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971A -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971A
KR20020016971A KR1020000049995A KR20000049995A KR20020016971A KR 20020016971 A KR20020016971 A KR 20020016971A KR 1020000049995 A KR1020000049995 A KR 1020000049995A KR 20000049995 A KR20000049995 A KR 20000049995A KR 20020016971 A KR20020016971 A KR 2002001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website
businessman
commerc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병환
Original Assignee
하병환
(주)소호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병환, (주)소호마트 filed Critical 하병환
Priority to KR102000004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6971A/ko
Publication of KR2002001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971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업을 주체적으로 운용하는 사업자인 '운용사업자(M)'의 메인서버(1), 데이터베이스서버(2), 거래 및 관리 데이터수록의 데이터베이스(3), 관리용의 프로그램(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웹사이트(5), 상기 웹사이트(5)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서버(1), 데이터베이스서버(2), 데이터베이스(3)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서버를 가지는 복수의 분양사업자(D)를 가지고, 상기 분양사업자(D)는 상기 운용사업자(M)의 웹사이트(5)와는 다른 별개의 접속용의 URL 을 가지면서, 상기 별개의 분양사업자(D)의 URL 접속 시에 상기 운용사업자(M)의 웹사이트(5)에 접속하여 거래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분양사업자(D)에게 별개의 도메인을 제공하고 모든 물품의 판매및 거래금액관리 등은 운용사업자가 행함으로서 분양사업자(D)는 별도의 물품구매 등의 활동이 불요하여 용이하게 분양사업을 행할 수 있고 운용사업자(M)는 분양사업자(D)의 주변 인력 또는 친지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다수의 판매사원을 가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으로서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등의 유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Electric commercial technique based on internet}
본 발명은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구동 및 운용되는 전자상거래 새로운 제안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망의 발달과 개별 사용자의 컴퓨터 성능의 개선 및 통신환경의 고속화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종래로 부터 안출되고 제안되어 온 일반화된 전자상거래의 경우,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운용하는 운영자가 판매대상의 상품을 구매하거나 구매 계약하여 웹사이트 상에서 전시, 배열하고, 전시된 상품의 화상과 연동하여 링크되는 페이지에는 간단한 물품의 해설, 기능, 가격 등을 열거하여 판매하는 소위 온보드(on-board) 방식으로서 쇼핑몰을 구성하여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전자상거래는 운용업자에게 막대한 초기 구매자금과 관리 배송, 유통 등의 운영상의 부담을 주게 되어 사실상 단일의 상품을 판매하거나 자사의 상품만을 판매하는 경우가 아니면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입증되어 최근에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형 유통업체나 백화점 등에서의 운용은 구매물품의 관리 및 재고부담으로 인하여 실제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방식이다.
즉, 대부분의 전자상거래 특히 구매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위 " B to C " 방식에서는 운용자인 비지니스측(Business Side)에서 물품의 일괄구매 또는 구매대행을 수행하고 구매자측(Consumer Side)에서는 이러한 물품을 선택 및 결재를 수행함으로서 거래가 이루어 지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중소규모의 기업에서는 독립된 전자상거래 사이트 즉, 쇼핑몰을 운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즘정하고 있으나 이러한 독립된 사이트가 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기와 같다. 즉, 독자적인 서버를 구축하거나 웹호스팅을 통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운용하고자 하지만,
초기의 쇼핑몰의 구축에 따른 하드웨어및 프로그래밍, 웹사이트의 구축 등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단독의 쇼핑몰은 물품구매가를 낮출 수 없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을 가지지 못한다.
또한, 제품배송을 위하여 배송회사와의 관계정립 및 비용분담 등에 따른 많은 관리요소를 가지게 될 뿐만아니라 웹마스터, 프로그래머, 디자이너 등의 인적자원이 지속적인 관리를 위하여 요구되어 운용비가 상당한 부담으로 된다.
