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316B1 - 상향 신호 발생기 - Google Patents

상향 신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316B1
KR100947316B1 KR1020080094314A KR20080094314A KR100947316B1 KR 100947316 B1 KR100947316 B1 KR 100947316B1 KR 1020080094314 A KR1020080094314 A KR 1020080094314A KR 20080094314 A KR20080094314 A KR 20080094314A KR 100947316 B1 KR100947316 B1 KR 10094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uplink signal
uplink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희
Original Assignee
최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희 filed Critical 최영희
Priority to KR102008009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TV 선로 또는 인터넷 선로를 설치하거나 이미 설치된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선로의 테스트를 위해 헤드 앤드로 송신되는 상향 신호에 작업자의 고유 정보와 시험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해당 선로의 확인 및 이상 유무를 헤드 앤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향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선 선로의 상향 품질 검사용 상향 신호 발생기로서, 헤드 앤드와 유선 선로를 통해 접속되어, 미리 설정된 고유 아이디 정보와 검사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생성한 상향 신호를 상기 헤드 앤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수의 작업자로부터 헤드 앤드에 검사 신호를 전송하여도 상기 검사 신호에 포함된 고유의 아이디로 인해 어떤 선로에서, 어떤 작업자가 검사 신호를 전송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케이블 TV, 인터넷, 동축 케이블, 상향 신호

