재만이 도 1에 도시된 밸브와 다르다. 그러므로 도 2에는 밸브 부재의 단면만이 도시된다. 피스톤(15)은 상부 시트(18)와 하부 시트(19)에 지지될 수 있다. 밸브로의 공급은, 도시된 밸브에서 아래로부터 밸브 하우징으로 안내되는 공급관(20)을 통해 이루어지는 반면, 공급관(20) 반대편에 놓인 유출관(21)은 상부 밸브 시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작용
압전 액추에이터(2)를 사용해서 밸브를 작동시키는 경우, 압전 액추에이터(2), 밸브 자체 또는 밸브 하우징(1)의 길이 변화가 보상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보상 부재(7)가, 그리고 나머지 에러의 보정을 위해 공기 틈(11)이 사용된다.
압전 액추에이터(2)가 스위치 온될 때마다 전달 부재(3)는 판 스프링(6)의 예응력에 대항하여 상승된다. 행정은 커넥팅 로드(5)와 레그(8)를 통해 레버(10)의 짧은 암으로 전달된다. 압전 액추에이터(2)의 행정은 레버 암 길이 비율(A/B)에 의해 정해져서 긴 레버 암(A)의 상응하는 행정으로 변환된다. 레버암(A)은 밸브 부재(13)의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고, 피스톤(15)을 스프링(16)의 힘에 대항하여 아래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해 유출관(21)은 개방된다. 압전 액추에이터(2)가 스위치 온된다면 전달 부재(3)는 다시 휴지 위치로 되돌아 가며, 피스톤(15)은 스프링(16)의 힘에 의해 다시 시트(17)에 대해 가압되고. 이로 인해 유출관(21)이 다시 폐쇄된다. 스프링(14)의 힘에 의해 레버(10)는 다시 휴지 위치로 전환되며 공기 틈(11)이 재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이중 전환 밸브로서의 실시예에서 압전 액추에이터가 스위치 온되면, 피스톤(15)이 하부 밸브 시트(19)에 대해 가압되고, 공급관(20)이 폐쇄되며, 유출관(21)은 개방된다. 스위치 오프된 상태에서는 공급관(20)이 개방되고 유출관(21)은 폐쇄된다.
온도 변화 시 압전 액추에이터(2)의 팽창은 그 축을 따라 행정 방향으로 변화한다. 상기 길이 변화의 보상을 위해 보상 부재(7)가 제공된다. 상기 보상 부재(7)는 예를 들면 Invar로 제작되고 압전 액추에이터(2)와 유사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동일한 온도 변화 시 비교할 수 있는 길이의 변화가 나타난다. 압전 액추에이터(2)와 보상 부재(7)가 동일한 챔버 내에서 공간적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두 부품은 같은 온도 영향하에 놓인다. 따라서 두 부품은 거의 동일한 길이 변화를 보인다. 나머지 에러를 발생시키는 열팽창 계수의 미세한 차이는 공기 틈(11)을 통해 포착된다. 상기 공기 틈(11)은, 밸브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일정 한도 내에서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진다. 공기 틈(11)의 치수는, 냉각 상태에서 그리고 높은 온도에서도 어떤 변형도 일어나지 않거나, 압전 액추에이터(2)의 행정을 피스톤(15)에 전달시키는 데 있어 매우 큰 공차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정된다. 압전 액추에이터(2)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보상 부재(7)보다 더 많이 팽창한다면, 실온 상태에서, 약간 더 큰 공기 틈(11)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 공기 틈(11)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작아진다. 이와 반대로 온도의 상승에 따라 보상 부재(7)가 압전 액추에이터(2)보다 더 많이 팽창한다면, 실온 상태에서 매우 작은 공기 틈(11)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 공기 틈(11)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커진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를 위한 밸브가 도시된다. 상기 밸브(30)가 구조상 제 1 실시예의 밸브(1)와 상당히 다를지라도, 제 1 실시예의 보상 부재(7)와 동일한 동작이 밸브(30)에서 사용되는 보상 부재(31)에 기초가 된다.
밸브(30)는 하나의 압전 액추에이터(33)가 배치된 하나의 하우징(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전 액추에이터(33)는 하우징(32) 내부에서 압축 스프링 형태의 ㅖ응력 부재(34)와 피스톤(35)에 의해 예응력을 받는다. 동시에 압전 액추에이터(33) 둘레에 동심으로 환형으로 연장되는 보상 부재(31)도 압축 스프링(33)에 의해 밸브(30)의 하우징에 대하여 예응력을 받는다.
