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812A - 조립식 수로관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로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24812A KR20020024812A KR1020010084950A KR20010084950A KR20020024812A KR 20020024812 A KR20020024812 A KR 20020024812A KR 1020010084950 A KR1020010084950 A KR 1020010084950A KR 20010084950 A KR20010084950 A KR 20010084950A KR 20020024812 A KR20020024812 A KR 200200248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al bottom
- water pipe
- structures
- partial
- prefabricated wa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내지 대형의 수로관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이 수월하며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조립식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수로관은 양(兩) 최외변(最外邊)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가능하면서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와;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로관과, 양(兩) 최외변(最外邊)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가능하고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단면에는 유공부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와;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면서 띠형의 배수구를 구비한 식생부가 있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로관을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내지 대형의 수로관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이 수월하며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조립식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수로관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수로관은 시공현장에 따라 소형에서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며 형상 또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수로관은 정형의 거푸집(즉,몰드)에 의해서 제작되며, 완성된 수로관은 시공현장으로 각각 운반된 후에 서로 연설되어 인공수로(channel)를 시공한다.
하지만, 종래의 수로관은 그 제작단계에서 부터 시공단계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로관은 그 수로관을 성형하는 거푸집에 의해서 제작되는데,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완성품의 수로관을 성형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시공현장에 운송되는 수로관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하나의 운송수단(예컨대, 트럭)으로 많은 수의 수로관을 시공현장으로 운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해 많은 수의 운송수단을 구비하거나, 아니면 수로관 제작소와 시공현장을 빈번히 왕래해야만 했다. 따라서 물류비를 증가시켰다.
또한, 크기가 큰 수로관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건설기계를 구비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건설기계는 시공현장의 주변여건에 따라 작업의 제약을 많이 받으며, 크기 큰 수로관으로 시공되는 수로는 그 시공됨에 있어서 각각의 수로관의 정밀이음이 어렵기 때문에 시공이 어렵고 구조적 안정성 또한 취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가능한 소형 내지 대형의 수로관을 제공하여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이 편리한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손된 부분의 보수 등과 같은 관리가 편리한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친화적인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난 수로를 시공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에서 발생하는 비용 및 파손에 따른 보수 등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 중 제1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 4는 바닥 구조체 중 제2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 5는 바닥 구조체 중 제3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
도 7은 각각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제3 부분 바닥 구조체의 하나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5의 제3 부분 바닥 구조체의 다른 하나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각각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C-C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각각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된 수로관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변형된 수로관의 단면도,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변형된 수로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200, 300, 400, 500 : 수로관
10, 110, 210, 310, 410, 510 : 바닥 구조체
50a, 50b, 150a, 150b, 250a, 250b : 측벽 구조체
11a 내지 11c : 안치부13a, 13b : 결합홈
15a 내지 15d : 바닥 구조체의 결합공17a, 17b : 연결홈
19a 내지 19f : 연결공21a, 21b : 연결 돌출부
51, 151 : 벽 구조체53, 153 : 수평 구조체
55 : 보강용 리브59a, 59b : 단부
60a, 60b : 계단부63a, 63b : 홈부
65a, 65b : 측벽 구조체의 결합공67 : 결합 돌출부
69 : 운반용 고리70 : 볼트
80 : 너트91 : 돌기부
93 : 유공부203a, 203b : 식생부
