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667B1 -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 Google Patents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667B1
KR101106667B1 KR1020110004044A KR20110004044A KR101106667B1 KR 101106667 B1 KR101106667 B1 KR 101106667B1 KR 1020110004044 A KR1020110004044 A KR 1020110004044A KR 20110004044 A KR20110004044 A KR 20110004044A KR 101106667 B1 KR101106667 B1 KR 10110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econdary battery
housing
clip member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Priority to KR102011000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용량 폴리머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에 사용되며, 전압 및 전류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탈부착이 가능한 온도 센서를 적용하여 과충전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하우징과, 제 1하우징과 대면하여 배치되고 힌지 결합하는 제 2하우징과,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하우징의 앞부분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이 형성된 클립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고, 제 1하우징의 클립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1클립부재와 제 2하우징의 클립 결합부에 상호 이격되어 제 1클립부재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 2 및 제 3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이 제공되고, 이와 같은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을 이용하여 2차 전지의 전극에 각각 물려 충방전 테스트가 시행된다.
본 발명은, 2차 전지에 전압과 전류를 동시에 인가하여 충방전 테스트가 가능하며, 상하의 클립 길이가 상호 달라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충방전 테스트시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Clip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용량 폴리머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에 사용되며, 전압 및 전류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탈부착이 가능한 온도 센서를 적용하여 과충전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2차 전지는 이온 전도가 우수한 이온 전도성 폴리머인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여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의 누액 가능성과 폭발 위험성을 줄인 것으로, 특히 리튬 폴리머 2차 전지는 가볍고 얇으며 다양한 형태의 전지 설계가 가능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재충전 횟수가 높아 수명이 긴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전지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차세대 자동차인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어지는 대용량의 폴리머 2차 전지의 발전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대용량의 폴리머 2차 전지는 전기 용량이 일반 핸드폰이나 노트북에 사용되는 폴리머 2차 전지보다 월등히 크기 때문에 몸체 크기도 당연히 커지게 된다. 그래서 대용량의 폴리머 2차 전지는 대략 A4용지 만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리튬 폴리머 2차 전지는 이온 전도성 폴리머에 리튬 염과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며, 이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양극 및 음극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한다. 그리고 이 전극 조립체를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파우치 케이스 내에 밀봉 시킨다. 그 후 2차 전지 양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방전 테스트가 시행되는데 이렇게 조립 후에 충전과 방전을 실시하는 것은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어느 정도 활성화시키고, 전지의 용량을 확인하고 불량과 양호를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충방전 테스트를 위해 전극과 접촉되는 클립이 사용되는데 이 클립을 통하여 전지의 양극과 음극 간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전지의 성능을 테스트하게 된다. 이러한 클립 중 힌지가 사용되어 집게 형상을 가진 종래의 클립의 경우를 보면, 전압과 전류를 따로 인가하여 충방전 테스트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는 별도의 전압과 전류 테스트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장비가 이중으로 구성되므로 비용과 시간적인 면에서 낭비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전지의 양 전극에 클립의 접촉부를 개구시켜 접촉할 시 전극과 접촉 이외에도 클립의 접촉부가 상호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단락이 발생하여 전지의 전극 사이의 전압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게 되어 과충전을 하게 된다. 또한 과충전은 전지의 불량 및 전압과 전류의 과도한 공급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과충전은 전지의 폭발 또는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과충전에 따른 화재 예방을 우려 별도의 온도계 등을 이용하여 과충전시 발생되는 현상인 고온 발생을 일일이 체크하게 된다. 이 경우 과다한 인력과 설비 및 경비가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클립은 접촉부가 매끄러울 경우 전극과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의 전극 사이의 전압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되도록 전극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과 전류를 동시에 인가하여 테스트가 가능하며, 단락 및 과충전을 방지하며, 전지의 전극을 견고히 고정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2차 전지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양전극에 각각 접촉되어 충방전 테스트에 사용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으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과 대면하여 배치되고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하는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사이의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전지의 전극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 1클립부재 및 2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전지의 전극의 타면에 동시에 접촉되는 제 2 및 제 3클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의 앞부분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이 형성된 클립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뒷부분에는 외력을 가해 그 앞부분이 벌어져 상기 2차 전지의 전극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누름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클립부재는 상기 제 1하우징의 클립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및 제 3클립부재는 상기 제 2하우징의 클립 결합부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 1클립부재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차 전지에 전압과 전류를 동시에 인가하여 충방전 테스트가 가능하며, 상하의 클립 길이가 상호 달라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충방전 테스트시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위 아래가 뒤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과 2차 전지의 전극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 아래가 뒤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과 2차 전지의 전극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100)은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이 한 조를 이루어 대용량의 폴리머 2차 전지(80)의 전극(81,82)에 각각 접촉하여 전류 및 전압을 인가하여 2차 전지(80)를 테스트하게 된다. 대용량의 폴리머 2차 전지(80)는 대략 A4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100)의 폭(a)이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의 폭(b)보다 작게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접촉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100)은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의 극성에 무관하고 상하가 뒤집어져서 결합가능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100)은 제 1하우징(10), 제 2하우징(20), 탄성부재(30), 제 1클립부재(40), 제 2클립부재(50) 및 제 3클립부재(60)를 포함한다.
