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319A -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319A
KR20020023319A KR1020020002543A KR20020002543A KR20020023319A KR 20020023319 A KR20020023319 A KR 20020023319A KR 1020020002543 A KR1020020002543 A KR 1020020002543A KR 20020002543 A KR20020002543 A KR 20020002543A KR 20020023319 A KR20020023319 A KR 2002002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ntact
guide hole
main bod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윤
Original Assignee
이채윤
리노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윤, 리노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채윤
Priority to KR102002000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319A/ko
Publication of KR2002002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격벽(111)을 사이로 수용부(112)가 형성되고 수용부(112)와 연통되어 원형상의 안내공(113)이 형성되며, 안내공(113)과 인접되어 보조안내공(114)이 형성된 수용본체(100)와; 상기 수용본체(100)의 수용부(112)에 각각 수용되며 상측에 헤드부(210)가 형성되고 상하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한조의 상부플런저(200)와; 상기 안내공(113)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플런저(200)를 내부에 수용시키는 한조의 바렐(300)과; 상기 바렐(300)의 하부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한조의 하부플런저(400)와; 상기 상부플런저(200) 헤드부(210)의 하부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본체(100)의 보조안내공(114)에 삽입되어 상부플런저(200)와 같이 연동되어 상부플런저(200)의 좌우유동을 제어시키는 가이드핀(500)과; 상기 가이드핀(500)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상부플런저(200)에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600); 그리고, 상측에 접촉헤드부(711)(72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런저(400)와 각각 접촉되며 동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런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접촉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분에서의 접촉력을 증가시켜 접촉저항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시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분산/흡수시킴에 의해 부품의 손망실이 방지되고 상하로 유동되는 플런저의 유동이 원활함과 동시에 좌우로의 유동은 최소화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test probe for lithium ion battery}
본 발명은 테스트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을 테스트하되, 접촉부분에서의 접촉력을 증가시켜 접촉저항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시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분산/흡수시킴에 의해 부품의 손망실이 방지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온전지는 휴대전화, 노트북, MD 플레이어 각종 포터블기기등에 사용되는 전지로써, 고에너지의 밀도인 관계로 휴대기기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충,방전을 해도 안전성이 뛰어나며, 메모리 효과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충,방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휴대기기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상기 리튬이온전지인 경우에는 충,방전 테스트가 필수적이며 충,방전 테스트를 위하여 테스트용 프로브가 사용됩니다.
종래기술에 따른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의 외부프런저(10)와, 상기 외부프런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돌출되어 외부프런저(10) 내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며, 상부에 접촉부(21)가 형성된 내부프런저(20)와, 상기 내부프런저(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스프링(30)과, 상기 외부프런저(10)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고정된 헤드부(40)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프런저(10)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은 상기 외부프런저(1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지지리브(11)에 지지되어 외부프런저(10)의 외주면을 따라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되는 몸체부(50)와, 일측은 상기 헤드부(4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몸체부(50)에 지지되어 몸체부(50)에 탄성유동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31)과, 상기 외부프런저(10)와 내부프런저(20)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프런저(10)와 내부프런저(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부(60)와, 상기 내부프런저(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70)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프런저(10)의 하단부 및 상기 스토퍼(70)의 하단부가 테스트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된다.
먼저, 리튬이온전지를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프런저(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1)에 검사하고자 하는 리튬이온전지를 접촉시킨다.
상기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접촉부(21)는 하측으로 소정유동됨과 동시에 리튬이온전지의 단자가 접촉부(21)와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헤드부(40)의 상면에도 접촉된다.