압전 액추에이터(33)의, 피스톤(35) 반대편 단부에 피스톤(36)이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36)은 그 자유 단부가 가늘어지고, 가늘어진 부분에 이어 하나의 구체(37)로 이어진다. 여기서 구체(37)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형 둘레부(38)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 둘레부(38)에 의해 구체(37)는 스프링(39)에 의해 제 1 시트(40) 내로 예응력을 받는다.
압전 액추에이터(33)에 전류가 공급되면, 도 3의 피스톤(36)과 구체(37)가 아래로 변위됨으로써, 구체(37)가 제 2 시트(41)와 긴밀하게 접촉된다.
통상적으로, 유출 스로틀(42)은 제 2 시트(41)에 연결되고, 제어 공간(43)은 공급 스로틀(44)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분사 노즐까지 연결된다. 또 다른 부품들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과 설명에서 제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압전 액추에이터(33)와 보상 부재(31)의 원리가 작용한다. 즉, 온도 변화 시 압전 액추에이터(33)의 팽창은 축을 따라 행정 방향으로 변한다. 상기 길이 변화의 보상을 위해 보상 부재(31)가 제공된다. 상기 보상 부재(31)는 예를 들면 Invar나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압전 액추에이터(33)와 비슷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진다. 그러므로 동일한 온도 변화 시 상기 보상 부재(31)는 비교할 수 있는 길이 변화를 나타낸다. 압전 액추에이터(33)와 보상 부재(31)가 동일한 챔버 내에서 공간적으로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두 부품은 같은 온도 영향 하에 놓인다. 따라서 두 부품은 거의 동일한 길이 변화를 보인다.
그러나 열팽창 계수에 있어 나머지 에러를 발생시키는 미세한 차이가 나타난다면, 피스톤(36)과 구체(37) 사이에 형성된 틈(45)을 통해 상기 나머지 에러가 포착될 수 있다. 이 때 공기 틈(45)은, 밸브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정 한도 내에서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질 수 있다. 공기 틈(45)의 치수는, 냉각 상태에서 그리고 높은 온도에서도 어떤 변형도 일어나지 않거나, 압전 액추에이터(33)의 행정을 피스톤(36)에 전달시키는 데 있어 매우 큰 공차를 발생시지 않도록 설정된다. 압전 액추에이터(33)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보상 부재(31)보다 더 많이 팽창한다면, 실온에서 약간 더 큰 공기 틈(45)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 공기 틈(45)은온도의 상승에 따라 작아진다. 이와 반대로 온도의 상승에 따라 보상 부재(31)가 압전 액추에이터(33)보다 더 크게 팽창한다면, 실온에서 매우 작은 공기 틈(45)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 공기 틈(45)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커진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50)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밸브(30)가 구성 면에서 제 3 실시예의 밸브(50)와 일치하기 때문에, 하기에서는 두 밸브 사이의 차이만이 설명된다.
밸브(50)도 하나의 압전 액추에이터(53)가 배치된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압전 액추에이터(53)의 행정이 피스톤(56)으로 바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따르는 제 1 실시예에서 처럼 전달 부재(52)가 압전 액추에이터(53)와 연결된다. 또한 전달 부재(52)는 보상 부재(51)와 연결되고, 이 때 보상 부재(51)는 압전 액추에이터(53)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결국 보상 부재(51)는, 다시 피스톤(56)과 연결되는 레버(54) 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밸브(50)에서는 특히 압전 액추에이터(53)와 보상 부재(51)의 작용면에서 도 1 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해당 부품에서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난다. 이것과 관련해서, 제 1 그리고 제 3 실시예의 보상 부재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대칭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횡단면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60)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에 따른 상기 밸브(60)는, 보상 부재(61)가 압축 스프링(62) 형태의 예응력 부재에 의해 예응력을 받는다는 점에서 도 4에 따른 밸브(50)와 다르다. 또한 보상부재(61)는 도 5의 상단부에서, 다시 전달 부재(64)와 연결되는 피스톤(63)과 연결되며, 상기 전달 부재(64)에 압축 스프링(62)이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따른 밸브(60)에서는 도 4에 따른 밸브(50)와는 달리 하나의 가이드(65)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65)는 피스톤(66)과 보상 부재(61)의 축에서 제 1 시트(67)와 제 2 시트(68)를 포함하는 제어 밸브까지 연장된다.