제 1하우징(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외형이 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측면 중간부분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제 1힌지공(11a)이 형성된 제 1힌지부(11)가 형성된다. 제 1하우징(10)의 앞부분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이 형성된 제 1클립결합부(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1클립결합부(12)에는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공(1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2하우징(20)은 제 1하우징(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면하여 배치되며 제 1힌지부(11)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위로 돌출되는 제 2힌지공(21a)이 형성된 제 2힌지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힌지부(11)와 제 2힌지부(21)의 제 1힌지공(11a)과 제 2힌지공(21a)을 동시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힌지축(70)에 의해 제 1하우징(10)과 제 2하우징(20)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 2하우징(20) 전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이 형성된 제 2 및 제 3클립결합부(22,23)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및 제 3클립결합부(22,23)에는 각각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공(22a,23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하우징(10)의 뒷부분에는 누름부(75)가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부(75)는 제 1 및 제 2하우징(10)의 양측면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76a,77a)과 이 관통공(76a,77a)에 삽입되는 각각 누름축(76,77)으로 구성된다. 이 누룸축(76,77)에 실린더(미도시)와 같은 구동체에 의해 상하에서 동시에 힘을 가하게 되면 제 1 및 제 2하우징(10,20)은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을 물 수 있도록 앞부분이 벌어져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이 삽입될 수 있는 도 1에서와 같이 삽입구(17)가 형성된다.
탄성부재(30)는 제 1하우징(10)과 제 2하우징(20) 사이의 힌지축(70)과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0)는 상술한 누름부(75)에 외력이 제거되면 제 1 및 제 2하우징(10,20)의 앞부분이 상호 접촉되게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30)는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강한 탄성을 가지기 위해 2개의 비틀림 스프링이 힌지축(70)을 통해 장착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이 제 2하우징(20)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홈(13)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제 1하우징(10)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홈(미도시)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클립부재(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 1하우징(10)의 결합부(12)에 결합된다. 제 1클립부재(40)는 제 1클립결합부(12)에 결합하는 제 1고정부(41)와 제 1고정부(41)에 연장 형성되어 제 1클립결합부(12)의 전단으로 돌출되는 제 1평면부(42)와 제 1평면부(42)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는 제 1전극 접촉부(44)로 구성된다. 제 1클립부재(40)의 제 1고정부(4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고정부(41)에는 제 1결합부(12)에 형성된 나사공(12a)과 일치되는 복수의 관통공(41a)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고정부(41)의 후단은 홈 형상을 가진 전압전류공급부(15)에 연결된 전원선(미도시)과 연결되며, 2차 전지(80)의 전극(80,81)에 전압과 전류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제 2클립부재(50)와 제 3클립부재(6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 2하우징(10)에 형성된 제 2클립결합부(22)와 제 3클립결합부(23)에 각각 결합하는 제 2 및 제 3고정부(51,61)와 제 2 및 제 3고정부(51,61)에 연장 형성되어 제 2 및 제 3클립결합부(22,23)의 전단으로 돌출되는 제 2 및 제 3평면부(52,62)와 제 2 및 제 3평면부(52,62)에 연장 형성되며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 2 및 제 3전극 접촉부(54,64)로 구성된다.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제 2 및 제 3고정부(51,6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및 제 3고정부(51,61)에는 제 2 및 제 3결합부(22,23)에 형성된 나사공(22a,23a)과 일치되는 복수의 관통공(51a,61a)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후단은 각각 홈 형상을 가진 전압공급부(25a)와 전류공급부(25b)에 연결된 전원선(미도시)과 연결되며, 2차 전지(80)의 전극(80,81)에 전압과 전류를 각각 인가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폭(W1,W2)이 상호 다를 수 있다. 