Description

상향 신호 발생기{RETURN PATH GENERATOR}
본 발명은 상향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TV 선로 또는 인터넷 선로를 설치하거나 이미 설치된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선로의 테스트를 위해 헤드 앤드로 송신되는 상향 신호에 작업자의 고유 정보와 시험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해당 선로의 확인 및 이상 유무를 헤드 앤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향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TV나 광 선로가 설치되지 않은 인터넷 선로에는 유선 선로로써, 동선(twisted pair) 및 동축선(coaxial cable)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유선 선로를 통해 광대역 데이터와 협대역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광대역 데이터는 주문형 비디오, 케이블 방송과 같은 서비스 데이터들이고, 협대역 데이터는 전화, 인터넷 통신 등을 위해 요구되는 통신 데이터를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TV의 방송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TV의 방송 네트워크는 방송국에 설치된 헤드 앤드(Head End, 10)와, 원격 노드에 해당하는 분배기(20 및 30)와, 단말기(40)로 이루어진다.
헤드 앤드(10)는 각 가입자에게 케이블 TV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TV 송신부(11)와, 각 가입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용 수신부(12)를 포한다.
케이블 TV 송신부(11)에서 출력되는 케이블 TV의 방송 신호는 하향 채널을 구성하는 하향 선로를 통해 분배기(20)로 전송되고, 분배기(20)로 전송된 상기 케이블 TV의 방송 신호는 다시 분기되어 다수의 단말기(40)로 각각 전송된다.
또한, 단말기(40)는 케이블 TV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 TV용 수신부(41)와, 케이블 모뎀 등을 통해 전송되는 협대역의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복조하여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용 송신부(42)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용 송신부(42)에서 출력되는 협대역의 서비스 요청 신호는 분배기(30)와 상향 채널을 구성하는 상향 선로를 통해 헤드 앤드(10)의 데이터 통신용 수신부(12)로 전송된다.
따라서 케이블 방송국과 가입자 사이에 광대역 데이터인 방송 신호의 송수신과, 협대역 데이터인 전화, 인터넷 데이터 신호 등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불편함이 없이 제공받기 위해서는 유선 선로가 반드시 설치되어야만 하고, 이러한 유선 선로에는 주로 동축선(동축케이블)이나 광 섬유를 이용한 광케이블이 사용된다.
또한, 이미 설치된 유선 선로나 새로 설치된 유선 선로는 스팩트럼 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해당 선로의 신호 품질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보수를 수행하므로써, 신호의 품질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한편, 새롭게 설치된 유선 선로나, 이미 설치된 유선 선로의 유지 보수과정을 살펴보면, 유선 선로를 유지 보수하는 작업자가 분배기(20, 30) 또는 단말기(40)에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유선 선로를 통해 헤드 앤드(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품질과, 유선 선로를 통해 헤드 앤드(10)로 전송되는 신호의 품질을 검사하게 된다.
이때 헤드 앤드(10)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신호의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지만, 다수의 작업자로부터 헤드 앤드(10)로 전송되는 검사 신호의 경우 헤드 앤드(1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향 신호의 경우 하나의 헤드 앤드(10)로부터 출력되므로 신호가 어디로부터 출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지만, 상향 신호의 경우 불특정 다수의 작업자로부터 검사 신호가 전송되어 헤드 앤드(10)의 관리자는 어떤 유선 선로를 통해 어떤 작업자로부터 검사 신호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유지 보수 과정에서는 작업자가 검사 신호를 상향 신호로 출력하기 전에 관리자의 확인과정(예를 들면, 전화 통화 등)을 반드시 수행해야만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작업의 효율이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선 선로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스팩트럼 분석기가 사용되고, 상기 스팩트럼 분석기는 가격이 고가이고, 부피가 커서 유선 선로의 유지 보수를 위한 이동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작업자에게는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팩트럼 분석기는 유선 선로의 품질을 측정하는 수단이 아날로그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신호에 대한 품질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TV 선로 또는 인터넷 선로를 설치하거나 이미 설치된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선로의 테스트를 위해 헤드 앤드로 송신되는 상향 신호에 작업자의 고유 정보와 시험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해당 선로의 확인 및 이상 유무를 헤드 앤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향 신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선 선로의 상향 품질 검사용 상향 신호 발생기로서, 헤드 앤드와 유선 선로를 통해 접속되어, 미리 설정된 고유 아이디 정보와 검사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생성한 상향 신호를 상기 헤드 앤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는 사용자로부터 검사 정보를 검출하는 키 입력부; 상기 미리 설정된 고유 아이디 정보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검사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기 위기 위한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상향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고유 아이디 정보와 검사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상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향 신호가 유선 선로를 통해 상기 헤드 앤드 로 전송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헤드 앤드로 전송되는 상향 신호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검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향 신호 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고유 아이디 정보와 검사 정보를 QPSK, QAM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QAM 변조부; 상기 QAM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유선 선로의 채널 대역으로 변환하여 반송 주파수에 상기 변환된 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RF 변환부; 및 상기 RF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낮은 레벨의 신호를 상기 헤드 앤드까지 전송할 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유선 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는 다수의 작업자로부터 헤드 앤드에 검사 신호를 전송하여도 상기 검사 신호에 포함된 고유의 아이디로 인해 어떤 선로에서, 어떤 작업자가 검사 신호를 전송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향 신호에 포함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선로를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검사 신호를 상향 신호로 출력하기 전에 관리자의 확인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 시간이 감소하고, 유지 보수 작업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모뎀 없이 유선 선로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검사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유선 선로 구간별로 장애가 발생한 구간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의 소형화를 통해 작업자의 휴대성 및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의 품질 측정을 디지털 신호로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장애원인의 검출 및 분석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의 신호 발생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100)는 케이블 방송국에 설치된 헤드 앤드(10, 도 1 참조)와 유선 선로를 통해 접속되어, 미리 설정된 고유 아이디(ID) 정보와 검사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생성한 상향 신호를 헤드 앤드(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유선 선로의 상향 품질 검사용 상향 신 호를 발생하는 구성입니다.
이를 위해 상향 신호 발생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검사 정보를 검출하는 키 입력부(110)와, 상향 신호 발생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검사 정보와 고유 아이디 정보를 포함한 상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신호 발생부(130)와, 상향 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상향 신호 발생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 입력부(110)는 작업자로부터 검사 시작/종료, 검사 항목과 관련한 정보, 검사에 설정되는 상향 신호의 출력 세기, 유선 선로의 정보, 작업자가 입력하는 고유 아이디의 수정 정보 등을 포함한 검사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또한, 키 입력부(110)는 버튼 형태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상향 신호 발생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20)의 메모리(미도시)로부터 미리 저장된 고유 아이디 정보를 검출하여 키 입력부(110)로부터 검출된 검사 정보와 함께 신호 발생부(130)에서 디지털 상향 신호가 생성되도록 신호 발생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된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에 의해 신호 발생부(130)에서 생성되는 상향 신호가 표시되도록 표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120)는 작업자가 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는 검사 정보 예를 들면, 검사 항목, 상향 신호의 출력 세기, 유선 선로의 설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신호와 함께, 제어부(12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정보와 상기 검사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상향 신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신호 발생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고유 아이디 정보와 검사 정보를 함께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상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향 신호가 유선 선로를 통해 헤드 앤드(1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신호 발생부(130)는 상기 고유 아이디 정보와 검사 정보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QAM 변조부(131)와, QAM 변조부(1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RF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RF 변환부(132)와, RF 변환부(132)에서 출력되는 낮은 레벨의 신호를 헤드 앤드(10)까지 전송할 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증폭시키는 증폭부(133)를 포함한다.
QAM 변조부(131)는 상기 고유 아이디 정보와 검사 정보를 각 신호마다 90도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QPSK, QAM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 변환부(132)는 유선 선로의 채널 대역으로 변환하여 반송 주파수에 상기 변환된 신호를 포함시켜 전송되도록 한다.
증폭부(133)는 상기 RF 변환부(132)에서 출력되는 낮은 레벨의 신호를 헤드 앤드(10)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올려서 출력한다.
또한, 신호 발생부(1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케이블 TV의 주파수 대역)이 필터링 되도록 하는 밴드 패스 필터와, 일정한 RF 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ALC(Auto Level Control)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 발생부(130)에서 생성되어 헤드 앤드(10)로 출력되는 상향 신호의 검사 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키 입력부(110)를 통해 작업자가 입력하는 검사 정보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바람직하게 액정 화면 표시 장치(LCD)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키 입력부(110)의 터치 스크린이 장착될 수도 있다.
전원부(150)는 상향 신호 발생기(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접속 단자(160)는 상향 신호 발생기(100)가 유선 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향 신호 발생기(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신호 발생부(130)에서 출력되는 RF 신호가 상기 유선 선로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케이블 TV의 유선 선로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유선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 거나, 새로 설치된 유선 선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향 신호 발생기(100)로 전원을 인가한 후 점검 대상 유선 선로의 종단, 예를 들면, 헤드 앤드(10)와 분배기(30, 도 1 참조) 사이에 설치된 유선 선로의 종단부 또는 분배기(30)와 단말기(40) 사이에 설치된 유선 선로의 종단부에 상향 신호 발생기(100)의 접속 단자(16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점검 대상 유선 선로의 정보와, 검사 항목, 신호의 세기 등을 포함한 검사 정보가 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검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고유 아이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검사 정보와 함께 신호 발생부(130)로 제공하고, 신호 발생부(130)에서 상기 입력된 검사 정보와 고유 아이디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신호 발생부(130)는 상기 검사 정보와 고유 아이디 정보를 QPSK, QAM 방식의 신호로 변환한 상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향 신호는 접속 단자(160)를 통해 유선 선로에 제공되고, 상기 상향 신호는 유선 선로를 통해 헤드 앤드(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케이블 TV 선로 또는 인터넷 선로를 설치하거나 이미 설치된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어떤 선로에서 송신된 검사 정보인지, 어떤 작업자가 송신한 검사 정보인지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장애가 발생된 유선 선로 구간의 신속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케이블 TV의 방송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의 신호 발생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신호 발생기를 나타낸 사시도.
(주요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
100: 상향 신호 발생기 110: 키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신호 발생부
131: QAM 변조부 132: RF 변환부
133: 증폭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전원부 160: 접속 단자