205a, 205b : 배수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수로관은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은 양(兩) 최외변(最外邊)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가능하면서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와;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가 조립되면서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서로 끼워질 수 있는 요철부(凹凸部)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띠형의 끼움홈과,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벽 구조체는 수평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더욱 포함하고, 수평 구조체는 결합 돌출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측벽 구조체는 벽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벽 구조체는 식생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횡축방향으로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에는 복수의 유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은 양(兩) 최외변(最外邊)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가능하고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유공부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와;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면서 띠형의 배수구를 구비한 식생부가 있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가조립되면서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서로 끼워질 수 있는 요철부(凹凸部)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띠형의 끼움홈과,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벽 구조체는 수평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더욱 포함하고, 수평 구조체는 결합 돌출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측벽 구조체는 벽 구조체와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횡축방향으로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에는 돌기부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 중 제1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바닥 구조체 중 제2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바닥 구조체 중 제3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각각의 제1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이하, "제1 수로관"이라 한다)(1)은 바닥 구조체(10)와 한 쌍의 측벽 구조체(50a)(50b)를 포함하며, 제1 수로관(1)은 바닥 구조체(10)와 측벽 구조체(50a)(50b)의 조립에 의해서 완성된다. 여기서, 제1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각각의 바닥 구조체(10a 내지 10c)에 의해서 완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는 일단이 계단형인 안치부(11a)와,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의 길이방향(즉, 종축방향)으로 상단면에 있는 띠형의 결합홈(13a)과, 결합홈(13a)의 외측 인접부분에 있으면서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결합공(15a)(15b)을구비하며, 더욱이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는 그 길이방향으로 우측단면에 형성된 띠형의 연결홈(17a)을 포함하고, 특히 제1 바닥 구조체(10a)는 좌측단면과 우측단면을 관통하는 횡축방향으로 한 쌍의 연결공((19a)는 도시하였고, (19b)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더욱 포함하며, 이러한 연결공(19a)(19b)은 연결홈(17a)의 내부에 위치하며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b)는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와 유사하게 일단이 계단형인 안치부(11b)와, 띠형의 결합홈(13b)과, 띠형의 결합홈(13b)과 인접하는 한 쌍의 결합공(15c)(15d)을 구비한다. 그러나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b)는 그 길이방향으로 결합 돌출부(21a)를 포함하며, 결합 돌출부(21a)는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b)의 좌측단면에 형성되고, 상술한 연결홈(17a)과 끼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b)는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와 동일하게 횡축방향으로 한 쌍의 연결공(19c)(19d)을 더욱 포함하며, 이러한 연결공(19c)(19d)은 결합 돌출부(21a)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는 일단이 계단형인 안치부(11c)를 구비하면서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와 동일한 연결홈(17b)과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b)와 동일한 연결 돌출부(21b)를 더욱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홈(17b)은 우측단면에, 그리고 연결 돌출부(21a)는 좌측단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a)(10b)와 마찬가지로 횡축방향의 한 쌍의 연결공(19e)(19f)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된 각각의 연결공(19a 내지 19f)은 긴장(tension)된 상태의 와이어(23a)(23b)가 통과하는 곳으로(도 1 참조), 와이어(23a)(23b)는 고강도의 PC 강연선이 바람직하고, 와이어(23a)(23b)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a 내지 10c)로 완성된 바닥 구조체(10)의 조립 안정성에 기여한다. 즉, 지반 침하 등의 외압에 의한 조립된 각 부분 바닥 구조체(10a 내지 10c)의 변형 및 이탈 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바닥 구조체(10)는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a 내지 10c)의 조립에 의해 완성되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이하의 조립순서는 한정된 것이 아니다.
우선,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의 각각의 연결공(19a)(19b)에 와이어(23a)(23b)를 관통시킨 다음, 그 관통된 각각의 와이어(23a)(23b)를 다시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의 각각의 연결공(19e)(19f)에 관통시킨다. 이와 같이 와이가(23a)(23b)가 관통된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는 연결 돌출부(21b)가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의 연결홈(17a)에 끼워지면서 제1 부분 바닥 구조체(10a)에 연설되며,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b)는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를 관통한 각각의 와이어(23a)(23b)가 연결공(19c)(19d)을 관통한 채로 연결 돌출부(21a)가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의 연결홈(17b)에 끼워지며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에 연설된다. 마지막으로, 제1 내지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a 내지 10c)의 연결공(19a 내지 19f)을 관통한 와이어(23a)(23b)를 잡아당겨 고정시키면 바닥 구조체(10)가 완성된다.