상기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특화된 상품으로서 쇼핑몰을 운용하고자 하고 있으나, 관리비용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적인 운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부가하여 개인적으로 사업을 하고 싶은 사람들은 경험부족 등으로서 실제 물품을 구매하고 관리 및 판매하여야 하는 사업을 전개하기 어려워 저렴하고도 안전한 분양사업을 원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단일의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전자상거래의 쇼핑몰로서 운용하면서 많은 수의 물품제조업자 및 판매업자를 입점시키는 소위, "몰 오브 몰 (mall ofmall)" 방식의 것이 개발되어 있지만 이러한 "몰 오브 몰" 방식의 전자상거래 기법이 가지는 한계성은 하기와 같고 실제적으로 활발하게 운용되고 있는 사이트는 수개에 지나지 아니하는 실정이다.
단일의 대표적인 도메인에 들어가 소위 분양방식으로 해당 물품을 진열하게 되므로 백화점식인 입점이 이루어지게 되어 각각의 물품에 대한 특성을 부여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인지도가 낮아 실제적인 매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아니하며,단일 도메인으로 접속되는 웹사이트에서 해당 물품을 발견하기는 용이하지 아니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대형의 웹사이트일수록 더욱 심하다.
더욱 중요한 문제점은 해당 물품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백화점등에서와 같은 오프라인에서처럼 적극적인 해당 물품에 대한 설명과 구매권유를 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매출이 극히 미미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는 실제 오프라인의 쇼핑업체에서 해당 입점업체의 점원 또는 파견사원의 권유 및 상세한 설명으로 발생하는 매출이 대부분임을 감안할 때, 쇼핑몰을 활성화하지 못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상기하는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운용자가 운용하는 웹사이트를 분양사업자가 이를 분양받아 독립된 자기의 도메인 URL 으로서 자기의 사업처럼 운용하게 함으로서 개별 분양사업자의 적극적인 영업능력을 활용하여 매출을 극대화할 수있는 전자상거래 기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상품구매의 전체 플로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2 는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관리자 측에서의 작업플로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3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관리자 측에서의 작업플로우를 도시하는 도 2 의 C 부 연결의 플로우챠트의 일부.
도 4 는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관리자 측에서의 작업플로우를 도시하는 도 2 의 E 부 연결의 플로우챠트의 일부.
도 5 는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관리자 측에서의 작업플로우를 도시하는 도 2 의 D 부 연결의 플로우챠트의 일부.
도 6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전체 업무의 연관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되는 일반적인 하드웨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구성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캡쳐도.
도 9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상품리스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관리자 메뉴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상품등록의 도시하는 캡쳐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관리자 화면의 장부메뉴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분양신청서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에서의 분양사업자의 URL 등록화면을 도시하는 캡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운용사업자
D: 분양사업자
1: 메인서버
2: 데이터베이스서버
3: 데이터베이스
5: 웹사이트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효과 내지 목적은; 상술하는 종래의 전자상거래 기법및 그 기법이 구현된 웹사이트 상의 쇼핑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용자는 다수의 분양사업자를 확보함으로서 매출증대에 따른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있고,
개별 분양사업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널리 알려진 전자상거래 업체에 편승하여 사업을 영위함으로서 수익성을 극대화시킬 수있는 사업모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업을 주체적으로 운용하는 사업자인 '운용사업자'의 메인서버, 데이터베이스서버, 거래 및 관리 데이터수록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용의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웹사이트,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서버, 데이터베이스서버,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서버를 가지는 복수의 분양사업자를 가지고,
상기 분양사업자는 상기 운용사업자의 웹사이트와는 다른 별개의 접속용의 URL 을 가지면서, 상기 별개의 분양사업자의 URL 접속 시에 상기 운용사업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거래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부수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특징은 주된 운용자가 구성한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웹사이트(이하에서 웹사이트라 한다)을 다른 도메인명을 가지는 개인 또는 단체의 분양사업자의 도메인으로 접속하여 사업을 개별적으로 수행하게 하되판매에 따른 데이터관리는 주된 운용자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상품구매의 전체 플로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2 는 관리자 측에서의 작업플로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3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관리자 측에서의 작업플로우를 도시하는 도 2 의 C 부 연결의 플로우챠트의 일부, 도 4 는 도 2 의 E 부 연결의 플로우챠트의 일부, 도 5 는 작업플로우를 도시하는 도 2 의 D 부 연결의 플로우챠트의 일부, 도 6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의 전체 업무의 연관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되는 일반적인 하드웨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구성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이 구현된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캡쳐도,도 9 은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상품리스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0 은 웹사이트의 관리자 메뉴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1 은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상품등록의 도시하는 캡쳐도, 도 12 는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관리자 화면의 장부메뉴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3 은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분양신청서를 도시하는 캡쳐도, 도 14 는 예시적인 웹사이트에서의 분양사업자의 URL 등록화면을 도시하는 캡쳐도이다.
