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576A -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576A
KR20020020576A KR1020000053834A KR20000053834A KR20020020576A KR 20020020576 A KR20020020576 A KR 20020020576A KR 1020000053834 A KR1020000053834 A KR 1020000053834A KR 20000053834 A KR20000053834 A KR 20000053834A KR 20020020576 A KR20020020576 A KR 20020020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monitoring device
small
operating state
small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663B1 (ko
Inventor
박찬구
Original Assignee
박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구 filed Critical 박찬구
Priority to KR10-2000-005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6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내에 설치된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알 수 있도록 소형중계기의 연결지점에 감시장치를 적용함으로서, 이동통신 망에서 메인감시장치가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장치에 요청하면 소형중계기의 신호세기, 온도, 전류, 전압을 체크하여 메인감시장치를 통해 표시장치로 출력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을 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망이 형성되어,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들어온 무선통신신호를 중계하는 중형중계기와; 상기 중형중계기의 무선통신신호를 중계받아, 다시 이동통신 가입자로 상기 무선통신신호를 중계하는 소형중계기와; 상기 소형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지하는 감시장치와; 및 상기 감시장치를 통해 상기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가 감지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를 선택하여 운용상태를 파악하는 메인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A Repeater Application Devic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내에 설치된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알 수 있도록 소형중계기의 연결지점에 감시장치를 적용함으로서, 이동통신 망에서 메인감시장치가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장치에 요청하면 소형중계기의 신호세기, 온도, 전류, 전압을 체크하여 메인감시장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망에 사용되는 중계기는 감시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장치로서, 이러한 종래의 중계기는 하나의 중형중계기와 다수개의 소형중계기가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 다수개의 소형중계기의 작동유무와 운용상태를 일일이 관리 및 점검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옥외에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옥외에 사용되는 감시장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며, 주기적으로 중계기의 상태를 무선으로 기지국에 전송해야 되기 때문에 옥내에 소형 중계기를 장착하기에 복잡하고,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옥내에 설치된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알 수 있도록 소형중계기의 연결지점에 감시장치를 적용함으로서, 이동통신 망에서 메인감시장치가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장치에 요청하면 소형중계기의 신호세기, 온도, 전류, 전압을 체크하여 메인감시장치를 통해 표시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을 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망이 형성되어,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들어온 무선통신신호를 중계하는 중형중계기(100)와; 상기 중형중계기(100)의 무선통신신호를 중계받아, 다시 이동통신 가입자로 상기 무선통신신호를 중계하는 소형중계기(200)와; 상기 소형중계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하는 감시장치(300)와; 및 상기 감시장치(300)를 통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가 감지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200)를 선택하여 운용상태를 파악하는 메인감시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시장치(300)는 감지센서를 두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500)와; 상기 센서부(500)로부터 감지된 아날로그 값을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510)와; 상기 A/D 컨버터(51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값을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1 컨트롤러(520)와; 상기 제 1 컨트롤러(5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제 1 동축케이블(10)을 통하여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로 전송하는 제 1 송신부(530)와;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로부터 특정 소형중계기(200)를 선택한 선택신호가, 상기 동축케이블(10)을 통해 상기 제 1 컨트롤러(520)로 전송하는 제 1 수신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500)는 전파세기센서(550), 전류센서(560), 전압센서(570)가 상기 감시장치(300)에 구비되고, 온도센서(580)는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는 상기 감시장치(300)로부터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가 감지된 데이타는 제 1 동축케이블(10)을 통하여 수신하는 제 2 수신부(600)와; 상기 제 2 수신부(600)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장치(630)와;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200)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장치(630)에 선택된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640)와; 상기 입력장치(640)에 의해 입력된 선택신호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로 전송하는 제 2 송신부(610)와; 상기 제 2 수신부(600)와 제 2 송신부(61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감시장치(400)가 상기 감시장치(300)를 통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요청하면, 상기 감시장치(300)에 의해 감지된 데이타를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나의 상기 