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054A -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054A
KR20020023054A KR1020000055805A KR20000055805A KR20020023054A KR 20020023054 A KR20020023054 A KR 20020023054A KR 1020000055805 A KR1020000055805 A KR 1020000055805A KR 20000055805 A KR20000055805 A KR 20000055805A KR 20020023054 A KR20020023054 A KR 2002002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miconductor
guid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anufactur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5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054A/ko
Publication of KR2002002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면에 반도체 소자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포켓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반도체 소자들의 운반시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노치가 형성된 외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의 하면 중앙 부분에는 트레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복수개의 가이드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트레이에 휨 또는 뒤틀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가이드들의 작용에 의해 트레이들이 서로 끼워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각 트레이들의 분리시 그 분리작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TRAY FOR MANUFACTURE SYSTEM OF SEMICONDUCTOR}
본 발명은 수평 핸들러, 로더 및 언로더, 마킹 장비 등과 같은 반도체 제조 장비에서 반도체 소자들의 운반을 위해 사용되는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는 다수의 반도체 소자를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는 반도체 소자들이 각각 수납되는 다수의 포켓(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T)의 측면에는 반도체 소자들의 운반시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노치(3a, 3b)가 형성되고, 그 하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트레이(T)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받쳐 주는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러 개의 트레이(T)를 차례로 적층시킨 후 이렇게 적층된 트레이(T)를 저장부에 장착하면 트레이 승강기(11)가 작동되어 상기한 트레이(T)를 상단센서(13)가 설치된 위치까지 위로 올려준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T)가 트레이 승강기(11)에 의해 상단센서(13)가 있는 높이까지 상승되면 트레이 받침대(15)가 작동되어 가장 상단에 위치된 트레이(T)만을 받쳐주게 된다.
이후, 상기 트레이 승강기(11)가 하강되면 가장 상단에 위치된 트레이(T)는 트레이 받침대(15)와 함께 남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T)들이 트레이 승강기(11)와 함께 하강되면서 트레이(T)가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T)가 한장씩 분리되면 이 트레이(T)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을 번 인 보드(Burn in board) 또는 테스트 보드(Test board)에 로딩하고, 빈 트레이(T)는 회수부로 이송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트레이(T)를 분리시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트레이(T)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휘게 되는 경우 그 아래쪽에 있는 트레이(T')에 꽉 끼게 된다.
즉, 상기한 트레이(T)는 길이 방향의 휨으로 인해 그 길이가 L1이 되어 그 아래쪽에 있는 트레이(T')의 길이 L보다 작게 되면 이 트레이(T')에 끼게 되어 자연스러운 분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는 휨이 발생되는 경우 트레이(T)가 그 아래쪽의 트레이(T')에 꽉 끼게 되어 자연스럽게 분리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T)의 이송 에러가 자주 발생됨은 물론 상기 트레이(T)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트레이(T)에 수납되어 있는 반도체 소자들이 흩어져 리드가 구부러지는 등과 같은 상기 반도체 소자들의 파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리나, 종래 기술은 휨으로 인해 아래쪽 트레이(T')에 끼게 된 트레이(T)를 분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지연의 원인으로 작용되고, 상기 트레이(T)를 무리하게 분리하는 과정에서 트레이(T)가 파손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 하면의 중앙 부분에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들을 형성함으로써 트레이에 휨 또는 뒤틀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가이드들의 작용에 의해 트레이들이 서로 끼워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각 트레이들의 분리시 그 분리작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가 트레이 승강기 및 트레이 받침대에 의해서 한장씩 분리되는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가 휨으로 인해 다른 트레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몸체부 51a : 포켓
53 : 외곽부 53a, 53b : 노치
