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033A -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033A
KR20020022033A KR1020010057431A KR20010057431A KR20020022033A KR 20020022033 A KR20020022033 A KR 20020022033A KR 1020010057431 A KR1020010057431 A KR 1020010057431A KR 20010057431 A KR20010057431 A KR 20010057431A KR 20020022033 A KR20020022033 A KR 20020022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iles
identification code
distance identification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27337B1 (en
Inventor
김수찬
신승용
박권환
Original Assignee
김수찬
(주)스탠다드레이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찬, (주)스탠다드레이저시스템 filed Critical 김수찬
Publication of KR2002002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0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3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PURPOSE: A mock combat system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mock combat system are provided to achieve the bombing effect similar to the bombing effect of a real high-angle gun by using a laser ray. CONSTITUTION: A mock combat system(100) includes a central control section(10), a shooting section(20), a detecting section(30), a display section(40) and a transmitting/receiving section(50). The central control section(10) controls each section of the mock combat system(100) and includes a microprocessor(12), a memory(14) and a modulation/demodulation device(16). A control center(6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ing/receiving section(50) so as to control the combat situation of the mock combat system(100). The shooting section(20) includes a shoot control part, a D-CODE level control part(24), a laser driving part, and a light source.

Description

모의 교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본 발명은 모의 교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유탄 발사기와 같은 곡사화기를 모사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 howitzer such as a grenade launcher using a laser.

일반적으로 전쟁 게임 또는 서바이벌 게임이나 군사 훈련 등에서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모의적인 교전 훈련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교전 훈련은 실제 전투와 동일한 전장 효과 및 무기의 성능을 모사하여 행해진다.In general, mock engagement training is performed using laser beams in war games, survival games, military training, and the like. Such engagement training is conducted by simulating the same battlefield effects and weapon performance as actual combat.

실제 전투를 모사하기 위해서는 실탄 대신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는 발사기를 사용하고 이를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감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모의 교전에서 사용되는 장비로는 대표적으로 개인 화기, 공용 화기, 대전차 화기, 대공 화기 등 실제 화기를 모사하는 훈련용 화기와 훈련자나 차량 등의 장비에 장착하여 훈련용 화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광선을 감지하는 감지기가 있다.To simulate real combat, a launcher that fires a laser beam instead of a bullet is used and monitored using a sensing device. The equipment used in the simulation is typically a training firearm that simulates a real firearm such as a personal firearm, a common firearm, an antitank firearm, an anti-aircraft firearm, and a laser beam emitted from a training firearm mounted on equipment such as a trainer or a vehicle. There is a sensor to detect.

이중 모의 교전에서 사용되는 모사 곡사화기는 실제 K-201 유탄 발사기 등과 같이 곡사화기와 동일한 사거리, 피폭 범위, 격발 및 사격 절차, 발사 지연시간 등의 화기 특성을 갖고 실제 화기의 원형에 손상이 없이 탈착 및 부착이 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훈련용 화기의 경우, 실탄 대신 레이저 광선이 발사되고, 발사된 레이저 광선이 목표물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될 때 명중된 것으로 간주하는 점만이 실제 화기와 다르고 기타의 모든 특성은 실제 화기와 동일하게 제작된다.The simulated howitzer used in the double simulation engagement has the same firearm characteristics as the howitzer, such as the actual K-201 grenade launcher, with the same firearm characteristics as the range, exposure range, triggering and firing procedures, and firing delay time. And to be attached. In the case of training firearms, laser beams are fired instead of bullets, and only the firearms are regarded as being hit when they are detected by the target's detector. .

한편, 교전 훈련에서 실탄 대신 사용되는 레이저 광선에는 교전 훈련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화기의 종류, 발사자의 ID(PID), 탄종 등의 정보가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마일즈(MILES :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코드가 사용된다. 마일즈 코드는 미국에서 마일즈 통신 코드 구조에 관한 표준 규약인 MCC97(PMT 90-S002B)에 의해 정의되며 도 1은 이러한 마일즈 코드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Meanwhile, in order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engagement train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firearm, the ID of the launcher (PID), the type of the bullet, etc. should be inserted into the laser beam used in place of the shot in the engagement training. For this purpose,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MILES) code is used. The Miles Code is defined by MCC97 (PMT 90-S002B), which is a standard protocol for the Miles communication code structure in the United States, and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such Miles code.