이러한 조립과정에서, 제1 및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a)(10b)는 바닥 구조체(10)의 양(兩) 최외변(最外邊)에, 그리고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는 제1 및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a)(10b)의 사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바닥 구조체(10)가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의 연설수(數)에 따라 그 폭이 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a 내지 10c)에 있어서, 연결홈(17a)(17b)과 연결 돌출부(21a)(21b)의 형성위치 및 그 갯수와, 결합공(15a 내지 15d)과 연결공(19a 내지 19f)의 갯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것은 단지 예시된 것으로서, 즉 바닥 구조체(10)의 최외변을 형성하는 부분 바닥 구조체(10a)(10b) 중 어느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10a 또는 10b)에 선택적으로 연결홈(17a)(17b) 또는 연결 돌출부(21a)(21b)가 형성되면, 그에 연설되는 부분 바닥 구조체(10c)와 그 부분 바닥 구조체(10c)에 연설되는 다른 부분 바닥 구조체(10a 또는 10b) 또한 서로 연설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연결홈(17a)(17b) 또는 연결 돌출부(21a)(21b)가 형성되며, 그 형성갯수 또한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결합공(15a 내지 15d)과 연결공(19a 내지 19f)의 갯수도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바닥 구조체(10)와 체결되는 측벽 구조체(50a)(50b)를 설명하기로 하고, 각각의 측벽 구조체(50a)(50b)는 서로 대칭구조이므로 하나의 측벽 구조체(50a)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구조체(50a)는 "ㄴ"자형의 구조로 벽구조체(51)와 수평 구조체(53)로 구분된다. 측벽 구조체(50a)는 그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벽 구조체(51)의 단면(즉, 우측단면)과 서로 마주보는 수평 구조체(53)의 단면(즉, 상단면; 도면상에는 점선으로 표시됨) 사이에 형성된 보강용 리브(55)를 포함하고, 벽 구조체(51)는 수평 구조체(53)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벽 구조체(51)의 양 단부(59a)(59b)는 각각의 계단부(60a)(60b)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계단부(60a)(60b)는 교호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포개질 수 있고, 리브(55)는 복수의 홈부(63a)(63b)를 포함하며, 각각의 홈부(63a)(63b)는 수평구조체(53)를 관통하는 결합공(65a)(65b)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공(65a)(65b)을 포함하는 홈부(63)의 갯수는 결합홈(13a 또는 13b)에 인접한 결합공((15a, 15b) 또는 (15c, 15b))의 갯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구조체(55)의 하단면에는 측벽 구조체(50a)의 길이방향으로 띠형의 결합 돌출부(67)가 돌출되고, 이 결합 돌출부(67)는 결합홈(13a 또는 13b)과 결합된다(도 2 참조). 참조부호 (69)는 측벽 구조체(50a)를 운반 및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용 고리이다.
한편, 리브(55)에 형성된 결합공(65a)(65b)을 포함하는 홈부(63a)(63b)와, 결합 돌출부(67)의 갯수는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된 것으로서,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바닥 구조체(10)와 측벽 구조체(50a)(50b)가 조립되어 제1 수로관(1)을 완성하며, 그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고 한정한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바닥 구조체(10)의상단면에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50a)가 적치된다. 이때, 바닥 구조체(10)의 결합홈(13b)에는 측벽 구조체(50a)의 결합 돌출부(67)가 결합되고, 바닥 구조체(10)의 결합공(15c)(15d)의 상측에는 측벽 구조체(50a)의 결합공(65a)(65b)이 위치한다.
그 후, 하나의 측벽 구조체(50a)의 결합공(65a)(65b)과 바닥 구조체(10)의 결합공(15c)(15d)에는 볼트(70)가 삽입되고, 마지막으로 바닥 구조체(10)의 하단면으로 돌출된 볼트(70)의 일부분에 와셔(도시하지 않았음)와 너트(80)가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바닥 구조체(10)에 제1 측벽 구조체(50a)를 조립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바닥 구조체(10)에 다른 측벽 구조체(50b)를 조립하면, 제1 수로관(1)이 완성된다. 이와는 달리 바닥 구조체(10)의 결합홈(13a)(13b)에 일시에 각각의 측벽 구조체(50a)(50b)의 결합 돌출부(67)를 결합시킨 다음 조립하여 제1 수로관(1)을 완성할 수도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침하 등의 외압에 대한 수로관(1)의 지지력 즉,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바닥 구조체(10)를 관통하고 있는 와이어(23a)(23b)를 연장시켜 측벽 구조체(50a)(50b)에 연결할 수도 있다.