상기의 접촉에 의해 리튬이온전지는 통전되어 리튬이온전지의 전력은 상기 접촉부(21)를 통하고 내부프런저(20)를 통하고 스토퍼(70)를 통하여 테스트장비에서 감지되는 제1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40)를 통하고 상기 외부프런저(10)를 통하여 감지되는 제2패스가 형성되어 상기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여부가 점검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1) 및 헤드부(40)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50)가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헤드부와 접촉부가 동일축으로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접촉저항의 증가됨에 의해 검사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외부프런저 내부에서 상기 내부프런저가 유동됨에 의해 상기 내부프런저와 외부프런저 사이에 형성된 절연부의 훼손에 의해 검사 에러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세째, 상기 몸체부의 상,하유동은 상기 내부프런저의 압력 분산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지 못함에 의해 과도한 접촉압력에 의해 내부프런저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네째, 접촉부에 가해지는 접촉압력에 의해 내부프런저 전체가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므로 접촉압력이 증가되면 접촉압력에 의해 내부프런저가 훼손된다는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인의 선출원 출원번호 20-2001-35789호 및 10-2001-82541에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제1,제2 접촉수단이 리튬이온전지의 접촉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바, 유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1,제2접촉수단이 상하로 유동되는 도중에 좌우로 흔들림에 의해 리튬이온 전지와의 접촉이 완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1접촉수단 및 제2접촉수단에 형성되며 접촉헤드부와 접촉되는 터미널이 고정됨에 의해 터미널과 접촉헤드부와의 접촉 시 접촉불량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촉부분에서의 접촉력을 증가시켜 접촉저항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시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분산/흡수시킴에 의해 부품의 손망실이 방지되는 리튬이온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하로 유동되는 플런저의 유동이 원활함과 동시에 좌우로의 유동은 최소화 시키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의 단면도.
도2 -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 테스트용 프로브의 사시도.
도3 - 분해사시도.
도4 - 정면단면도.
도5 - 측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용본체 110 : 주본체
111 : 격벽 112 : 수용부
113 : 안내공 114 : 보조안내공
115 : 단턱 120 : 보조본체
121 : 안내공 122 : 단턱
123 : 보조안내공 124 : 공간
125 : 분리벽 200 : 상부플런저
210 : 헤드부 211 : 요철
220 : 유동부 221 : 접촉첨부
300 : 바렐 301 : 만곡부
302 : 분리방지턱 310 : 스프링
400 : 하부플런저 410 : 단자부
420 : 접촉첨부 500 : 가이드핀
600 : 탄성부재 700 : 하부접촉수단
710 : 외부접촉수단 711 : 접촉헤드부
720 : 내부접촉수단 721 : 접촉헤드부
722 : 핀 800 : 스토퍼
810 : 절연체 820 : 절연플레이트
830 : 절연캡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격벽을 사이로 수용부가 형성되고수용부와 연통되어 원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되며, 안내공과 인접되어 보조안내공이 형성된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며 상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하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한조의 상부플런저와;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플런저를 내부에 수용시키는 한조의 바렐과; 상기 바렐의 하부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한조의 하부플런저와; 상기 상부플런저 헤드부의 하부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본체의 보조안내공에 삽입되어 상부플런저와 같이 연동되어 상부플런저의 좌우유동을 제어시키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상부플런저에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측에 접촉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런저와 각각 접촉되며 동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런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접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의 주본체와; 상기 주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한조의 보조본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렐은 외주면에 리브형상의 분리방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 내부에서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것이 바랍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접촉수단은, 일측 하부플런저와 접촉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접촉수단과; 타측 하부플런저와 접촉되고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이격되어 동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몸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외부몸체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내부접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본체는 보조본체에 형성된 안내공에 상측부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본체에 삽입 결합된 바렐의 분리방지턱과 걸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본체는 주본체의 보조안내공에 하측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지지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촉부분에서의 접촉력을 증가시켜 접촉저항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시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분산/흡수시킴에 의해 부품의 손망실이 방지되고 상하로 유동되는 플런저의 유동이 원활함과 동시에 좌우로의 유동은 최소화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의 사시도이고, 도3은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정면단면도이며, 도5는 측면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는 크게 수용본체(100)와, 상부플런저(200)와, 바렐(300)과, 하부플런저(400)와, 가이드핀(500)과, 탄성부재(600) 그리고 하부접촉수단(7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수용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용본체(100)는 주본체(110)와 보조본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주본체(1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격벽(111)을 사이로 두개의 수용부(112)로 나누어진다.
상기 수용부(112) 하측에는 수용부(112)와 연통된 원형상의 안내공(113)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하부플런저(200)(400)가 결합된 바렐(300)이 상기 안내공(113)으로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공(113)의 양측에는 원형상의 보조안내공(11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보조안내공(114) 내부로 후술하는 상부플런저(200)와 결합된 가이드핀(500)이 삽입 유동됨에 의해 후술하는 상부플런저(200)를 가이드 시킴과 동시에 상부플런저(200)의 좌우유동을 최소화 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안내공(114)에는 하측방향에 원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의 단턱(115)이 형성되어 가이드핀(5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탄성부재(600)의 일측지지체가 된다.