도 1을 참조하면, 마일즈 코드는 로직 "1"을 갖는 6개의 비트와 로직 "0"을 갖는 5개의 비트를 포함하여 11 개의 비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코드는 단일의 비트패턴을 갖는다. 그리고 마일즈 코드를 수신하는 감지기에 마일즈 코드임을 식별시키기 위해 처음 3비트의 패턴이 "110"으로 이루어지는 식별자를 갖는다. 그리고 마일즈 코드의 비트들은 이러한 식별자의 첫 비트의 리딩 에지(leading edge)에 시간적으로 동기화되며, 2개의 연속적인 마일즈 코드 비트의 리딩에지는 약 333 μsec 주기(3kHz)로 발생한다. 따라서 하나의 완전한 마일즈 코드의 시간 간격은 3.667msec가 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iles code consists of 11 bits, including 6 bits with logic "1" and 5 bits with logic "0", each code having a single bit pattern. The first 3 bits of the pattern have an identifier of 110 to identify the miles code to the detector receiving the miles code. The bits of the miles code are then synchronized in time to the leading edge of the first bit of this identifier, and the leading edge of two consecutive miles code bits occurs at about 333 μsec period (3 kHz). Therefore, the time interval of one complete Miles code is 3.667 msec.

이러한 마일즈 코드의 각 비트간의 시간 간격 또는 타임슬롯 11개에는 다시 샘플링(sampling)된 16개의 바이너리(BIN)가 삽입된다. 16개 BIN들의 샘플링 주파수는 타일슬롯 주기인 3kHz의 16배인 48kHz가 된다. 그러므로 BIN간의 샘플링 타임은 20.8msec가 된다.Sixteen binary samples (BIN) are resampled into 11 time slots or time slots between each bit of the miles code. The sampling frequency of the 16 BINs is 48 kHz, 16 times the tile slot period of 3 kHz. Therefore, the sampling time between BINs is 20.8 msec.

각각의 마일즈 코드는 11개의 기본 비트사이에 동일하게 위치하는 176개의 샘플링된 BIN들을 포함한다. 마일즈 코드의 표준 규약에 의하면 이러한 샘플링된 BIN들중 1, 6, 8, 10번 BIN에만 레이저 광펄스가 나타나도록 하여 모의 교전 훈련자의 식별 정보(Player Identification : PID)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Each Miles code contains 176 sampled BINs that are equally located between the 11 basic bits. The standard code of Miles Code allows laser light pulses to appear only in BINs 1, 6, 8, and 10 of these sampled BINs to include player identification (PID).

이와 같은 마일즈 코드를 이용하여 무기 및 탄종의 유형, 피폭 범위 및 PID 등의 정보를 레이저 광선에 실어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감지기에서는 마일즈 코드를 해독하여 피해를 인식하도록 하여 모의 교전 결과를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By using the Miles code, information such as weapon type and type of bomb, exposure range and PID are transmitted to the laser beam, and the received detector detects the miles code to recognize the damage and evaluates the simulation result. .

그러나, 곡사화기를 모사하는 모의 교전에 있어서는 이러한 마일즈 코드에 포함된 정보만으로는 실제 곡사화기에서 포물선 탄도에 의해 발생하는 피폭 효과를 동일하게 모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e simulation engagement that simulates the howitzer, using only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iles code, which cannot simulate the exposure effect caused by the parabolic ballistic in the actual howitzer.

도 2는 이러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실제 곡사화기의 포물선 탄도에 의한 피폭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제 곡사화기(1)로 사격을 할 경우, 포물선 모양의 탄도가 형성되며 실제 탄이 떨어지는 위치뿐만 아니라 탄이 떨어지는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내에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이 사정거리에 해당하는 X 위치에 떨어지면 그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대상인 B와 C도 피폭 효과를 받게 된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posure range by the parabolic trajectory of the actual howitzer to explain this problem. Referring to FIG. 2, when shooting with the actual howitzer 1, a parabolic ballistic is formed and damage occur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bullet falls as well as the position where the actual shot falls. 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the bullet falls to the X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nge, the targets B and C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also receive an exposure effect.

이에 비해, 종래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 훈련용 모사 곡사화기의 경우, 실탄 대신 레이저 광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폭 효과의 특성에 있어 실제의 곡사화기와는 차이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imulation copying machine using laser beams, since the laser beam is used instead of the actual bullet,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osure eff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ctual one.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사 곡사화기(2)의 레이저 광선의 발사 형태와 피폭 범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모사 곡사화기(2)는 레이저 광선이 직진한다는 특성에 의해 레이저 광선의 진행 경로상에 있는 모든 대상(즉, A', B', C', D')이 피폭 효과를 받게 된다. 이 때, 사정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대상(D')의 경우, 레이저 광선의 출력을 조절하여 피폭 범위에 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표적 거리보다 가까운 대상(A')의 경우에는 피폭 범위에 속하게 되어 실제의 곡사화기의 피폭 결과와 다른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ing mode and the exposure range of the laser beam of the simulated howitzer 2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3, in the conventional simulated howitzer 2, all objects (i.e., A ', B', C ', D') on the path of the laser beam are moved due to the property that the laser beam goes straight. You will be exposed to exposure. In this case, the target D 'farther away from the range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fall within the exposure range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but the target A' closer than the target distance falls within the exposur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results in a different result from the exposure of the howl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곡사화기의 피폭 효과를 동일하게 모사할 수 있는 모의 교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simulating the exposure effect of an actual howitzer.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제 곡사화기가 사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동일하게 모사할 수 있는 모의 교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simulating the fact that the actual howitzer can adjust the range.