도 7은 각각의 제1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우선하여, 조립된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의 안치부(11)에는 안치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의 단부가 안치된다.
그 후, 수로관(1')의 측벽 구조체(50a')(50b')는 그에 형성된 제1 계단부(60a')(60a')가 측벽 구조체(50a)(50b)의 제2 계단부(60b)(60b)와 포개지면서 바닥 구조체(10')의 상단면에 안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 구조체(10')와 측벽 구조체(50a')(50b')는 상술한 바닥 구조체(10)와 측벽 구조체(50a)(50b)의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조립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제1 수로관(1)을 연설하면 수로(channel)가 완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바닥 구조체가 연설될 때에 각각의 안치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예컨대, 수로관(1)의 안치부(11)와 수로관(1')의 안치부(11') 사이의 공간부(도 5 참조), 이 공간부는 볼트와 너트 등을 체결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특히 바닥 구조체의 결합홈 및 그와 결합되는 측벽 구조체의 결합 돌출부와, 측벽 구조체의 제1 및 제2 계단부는 측벽 구조체에 전달되는 측압으로부터 바닥 구조체에 대한 측벽 구조체의 조립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도 8과 도 9는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의 변형예(10c')(10c")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에는 바닥 구조체(10c')의 상단면에 복수의 돌기부(91)가 형성됨을, 도 9에는 바닥 구조체(10c")의 상단면에 복수의 유공부(93)가 형성됨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돌기부(91)는 각종 어패류 등의 서식지 및 특히 유속이 빠른 경우 어패류 등의 피난처 및 이동로를 제공하고, 유공부(93)는 수생식물(예컨대, 수초)등이 자생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된다. 유공부(93) 내에는 수생식물의 뿌리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바닥 구조체(10c)에서 수생식물이 자생할 경우에는 자연스럽게각종 어패류 등이 모여들기 때문에 생태계 보호에 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한편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결합공(15a 내지 15d) 및 결합홈(13a)(13b)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제1 및 제2 부분 바닥 구조체(10a)(10b)의 상단면에도 돌기부(91) 또는 유공부(93)가 형성될 수도 있고, 특히 돌기부(91)와 유공부(93)가 동시에 하나의 제3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변형된 제3 부분 바닥 구조체(10c')(10c")는 돌기부(91) 및 유공부(93)를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구조체(10b)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변형된 바닥 구조체(도시하지 않았음)를 완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변형된 바닥 구조체는 측벽 구조체(50a)(50b)와 조립되어 새로운 변형된 제1 수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또한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된 제1 수로관은 제1 수로관(1)을 조립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각각의 변형된 수로관의 연설방법도 각각의 제1 수로관(예컨대, 수로관(1)에 수로관(1')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 )을 연설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B-B선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각각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이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로관(이하, " 제2 수로관"이라고 한다)(100)의 구조는 상술한 제1 수로관(1)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단지, 제2 수로관(100)의 측벽 구조체(150a)(150b)와 제1 수로관(1)의 측벽 구조체(50a)(50b)가 다소 구조상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제1 수로관(1)의 측벽 구조체(50a)(50b)는 바닥 구조체(10)에 대해서 직강하형의 수직구조인 반면에, 제2 수로관(100)의 측벽 구조체(150a)(150b)는 바닥 구조체(110)에 대해서 경사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구조체(150a)를 구성하는 벽 구조체(151)가 수평 구조체(153)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2 수로관(100)의 측벽 구조체(150a)(150b)는 서로 대칭구조이다.