상기 보조본체(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조가 형성되어 상기 주본체(110)의 하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본체(120)의 각각에는 상기 주본체(110)의 안내공(113)과 연통되는 반원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되어 두개의 보조본체(120)가 상기 주본체(110)에 결합되는 경우 반원형상의 안내공 각각이 합치됨에 의해 안내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주본체(110)의 안내공(113)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반원형상의 안내공에는 상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의 단턱이 형성되어 두개의 보조본체(120)가 결합되는 경우 원형상의 단턱(122)이 됨에 의해 후술하는 바렐(300)의 분리방지턱(302)을 걸림 시킴에 의해 바렐(300)의 무단 상측 이탈을 방지시킨다.
또한 상기 반원형상의 안내공의 양측에는 상기 주본체(110)의 보조안내공(114)과 연통되는 보조안내공(123)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안내공(124)으로 후술하는 가이드핀(500)이 상하 유동됨에 의해 후술하는 상부플런저(200)의 유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부플런저(200의 좌우유동을 최소화 시킨다.
한편 상기 보조본체(120)의 하부에는 중앙부에 원형상의 공간(12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하부접촉수단(700)의 접촉헤드부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상부플런저(200)는 크게 헤드부(210)와 유동부(220)로 형성되며 헤드부(2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헤드부(210)의 하측에 돌출된 핀형상의 유동부(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210)의 상면에는 요철(211)이 형성되어 리튬이온 전지의 단자가 접촉되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접촉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220)는 일부가 후술하는 바렐(300)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유동되는 부분이며 단부에는 유동부(220)보다 직경이 넓은 접촉첨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첨부(221)가 후술하는 바렐(30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10)과 접촉됨과 동시에 접촉첨부(221)의 형성에 의해 상기 상부플런저(200)가 바렐(300)로 부터 무단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플런저(200)는 한조가 형성됨에 의해 리튬이온 전지의 단자가 각각의 상부플런저(200)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바렐(30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단부가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부측으로 삽입되는 상부플런저(200)의 접촉첨부(221)의 상단부가 바렐(300)의 상부에 형성된 만곡부(301)에 걸림되어 상부플런저(200)의 상부 무단 이탈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하부측으로 삽입되는 후술하는 하부플런저(400)도 상기 바렐(3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만곡부(301)에 걸림됨에 의해 하부 무단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바렐(300)의 하부 인접부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소정 돌출된 리브형상의 분리방지턱(302)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턱(302)이 상기 보조본체(120)의 안내공(121)에 형성된 단턱(122)에 걸림됨에 의해 상기 바렐(300)이 상기 보조본체(120)의 상측부분으로 무단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바렐(300) 내부에는 스프링(310)이 설치되어 상부플런저(200) 및 하부플런저(400)에 탄성력을 제공함에 의해 상,하부플런저(200)(400)가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된다.
상기 하부플런저(400)는 단자부(410)와 접촉첨부(420)로 구성되며 단자부(410)는 후술하는 하부접촉수단(700)의 접촉헤드부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첨부(420)는 상기 단자부(410)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바렐(300) 내부로 삽입되어 바렐(300) 내부에서 유동되며 접촉첨부(420)의 단부가 상기 스프링(310)과 접촉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음과 동시에 접촉첨부(420)의 하단부가 상기 바렐(300)의 하부 만곡부(301)에 걸림됨에 의해 상기 하부플런저(400)가 바렐(3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하부플런저(400)도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소정 유동된다.
상기 가이드핀(500)은 핀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상부플런저(200)의 헤드부(210)의 하측에 고정된 형태로 상기 상부플런저(200) 유동부(220)와 평행하게 한조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500)은 상기 수용본체(100)의 보조안내공(114)(123)으로 삽입되어 보조안내공(114)(123) 내부에서 상기 상부플런저(200)와 연동되어 상하로 유동됨에 의해 상기 상부플런저(200)의 상하 유동을 가이드 시키며, 상부플런저(200)의 좌우유동을 최소화 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핀(500)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핀(500)을 감싸는 코일 형상의 탄성부재(600)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600)가 상기 주본체(110)의 보조안내공(114)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주본체(110)의 보조안내공(114)에 형성된 단턱(115)을 일측 지지체로 하며 타측은 상기 상부플런저(200)의 헤드부를 타측 지지체로 하여 축소/확장된다.