도 1은 마일즈 코드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Miles code;

도 2는 실제 곡사화기의 포물선 탄도에 의한 피폭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posure range by the parabolic trajectory of the actual howitzer,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사 곡사화기의 레이저 광선의 발사 형태와 피폭 범위를 나타내는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ing form and exposure range of a laser beam of a simulated howit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발사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unch unit of Figure 4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거리 식별 코드가 마일즈 코드에 삽입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where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inserted into a miles code;

도 8은 거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마일즈 코드가 유효 사정거리와의 관계에 있어서 모의 교전 시스템에 의해 검출되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ttern detected by 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in relation to the effective range of the miles code including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의 교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mulation eng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모의 교전 시스템을 착용 또는 부착한 교전자의 위치에 따른 피폭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whether or not the expos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ngagement is wearing or attached to the simulated engagement syste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실제 곡사화기 2 : 모사 곡사화기1: real howitzer 2: simulated howitzer

10 : 중앙 제어부 12 : 마이크로프로세서10: central control unit 12: microprocessor

14 : 메모리 16 : 변복조부14 memory 16 change demodulation unit

20 : 발사부 22 : 발사 제어부20: launch unit 22: launch control unit

24 : 거리 식별 코드 레벨 조정부 24A: 조정기24: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level adjusting unit 24A: adjuster

24B: 거리 식별 코드 레벨 신호 출력부24B: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level signal output

26 : 레이저 구동부 28 : 광원26 laser driver 28 light source

30 : 감지부 40 : 표시부30: detection unit 40: display unit

50 : 송수신부 60 : 통제센터50: transceiver 60: control center

100: 모의 교전 시스템100: simulated engagement system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의 교전 시스템은 상기 모의 교전 시스템의 사정거리 정보를 갖는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하기 위한 발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 수단은 상기 사정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거리 식별 코드 레벨 출력수단;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 레벨을 갖는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하도록 하기 위한 발사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firing means for firing a laser light including a miles code inserted with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the range information of 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The fi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justing means for setting the rang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level output means for converting a value set by the adjustment mea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firing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to determine an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and to emit a laser light including a miles code with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the output lev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을 상기 마일즈 코드의 출력 레벨보다 작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거리 식별 코드를 상기 마일즈 코드에 포함되어 사용되지 않는 샘플링 바이너리에 동기시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ing means sets the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to be smaller than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ing means inserts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n synchronization with a sampling binary not included in the miles c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의 교전 시스템은 중앙 제어부(10), 발사부(20), 감지부(30), 표시부(40) 및 송수신부(50)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부(10)는 모의 교전 시스템(1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12), 메모리(14) 및 변복조부(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imu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controller 10, a launcher 20, a detector 30, a display 40, and a transceiver 50. The central control unit 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each unit of 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100, and includes a microprocessor 12, a memory 14, and 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16.

통제 센터(60)는 송수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중앙 제어부(10)로부터 송수신부(50)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모의 교전 시스템(100)에 의한 교전 상황을 통제하게 된다. 즉, 중앙 제어부(10)는 송수신부(50)에 의해 피폭된 모의 교전 수행자의 PID, 피폭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통제 센터(60)로 전송한다.The control center 60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not shown) to receiv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50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10 to control the situation of engagement by the plurality of simulated engagement system 100. do. That is, the central control unit 10 transmit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PID, exposure time, etc. of the simulated engagement performer expos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0 to the control center 60.

또한, 중앙 제어부(10)는 복수개의 레이저 디텍터(detector)를 구비하는 감지부(30)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에 포함된 코드 정보가 변복조부(16)에 의해 해독되면 이에 의해 피폭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피폭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40)에 의해 피폭 사실을 표시한다. 표시부(40)는 액정디스플레이(LCD), 부저(buzzer),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ser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30 having a plurality of laser detectors is decoded by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16. .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exposed, the display unit 40 displays the fact of exposure. The display unit 4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buzzer,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 combination thereof.

발사부(20)는 중앙 제어부(10)에 의해 레이저광의 발사 여부가 제어되며 이미 피폭된 모의 교전 시스템인 경우에는 중앙 제어부(10)에 의해 발사부(20)로부터의 발사가 승인되지 않는다.The launch unit 20 controls whether to emit the laser light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0, and in the case of a simulated engagement system that has already been exposed, the launch from the launch unit 20 is not approv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0.

도 5는 도 4의 발사부(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unch unit 20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발사부(20)는 발사 제어부(22), 조정기(24A) 및 거리 식별 코드(D-CODE) 레벨 신호 출력부(24B)로 구성된 D-CODE 레벨 조정부(24), 레이저 구동부(26) 및 광원(2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launch unit 20 includes a launch control unit 22, an adjuster 24A,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D-CODE) level signal output unit 24B, and a laser. The driver 26 and the light source 28 are included.

