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393A -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393A
KR20020015393A KR1020027001251A KR20027001251A KR20020015393A KR 20020015393 A KR20020015393 A KR 20020015393A KR 1020027001251 A KR1020027001251 A KR 1020027001251A KR 20027001251 A KR20027001251 A KR 20027001251A KR 20020015393 A KR20020015393 A KR 20020015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recording
tim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394B1 (ko
Inventor
지로 기야마
야마구찌다까요시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2001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9/8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13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sector, i.e. the minimal addressable physical data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후기록을 행할 때에는, ECC 블록마다 오류 정정 부호화가 행해지기 때문에, ECC 블록 내의 1 바이트를 재기입하는 경우에도 그 바이트가 포함되는 ECC 블록 전체를 판독하고 기입할 필요가 있다. 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ECC 블록에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던 경우, 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ECC 블록, 즉 데이터의 모두를 재기입할 필요가 있다.
후기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ECC 블록에는 오리지널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후기록 데이터를 재기록할 때에, 불필요한 오리지널 데이터까지도 판독하여 기입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RECORDER}
디스크 미디어를 이용한 비디오나 음성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에 대하여, 테이프 미디어와 같이 애프터 레코딩(음향 편집 기능(audio-dubbing) 이하, 후기록) 기능을 저가로 실현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후기록 기능은, 이미 기록한 오디오나 비디오에 대하여, 나중에 정보, 특히 오디오를 추가 기록하는 기능이다.
디스크 미디어에서 후기록 기능을 실현하고 있는 종래 기술로서, 특개평5-234084호 공보가 있다. 이 기술은, 프로그램 프리젠테이션 기간보다 데이터의 판독 기간이 짧은 것을 이용하여, 현재 프리젠테이션하고 있는 디스크로부터 메모리에 데이터를 판독하고나서 다음 데이터를 판독하기까지 그 사이에 입력된 후기록 음성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입함으로써, 디스크 기록 재생 수단이 하나라도 후기록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프리젠테이션 기간이란, 비디오나 음악등 프로그램 각각이갖는 고유의 재생 기간을 말한다. 예를 들면 1분용 비디오는 재생 수단이 바뀌었다고 해도, 정확하게 재생되기 위해서는 1분간 재생되어야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디스크의 기록 포맷을 도 22에 나타낸다. 디스크는 ECC(에러·컬렉션·코딩) 블록의 열로 구성된다. ECC 블록은 부호화를 행할 때의 최소 단위로서, 데이터 외에 에러 보정용 패러티가 부가되어, 부호화가 행해지고 있다. 데이터를 판독할 때는, 이 단위로 판독하여 오류 정정을 하고나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데이터를 재기입할 때는, 우선 ECC 블록 단위로 판독하고, 오류 정정을 한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한 부분을 재기입하고, 재차 오류 부호를 부여하며, 디스크에 기록을 행한다. 이것은, 1 바이트를 재기입하는 경우라도, 그 바이트가 포함되는 ECC 블록 전체를 판독하여 기입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비디오나 오디오는 ECC 블록 중에서, 도 22(b)와 같이, 후기록 오디오 블록, 오리지널 오디오 블록, 오리지널 비디오 블록의 순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블록에는 거의 동일한 시간에 대응하는 후기록 오디오, 오리지널 오디오, 오리지널 비디오가 포함되어 있다. 또, 오리지널 오디오 블록과 오리지널 비디오 블록을 합해 오리지널 블록이라고 한다. 오리지널 프로그램(후기록 오디오를 기록하기 전의 영상)을 기록할 때는 후기록 오디오 블록에 더미 데이터를 기입해 둔다.
이어서, 종래 기술에서의 후기록 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3을 따라 설명한다. 도면 중, 상단의 그래프는 각 수단과, 그 각 수단과 기록 매체 상의 처리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중단은, 디스크 내에서의 헤드의 위치를, 하단의 그래프는 버퍼 메모리(108)에서 차지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비율을 모식적으로 나타낸것이다.