도 6 내지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은 전자상거래를 주체적으로 운용하는 사업자(이하 '운용사업자(M)'라함)가 설치및 구동하는 메인서버(1)의 쇼핑몰을 구성하는 웹사이트(5)는 인터넷(I)을 통하여 다수의 분양사업자서버(10)와 연결된다.
분양사업자서버(10)는 운용사업자(M)의 사업에 참여하는 다수의 하위사업자(리셀러)인 분양사업자(D)이며, 이 분양사업자(D)가 운용하는 개인용컴퓨터(P) 등인 분양사업자서버(10)는 역시 인터넷(I)을 통하여 실제 구매자인 다수의 구매자(C)가 개인용컴퓨터(P) 등을 통하여 접속하여 사업이 운용되는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서버(1)는 데이터베이스서버(2)와 함께 연결, 구동되며 데이터베이스서버(2)는 회원관리, 분양사업자관리, 매출관리, 물품관리 등의 데이터를 수록한 데이터베이스(3)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서버(1)와 데이터베이스서버(2)는 연동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4)에 의하여 웹사이트(5)와 데이터전송을 수행하고, 운용사업자(M)의 웹사이트(3)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하는 분양사업자서버(10)및 최종적인 소비자이며 불특정 다수의 접속자인 구매자(C)와도 인터넷(I)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은 전자상거래가 수행되는 웹사이트(5)를 운용자가 대표적인 URL 로서 구성하여 운용 및 관리하고 이 웹사이트(5)에 다수의 분양사업자가 분양받는 URL, 자신의 고유할당의 URL 로서 주 운용자의 웹사이트(5)로 접속하게 함으로서 분양사업을 할 수있게 된다.
예를 들면 운용자는 ABC 라는 URL로서 전자상거래를 위한 웹사이트(5)를 개설하고 이 ABC 라는 웹사이트에는 다양한 상품 및 물품이 전시되고 판매되는 통상적인 전자상거래의 쇼핑몰을 구성하게 되며,
분양사업자(D) , 예를 들면 123 이라는 URL 을 사용하는 개별사업자가 분양신청을 하게 되면 운용자는 123 이라는 URL 로서 자신의 주 웹사이트(5)와 접속하게 하여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하게 한다.
따라서 운용자의 입장에서는 주변인물이나 친지 등의 다수의 고객을 확보할 수있는 분양사업자를 회원으로서 가입시켜두면 개별적인 광고 및 영업등을 수행하는 분양사업자에 의하여 판매가 급증하게 되고 또한 분양보증금 등의 부수적인 수입을 올릴 수있고,
분양사업자는 자신의 URL 을 구동할 수 있는 개인용컴퓨터(P) 만 있으면 기히 완성되고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전자상거래의 쇼핑몰의 웹사이트(5)을 자신이 소유하게 됨으로서 판매수입을 얻을 수있고 다른 분양사업자를 다시 운용자의 웹사이트(5) 상에서 입점 내지 분양신청하도록 유도하여 장려금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별적인 분양사업자는 영업활동만으로 모든 판매행위가 종결되고 물품의 구매 및 배송관리는 운용자가 수행하게 됨으로서 초도 물품구매에 따른 초기자금의 압박과, 재고부담, 판매공간의 제약 등의 문제점이 일소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작업플로우로서 도 1 의 좌측의 플로우는 운용사업자(M)가 구성하는 웹사이트(5) 상에서 실제로 유발되는 회원가입및 상품선택, 결재플로우이며 이러한 플로우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용의 웹사이트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 1 의 우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분양사업자(D)를 위한 분양코너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운용사업자(M)의 웹사이트(5)에 접속하여분양사업자(D)가 소핑몰을 분양받고자 하면,
웹사이트(5) 상의 분양가이드(100)를 읽어 분양정보를 획득하고,
분양약관의 동의여부를 판단(101)하여,
분양희망자(yes)에게는 분양신청서를 작성(102)하게 하여,
소정의 분양대금의 결재를 요청(103)하여 현금(104) 또는 카드(105)로서의 결재루틴을 거쳐 정상적인 결재시에는 개인쇼핑몰을 분양(106) 함으로서 분양절차는 종료된다.