D-CODE 레벨 조정부(24)는 조정기(24A)에서 유효 사정거리를 조정하면 이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D-CODE 레벨 신호 출력부에서 발사 제어부(22)로 전달한다. 조정기(24A)는 유효 사정거리에 관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모의 교전자가 조정기를 조정함으로써 유효 사정거리를 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조정기(24A)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전식 구조를 갖는 조정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조정기(24A)의 구조는 회전식은 물론, 버튼식, 상하 이동식(sliding)식으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K-201 유탄 발사기의 경우 보통 사정거리는 100-350m로 알려져 있으며, 조정기(24A)는 10m 단위로 눈금을 구비하여 교전자가 손잡이를 돌려 10m 단위로 유효 사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When the effective range is adjusted by the adjuster 24A, the D-CODE level adjusting unit 24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CODE level signal outputting unit to the firing control unit 22. The regulator 24A is displayed with a scale for the effective range, so that the simulated engagement can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by adjusting the regulator. FIG. 6: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regulator 24A, and has shown the regulator which has a rotary structu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ructure of the adjuster 24A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well as rotary, button, and sliding. Referring to FIG. 6, the K-201 grenade launcher is generally known to have a range of 100-350m, and the regulator 24A has a scale in 10m units so that the engageer can adjust the effective range in 10m units by turning the knob. have.

조정기(24A)에 의해 유효 사정거리가 결정되고 이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가 거리 식별 코드(D-CODE) 레벨 신호 출력부(24B)에 의해 발사 제어부(22)로 전달되면 발사장치(TRIGGER)로부터의 발사 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발사 신호가 발사 제어부(22)에 인가되면 발사 제어부(22)는 D-CODE 출력 레벨 정보를 레이저 구동회로에 전달하고, 이에 근거하여 레이저 구동회로는 마일즈 코드에 D-CODE를 삽입하여 광원(28)을 통해 레이저 광을 발사하게 된다.When the effective range is determined by the regulator 24A and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launch control unit 22 by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D-CODE) level signal output unit 24B, it is determined from the trigger device TRIGGER. Wait for the firing signal. When the fir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ing control unit 22, the firing control unit 22 transmits the D-CODE output level information to the laser driving circuit. Based on this, the laser driving circuit inserts the D-CODE into the Miles code to generate the light source 28. ) To fire the laser light.

거리 식별 코드(Distance Identification Code : D-CODE)는 마일즈 코드에포함되어 모의 교전 시스템(100)의 유효 사정거리를 나태내기 위해 사용된다. 즉, 레이저는 그 특성상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출력이 감소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피폭자에 부착된 감지기에 도달한 마일즈 코드 및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이 동시에 기준치 이상이거나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피폭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피폭자에 부착된 감지기에 도달한 마일즈 코드의 출력이 기준치 이상이고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피폭된 것으로 감지하게 한다.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D-CODE) is included in the Miles Code and used to represent the effective range of the simulated engagement system 100. In other words, the laser output is reduced as the laser is moved away from the light source. Using this property, if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and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that reached the detector attached to the subject is more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t the same time, it is judged as not being exposed, and the output of the Miles code that reaches the detector attached to the subject If it is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the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cted as being exposed.

도 7은 거리 식별 코드가 마일즈 코드에 삽입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일즈 코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사이에 16개의 샘플링된 BIN들이 나타나고 있다. 샘플링 BIN의 광펄스 출력은 6번째 BIN 및 8번째 BIN에만 나타나고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4번째 BIN에 동기되어 D-CODE가 나타나 있다. 도 7에서 마일즈 코드의 펄스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D-CODE의 펄스는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일즈 코드는 하나의 타임슬롯 사이에 16개의 BIN들을 갖고 이중 1, 6, 8, 10번 BIN에만 펄스가 존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CODE는 16개의 BIN들중 사용되지 않는 BIN들의 위치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비트수는 필요에 의해 하나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또한 D-CODE는 BIN의 위치에 동기되어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BIN들 사이에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즉, D-CODE가 삽입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사전에 미리 정해진 규칙만 있다면 어느 위치에 삽입되더라도 거리 식별 코드를 인지하여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where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inserted into a miles code. Referring to FIG. 7, 16 sampled BINs are shown between one timeslot of the Miles code. The optical pulse output of the sampling BIN appears only in the 6th and 8th BINs, and the D-CODE is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unused 4th BIN. In FIG. 7, the pulse of the Miles code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pulse of the D-CODE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As described above, the Miles code has 16 BINs between one timeslot and a pulse is present only in BINs 1, 6, 8, and 10. The D-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at positions of unused BINs of the 16 BINs, and the number of bits to be inserted can be one or more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D-CODE need not be inser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BIN, and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INs. That is, as long as there is a predetermined rule, the position where the D-CODE is inserted can be recognized and extracted even if it is inserted at any position.

