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845A -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845A
KR20020024845A KR1020000056617A KR20000056617A KR20020024845A KR 20020024845 A KR20020024845 A KR 20020024845A KR 1020000056617 A KR1020000056617 A KR 1020000056617A KR 20000056617 A KR20000056617 A KR 20000056617A KR 20020024845 A KR20020024845 A KR 20020024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allium nitride
wafer
temperature
thick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830B1 (ko
Inventor
김진교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8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2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 H01S5/3201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corporating bulkstrain effects, e.g. strain compensation, strain related to pol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75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랙(crack) 및 벤딩(bending)을 방지하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제 2 챔버와, 상기 제 1, 제 2 챔버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제 2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1 히팅부와, 상기 제 1 챔버 내에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부와, 상기 제 1 챔버 내에 위치하고, 웨이퍼를 장착시키는 장착부와, 상기 웨이퍼를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로 이동되는 웨이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2 히팅부와, 상기 웨이퍼에 레이저빔을 인가하는 레이저 소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은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을 고온에서 질화갈륨 후막과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함으로써 크랙을 방지하고, 질화갈륨의 벤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fabricating GaN substrate and system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이 고온을 유지하도록 하여 온도 하강으로 인한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기판의 휘어짐이 없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질화갈륨(GaN)은 뛰어난 열, 화학적 특성 및 높은 광효율로 인해 청자색 계열의 레이저 다이오드 실용화에 가장 적합한 물질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질화갈륨과 사파이어 기판 사이에 존재하는 격자상수 및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고밀도의 결정성 결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질화갈륨 프리 스탠딩(free standing) 기판을 만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질화갈륨 기판을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법을 이용하여 사파이어로부터 분리시키려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파이어 기판 위에 두꺼운 질화갈륨을 성장시킨 후 기계적인 랩핑(lapping)이나 레이저 리프트오프(liftoff)를 이용하여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였다.
도 1은 레이저 리프트오프를 이용하여 질화갈륨으로부터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질화갈륨 기판의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질화갈륨을 성장시킨 후 상온까지 온도를 낮춘다. 그리고, 시료를 꺼내서 기계적인 랩핑을 하거나, 600℃ 정도로 가열하면서 레이저를 사용하여 리프트오프를 시행한다.
그러나, 1000℃에서 상온으로 온도 하강에 의한 크랙의 발생은 근본적으로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온도를 내리는 속도를 줄이면 크랙 발생 밀도를 약간 줄일 수 있지만, 크랙 발생 자체를 없앨 수는 없다.
이러한 크랙이 발생한 질화갈륨의 경우에는 그 자체의 응력 에너지(strain energy) 때문에 휘게 되고, 2인치 웨이퍼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는 것 자체에 큰 어려움이 있게 된다. 사파이어를 제거하더라도 프리 스탠딩 기판으로서의 특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을 고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온도 하강으로 인한 크랙을 방지하고, 사파이어와 질화갈륨 분리시에 발생하는 기판의 휘어짐(bending)이 없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질화갈륨 기판에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질화갈륨 기판의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가스 주입구 13: 제 1 히팅부
14: 제 2 히팅부 15: 웨이퍼
17: 이송부 19: 제 3 히팅부
21: 게이트 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은 제 1, 제 2 챔버와, 상기 제 1, 제 2 챔버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제 2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1, 제 2 히팅부와, 상기 제 1 챔버 내에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부와, 상기 제 1 챔버 내에 위치하고, 웨이퍼를 장착시키는 장착부와, 상기 웨이퍼를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로 이동되는 웨이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3 히팅부와, 그리고 상기 웨이퍼에 레이저빔을 인가하는 레이저 소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 1 챔버에 사파이어 기판을 장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챔버(chamber)의 온도를 90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사파이어 기판 위에 질화갈륨(GaN) 후막을 성장시키는 제 2 단계, 제 2 챔버가 200℃ 이상이 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을 20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이송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에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질화갈륨 후막과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질화갈륨 후막과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질화갈륨을 분해를 막기 위해 상기 제 2 챔버에 NH3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챔버(chamber)에 사파이어를 장착한 후, 상기 제 1 챔버의 온도를 900℃ 이상의 고온이 되도록 하고, 상기 사파이어 기판 위에 질화갈륨(GaN) 후막을 성장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챔버의 온도는 900℃에서 1100℃가 적당하다.
