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461A - 외팔보형 구조물 - Google Patents
외팔보형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6461A KR20020016461A KR1020000049765A KR20000049765A KR20020016461A KR 20020016461 A KR20020016461 A KR 20020016461A KR 1020000049765 A KR1020000049765 A KR 1020000049765A KR 20000049765 A KR20000049765 A KR 20000049765A KR 20020016461 A KR20020016461 A KR 200200164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cantilever
- cantilevered structure
- present
- type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선을 이용하여 교량주형 및 교량상판에 의한 휨모멘트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면을 감소시키고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팔보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20)은, 외팔보를 상판(21)과 하판(22) 및 2개의 복부판(23)을 갖는 박스형으로 구성하고, 상판(21)의 근처에는 외팔보의 고정단부에서 자유단부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장력선(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선(24)을 안내하는 다수의 장력선 안내홀더(25)를 갖는다. 이런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20)은 교각기둥(11)에 고정되어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을 지탱하는 보(Beam)로 사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팔보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장력선을 이용하여 사하중및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박스형태의 외팔보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보이듯이, 종래의 합성강교각 시스템은 콘크리트가 충전된 교각기둥(11)과 그렇지 않은 외팔보형 구조물(12)로 구성된 교량하부구조와,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으로 구성된 교량상부구조 구성되어 있다. 외팔보형 구조물(12)은 교각기둥(11)에 고정되어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을 지탱하는 보의 역할을 한다. 이런 외팔보형 구조물(12)는 중공의 박스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으로부터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여 이를 교각기둥(1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교량상판(14)의 폭원이 넓거나 차선수가 많게 되면, 외팔보형 구조물(12)의 길이 및 크기가 커져 육중한 구조가 될 뿐만 아니라 커다란 휨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외팔보형 구조물(12)의 단면이 커지면, 풍하중에 의한 횡방향하중 또한 무시할 수 없게 되어 단면과 자중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외팔보형 구조물(12)은 중공의 박스형태로서 강재의 내력으로만 저항하도록 되어 있어,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의 하중이 커질수록 그에 따른 휨모멘트를 지탱할 수 있도록 그 단면과 자중이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력선을 이용하여 교량주형 및 교량상판에 의한 휨모멘트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면을 감소시키고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팔보형 구조물을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합성강교각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팔보형 구조물이 설치된 합성강교각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팔보형 구조물이 설치된 합성강교각 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각기둥 2: 외팔보형 구조물
3 : 교량주형 4 : 교량상판
20 : 외팔보형 구조물 21 : 상판
22 : 하판 23 : 복부판
24 : 장력선 25 : 장력선 안내홀더
26 : 장력선 고정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은, 외팔보를 상판과 하판 및 2개의 복부판을 갖는 박스형으로 구성하고, 상판의 근처에는 외팔보의 고정단부에서 자유단부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장력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력선을 안내하는 다수의 장력선 안내홀더를 갖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팔보형 구조물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팔보형 구조물이 설치된 합성강교각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팔보형 구조물이 설치된 합성강교각 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20)은 상판(21)과 하판(22) 및 2개의 복부판(23)을 갖는 박스형태로 구성된 외팔보와, 이런 외팔보에 가해지는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에 의한 휨모멘트를 감소시키는 장력선[24 ; 일명, PC 텐던(PC-Tendon)]과, 이런 장력선(24)을 안내하는 장력선 안내홀더(25) 및, 장력선(24)을 고정하는 장력선 고정부(26)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20)은 교각기둥(11)에 고정되어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을 지탱하는 보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박스형 외팔보는 종래에서와 같이 개방된 한 쪽의 면이교각기둥(11)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면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판(21)의 하단에는 장력선(24)을 안내하는 다수의 장력선 안내홀더(2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력선(24)은 한 쪽이 외팔보의 자유단부에 장력선 고정부(2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다수의 장력선 안내홀더(25)를 통과하여 교각기둥(11)에 다른 장력선 고정부(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장력선(24)은 교량주형(13) 및 교량상판(14)에 의한 휨모멘트에 의해 외팔보의 상단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발생시켜 서로 상쇄시킴으로써(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의 원리), 교량상판(13)에 의한 휨모멘트를 감소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20)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의 원리를 도입하여 상판(21)의 하단에 장력선(24)이 위치하도록 양 단부를 외팔보의 자유단부 및 교각기둥(11)에 각각 고정한 것이다. 이렇게 위치하는 장력선(24)은 외팔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강교각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은 장력선을 이용하여 교량주형 및 교량상판에 의한 휨모멘트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면을 감소시키고 내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외팔보형 구조물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 외팔보형 구조물에 있어서,외팔보를 상판과 하판 및 2개의 복부판을 갖는 박스형으로 구성하고,상판의 근처에는 외팔보의 고정단부에서 자유단부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장력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팔보형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선을 안내하는 다수의 장력선 안내홀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팔보형 구조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교각기둥에 고정되어 교량주형 및 교량상판을 지탱하는 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팔보형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9765A KR20020016461A (ko) | 2000-08-25 | 2000-08-25 | 외팔보형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9765A KR20020016461A (ko) | 2000-08-25 | 2000-08-25 | 외팔보형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6461A true KR20020016461A (ko) | 2002-03-04 |
Family
ID=1968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9765A KR20020016461A (ko) | 2000-08-25 | 2000-08-25 | 외팔보형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16461A (ko) |
-
2000
- 2000-08-25 KR KR1020000049765A patent/KR200200164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5633B1 (ko) |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관 트러스 보 | |
US4513465A (en) | Stiffening girder for a stayed cable bridge | |
CN106567320A (zh) | 大跨度斜拉桥的局部重力刚度和辅助斜拉索结构体系 | |
CN105463979B (zh) | 空间三叉张弦梁人行桥 | |
US4866803A (en) | Bridge structure with inclined towers | |
KR200208833Y1 (ko) | 강상판교 복부판 보강재 | |
KR101198911B1 (ko) |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90126493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 |
KR100974306B1 (ko) | 교량용 거더가 매달려 설치되는 지점부 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CN207919315U (zh) | 四线高速铁路钢桁斜拉桥 | |
Podolny Jr et al. | Historical development of cable-stayed bridges | |
CN112726377A (zh) | 一种柔梁密索混合梁矮塔斜拉桥 | |
CN210134326U (zh) | 一种钢壁箱式钢锚梁组合索塔锚固结构 | |
CN211815595U (zh) | 用于索塔的下塔柱拉压结构 | |
KR101029165B1 (ko) | 교량용 하이브리드 거더 | |
KR102009704B1 (ko) | 강재 영구 매립 거푸집이 적용된 상부 플랜지 박스형 복합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
US4589156A (en) | Support structure, particularly for a long span bridge | |
KR20020016461A (ko) | 외팔보형 구조물 | |
KR20050018195A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 |
CN113863114A (zh) | 一种公铁同层非对称布置的斜拉桥 | |
KR102275158B1 (ko) | 강상자형 거더교 | |
CN210507095U (zh) | 一种h型单塔双索面预应力混凝土斜拉桥主梁结构 | |
KR102132338B1 (ko) |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 |
KR20120018562A (ko) | 연속 지점부의 강성이 증대된 교량용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 |
GB2109040A (en) | Cable stayed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