D-CODE의 출력 레벨은 마일즈 코드의 출력 레벨보다 낮게 설정한다. D-CODE의 출력 레벨은 마일즈 코드의 출력 레벨보다 3-20%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또한, D-CODE의 출력은 모사 곡사화기의 유효 사정거리에 따라 그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즉, 모사 곡사화기의 사정거리를 원거리로 하여 모의 교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D-CODE의 출력 레벨을 크게 하고, 사정거리를 근거리로 하여 모의 교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D-CODE의 출력 레벨을 작게 한다. 또한, 같은 사정 거리라 하더라도 모사 곡사화기의 각도에 따라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을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The output level of the D-CODE is set lower than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The output level of the D-CODE is preferably set to 3-20% smaller than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of the output of the D-CODE can als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ffective range of the simulated howitzer. That is, when simulating engagement with the range of the simulated howitzer at a long range, the output level of the D-CODE is increased, and when the simul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e range, the output level of the D-CODE is reduced. Also, even in the same range, the output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simulated howitzer.

도 8은 D-CODE를 포함하는 마일즈 코드가 유효 사정거리와의 관계에 있어서 모의 교전 시스템(100)에 의해 검출되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attern detected by 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100 in relation to the effective range of the miles code including the D-CODE.

감지부(30)에는 레이저 광을 검출할 수 있는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어 기준치 이상의 출력 레벨을 갖는 레이저 광만을 감지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유효 사정거리 이내의 영역 R1에서 마일즈 코드와 D-CODE는 기준치 이상의 출력 레벨을 갖고 있으므로 감지부(30)에 의해 유효한 신호로 인식되게 되며, 이 경우 중앙 제어부(10)에서는 D-CODE가 삽입된 것을 인지하여 피폭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한다.The detection unit 30 has a reference value for detecting the laser light is set so that only the laser light having an output level above the reference value can be detected and detected. Therefore, since the Miles code and the D-CODE have an output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n the area R1 within the effective range shown in FIG. 8, the sensor 30 is recognized as a valid signal.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ler 10 It recognizes that the D-CODE is inserted and treats it as not exposed.

유효 사정거리 영역 R2를 보면, 마일즈 코드와 D-CODE의 출력 레벨은 R1 영역에서의 출력 레벨보다는 감소하지만 마일즈 코드가 기준치 이상이고 D-CODE가 기준치 이하이므로 감지부(30)는 마일즈 코드만을 인식하게 되며 이 경우 중앙 제어부(10)에서는 피폭된 것으로 처리한다.In the effective range region R2,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and the D-CODE is lower than the output level in the R1 area, but since the Miles code is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the D-CODE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detector 30 recognizes only the Miles code.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10 treats it as being exposed.

그리고 유효 사정거리를 초과한 영역 R3에서는 마일즈 코드와 D-CODE의 출력레벨이 R2 영역에서의 출력 레벨보다 감소하는 동시에 두 코드 모두 기준치 이하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감지부(30)는 어떤 코드도 인식하지 못하게 되므로 중앙 제어부(10)에서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게 되어 결국 피폭되지 않은 결과로 된다.In the region R3 exceeding the effective range,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and the D-CODE decreases than the output level in the R2 region, and both codes have a value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refore, since the detection unit 30 does not recognize any code, the central control unit 10 does not perform any processing, resulting in an unexploited resul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의 교전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mulation engagement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사화기 탄도에 의한 피해 반경은 탄도가 떨어진 위치로부터 반경 5m의 범위인 것으로 가정하고 유효 사정거리를 125m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모의 교전자는 곡사화기에 부착된 발사부(20)의 조정기(24A)를 이용하여 유효 사정거리를 125m로 설정한다(S110). 조정기(24A)에 의해 유효 사정거리가 설정이 되면 D-CODE 레벨 신호 출력부(24B)에서는 유효 사정거리를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를 발사 제어부(22)로 전송한다(S120). 발사 제어부(22)는 연동된 발사 장치로부터(trigger) 발사 신호를 수신하면 D-CODE 출력 레벨에 관한 정보와 발사 명령을 레이저 구동부(26)로 전달하게 된다(S130). 레이저 구동부(26)는 발사 제어부(10)에서 전달된 D-CODE 출력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출력 레벨을 갖는 D-CODE를 마일즈 코드에 삽입하여 이러한 코드 정보를 갖는 레이저 광을 광원(28)을 통해 다른 모의 교전 시스템(100)으로 발사한다(S140). 물론, D-CODE의 출력 레벨은 마일즈 코드의 출력보다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adius of damage caused by the howitzer trajectory is assumed to be a radius of 5 m from the position where the trajectory is dropped, and the effective range is 125 m as an example. The mock engager sets the effective range to 125 m using the adjuster 24A of the firing unit 20 attached to the howitzer (S110). When the effective range is set by the adjuster 24A, the D-CODE level signal output unit 24B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capable of recognizing the effective range to the firing control unit 22 (S120). When the launch control unit 22 receives a trigger signal from the linked launch device (trigger), it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D-CODE output level and the launch command to the laser driver 26 (S130). The laser driver 26 inserts a D-CODE having the corresponding output level into the Miles code based on the D-CODE output leve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ing control unit 10 to generate the laser light having the code information to the light source 28. Fire through another simulated engagement system 100 (S140). Of course, the output level of the D-CODE should be set lower than the output of the Miles code.