이와 같이 제2 수로관(100)의 구조는 그를 구성하는 측벽 구조체(150a)(150b)의 구조가 단지 바닥 구조체(110)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만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수로관(1)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제2 수로관(100)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110)의 구조는 제1 수로관(1)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10)의 구조와 동일하게 각각의 부분 바닥 구조체(110a 내지 110c)에 의해서 조립 완성되며, 또한 제2 수로관(100)을 구성하는 측벽 구조체(150a)(150b)의 구조도 단지 벽 구조체(151)가 수평 구조체(153)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만을 제외하고는 제1 수로관(1)을 구성하는 측벽 구조체(50a)(50b)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로관(100)을 완성하는 조립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로관(1)을 완성하는 조립방법과 동일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수로관(100)(100')의 연설방법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수로관(1)(1')의 연설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수로관(100)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11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91) 또는 유공부(93)를 구비한 새로운 변형된 부분 바닥 구조체(도시하지 않았음)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변형된 바닥 구조체는 측벽 구조체(150a)(150b)와 조립되어 새로운 변형된 제2 수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변형된 제2 수로관은 제2 수로관(100)의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조립되어 완성되며, 각각의 변형된 제2 수로관의 연설방법도각각의 제2 수로관(예컨대, 수로관(100)에 수로관(100')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의 연설방법과 동일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C-C선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을 구성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각각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이 각각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로관(이하, "제3 수로관"이라 한다)(200)의 구조는 전반적으로 제1 수로관(1)과 거의 동일하다. 즉, 제3 수로관(200)의 구조는 식생부(203a)(203b)를 제외하고는 제1 수로관(1)의 구조와 동일하다. 더욱 설명하면, 제3 수로관(200)의 바닥 구조체(210)의 구조와, 식생부(203a)(203b)를 제외한 측벽 구조체(250a)(250b)의 구조는 제1 수로관(1)의 바닥 구조체(10)의 구조와 측벽 구조체(50a)(50b)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제3 수로관(200)의 바닥 구조체(210)의 구조는 제2 수로관(100)의 바닥 구조체(110)의 구조와도 동일하다. 여기서, 식생부(203a)(203b)는 완성된 제3 수로관(20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벽 구조체(51)의 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식생부(203a)(203b) 및 배수구(205a)(205b)의 갯수는 한정한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한 것으로서, 그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로관(100)을 완성하는 조립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로관(1)을 완성하는 조립방법과동일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수로관(200)(200')의 연설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수로관(1)(1')의 연설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 수로관(200)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체(21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91) 또는 유공부(93)를 구비한 새로운 변형된 부분 바닥 구조체(도시하지 않았음)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변형된 바닥 구조체는 측벽 구조체(250a)(250b)와 조립되어 새로운 변형된 제3 수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변형된 제3 수로관은 제3 수로관(200)의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조립되어 완성되며, 각각의 변형된 제3 수로관의 연설방법도 각각의 제3 수로관(예컨대, 수로관(200)에 수로관(200')을 연설하기 위한 방법)의 연설방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3 수로관(200)에 있어서, 식생부(植生部; 203a, 203b)는 식물(예컨대, 잔디)이 자생할 수 있는 장소로 제공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부(203a)(203b)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05a)(205b)를 각각 더욱 구비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205a)(205b)는 식생부(203a)(203b)가 부착된 단면(즉, 우측단면)에서 이와 대응되는 단면(즉, 좌측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 구조체(250a)(25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수구(205a)(205b)는 측벽 구조체(250a)(250b)의 배토(背土)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하는 역할을 하며, 배수구(205a)(205b)를 통해 배수되는 물은 식생부(203a)(203b)로 유입되어 식물 성장용으로 이용된다. 더욱이,식생부(203a)(203b)는 배수구(205a)(205b)를 통해 과다하게 유입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식생부용 배수구(도시하지 않았음)를 더욱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측벽 구조체(250a)(250b)의 배토(背土)에 존재하는 물이 배수구(205a)(205b)를 통해 배수되기 때문에 측벽 구조체(250a)(250b)의 배토(背土)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로관에서 파생된 새로운 수로관(300)(400)(500)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8의 수로관(300)은 제1 내지 제3 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의 구조와 동일한 바닥 구조체(310)와, 제1 수로관(1)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50b)와, 그리고 제2 수로관(1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150a)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된 것이다.