55 : 가이드 57 : 가이드홈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에 반도체 소자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포켓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반도체 소자들의 운반시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노치가 형성된 외곽부로 이루어진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면 중앙 부분에는 트레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복수개의 가이드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는 상면에 반도체 소자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포켓(51a)이 형성된 몸체부(51)와,상기 몸체부(51)의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반도체 소자들의 운반시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노치(53a, 53b)가 형성된 외곽부(53)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51)의 하면 중앙 부분에 트레이(T)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복수개의 가이드(55)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51)의 상면 중 상기 가이드(55)와 일치되는 위치에는 트레이(T)의 적층시 상측 트레이(T)의 가이드(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55)와 대응되는 형태로 가이드홈(5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55) 및 가이드홈(57)은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보다 넓은 2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T)를 받쳐주는 가이드(55)들을 몸체부(51)의 중앙 부분에 형성하면 상기 가이드(55)들에 의해 트레이(T)가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뒤틀리게 되더라도 하측의 트레이(T)에 꽉 끼워지지는 않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55)들의 작용에 의해 트레이(T)들이 휨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서로 끼워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 승강기와 트레이 받침대에 의해 트레이(T)가 하나씩 분리될 때 휨이나 뒤틀림 등에 관계없이 각 트레이(T)들이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55) 및 이 가이드(55)가 삽입되는 가이드홈(57)은 각각 2단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프리 얼라인먼트를 통해 트레이(T)의 위치를 정렬한 후 상기 트레이(T)를 떨어뜨려 다른 트레이(T) 위로 적층시킬 때 상기 가이드(55)가 가이드홈(57)의 상단부를 거쳐 하단부로 진행되면서 트레이(T)가 정위치로 정렬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는, 트레이(T) 하면의 중앙 부분에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55)들을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레이(T)에 휨 또는 뒤틀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가이드(55)들의 작용에 의해 트레이(T)들이 서로 끼워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각 트레이(T)들의 분리시 그 분리작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트레이(T)의 겹침 현상으로 인한 트레이(T)의 이송 에러 및 작업시간의 지연 등이 없어지는 동시에 상기 트레이(T)를 억지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반도체 소자 및 트레이(T)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상면에 반도체 소자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포켓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반도체 소자들의 운반시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노치가 형성된 외곽부로 이루어진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면 중앙 부분에는 트레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복수개의 가이드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 상기 가이드와 일치되는 위치에는 트레이의 적층시 상측 트레이의 가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와 대응되는 형태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및 가이드홈은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보다 넓은 2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KR1020000055805A 2000-09-22 2000-09-22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KR20020023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805A KR20020023054A (ko) 2000-09-22 2000-09-22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805A KR20020023054A (ko) 2000-09-22 2000-09-22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054A true KR20020023054A (ko) 2002-03-28

Family

ID=1968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805A KR20020023054A (ko) 2000-09-22 2000-09-22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0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8761B (zh) Wafer storage container
JP3764173B2 (ja) 自己整列ポケットを備えた集積回路トレイ
US8141712B2 (en) Thin wafer insert
KR100414840B1 (ko) 전자 부품용 트레이
US20060118458A1 (en)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US20070023931A1 (en)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KR20020023054A (ko)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트레이
US5763297A (en) Integrated circuit carrier having lead-socket array with various inner dimensions
US6809936B2 (en) Integrated circuit component carrier with angled supporting and retaining surfaces
KR200195812Y1 (ko) 수평식핸들러의 고객트레이 홀딩장치
US20040099568A1 (en) Hard tray for carrying socket connectors
KR102391958B1 (ko) 웨이퍼 캐리어 그립 유닛
KR102550159B1 (ko) 기판 수납용 매거진
KR20040024538A (ko) 리드프레임처리시스템용 취급장치 및 취급방법
KR100496103B1 (ko) 리드프레임용 메가진의 개구부 개폐장치
KR100539969B1 (ko) 수납장치
KR950000435Y1 (ko) 선별테스트기의 반도체소자 취급장치
KR20000014006U (ko) 반도체 칩 수납장치
JPH058860A (ja) セラミツクス板用搬送装置
JP2001007178A (ja) ウエハ移載装置
KR20000007558U (ko) 웨이퍼 캐리어
JPH11342908A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JPH1187476A (ja) ウェーハ受台
JPH07101544A (ja) リードフレームのピックアップ装置
KR19980055818U (ko) 반도체칩 적재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