즉 제 2클립부재(50)의 폭(W1)이 제 3클립부재(60)의 폭(W2)보다 짧아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대용량의 폴리머 2차 전지의 전압 용량(예컨대 5V)은 전류 용량(예컨대 200A~300A)보다 작기 때문에 전압이 인가되는 제 2클립부재(50)의 크기가 전류가 인가되는 제 3클립부재(60)의 크기보다 작게 만들어 효율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클립부재(40)의 제 1평면부(42)의 길이(L1)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제 2 및 제 3평면부(52,62)의 길이(L2)는 상호 다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클립부재(40)의 제 1평면부(42)의 길이(L1)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제 2 및 제3평면부(52,62)의 길이(L2)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제 2 및 제 3평면부(52,62)의 길이(L2)가 제 1클립부재(40)의 평면부(42)의 길이(L1) 보다 길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면부의 길이(L1,L2)를 상호 다르게 하는 것은 제 1클립부재(40)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이 전극(81,82)의 양면에 접촉할 때 제대로 접촉되지 못해 제 1클립부재(40)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가 상호 접촉하게 되면 단락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충방전 테스트의 결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극(81,82)의 양면에서 물게 되면 전극(81,82)이 약간 휘게 되고 이로 인해 테스트 자국이 적게 생기게 되어, 2차 전지(80)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클립부재(40,50,60)의 제 1 내지 제 3전극 접촉부(44,54.64)는 2차 전지(80)의 전극(81,82)과 접촉되는 부분에 요철 형상의 돌기(45,55,6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철 형상의 돌기(45,55,65)는 2차 전지(80)의 전극(81,82)과 접촉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요철 형상은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 형상이지만,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시키지 않고 삼각형, 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 2클립부재(50)와 제 3클립부재(60)의 절연을 위해 제 2클립부재(50)와 제 3클립부재(60)가 각각 안착되는 제 2클립결합부(22)와 제 3클립결합부(23) 사이에 절연격벽(26)이 제 2하우징(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 1클립부재(40)의 제 1평면부(42)에는 힌지축(70) 방향과 평행한 장공(42a)이 관통 형성되고 제 3클립부재(60)의 제 3평면부(62)에는 힌지축(70) 방향과 수직한 장공(62a)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는 제 1클립부재(40)와 제 3클립부재(60)가 전극(81,82)과 접촉할 때 충격을 감소하게 하도록 텐션(tension)을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클립부재(40,50,60)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극(81,82)과 접촉시 2차 전지(80)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클립부재(40)의 제 1고정부(41)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제 2 및 제 3고정부(51,61)의 상부에는 각각 복수의 체결공(17a,27a)이 관통 형성된 제 1 및 제 2절연 덮개(17,27)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절연 덮개(17,27)는 제 1클립부재(40)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가 전기가 통하는 도체이고 외부로 노출되어 발생되는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클립부재(40)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가 각각 제 1 및 제 2 하우징(10,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의 체결공(17a,27a)을 통해 제 1 내지 제 3클립결합부(12,22,23)의 나사공(12a,22a,23a)과 이들 사이에 제 1 내지 제 3고정부(41,51,61)의 관통공(41a,51a,61a)을 상호 일치시켜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클립부재(40)에 온도 센서(90)가 부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90)는 앞부분에 온도를 감지하고 제 1전극 접촉부(44)와 접촉되는 온도센서부(90a)와, 중간부분에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이 제 1하우징(10)에 형성된 온도센서결합부(18)에 결합되고 상면이 제 1평면부(42)와 제 1고정부(41)에 걸쳐 접촉되는 몸통부(90b)와, 뒷부분에 온도센서부(90a)와 연결되고 몸통부(90b)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90c)로 구성된다. 여기서 온도센서부(90a)는 제 1클립부재(40)의 제 1전극 접촉부(44)가 전극(81,82)의 일면과 접촉할 시 함께 접촉되어 전극(81,82)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극(81,82)의 상한치 온도를 설정하여 충전 도중 과열 발생시 즉 과충전시 자동으로 충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전극(81,82)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센서(90)는 본 발명에서는 제 1클립부재(40)에 부착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클립부재(50) 또는 제 3클립부재(6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제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2차 전지(80)의 충방전 테스트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100)의 누름부(75)의 누름축(76,77)을 실린더를 이용하여 힘을 가해 제 1전극 접촉부(44)와 제 2 및 제 3전극 접촉부(54,64)가 벌어져 삽입구(17)가 형성되게 한 후, 테스트 할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을 각각 삽입구(17)에 삽입한다.