여기서는 프로그램이, 디스크 내의 s11∼s18의 연속적인 영역에 배치되며, 영역 s11∼s13, s13∼s15, s15∼s17이 각각 ECC 블록에 대응하고, 영역 s11∼s12, s13∼s14, s15∼s16, s17∼s18이 각각 후기록 오디오 블록에 대응하고 있다(s11, s12는 디스크의 위치를 나타냄).
시각 t1의 시점에서 이미 s13까지의 영역이 버퍼 메모리(108)에 저장되어 있고, 영역 s11∼s13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가 디코드되어 프리젠테이션(재생)됨과 함께, 그 데이터에 대한 후기록 음성의 입력, 인코드가 행해지고 있다.
시각 t1∼t3에서, 영역 s13∼s15의 데이터를 디스크로부터 판독하고, 버퍼 메모리(108) 및 후기록 버퍼에의 저장을 행한다. 후기록 버퍼는 판독한 ECC 블록을 그대로 기억하여, 도 22(b)와 동일한 구성을 취한다.
시각 t2는, 시각 t1의 시점에서 행해지고 있던 영역 s11∼s13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의 디코드, 재생이 종료하는 시각이다. 시각 t2 이후에는 시각 t1∼t3에서 판독되는 영역 s13∼s15의 데이터를 디코드, 재생함과 함께, 그 데이터에 대한 후기록 음성의 입력, 인코드가 행해진다. 이 영역 s13∼s15의 데이터의 디코드, 재생은 시각 t5까지 행해진다.
시각 t2까지 입력된 후기록 음성은, 적어도 시각 t3까지 인코드가 종료한다. 시각 t3에서, 시각 t2까지 입력된 후기록 음성을 디스크 매체에 기록한다. 이 때에, s11에 액세스할 때에, 디스크의 회전 대기의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디스크의 기입 및 판독의 시간에 비교하면, 단시간이므로, 여기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후기록 음성의 디스크에 대한 기입은, 시각 t3∼t4에서 행해진다. 이 디스크에 대한 기입이 시각 t4에서 종료하면, 시각 t4로부터 영역 s15∼s17의 데이터를 디스크로부터 판독한다. 이와 같이 이하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정보 압축을 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생 시간보다도 판독 시간이 짧아지는 것을 이용하며, 기록 재생 수단을 기록과 재생으로 시분할하여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기록 재생 수단만으로 후기록을 실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ECC 블록마다 오류 정정 부호화가 행해지기 때문에, ECC 블록 내의 1 바이트를 재기입하는 경우에도, 그 바이트가 포함되는 ECC 블록 전체를 판독하고 기입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과 같이 후기록 오디오 데이터가 ECC 블록에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던 경우, 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ECC 블록, 결국은 모든 데이터를 재기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많은 ECC 블록을 재기입하여 후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입 및 판독 속도가 높은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거나, 기입 및 판독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하게 된다.
기입 및 판독 속도가 높은 디스크 드라이브는 낮은 것에 비하면 고가이다. 또한, 디스크의 회전 수를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도 높아진다. 한편, 만약 속도가 낮은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후기록을 실현하려고 하면, 화질을 떨어뜨려 데이터량을 삭감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ECC 블록 단위로밖에 기록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비교적 낮은 디스크 드라이브라도, 오리지널 비디오와의 시간적 편차없이 또한 화질을 떨어뜨리지않고 후기록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재생하는 처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디스크 내의 데이터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EUS 파일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패킷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E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V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VU Header Packet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후기록 전의 PR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후기록 후의 PR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PRU Header Packet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PRU의 배치에 관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EUS Management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EUSI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Address LUT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Address LUT 내의 PRU Information 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VU Information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오리지널 데이터 기록의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PRU 관리 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PRU 관리 테이블 작성의 흐름도.
도 20은 후기록 시의 헤드의 움직임과 버퍼 메모리(108)에 있어서의 데이터 점유율의 변화의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EU의 도중에서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의 액세스 방법을 나타내는 도.