즉, 상기 상부플런저(200)에 외부에서 하측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부플런저(200)에 전달된 하방압력을 분산 시킴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플런저(200)는 바렐(30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10) 및 가이드핀(500)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부재(600)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음에 의해 상하유동이 원할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어 부품의 손망실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접촉수단(700)은 크게 외부접촉수단(710)과 내부접촉수단(7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은 상측에 반원형상의 접촉헤드부(711)가 형성되며 대략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헤드부(711)는 상기 수용본체(100)의 보조본체(120) 하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공간(124)에 결합되고 상기 접촉헤드부(711)의 상면은 상기 일측 하부플런저(400)의 단자부(410)와 접촉됨에 의해 상기 하부플런저(400) 중 하나의 하부플런저(400)와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의 상부개구부를 통하여 후술하는 내부접촉수단(720)이 삽입되어 상기 외부접촉수단(710)과 내부접촉수단(720)이 결합된다.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은 상측에 반원형상의 접촉헤드부(721)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헤드부(721)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핀(7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핀(722)이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접촉수단(710) 내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이 외부접촉수단(710) 내부에 소정이격된 동축형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의 하단부는 외부접촉수단(710)의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후술하는 스토퍼(8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내부접촉수단(720)과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하는 바,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의 외주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절연체(810)가 결합되어 상기 외부접촉수단(710)과 내부접촉수단(7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한편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의 접촉헤드부(721)는 타측 하부플런저(400) 즉, 두개의 하부플런저(400) 중 다른 하부플런저(400)의 단자부(410)와 접촉됨에 의해 상기 타측 하부플런저(400)와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접촉수단(710)과 내부접촉수단(72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내부접촉수단(720)의 접촉헤드부(721)와 외부접촉수단(711)의 접촉헤드부(711)는 전체가 하나의 원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중앙부가 소정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중앙부에 절연체인 절연프레이트(820)가 설치되어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된 접촉헤드부(711)(721)가 상기 수용본체(100) 보조본체(120)의 공간(124)에 수용되며 상기 공간(124)에 형성된 분리벽(125)에 의해 서로간의 전기 접속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내,외부 접촉수단(710)(720)이 상기 타측,일측 하부플런저(400)와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플런저(200)의 헤드부(210)에 소정의 하방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하부플런저(400)가 상하로 소정 유동되어 상기 내,외부접촉수단(710)(720)의 접촉헤드부(711)(721)와 접촉됨에 의해 접촉이 양호해지며, 불균일한 하방압력에 적절하게 대응 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의 하단부에는 스토퍼(800)가 결합되는 바, 상기 스토퍼(8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접촉수단(7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외부 테스트 장치와 직접 접촉된다.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의 외주면에는 판형상의 절연캡(830)이 형성되는 바, 상기 절연캡(830)은 상기 내부접촉수단(720)과 외부접촉수단(710)이 상기 수용본체(100)에 안정되게 결합되게 하며 무단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을 테스트 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을 테스트 장치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내부접촉수단(720)에 결합된 스토퍼(800)를 테스트 장치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플런저(200)의 헤드부(210)에 리튬이온전지의 단자를 접촉시켜 소정의 하측방향 압력을 가한다.