메인감시장치(400)에 다수개의 상기 소형중계기(200)와 연결되고,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각각의 상기 감시장치(300)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임의의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200)를 메인감시장치(400)의 입력장치(640)에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소형중계기 선택단계(S10)와; 상기 단계의 선택신호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하여 제 1 동축케이블(10)로 전송하는 선택신호 송신단계(S20)와; 상기 단계의 선택신호는 상기 감시장치(300)의 제 1 수신부(540)를 통하여 수신받는 수신단계(S30)와; 상기 단계로부터 수신된 선택신호는 센서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한 데이타는 제 1 송신부(530)를 통하여 제 1 동축케이블(10)로 전송하는 운용상태 감지단계(S40)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상기 메인감시장치(400)의 제 2 수신부(600)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제 2 컨트롤러(620)로 전송하는 데이타 수신단계(S50)와; 및 상기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하여 전송된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표시장치(630)로 출력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동작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500)는 전파세기센서(550), 전류센서(560),전압센서(570)가 상기 감시장치(300)에 구비되고, 온도센서(580)는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감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감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감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운용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동축케이블 20: 컨넥터
30: 제 2 동축케이블 100: 중형중계기
200: 소형중계기 300: 감시장치
400: 메인감시장치 500: 센서부
510: A/D 컨버터 520: 제 1 컨트롤러
530: 제 1 송신부 540: 제 1 수신부
550: 전파세기센서 560: 전류센서
570: 전압센서 580: 온도센서
600: 제 2 수신부 610: 제 2 송신부
620: 제 2 컨트롤러 630: 표시장치
640: 입력장치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설정하여 무선주파수가 양방향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중형중계기(100)는 무선통신신호를 중계받아 다시 이동통신 가입자로 소형중계기(200)를 통해 중계하게 되는데,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감시장치(300)를 연결하여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장치(300)는 전파의 크기를 체크하는 전파세기센서(550), 전류의 량을 체크하는 전류센서(560), 전압의 크기를 체크하는 전압센서(570)를 구비하고, 온도의 크기를 체크하는 온도센서(580)는 소형중계기(2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시장치(300)는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시하여 작동유무의 상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장치(300)에서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에 대한 데이타를 중형중계기(100)와 연결된 메인감시장치(400)로 보내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사전에 소형중계기(200)의 작동유무를 파악하여 양질의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인감시장치(400)는 하나의 메인감지장치(400)에 다수개의 소형중계기(200)와 연결되고,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각각의 감시장치(300)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감시장치(400)가 감시장치(300)를 통해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감시장치(300)에 의해 감지된 데이타는 메인감시장치(400)에 전송하여 표시장치(630)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감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축케이블(10)은 메인감시장치(400)와 감시장치(300)의 사이에 두어 서로 연결하여 상호 데이타를 중계한다. 그리고,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메인감시장치(400)의 입력장치(640)에 운용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소형중계기(200)의 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선택신호는 제 2 컨트롤러(620)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송신부를 통해 제 1 동축케이블(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동축케이블로(10)부터 제 1 수신부(540)에 의해 선택신호를 전송받아 제 1 컨트롤러(520)로 전송되면, 센서부(500)는 전파세기센서(550), 온도센서(580), 전류센서(560), 전압센서(570)를 이용하여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된 아날로그 값은 A/D 컨버터(510)를 이용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값들은 제 1 컨트롤러(520)를 통해 데이터로 생성되면, 제 1 송신부(530)에 의해 제1 동축케이블(10)을 통하여 메인감지장치(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 2 수신부(60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제 2 컨트롤러(620)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장치(630)로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장치(300)의 양측에 컨넥터(20)가 부착되어 제 1 동축케이블(10)과 제 2 동축케이블(30)이 상기 컨넥터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동축케이블(10)은 메인감시장치에 연결되고, 제 2 동축케이블(30)은 소형중계기(200)에 접속되어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한다. 여기서, 감시장치(300)의 내부에는 전파세기센서, 전류센서, 전압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소형중계기에는 온도센서를 설치함으로, 상기 감시장치(300)에 의해 얻어진 운용상태에 대한 데이타는 메인감지장치를 통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운용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200)를 선택하여 메인감시장치(400)의 입력장치(640)에 입력하면(S10),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해 제 1 동축케이블(10)로 전송된다(S20). 그리고, 선택신호가 상기 감시장치(300)의 제 1 수신부(540)를 통하여 수신되면(S30), 센서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이를 감지한 데이타는 제 1 송신부(530)를 통하여 제 1 동축케이블(10)로 전송된다(S40).