이상의 과정은 발사측 모의 교전 시스템(100)에서 D-CODE와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above process relates to firing the laser light including the D-CODE and the Miles code in the firing sid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100.

이어서 수신측 모의 교전 시스템(100)에서 상기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피폭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xposure is received by receiving the laser light in the simulation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모의 교전 시스템(100)의 감지부(30)에서 D-CODE와 마일즈 코드가 포함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면,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신호만을 중앙 제어부(10)로 전달하게 된다(S150). 중앙 제어부(10)는 감지부(30)에서 유효한 신호로서 전달된 코드에 D-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0), D-CODE가 포함되어 있다면 피폭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며(S170), D-CODE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다시 마일즈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80). 판단결과 마일즈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면 피폭된 것으로 판정하고(S19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피폭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S170).When the sensing unit 30 of 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100 receives the laser light including the D-CODE and the Miles code, only the signal whose output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 (S150). ). The central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code transmitted as a valid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30 includes the D-CODE (S160), and if the D-CODE is included, determines that it is not exposed (S170). If the D-CODE is not includ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iles code is included again (S18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iles code is included, it is determined that it is exposed (S190), otherwis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exposed (S170).

도 10은 모의 교전 시스템(100)을 착용 또는 부착하고 110m, 125m, 140m에 위치한 교전자의 피폭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사부(20)에서 사정거리가 125m인 레이저 광이 발사되었다고 가정한다. 즉, 모의 교전 시스템(100)의 조정기(24A)에 의해 사정거리를 125m로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발사 제어부(22), 레이저 구동부(26) 및 광원(28)을 통해 사정거리 정보를 갖고 있는 D-CODE와 마일즈 코드가 포함된 레이저 광이 발사되었다고 가정한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hether or not to expose the engagement engages at the 110m, 125m, 140m to wear or attach the simulation system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t is assumed that a laser light having a range of 125 m is emitted from the launch unit 20. That is, the range D is set to 125 m by the adjuster 24A of the simulated engagement system 100 and based on this, the range D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launch control unit 22, the laser driver 26, and the light source 28. Assume that a laser light containing a CODE and a Miles code is emitted.

레이저 광에 포함된 D-CODE와 마일즈 코드는 발사측에서 멀어질수록 그 출력 레벨이 감소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D-CODE는 기준치 이상의 출력 레벨을 유지하다가 120m 이상에서는 출력 레벨이 기준치 이하가 된다. 마일즈 코드는 기준치 이상의 출력 레벨을 유지하다가 130m 이상에서는 출력 레벨이 기준치 이하가 된다. 따라서 D-CODE가 기준치 이하이고 마일즈 코드가 기준치 이상인 구간은 120-130m 구간이므로 이 구간에서 피폭된 것으로 판정된다.The output level of D-CODE and Miles code included in the laser light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ing side. Referring to FIG. 10, while the D-CODE maintains an output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output level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when 120 m or longer. The Miles code maintains an output level above the reference level, but above 130m the output level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refore, the section with the D-CODE below the reference value and the Miles code above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to be exposed in this section because the section is 120-130m.

이상의 모의 교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광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er light used in the abov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should basically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레이저 광의 파장은 상온에서 900±30nm 또는 이와 상호운용이 보장되는 파장으로 하여야 한다.1) The wavelength of the laser light should be 900 ± 30nm at room temperature or a wavelength that guarantees interoperability.

2) 인체에 안전한 레이저를 사용하여 교전자 및 장비에 피해를 끼치지 않고 모의 교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2) The laser which is safe for human body should be used to conduct simulation engagement without damaging the gamers and equipment.

3) 인체 안전도 기준은 레이저 안구 안전 기준규격(ANSI Z136.1-1993)의 MPE(Maximum Permissible Exposure)를 적용한다.3) The human safety standard applies to the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MPE) of the Laser Eye Safety Standard (ANSI Z136.1-1993).

지금까지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와 같은 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과 변경을 포함한다.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o far are intended to clarify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consultation with only such examples. It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의 교전 시스템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광선에 포함되는 마일즈 코드에 그보다 작은 출력을 갖는 D-CODE를 삽입함으로써 D-CODE의 유무에 따라 피폭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피폭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내의 대상물에 대해 피폭 효과를 갖는 실제 곡사화기를 정확히 모사할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 D-CODE having a smaller output into the Miles code included in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be expos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CODE. It is accompanied by the effect of accurately simulating an actual howitzer with an exposure effect on an object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arget.