상기의 하측방향 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플런저(200)는 하측으로 소정 유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플런저(200)에 전달된 하방압력이 바렐(30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10)을 통하여 상기 하부플런저(400)에 전달되어 상기 하부플런저(400)도 상측으로 소정 유동되어 전달된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외부접촉수단(710)(720)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즉, 상기 일측 하부플런저는 상기 외부접촉수단(710)의 접촉헤드부(711)와 접촉되어 외부접촉수단(710)과 통전되고, 상기 타측 하부플런저는 내부접촉수단(720)의 접촉헤드부(721)와 통전되어 내부접촉수단(720)과 통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플런저(200)의 헤드부(210)에 가해지는 하방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플런저(200)가 하측으로 유동되는 과정에, 상기 가이드핀(500)이 수용본체(100)의 보조안내공(114)(123)을 따라 상기 상부플런저(200)와 연동되어 하측으로 유동됨에 의해 상기 상부플런저(2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플런저(200)의 좌우측 유동을 최소화 시킨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부재(600)가 상기 상부플런저(200)에 전달되는 하방압력을 측면쪽으로 분산 전달시킴에 의해 과도한 하방압력 전달에 의한 부품의 손망실이 방지된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리튬이온 전지의 일측 단자는 일측 상부플런저(200)를통하여 상기 외부접촉수단(710)과 통전되고, 리튬이온 전지의 타측 단자는 상기 타측 상부플런저(200) 및 내부접촉수단(720)을 통하여 스토퍼(800)와 통전되어 상기 통전신호를 테스트 장치에서 감지하게 되면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 여부가 테스트 된다.
테스트가 끝나면 사용자는 리튬이온 전지를 제거하게 되고, 리튬이온 전지의 제거에 의해 하방압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상기 상부플런저(200)는 스프링(310) 및 탄성부재(6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테스트 전의 원상태가 되며, 상기 하부플런저(400) 또한 가해지는 압력의 제거에 의해 테스트전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접촉부분에서의 접촉력을 증가시켜 접촉저항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시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분산/흡수시킴에 의해 부품의 손망실을 방지시키고, 테스트 완료시 플런저의 원상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하로 유동되는 플런저의 유동이 원활함과 동시에 좌우로의 유동은 최소화 되어 테스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6)

  1. 격벽을 사이로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와 연통되어 원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되며, 안내공과 인접되어 보조안내공이 형성된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며 상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하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한조의 상부플런저와;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플런저를 내부에 수용시키는 한조의 바렐과;
    상기 바렐의 하부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한조의 하부플런저와;
    상기 상부플런저 헤드부의 하부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본체의 보조안내공에 삽입되어 상부플런저와 같이 연동되어 상부플런저의 좌우유동을 제어시키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상부플런저에 탄성력을 공급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측에 접촉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런저와 각각 접촉되며 동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런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접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의 주본체와;
    상기 주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한 조의 보조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은 외주면에 리브형상의 분리방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 내부에서 무단 이탈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촉수단은,
    일측 하부플런저와 접촉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접촉수단과;
    타측 하부플런저와 접촉되고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이격되어 동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몸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외부몸체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내부접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본체는 보조본체에 형성된 안내공에 상측부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본체에 삽입 결합된 바렐의 분리방지턱과 걸림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본체는 주본체의 보조안내공에 하측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지지체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1020020002543A 2002-01-16 2002-01-16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20020023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43A KR20020023319A (ko) 2002-01-16 2002-01-16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43A KR20020023319A (ko) 2002-01-16 2002-01-16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441U Division KR200273185Y1 (ko) 2002-01-17 2002-01-17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319A true KR20020023319A (ko) 2002-03-28

Family

ID=1971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543A KR20020023319A (ko) 2002-01-16 2002-01-16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838B1 (ko) * 2017-09-05 2019-02-1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커넥터 테스트용 프로브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838B1 (ko) * 2017-09-05 2019-02-1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커넥터 테스트용 프로브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32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EP2207222B1 (en) Battery pack
KR101705308B1 (ko) 전극 탭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US117965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defect of secondary battery
KR101597484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200273185Y1 (ko)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100958136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테스트 프로브
KR101106667B1 (ko)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KR20120135682A (ko) 퓨즈부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50050221A (ko) 이차 전지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CN114824410A (zh) 用于激活在上面具有正极和负极的圆柱形二次电池的化成设备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019040B1 (ko)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US3089072A (en) Rechargeable electric battery unit
US11695183B2 (en) Battery pack
KR20020023319A (ko)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KR100423955B1 (ko)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US10964990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al combination
KR200265922Y1 (ko)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CN111316467A (zh) 电池及其电芯配组和充电方法、可移动平台、充电器
KR20040022004A (ko) 이차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KR101765749B1 (ko) 듀얼 전류 그립단자형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20030007279A (ko) 리튬이온 전지의 테스트용 프로브
WO2020045500A1 (ja) バッテリパック、電気機器及び給受電システム
KR200382109Y1 (ko)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