이로 인해 압전 액추에이터(69)와 함께 밸브(60)의 보상 부재(61)도 처음에 언급한 제 1 내지 제 3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용을 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따른 제 3과 제 4 실시예에서도, 제 1 그리고 제 2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의 열팽창 계수가 다를 때 나머지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피스톤과 관련 밸브 부재 사이의 공기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특히 바람직한 작용은, 압전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가 흡사 하나의 축에 위치하고 압전 액추에이터와 보상 부재가 매우 가까이에 함께 놓여 있을 때 달성된다.
마지막으로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밸브는 단일 또는 이중 전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2/3 제어밸브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각각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낮은 강성과 높은 예응력을 가진 예응력 스프링에 의해 예응력을 받는다.

Claims (10)

  1. 전달 부재(3)와 증강기(10)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부재(13)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 부재(3)가 압전 액추에이터(2)의 행정을 증강기(10)에 전달하는 유체 제어용 밸브에 있어서,
    압전 액추에이터(2)의 온도 변동을 보상하는 보상 부재(7)가 압전 액추에이터(2)와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으며, 이 때 압전 액추에이터(2)의 열팽창 계수와 보상 부재(7)의 열팽창 계수의 비율이 거의 또는 정확히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부재(31)가 압전 액추에이터(33)를 감싸는 원통형 환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부재(51)가 압전 액추에이터(53)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와 보상 부재(7)가 공간적으로 인접하며, 특히 하나의 공동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부재(7)의 유효 길이가 압전 액추에이터(2)의 길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부재(7)가 Invar나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3)와 증강기(10) 사이에 공기 틈(1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3)가 하나의 커넥팅 로드(5)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 부재(7)가 상기 커넥팅 로드(5)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기(10)가 기계 증강기, 특히 레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0)의 지지부가 압전 액추에이터의 축(9)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027002055A 1999-08-20 2000-08-01 유체 제어용 밸브 KR20020025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9488.1 1999-08-20
DE19939488 1999-08-20
DE10002720.2 2000-01-22
DE10002720A DE10002720A1 (de) 1999-08-20 2000-01-22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PCT/DE2000/002534 WO2001014731A1 (de) 1999-08-20 2000-08-01 Ventil zum steuern von flüssigkei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976A true KR20020025976A (ko) 2002-04-04

Family

ID=791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055A KR20020025976A (ko) 1999-08-20 2000-08-01 유체 제어용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25976A (ko)
DE (2) DE10002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1136A1 (de) * 2001-04-07 2002-10-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insbesondere für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en
ITBO20010280A1 (it) 2001-05-08 2002-11-08 Magneti Marelli Spa Iniettore di carburante con attuatore piezoelettrico
DE10248433B4 (de) * 2002-10-17 2015-01-15 Cummins Lt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Medien, insbesondere Einspritz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von Kraftfahrzeugen
DE102005025141B3 (de) * 2005-06-01 2006-09-14 Siemens Ag Ventil
DE102006031372A1 (de) * 2006-07-06 2008-01-10 Siemens Ag Injektor, Einspritz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jektors
DE102011090200A1 (de) 2011-12-30 2013-07-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ebelvorrichtung und Einspritzventil
DE102011090196A1 (de) * 2011-12-30 2013-07-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ebelvorrichtung und Einspritz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02720A1 (de) 2001-03-29
DE50010004D1 (de)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353B2 (en) Compensator assembly having a pressure responsive valve for a solid state actuator of a fuel injector
US6776390B1 (en)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US6499471B2 (en) Hydraulic compensator for a piezoelectrical fuel injector
US6766965B2 (en) Twin tube hydraulic compensator for a fuel injector
US6650032B2 (en) Electronic compensator for a piezoelectric actuator
US6119952A (en) Device and method for dosing fluid
KR20000015898A (ko) 압전적 또는 자기 변형적 작동자를 가진 연료 분사 밸브
JP2006504893A (ja) 噴射弁
JPH10509790A (ja) 電気油圧駆動装置
KR20020025976A (ko) 유체 제어용 밸브
US7032833B2 (en) Fuel injection valve
US20040041111A1 (en) Valve for regulating liquids
US9488194B2 (en) Hydraulic temperature compensator and hydraulic lift transmitter
US6899284B1 (en) Fuel-injection valve
JP2004197743A (ja) 燃料噴射弁
CZ295379B6 (cs) Vstřikovací ventil paliva
EP1816342A1 (en)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valve and injection valve
KR20040091753A (ko) 연료 분사 밸브
EP1865191B1 (en) Adjusting arrangement for an injection valve, injection valve and method for adjusting an injection valve
JP2004519611A (ja) 液体を制御するための弁
JP2004503709A (ja) 液体を制御する弁
US20080210788A1 (en) Lifting Apparatus and Injec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