그 후 누름축(76,77)에 가해지는 실린더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제 1전극 접촉부(44)와 제 2 및 제 3전극 접촉부(54,64)가 탄성부재(30)의 복원력으로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의 양면을 물게 된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전극 접촉부(44,54,64)의 요철 형상의 돌기(45,55,65)가 2차 전지(80)의 전극(81,82)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 1클립부재(40)의 제 1평면부(42)의 길이(L1)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의 제 2 및 제 3평면부(52,62)의 길이(L2)가 상호 다르므로 전극(81,82)과 접촉시 잘못 접촉되더라도 제 1클립부재(40)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50,60)가 상호 접촉되는 일이 없어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제 1 내지 제 3클립부재(40,50,60)의 제 1 내지 제 3전극 접촉부(44,54,64)를 통해 전압과 전류를 2차 전지(80)의 전극(81,82)에 공급하여 충전하고 방전하는 충방전 테스트를 시행한다. 여기서 충전 테스트 중 제 1클립부재(40)에 부착된 온도 센서(90)의 온도센서부(90a)가 함께 전극(81,82)에 접촉되어 2차 전지(8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어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충방전 테스트를 통해 2차 전지(80)의 성능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전술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 1하우징 20:제 2하우징
30:탄성부재 40:제 1클립부재
50:제 2클립부재 60:제 3클립부재
70:힌지축 80:2차 전지
90:온도 센서 100: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Claims (8)

  1. 2차 전지의 양전극에 각각 접촉되어 충방전 테스트에 사용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으로,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과 대면하여 배치되고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하는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사이의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전지의 전극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 1클립부재; 및
    2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전지의 전극의 타면에 동시에 접촉되는 제 2 및 제 3클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의 앞부분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이 형성된 클립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뒷부분에는 외력을 가해 그 앞부분이 벌어져 상기 2차 전지의 전극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누름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클립부재는 상기 제 1하우징의 클립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및 제 3클립부재는 상기 제 2하우징의 클립 결합부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 1클립부재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립부재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는 각각 상기 클립 결합부에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립 결합부 전단으로 돌출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지의 전극과 접촉할 수 있는 전극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클립부재와 제 2 및 제 3클립부재의 평면부의 길이는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접촉부는 상기 2차 전지의 전극과 접촉되는 부분에 요철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클립부재의 폭이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클립부재가 상호 절연되도록 상기 제 2 및 제 3클립부재 사이에 절연격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립부재와 상기 제 2 및 제 3클립부재의 상부에는 각각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절연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클립부재 중 어느 하나에 온도 센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클립부재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KR1020110004044A 2011-01-14 2011-01-14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KR10110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44A KR101106667B1 (ko) 2011-01-14 2011-01-14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44A KR101106667B1 (ko) 2011-01-14 2011-01-14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667B1 true KR101106667B1 (ko) 2012-01-20

Family

ID=4561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044A KR101106667B1 (ko) 2011-01-14 2011-01-14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6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081B1 (ko) 2013-01-04 2014-08-27 (주)에이티솔루션 전지 충방전 시험장치의 그리퍼
KR101451731B1 (ko) 2012-03-08 2014-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충방전 장치