도 19의 수로관(400)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의 구조와 동일한 바닥 구조체(410)와, 제1 수로관(1)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50b)와, 그리고 제3 수로관(2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250a)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된 것이다.
도 20의 수로관(500)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의 구조와 동일한 바닥 구조체(510)와, 제2 수로관(1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150b)와, 제3 수로관(200)이 포함하는 하나의 측벽 구조체(250a)가 서로 조립되어 완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에 의해서 수로관(300 내지 500)이 파생될 수 있는 것은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구조체(10)(110)(210)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더욱이 바닥 구조체(10)(110)(210)와 조립되는 각 측벽 구조체(50a, 50b)(150a, 150b)(250a, 250b)의 부분의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시공자는 제1 내지 제 3수로관(1)(100)(200)이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10)(110)(210)와 다양한 형태의 측벽 구조체(50a, 50b)(150a, 150b)(250a, 250b)를 이용하여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 3수로관 및 상술한 변형된 수로관을 조립 완성하는 바닥 구조체와 측벽 구조체의 각각의 접합면에는 엑폭시수지 또는 고무패킹 또는 코킹재(calking material) 등을 사용하여 수밀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좋다. 게다가,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 등에서도 코킹재 등을 사용하면 더욱 안정된 수로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로관은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거푸집을 제작하는데 용이하고 그 제작비용 또한 절감시키며, 또한 일시에 대량으로 운송할 수 있어 물류비를 절감시키며, 소형의 건설기계로도 충분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비용을 절감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수로관은 바닥 구조체의 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수로관을 제작하는데 적합하며 그 시공방법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하며, 바닥 구조체에 조립되는 측벽 구조체의 구조가 다양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로관은 조립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수로관을 보수할 수 있어 그 관리가 수월하고 관리비용 또한 절약할 수 있으며, 각종 어패류 등의 서식 및 번식을 유도할 수 있는 돌기부 및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부 및/또는 유공부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이며, 더욱이 각각의 측벽 구조체의 일단면(즉, 외부로 노출되는 단면)에 자연친화적인 무늬(예컨대, 물결무늬) 등을 더욱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로관은 각각 연설되면서 각각의 측벽 구조체가 서로 포개지기 때문에 측압(즉, 토압) 등의 외압에 대한 지지력이 강하다. 특히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 수로관은 와이어로 더욱 결속되므로 지반 침하 등의 외압에 대한 지지력 또한 강하기 때문에 외압에 대한 수로관의 구조가 상당히 안정적이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로관은 조립가능하기 때문에 소형 내지 대형의 수로관의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이 편리하며,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파손된 부분의 보수 등과 같은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각종 어패류 등의 서식 및 번식을 유도할 수 있는 돌기부 및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부 및/또는 유공부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이며, 구조적 안정성 또한 뛰어나다. 그리고 제작, 운반 그리고 시공에서 발생하는 비용 및 파손에 따른 보수 등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8)
- 양(兩) 최외변(最外邊)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가능하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와; 상기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가 조립되면서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서로 끼워질 수 있는 요철부(凹凸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띠형의 끼움홈과,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구조체는 수평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수평 구조체는 결합 돌출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 구조체는 상기 벽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 구조체는 식생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횡축방향으로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에는 복수의 유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양(兩) 최외변(最外邊)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가능하고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유공부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 구조체와; 상기 한 쌍의 부분 바닥 구조체와 조립되면서 띠형의 배수구를 구비한 식생부가 있는 한 쌍의 측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가 조립되면서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서로 끼워질 수 있는 요철부(凹凸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띠형의 끼움홈과,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계단형의 