이때, 제 1 동축케이블(10)을 통해 메인감시장치(400)의 제 2 수신부(600)로수신된 데이타는 제 2 컨트롤러(620)로 전송하여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장치(630)로 출력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의하면, 옥내에 설치된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알 수 있도록 소형중계기의 연결지점에 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사전에 소형중계기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망에서 메인감시장치가 소형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장치에 요청하면 소형중계기의 신호세기, 온도, 전류, 전압을 체크하여 메인감시장치의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8)

  1.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을 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망이 형성되어,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들어온 무선통신신호를 중계하는 중형중계기(100)와;
    상기 중형중계기(100)의 무선통신신호를 중계받아, 다시 이동통신 가입자로 상기 무선통신신호를 중계하는 소형중계기(200)와;
    상기 소형중계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하는 감시장치(300)와; 및
    상기 감시장치(300)를 통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가 감지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200)를 선택하여 운용상태를 파악하는 메인감시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300)는 감지센서를 두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500)와;
    상기 센서부(500)로부터 감지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510)와;
    상기 A/D 컨버터(51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값을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1 컨트롤러(520)와;
    상기 제 1 컨트롤러(5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제 1 동축케이블(10)을 통하여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로 전송하는 제 1 송신부(530)와;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로부터 특정 소형중계기(200)를 선택한 선택신호가, 상기 동축케이블(10)을 통해 상기 제 1 컨트롤러(520)로 전송하는 제 1 수신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500)는 전파세기센서(550), 전류센서(560), 전압센서(570)가 상기 감시장치(300)에 구비되고, 온도센서(580)는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는 상기 감시장치(300)로부터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가 감지된 데이타는 제 1 동축케이블(10)을 통하여 수신하는 제 2 수신부(600)와;
    상기 제 2 수신부(600)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장치(630)와;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200)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장치(630)에 선택된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640)와;
    상기 입력장치(640)에 의해 입력된 선택신호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하여상기 동축케이블(10)로 전송하는 제 2 송신부(610)와;
    상기 제 2 수신부(600)와 제 2 송신부(61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시장치(400)가 상기 감시장치(300)를 통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요청하면, 상기 감시장치(300)에 의해 감지된 데이타를 상기 메인감시장치(4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메인감시장치(400)에 다수개의 상기 소형중계기(200)와 연결되고,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각각의 상기 감시장치(3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7.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특정한 상기 소형중계기(200)를 메인감시장치(400)의 입력장치(640)에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소형중계기 선택단계(S10)와;
    상기 단계의 선택신호는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하여 제 1 동축케이블(10)로 전송하는 선택신호 송신단계(S20)와;
    상기 단계의 선택신호는 상기 감시장치(300)의 제 1 수신부(540)를 통하여수신받는 수신단계(S30)와;
    상기 단계로부터 수신된 선택신호는 센서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한 데이타는 제 1 송신부(530)를 통하여 제 1 동축케이블(10)로 전송하는 운용상태 감지단계(S40)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상기 메인감시장치(400)의 제 2 수신부(600)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제 2 컨트롤러(620)로 전송하는 데이타 수신단계(S50)와; 및
    상기 제 2 컨트롤러(620)를 통하여 전송된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표시장치(630)로 출력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동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500)는 전파세기센서(550), 전류센서(560), 전압센서(570)가 상기 감시장치(300)에 구비되고, 온도센서(580)는 상기 소형중계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소형중계기(200)의 운용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운용 동작방법.
KR10-2000-0053834A 2000-09-09 2000-09-09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37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834A KR100378663B1 (ko) 2000-09-09 2000-09-09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834A KR100378663B1 (ko) 2000-09-09 2000-09-09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823U Division KR200212993Y1 (ko) 2000-09-09 2000-09-09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576A true KR20020020576A (ko) 2002-03-15
KR100378663B1 KR100378663B1 (ko) 2003-04-08

Family

ID=1968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834A KR100378663B1 (ko) 2000-09-09 2000-09-09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6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8952B2 (ja) * 1996-09-11 2002-1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中継装置およびその保守制御方式
KR100329221B1 (ko) * 1999-01-23 2002-03-21 이상철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0717A (ko) * 1999-03-18 2000-10-16 오태환 무선중계시스템의 rf중계기 작동감시 시스템
KR100328853B1 (ko) * 2000-04-27 2002-03-20 이상철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663B1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424A (en) Cable television transmission control system
EP1598714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8949076B2 (en)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communications networks and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networks
KR100992607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2006333090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212993Y1 (ko)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US9312956B2 (en) Fiber-optic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operating in a normal mode and a power calibration mode,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within the same
KR100378663B1 (ko)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69418A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원력 라디오 유닛 시험 장치 및 방법
KR20030091361A (ko) 중계기 제어 시스템
KR100735471B1 (ko) 중계기 자동 이득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51408A (ko) 중계기의 무선 주파수 신호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5527788B2 (ja) 複数の無線機を搭載する通信端末装置、それにおける無線回路診断方法及びその方法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4021771A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用測定装置
KR20000052140A (ko) 기지국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030022633A (ko) 광중계기의 원격감시장치
KR100439335B1 (ko) 다중 주파수 무선 환경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환경 관리 시스템
JP4367150B2 (ja) 携帯電話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情報取得及び状態制御方法
WO2015156444A1 (ko) 소출력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7777A (ko)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광신호 품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7316B1 (ko) 상향 신호 발생기
JPH11103259A (ja) 無線データ通信装置
JP3614847B2 (ja) 無線端末装置及び試験装置
JP2001112054A (ja) 光伝送装置
KR19990085778A (ko) 씨티-2 무선 송신 전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