CN108387286A (zh) * 2017-05-18 2018-08-10 惠州市宙邦化工有限公司 一种电池产气测试装置
KR101913046B1 (ko) * 2017-09-19 2018-12-28 주식회사 메가터치 이차전지 테스트용 그리퍼 및 그 그리퍼의 프로브
KR20190140842A (ko) * 2018-06-12 2019-12-20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클리핑된 테스트 장치
KR20200058829A (ko) * 2018-11-20 2020-05-28 김철군 접촉단자 교체가 가능한 2차 전지 충방전장치의 커넥터
KR20220060131A (ko)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포메이션 충방전기용 온도센서 일체형 클립
KR20230071750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충방전용 그리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227U (ko) * 1997-02-20 1998-10-26 구자홍 충전기
KR20030080870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전극 접촉용 클립
KR20040087833A (ko) * 2003-04-08 2004-10-15 유경민 이동통신기기용 전지 장착부를 갖는 작동기기 및 전지수납장치
KR20050000302A (ko) * 2003-06-23 2005-01-03 유경민 이동통신기기용 2차 전지 장착부를 갖는 작동기기 및 전지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227U (ko) * 1997-02-20 1998-10-26 구자홍 충전기
KR20030080870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전극 접촉용 클립
KR20040087833A (ko) * 2003-04-08 2004-10-15 유경민 이동통신기기용 전지 장착부를 갖는 작동기기 및 전지수납장치
KR20050000302A (ko) * 2003-06-23 2005-01-03 유경민 이동통신기기용 2차 전지 장착부를 갖는 작동기기 및 전지수납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731B1 (ko) 2012-03-08 2014-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충방전 장치
KR101435081B1 (ko) 2013-01-04 2014-08-27 (주)에이티솔루션 전지 충방전 시험장치의 그리퍼
CN108387286A (zh) * 2017-05-18 2018-08-10 惠州市宙邦化工有限公司 一种电池产气测试装置
KR101913046B1 (ko) * 2017-09-19 2018-12-28 주식회사 메가터치 이차전지 테스트용 그리퍼 및 그 그리퍼의 프로브
KR20190140842A (ko) * 2018-06-12 2019-12-20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클리핑된 테스트 장치
KR102166077B1 (ko) 2018-06-12 2020-10-16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클리핑된 테스트 장치
KR20200058829A (ko) * 2018-11-20 2020-05-28 김철군 접촉단자 교체가 가능한 2차 전지 충방전장치의 커넥터
KR102149704B1 (ko) 2018-11-20 2020-08-31 김철군 접촉단자 교체가 가능한 2차 전지 충방전장치의 커넥터
KR20220060131A (ko)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포메이션 충방전기용 온도센서 일체형 클립
KR102564176B1 (ko) * 2020-11-04 2023-08-07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포메이션 충방전기용 온도센서 일체형 클립
KR20230071750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충방전용 그리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667B1 (ko) 2차 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클립
JP493791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における電池の電圧および温度の測定用部材
CN107210404B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CN102376931B (zh) 可再充电电池、电池模块和可再充电电池的电极端子组件
KR20170054878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579348B1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50142338A (ko)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부싱을 포함한 배터리 팩
KR20140128845A (ko) 자동차용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 집합체용 내부 케이스
BRPI0519442B1 (pt) Set of sensor boards mounted on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id assembly
KR101681968B1 (ko) 이차 전지 평가 장치
JP2020514983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130090957A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KR102074776B1 (ko) 배터리 모듈
KR101428133B1 (ko) 저저항 충·방전용 지그
KR10237474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1422656B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CN109309189B (zh) 充电电池
US20230129671A1 (en)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US11705587B2 (en) Terminal case having the improved function of estimating state of secondary battery
KR101738600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충방전 장치
TW202133474A (zh) 二次電池和用於製造二次電池的方法
KR101487209B1 (ko) 전지셀의 충방전 장치
JP2007250194A (ja) 組電池の短絡検出装置
KR100424265B1 (ko) 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전극 접촉용 클립
CN219201681U (zh) 软包电池电性能测试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