이어, 제 2 챔버가 200℃ 이상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을 20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이송시킨다.
종래는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의 온도를 상온으로 내린 반면, 본 발명에서는 온도 하강으로 인한 크랙을 없애기 위해서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이 200℃ 이상이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200℃ 이상의 온도의 제 2 챔버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제 1 챔버와 게이트 밸브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챔버의 온도는 제 1 챔버의 온도와 거의 같거나 약간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2 챔버의 온도는 500℃에서 1100℃ 사이이다.
상기 제 2 챔버의 온도가 제 1 챔버의 온도 보다 높으면 질화갈륨이 분해하기 시작하여 결정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반면 제 2챔버의 온도가 제 1 챔버의 온도 보다 너무 낮으면 열팽창 계수(thermal expansion coefficient)의 차이에 의해 질화갈륨 후막에 크랙(crack)이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챔버를 상기 제 1 챔버의 온도와 비슷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챔버를 가열하는 방법은 레이저 투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RF 히팅 코일(heating coil)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여러 형태로 변화가 가능하다.
이어,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질화갈륨 후막과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빔은 200nm∼300nm 정도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사용하면 사파이어는 투과하고 질화갈륨에서만 레이저가 흡수되어 질화갈륨과 사파이어의 계면부분을 녹이면서 사파이어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방향은 여러 형태로 변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2 챔버에 질화갈륨의 분해를 막기 위하여 적당량의 NH3를 흘려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챔버의 외면에는 상기 제 1, 제 2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제 2 히팅부(13,14)가 있고, 상기 제 1 챔버 내에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부(11)가 있다.
이때, 상기 제 1 히팅부는 히팅 퍼니스(heating furnace), RF 히팅 코일(heating coil)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챔버 내에는 웨이퍼(15)를 장착시키는 장착부가 있고, 상기 웨이퍼(15)를 제 1 챔버에서 상기 제 1 챔버와 게이트 밸브(21)로 연결된 제 2 챔버로 이동시키는 이송부(17)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17)의 외면에는 상기 이송부(17)로 이동되는 웨이퍼(15)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3 히팅부(19)가 있다.
이는 상기 웨이퍼(15)의 온도 하강으로 인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웨이퍼(15)를 200℃ 이상 유지하도록 제 3 히팅부(19)가 상기 이송부(17)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 3 히팅부(19)는 히팅 블록(heating block) 등이다.
그리고, 상기 웨이퍼에 레이저빔을 인가하는 레이저 소스부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와는 달리 레이저 리프트오프 방식을 고온의 챔버 내에서 사용함으로써 사파이어가 붙어 있는 상태에서 냉각을 할 경우에 발생하는 벤딩(bending)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질화갈륨이 성장되는 고온에서 사파이어를 분리해냄으로써 크랙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질화갈륨과 사파이어 격자상수 부정합에 의한 영향이 고온에서는 극히 적으며, 이 때 부정합 전위(misfit dislocation)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고온에서 사파이어를 떼어냄으로써 질화갈륨 자체만의 전체 에너지가 최소상태(total energy minimum state)로 변화하기 때문에 전위 제거(dislocation annihilation)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은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을 고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질화갈륨 후막과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해냄으로써 크랙(crack)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질화갈륨이 성장되는 고온에서 사파이어를 분리해냄으로써 사파이어 기판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급격한 온도 하강으로 인한 질화갈륨의 벤딩(bending)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제 1, 제 2 챔버;
    상기 제 1, 제 2 챔버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제 2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1, 제 2 히팅부;
    상기 제 1 챔버 내에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제 1 챔버 내에 위치하고, 웨이퍼를 장착시키는 장착부;
    상기 웨이퍼를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로 이동되는 웨이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3 히팅부;
    상기 웨이퍼에 레이저빔을 인가하는 레이저 소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히팅부는 히팅 코일(heating c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 시스템.