Claims (4)

  1. 헤드 앤드로 유선 선로의 상향 품질 검사용 상향 신호를 발생하는 상향 신호 발생기로서,
    사용자로부터 검사 정보를 검출하는 키 입력부;
    미리 설정된 고유 아이디 정보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검사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기 위기 위한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상향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변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상기 검사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상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향 신호가 유선 선로를 통해 상기 헤드 앤드로 전송되도록 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헤드 앤드로 전송되는 상향 신호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검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신호 발생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상기 검사 정보를 QPSK, QAM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QAM 변조부;
    상기 QAM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유선 선로의 채널 대역으로 변환하여 반송 주파수에 상기 변환된 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RF 변환부; 및
    상기 RF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낮은 레벨의 신호를 상기 헤드 앤드까지 전송할 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신호 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유선 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신호 발생기.
KR1020080094314A 2008-09-25 2008-09-25 상향 신호 발생기 KR10094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14A KR100947316B1 (ko) 2008-09-25 2008-09-25 상향 신호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14A KR100947316B1 (ko) 2008-09-25 2008-09-25 상향 신호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316B1 true KR100947316B1 (ko) 2010-03-16

Family

ID=4218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14A KR100947316B1 (ko) 2008-09-25 2008-09-25 상향 신호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3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43A (ko) * 2000-04-14 2000-07-05 이윤희 전송망 케이블 테스터기
KR20020064712A (ko) * 2002-07-02 2002-08-09 (주)에드모텍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계측기
KR20060079281A (ko) * 2004-12-30 2006-07-06 주식회사 뮤텍스 광케이블 선로장애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43A (ko) * 2000-04-14 2000-07-05 이윤희 전송망 케이블 테스터기
KR20020064712A (ko) * 2002-07-02 2002-08-09 (주)에드모텍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계측기
KR20060079281A (ko) * 2004-12-30 2006-07-06 주식회사 뮤텍스 광케이블 선로장애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424A (en) Cable television transmission control system
US20150082363A1 (en) Spectrum Analysis and Plant Diagnostic Tool for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257661A1 (en) Shielding flaw detection and measurement in quadrature amplitude modulated cable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US4408345A (en) Remote lin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for CATV system
US6654958B1 (en) Reference signal generator for return path aligning
KR100947316B1 (ko) 상향 신호 발생기
KR100483483B1 (ko) 에이취에프씨 망 관리 시스템
US9491027B2 (en) Miniature mobile marker system and method
JPH06244799A (ja) 光伝送システム
JP5320158B2 (ja) 再送信システム
US10498440B2 (en) Network test instrument supporting hybrid fiber coax and RF over glass installations and method of using same
US7043165B2 (en) Multi-channel video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receiver
KR100825495B1 (ko) 광 중계기 통화 품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51408A (ko) 중계기의 무선 주파수 신호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261160B1 (ko) Rf 신호 모니터링을 이용한 집합 건물 방송 시스템
KR100697807B1 (ko) 네트워크 자동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000052140A (ko) 기지국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0212993Y1 (ko) 중계기의 운용 감시장치
KR20000018419A (ko) 전력선을 이용한 고주파 신호 전송 장치
KR100844316B1 (ko) Hfc 전송망 감시장치
KR100866594B1 (ko) Hfc 망 멀티 상향 셀 모니터링 장치
KR101048274B1 (ko) Hfc 전송망 접속상태 탐지장치 및 그 방법
JP3322220B2 (ja) 加入者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90087777A (ko)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광신호 품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9335B1 (ko) 다중 주파수 무선 환경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환경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