이러한 분양절차로서 분양사업자(D)에게는 운용사업자(M)가 지정하고 분양사업자를 관리하기에 용이하게 설정된 URL 을 배정하고 이 URL 의 접속시에는 바로 운용사업자(M)의 주된 URL 로 링크되도록 하여 운용사업자(M)의 웹사이트(5)에 접속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당되는 분양사업자(D)의 URL 을 통하여 웹사이트(5)로 접속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의 모든 기록은 웹사이트(5) 운용의 운용사업자(M)의 메인서버(1)및 데이터베이스서버(2)에 의하여 모든 거래 데이터가 기록 및 관리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즉 도 2 내지 5 의 관리자작업흐름도를 보면,
메인화면에서 관리자가 접속자가 접속(200)하여,
관리자메뉴를 선택(201)하게 되고,
주문관리를 선택하거나(300),
장부관리를 선택하며(400) 또는 상품관리(500)를 선택한다.
이 상태에서 본발명의 구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상품관리(500)에서는,
매출집계(501), 배송집계(502), 거래처관리(503), 분양신청서관리(504) 지사입력(505), 회원관리(506) 루트인명확인(507) 등의 선택사항에서 등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별 URL 을 가지는 사이트등록(600)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웹사이트(5)가 구체적으로 구현된 브라우저 상태에서의 캡쳐도이며, 도 9 는 하위사업자인 분양사업자(D)가 등록한 상품들을 리스트 별로 나열한 것이고,
도 10 은 관리자메뉴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 은 분양사업자(D)의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상품등록메뉴, 도 12 는 관리자의 장부메뉴를 도시한다.
도 1 3은 분양사업자(D)가 작성한 분양신청서를 일람하기 위한 메뉴이며 도 14 는 분양사업자(D)에게 분양된 접속용의 URL 을 도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은,
종래와 같이 해당 분양사업자(D)가 물품을 배송 및 판매하는 형태, 또는 분양 운용자의 단일의 웹사이트 만의 운용형태가 아니고, 분양사업자(D)에게 별개의 도메인을 제공하고 모든 물품의 판매및 거래금액관리등은 운용사업자가 행함으로서 분양사업자(D)는 별도의 물품구매 등의 활동이 불요하여 용이하게 분양사업을 행할 수 있고 운용사업자(M)는 분양사업자(D)의 주변 인력 또는 친지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다수의 판매사원을 가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으로서 사업을 활성화할 수있는 등의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1)

  1. 사업을 주체적으로 운용하는 사업자인 '운용사업자(M)'의 메인서버(1), 데이터베이스서버(2), 거래 및 관리 데이터수록의 데이터베이스(3), 관리용의 프로그램(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웹사이트(5),
    상기 웹사이트(5)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서버(1), 데이터베이스서버(2), 데이터베이스(3)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서버를 가지는 복수의 분양사업자(D)를 가지고,
    상기 분양사업자(D)는 상기 운용사업자(M)의 웹사이트(5)와는 다른 별개의 접속용의 URL 을 가지면서, 상기 별개의 분양사업자(D)의 URL 접속 시에 상기 운용사업자(M)의 웹사이트(5)에 접속하여 거래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KR1020000049995A 2000-08-28 2000-08-28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KR20020016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95A KR20020016971A (ko) 2000-08-28 2000-08-28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95A KR20020016971A (ko) 2000-08-28 2000-08-28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71A true KR20020016971A (ko) 2002-03-07

Family

ID=1968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995A KR20020016971A (ko) 2000-08-28 2000-08-28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69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399A (ko) * 2001-09-25 2001-11-09 남궁석 사이버 영업사원을 이용한 상품판매 대행방법
KR101652504B1 (ko) * 2015-10-05 2016-09-09 김미연 통합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3A (ko) * 1999-11-10 2000-02-07 손승현 맞춤형 쇼핑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12648A (ko) * 1999-12-16 2000-03-06 박종구, 송덕호 인터넷망을 이용한 개인용 쇼핑몰 시스템
KR20000049413A (ko) * 2000-02-25 2000-08-05 김장우 인터넷 홈페이지타운 구축방법