  3. 제 1 챔버에 사파이어 기판을 장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챔버(chamber)의 온도를 90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사파이어 기판 위에 질화갈륨(GaN) 후막을 성장시키는 제 2 단계;
    제 2 챔버가 200℃ 이상이 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을 20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이송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질화갈륨 후막이 성장된 사파이어 기판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질화갈륨 후막과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제 2 챔버에 NH3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KR1020000056617A 2000-09-27 2000-09-27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 KR100351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617A KR100351830B1 (ko) 2000-09-27 2000-09-27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617A KR100351830B1 (ko) 2000-09-27 2000-09-27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845A true KR20020024845A (ko) 2002-04-03
KR100351830B1 KR100351830B1 (ko) 2002-09-11

Family

ID=1969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617A KR100351830B1 (ko) 2000-09-27 2000-09-27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8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76A (ko) * 2002-04-27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물계 물질의 리프트 오프 방법
KR100472626B1 (ko) * 2002-08-1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갈륨 후막의 제조장치
KR100949213B1 (ko) * 2003-01-24 201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갈륨 기판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996A (ko) * 2002-05-24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성장 챔버내에서의 레이저 리프트 오프 방법
KR101171358B1 (ko) * 2009-08-26 2012-08-10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히터를 갖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 장치
KR101537403B1 (ko) * 2012-01-13 2015-07-1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히터를 갖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 장치
WO2014062034A1 (ko) * 2012-10-18 2014-04-24 디앤에이 주식회사 레이저 리프트 오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76A (ko) * 2002-04-27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물계 물질의 리프트 오프 방법
KR100472626B1 (ko) * 2002-08-1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갈륨 후막의 제조장치
KR100949213B1 (ko) * 2003-01-24 201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갈륨 기판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1830B1 (ko)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835B2 (ja) ダイヤモンド−半導体複合基板を製造する方法
JP2007246331A (ja) Iii−v族窒化物系半導体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02218A (ja) 化合物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CN103165444A (zh) 硅上的高质量GaN高压HFET
KR100351830B1 (ko) 질화갈륨 기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를 위한 시스템
KR20010029199A (ko) 질화물 단결정 기판 제조 장치 및 방법
US20240141552A1 (en) Seed substrate for epitaxial growth u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238924B2 (ja) 単結晶基板及び窒化物半導体単結晶の製造方法
KR101928645B1 (ko) 수소화물 기상증착법(hvpe)을 이용한 질화갈륨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236213B1 (ko) 질화갈륨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JPH04198095A (ja) 化合物半導体薄膜成長方法
KR100558436B1 (ko) 질화갈륨 단결정 기판의 제조방법
KR101157426B1 (ko) 질화갈륨 성장용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 제조 방법 및질화갈륨 성장 방법
KR100519326B1 (ko) 질화갈륨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기판 제조방법
TWI804035B (zh) Iii-n半導體結構及其製造方法
JP2004273964A (ja) 半導体単結晶の製造方法
JP2865130B2 (ja) 半導体基板のエッチング方法及び半導体薄膜の製造方法
CN114864380A (zh) 降低裂纹的外延方法及其外延片
KR101589455B1 (ko) 결정질 그라데이션층을 이용한 고품질 질화갈륨 기판 제조 방법
KR100779847B1 (ko) 질화물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
JPH0536605A (ja) 化合物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KR100472626B1 (ko) 질화갈륨 후막의 제조장치
Lee et al. The control of mechanical bow for GaN substrate grown by HVPE with relatively longer radius of lattice curvature
KR20030084476A (ko) 질화물계 물질의 리프트 오프 방법
KR100390442B1 (ko) 고품질 GaN 층 성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