도 2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디스크 상에서의 기록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 2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후기록 시의 헤드의 움직임과 버퍼 메모리(108)에 있어서의 데이터 점유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후기록 가능한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의 구성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조작부(101), CPU(102), RAM(103), ROM(104), 시스템 클럭(105), 버퍼 메모리(108), 인코더(106), 멀티플렉서(107), 디스크 드라이브(109), 버스(110), 디멀티 플렉서(111), 디코더(112), 디스크(113), ECC 인코더/디코더(114)로 구성된다.
디스크(113)는, 외주로부터 내주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기록 재생이 행해지는 탈착 가능한 광 디스크로 한다. 2048byte를 1 섹터로 하고, 오류 정정을 위해 16 섹터로 ECC 블록을 구성한다. ECC 블록 내의 데이터를 재기입하는 경우, 그 데이터가 포함되는 ECC 블록 전체를 판독하고, 오류 정정을 행하여, 대상의 데이터를 재기입, 다시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고, ECC 블록을 구성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113)의 구성을 도 2에 나타낸다. 디스크 내의 선두에는 파일 시스템 관리 정보가 있으며, 그 나머지가 파일 시스템에 의해 파일 단위로 관리되는 사용자 영역으로 되어 있다. 사용자 영역은 관리 정보 영역과 AV 스트림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관리 정보 영역에는 관리 정보에 관한 파일이 포함되며, AV 스트림 영역에는, EUS(에디터블·유닛·시퀀스) 파일이 있다. EUS 파일은 비디오의 기록을 개시하고나서 종료하기까지의 일련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 스트림 단위의 파일이다. 한편, 관리 정보 영역의 파일에는 EUS 파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EUS Management 파일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 시스템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파일 시스템을 통해 각 파일의 액세스를 행한다. 그 때문에, 도면 내의 EUS 파일#2와 같이 디스크 내에서 분산하여 배치된 파일을, 연속된 논리 어드레스로 액세스할 수 있다. 논리 어드레스에서 액세스할 때의 단위는 섹터 단위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에 직접 관계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어드레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논리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오리지널 비디오는, MPEG-2 부호화에 의해 5Mbps 전후의 가변 레이트로 부호화하고, 오디오는 오리지널, 후기록 모두 48㎑에서 샘플링하고, MPEG-1/LayerII 부호화에 의해 2 채널 256kbps의 고정 레이트로 부호화한다.
EUS 파일은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의 다중화 데이터 스트림의 단위인 EUS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EUS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EUS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에 대하여 이하에 정리한다.
Block : 섹터에 대응한 2048byte의 고정 길이의 단위로서, ISO/IEC 13818-2로 규정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ISO/IEC 13818-3으로 규정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ISO/IEC 13818-1로 규정되는 PES Packet에 패킷화한 것으로 구성됨.
VU(Video Unit) : 재생 시에서의 랜덤 액세스의 단위로서, VU의 선두로부터 액세스하면 EUS의 도중이라도 오디오, 비디오가 정확하게 디코드되는 것이 보증된다. Block으로 구성됨.
PRU(Post Recording Unit) : 복수의 VU에 관련된 포스트 레코딩 데이터(후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Block으로 구성됨.
EU(Editable Unit) : 복수의 VU와 그것에 대응하는 0개 또는 1개의 PRU로 구성된다. 하나의 EU는 디스크 내에서 연속적으로 기록함.
EUS(Editable Unit Sequence) : Rec Start∼Stop 혹은 Pause의 구간에 상당하는 단위로서, 정수개의 EU로 구성된다.
도면 내의 block은, 2048byte의 고정 길이의 단위로서, 1block은 1 섹터에 저장된다. 1개의 block은 원칙적으로 하나의 패킷으로 구성된다. 여기서의 패킷은, ISO/IEC 13818-1로 규정되는 PES packet에 준거한다. 패킷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패킷은, 그 패킷에 관한 속성 등을 저장하는 패킷 헤더와 비디오 데이터 등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패킷 데이터로 구성된다.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주된 정보는 이하와 같다. 또,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명은 < >로 나타낸다.