아울러, 모의 교전 시스템의 사정거리를 D-CODE의 출력값을 조정하여 변경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곡사화기가 사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그대로 모사할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ange of the simulated engagement system by adjusting the output value of the D-CODE, which has the effect of simulating that the actual howitzer can adjust the range.

Claims (18)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 및 수신함으로써 모의 교전을 행하기 위한 모의 교전 시스템에 있어서,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for conducting simulation engagement by firing and receiving a laser light including a miles code, 상기 모의 교전 시스템의 사정거리 정보를 갖는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상기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하기 위한 발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And a firing means for firing a laser light including the miles code into which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range information of the simulated engagement system is inse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The launch means, 상기 사정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조정수단과;Adjusting means for setting the range;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거리 식별 코드 레벨 출력수단; 및Distance identification code level output means for converting a value set by the adjustment mea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 레벨을 갖는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하도록 하기 위한 발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And a firing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to determine an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and to fire a laser light including a miles code with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the output level inserted therei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을 상기 마일즈 코드의 출력 레벨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ing means makes the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smaller than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거리 식별 코드를 상기 마일즈 코드에 포함되어 사용되지 않는 샘플링 바이너리에 동기시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ing means inserts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n synchronization with a sampling binary not included in the miles code.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 및 수신함으로써 모의 교전을 행하기 위한 모의 교전 시스템에 있어서,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for conducting simulation engagement by firing and receiving a laser light including a miles code,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텍터를 구비하여 레이저 광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수단;Sensing means having at least one detector for detecting laser light; 상기 모의 교전 시스템의 사정거리 정보를 갖는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상기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하기 위한 발사수단; 및Firing means for firing laser light including the miles code into which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range information of the simulated engagement system is inserted; And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검출된 레이저 광을 해독하여 피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사수단의 레이저 광의 발사 여부를 허가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deciphering the exposure by reading the laser light detec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permitting the firing of the laser light by the firing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According to claim 5, The launch means, 상기 사정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조정수단과;Adjusting means for setting the range;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거리 식별 코드 레벨 출력수단; 및Distance identification code level output means for converting a value set by the adjustment mea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 레벨을 갖는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광을 발사하도록 하기 위한 발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And a fir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electrical signal to determine an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and to fire a laser beam including a miles code with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the output level inserted therein.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을 상기 마일즈 코드의 출력 레벨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ing means makes the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smaller than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피폭 여부를 포함한 모의 교전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imulation engagement-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here is exposure by a command of the central control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거리 식별 코드를 상기 마일즈 코드에 포함되어 사용되지 않는 샘플링 바이너리에 동기시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6. The mock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ing means inserts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n synchronization with a sampling binary not included in the miles cod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출력을 갖는 거리 식별 코드 및 마일즈 코드만을 검출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ensing unit detects only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miles code having an outpu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ransmits the detected distances to the central control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코드에 거리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피폭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entral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ode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eans is not exposed when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includ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코드에 마일즈 코드가 포함되고 거리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피폭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The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entral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ode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eans is exposed when the Miles code is included and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not included.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 및 수신하기 위한 모의 교전 시스템을 이용한 모의 교전 방법에 있어서,In the simulation engagement method using a simulation engagement system for launching and receiving laser light including a Miles code, (a) 상기 모의 교전 시스템의 사정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a) setting the range of the simulated engagement system; (b) 상기 설정된 사정거리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b)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 range; (c) 상기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마일즈 코드에 포함될 상기 사정 거리 정보를 갖는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c) determining an output level of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the range distance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miles code from the electrical signal; (d) 상기 출력 레벨을 갖는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발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방법.(d) firing laser light comprising a Miles code with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having said output level.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거리 식별 코드의 출력 레벨은 상기 마일즈 코드의 출력 레벨보다 작게 하는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in step (c), the output level of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determined to be smaller than the output level of the miles cod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거리 식별 코드는 상기 마일즈코드에 포함되어 사용되지 않는 샘플링 바이너리에 동기시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방법.The simulation engagement method as claimed in claim 13, wherein in the step (d),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inserted in synchronization with a sampling binary not included in the miles code.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e) 상기 거리 식별 코드가 삽입된 마일즈 코드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수신하는 단계;(e) receiving laser light including a miles code with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nserted therein; (f) 상기 수신한 레이저 광으로부터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출력을 갖는 거리 식별 코드 및 마일즈 코드만을 검출하여 피폭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방법.and (f) detecting only a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and a milestone code having an outpu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rom the received laser ligh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xposure is performe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검출된 코드 신호에 거리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피폭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tep (f)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code signal is not exposed when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include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검출된 코드 신호에 마일즈 코드가 포함되고 거리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피폭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tep (f)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code signal is exposed when the Miles code is included and the distance identification code is not included.
KR10-2001-0057431A 2000-09-18 2001-09-18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KR1005273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673 2000-09-18
KR20000054673 2000-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033A true KR20020022033A (en) 2002-03-23
KR100527337B1 KR100527337B1 (en) 2005-11-09