안치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10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구조체는 수평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벽 구조체의 양단부는 교호로 형성되는 계단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수평 구조체는 결합 돌출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는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 구조체는 상기 벽 구조체와 상기 수평 구조체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보강용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용 리브는 결합공이 있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분 바닥 구조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는 횡축방향으로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닥 구조체에는 돌기부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4950A KR100475747B1 (ko) | 2001-12-26 | 2001-12-26 | 조립식 수로관 |
JP2002037880A JP4141702B2 (ja) | 2001-12-26 | 2002-02-15 | 組立式水路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4950A KR100475747B1 (ko) | 2001-12-26 | 2001-12-26 | 조립식 수로관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40299U Division KR200283241Y1 (ko) | 2001-12-27 | 2001-12-27 | 조립식 수로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4812A true KR20020024812A (ko) | 2002-04-01 |
KR100475747B1 KR100475747B1 (ko) | 2005-03-15 |
Family
ID=1971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84950A KR100475747B1 (ko) | 2001-12-26 | 2001-12-26 | 조립식 수로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141702B2 (ko) |
KR (1) | KR1004757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7324A (zh) * | 2022-05-17 | 2022-07-01 | 中国水利水电第九工程局有限公司 | 一种用于水利工程的渠道衬砌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9621B1 (ko) * | 2009-11-19 | 2010-07-14 | 주식회사 에코탑 | 환경생태저류형 수로관 구조 |
JP5901040B1 (ja) * | 2015-10-27 | 2016-04-06 | 誠一郎 安村 | 河床構造のユニット体および河床構造 |
CN110295575B (zh) * | 2019-07-09 | 2021-01-15 | 张永昌 | 水利工程使用的灵活式拼装水渠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29515A (en) * | 1979-03-29 | 1980-10-07 | Sugiaki Kusatake | Activated waterway |
JPS5613120U (ko) * | 1979-07-05 | 1981-02-04 | ||
JPH0115717Y2 (ko) * | 1985-04-20 | 1989-05-10 |
-
2001
- 2001-12-26 KR KR10-2001-0084950A patent/KR1004757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
- 2002-02-15 JP JP2002037880A patent/JP414170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7324A (zh) * | 2022-05-17 | 2022-07-01 | 中国水利水电第九工程局有限公司 | 一种用于水利工程的渠道衬砌装置 |
CN114687324B (zh) * | 2022-05-17 | 2024-05-07 | 中国水利水电第九工程局有限公司 | 一种用于水利工程的渠道衬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75747B1 (ko) | 2005-03-15 |
JP4141702B2 (ja) | 2008-08-27 |
JP2003193546A (ja) | 2003-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4746B1 (ko) | 다단계 긴장을 적용한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시공 방법 | |
GB2124277A (en) | Arched precast concrete culvert | |
KR20140026886A (ko) | 횡방향 다경간 급속시공을 위한 편측 캔틸레버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구조물 | |
KR100475747B1 (ko) | 조립식 수로관 | |
KR20100053819A (ko) | 프리캐스트 박스 | |
KR101046930B1 (ko) | 프리캐스트 박스 | |
KR200283241Y1 (ko) | 조립식 수로관 | |
KR102133449B1 (ko) | 초스피드 피씨 시스템을 이용한 라멘조 접합구조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475748B1 (ko) | 조립식 수로관 | |
KR200398769Y1 (ko) | T형단면 조립식 아치터널 | |
KR200283240Y1 (ko) | 조립식 수로관 | |
KR101805106B1 (ko) | 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272596Y1 (ko) | 조립식 암거블럭 | |
KR20040003506A (ko) |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 |
JP2006219859A (ja) | 長尺コンクリー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製品 | |
KR200201593Y1 (ko) | 조립식 암거의 횡방향 결합 구조 | |
KR100489382B1 (ko) | 폐합단면형 데크플레이트와 아이형 빔의 복합형 합성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
KR200172273Y1 (ko) | 조립식 암거 | |
KR100518463B1 (ko) |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 |
KR100793684B1 (ko) |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H08239891A (ja) | ボックスカルバート用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ボックスカルバート施工法 | |
KR200381471Y1 (ko) | 수로관 유니트 | |
KR200318101Y1 (ko) | 고밀도 폴리에틸렌 강합성 하수관 구조 | |
KR200258870Y1 (ko) | 교량의 기초부 우물통 시공용 철판 토류벽 | |
KR100518461B1 (ko) | 건축 및 도로에서 만곡성 보강 상하수관 연결용 거푸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