KR20000049418A (ko) * 2000-03-02 2000-08-05 김병학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구축 방법 및 구축 시스템
KR20010048943A (ko) * 1999-11-30 2001-06-15 이계철 인터넷 전자상거래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상점호스팅용 서브 주소 자동 생성방법
KR20020005796A (ko) * 2000-07-10 2002-01-18 원영주 대형 쇼핑몰을 이용한 서브 쇼핑몰 구축 운영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3A (ko) * 1999-11-10 2000-02-07 손승현 맞춤형 쇼핑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8943A (ko) * 1999-11-30 2001-06-15 이계철 인터넷 전자상거래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상점호스팅용 서브 주소 자동 생성방법
KR20000012648A (ko) * 1999-12-16 2000-03-06 박종구, 송덕호 인터넷망을 이용한 개인용 쇼핑몰 시스템
KR20000049413A (ko) * 2000-02-25 2000-08-05 김장우 인터넷 홈페이지타운 구축방법
KR20000049418A (ko) * 2000-03-02 2000-08-05 김병학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구축 방법 및 구축 시스템
KR20020005796A (ko) * 2000-07-10 2002-01-18 원영주 대형 쇼핑몰을 이용한 서브 쇼핑몰 구축 운영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399A (ko) * 2001-09-25 2001-11-09 남궁석 사이버 영업사원을 이용한 상품판매 대행방법
KR101652504B1 (ko) * 2015-10-05 2016-09-09 김미연 통합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yer et al. E-services: operating strategy—a case study and a method for analyzing operational benefits
US200201239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eting and communicating in the wine/spirits industry
US20020116281A1 (en) Internet-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reallocating and selling used industrial equipment and machinery
KR20020007318A (ko) 회원자격구입기회를 가질 수 있는 마켓팅시스템 내에서의전자상거래
US20020002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dependent retailer business-to-business market exchange
US20110125611A1 (en) Optimized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US7831468B1 (en) System for customizing benefits for financial customers
US20160034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based marketing channels
KR20000006727A (ko) 동시다중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US20050021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based marketing channels
KR20150010831A (ko) 상품 구매에 대한 이용 후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용 후기 관리 서버, 그 기록매체
KR20150021369A (ko)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Pangaribuan et al. Design of web-based online sales: As an entrepreneurship strategy
KR20020016971A (ko) 온라인 전자상거래기법
US200900769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Worldwide Warehouse via an electronic network
KR20010104102A (ko) 인터넷상에서의 쇼핑몰 시스템 및 쇼핑몰 구축방법
KR20000058714A (ko) 전국적인 프랜차이즈 형태를 취한 전자상거래의 네트워크
KR20000059192A (ko) 네트워크 쇼핑
Al Chen et al. Creating value through e-commerce
KR20090114244A (ko) 몰인몰 방식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회원제 마켓플레이스 구축 및 운영 시스템
KR20000050161A (ko) 통합 브랜드 쇼핑몰 운영 방법
KR20000054633A (ko) 사이버 세일즈 회원을 통한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KR20050083397A (ko) 인터넷 판매대리인을 통한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40021127A (ko) 동일한 상품의 반복 구매에 따라 가격을 할인해 주는 전자상거래 방법
NASSIMA Journal of Economic Papers Volume: 14–Issue: 02 (2023), P: 71-8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