Family

ID=1968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431A KR100527337B1 (en) 2000-09-18 2001-09-18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27337B1 (en)
AU (1) AU2001290346A1 (en)
WO (1) WO2002023116A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2036A1 (en) * 2006-06-29 2008-01-03 Hanrim Science & Technology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of shooting a grenade launcher
KR100914274B1 (en) * 2007-11-02 2009-08-2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Training simulation system for indirect fire weapon systems
KR100920527B1 (en) * 2007-07-24 2009-10-0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A Guided missile simulation system, and a guided missile simulation apparatus, and sensing apparatus
KR100947589B1 (en) * 2007-10-31 2010-03-1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ecise weapon effect simulation system and man-worn detector
KR101032124B1 (en) * 2010-11-02 2011-05-02 송승준 Installation for measuring range having a function of miles and combat training simulation system therefor
KR101229872B1 (en) * 2010-11-05 2013-02-05 임승찬 Claymore simulator using LED light and a mock battle system using the claymore simulator
KR20200017934A (en)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유토비즈 The combat simulation trainig thereof method using AR VR MR
KR20200017973A (en)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유토비즈 The AR VR MR Combat simulation trainig system using military operation theme cont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18B1 (en) 2013-10-31 2015-02-12 주식회사 테크플렉스 MCC signal decoding method by Time BIN revision
KR101649093B1 (en) * 2016-05-13 2016-08-17 김영준 The laser beam detection signal code converter used in the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874A (en) * 1991-04-18 1993-04-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direct-fire devices with MILES
JPH0712498U (en) * 1993-08-06 1995-02-28 秀治 細江 Endless wire rope processing machine
JP2773615B2 (en) * 1993-12-03 1998-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Shooting simulator
JPH08152297A (en) * 1994-11-29 1996-06-11 Fujitsu Ltd Simulated fighting system
US5690491A (en) * 1996-08-13 1997-1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precision-guided munitions
KR100222236B1 (en) * 1997-04-12 1999-10-01 송진주 Engagement training system using laser light
KR100409211B1 (en) * 2000-04-17 2003-12-11 송진주 Grenade launcher laser engagement simula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2036A1 (en) * 2006-06-29 2008-01-03 Hanrim Science & Technology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of shooting a grenade launcher
KR100920527B1 (en) * 2007-07-24 2009-10-0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A Guided missile simulation system, and a guided missile simulation apparatus, and sensing apparatus
KR100947589B1 (en) * 2007-10-31 2010-03-1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ecise weapon effect simulation system and man-worn detector
KR100914274B1 (en) * 2007-11-02 2009-08-2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Training simulation system for indirect fire weapon systems
KR101032124B1 (en) * 2010-11-02 2011-05-02 송승준 Installation for measuring range having a function of miles and combat training simulation system therefor
KR101229872B1 (en) * 2010-11-05 2013-02-05 임승찬 Claymore simulator using LED light and a mock battle system using the claymore simulator
KR20200017934A (en)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유토비즈 The combat simulation trainig thereof method using AR VR MR
KR20200017973A (en)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유토비즈 The AR VR MR Combat simulation trainig system using military operation theme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337B1 (en) 2005-11-09
WO2002023116A1 (en) 2002-03-21
AU2001290346A1 (en) 200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00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in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US4662845A (en) Target system for laser marksmanship training devices
US79224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training against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EP1007896B1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EP1281038B1 (en) Precision gunnery simulator system and method
US6813593B1 (en) Electro-optical, out-door battle-field simulator based on image processing
US6059573A (en) Mortar training device with functional simulated propelling charges
AU20012978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in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KR1005273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US20030027103A1 (en) Simulated weapon training and senso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4629427A (en) Laser operated small arms transmitter with near field reflection inhibit
NO178651B (en) Optical cartridge
US6139323A (en) Weapon effect simulation method and appliance to perform this method
US20070020585A1 (en) Simulation system
US5808226A (en) Grenade shell laser system
US51998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direct-fire devices with MILES
US20120183929A1 (en) Training device for grenade launchers
US9011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firing a gun
KR100527338B1 (en) Simulated Engagement System and Method Against Tank
KR100409211B1 (en) Grenade launcher laser engagement simulator
KR101229872B1 (en) Claymore simulator using LED light and a mock battle system using the claymore simulator
CA2366526A1 (en) Shooting simulation method
KR1020912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direct-fire devices
EP1102026B1 (en) Electro-optical out-door battle-field simulator based on image processing.
US20060134582A1 (en) Simulation of tracer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