<packet-start-code-prefix>는 ISO/IEC 13818-1로 규정된 패킷의 개시 코드이다. <stream-id>는 이 패킷의 종류를 나타낸다. <PES-packet-length>는 이 필드 이후의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PES-header-data-length>는 패킷 헤더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PTS(프레젠테이션·타임·스탬프)>는, 다중화한 오디오나 비디오라고 한 엘리먼터리·스트림 사이의 동기 정보이고, 패킷 내에 선두가 포함되는 액세스 유닛(비디오의 경우 1 프레임)이 재생되는 타이밍을 90㎑의 클럭으로 카운트한 값을 33 비트로 나타낸 것이다. <DTS(디코딩·타임·스탬프)>는, 그 패킷 내에 선두가 있는 액세스 유닛이 디코드되는 타이밍을 <PTS>와 동일한 시간 축으로 나타낸 것이다. <stuffing-bytes>는,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만약, 패킷이 2048byte에 미치지 않고, 부족분이 7byte 미만일 때에는 패킷 헤더에 스태핑·바이트를 넣는다. 한편 부족분이 8byte 이상일 때는 부족분에 상당하는 패딩 패킷을 그 패킷 뒤에 둔다. 이 스태핑·바이트, 패딩 패킷은 실제로 처리를 행하지 않는 소위 더미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패킷을 이하에 정리한다.
V-PKT(Video Packet) : ISO/IEC 13818-2로 규정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패킷.
A-PKT(Audio Packet) : ISO/IEC 13818-3으로 규정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패킷.
P-PKT(Padding Packet) : ISO/IEC 13818-1로 규정되는 패딩용 패킷.
VH-PKT(VU Header Packet) : VU에 관한 헤더를 저장한 패킷.
PH-PKT(PRU Header Packet) : PRU에 관한 헤더를 저장한 패킷.
V-PKT, A-PKT 및 P-PKT의 포맷은 ISO/IEC 13818-1의 규정에 준거한다. 그 밖의 패킷의 포맷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또한, EUS를 구성하는 block을 이하에 정리한다.
V-BLK(Video Block) : V-PKT를 저장한 block
A-BLK(Audio Block) : A-PKT를 저장한 block
P-BLK(Padding Block) : P-PKT를 저장한 block
VH-BLK(VU Header Block) : VH-PKT를 저장한 block
PH-BLK(PRU Header Block) : PH-PKT를 저장한 block
우선, EU에 대하여 설명한다. EU의 구조를 도 5에 나타낸다. EU는 하나이상의 정수개의 VU와 0개 또는 1개의 PRU를 포함한다. 1개의 EUS를 구성하는 VU의 프리젠테이션 시간은 동일하게 한다. 즉, 하나의 EUS에서의 VU의 재생 시간은 항상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단, EUS의 최후의 VU는 다른 VU보다 짧아도 된다.
또, VU의 프리젠테이션 시간은, 그 VU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VU에 포함되는 비디오 필드 수 혹은 비디오 프레임 수에 각각 비디오 필드 주기 혹은 비디오 프레임 주기를 곱한 것으로서 정의한다.
1개의 EUS를 구성하는 EU는 모두 PRU를 포함하거나, 모두 PRU를 포함하지 않거나 그 중 하나이다. EU를 구성하는 VU의 개수 Nvu는, EUS 최후의 EU를 제외하고 EUS 내에서는 일정하게 한다. 즉, 하나의 EUS에서, EU의 프리젠테이션 시간 간격은 항상 일정해진다. PRU를 갖지 않은 EUS의 경우, VU를 다수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Nvu=1로 한다. 한편, PRU를 갖는 EUS의 경우, V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을 Tpv, 회전 대기 시간을 Tv, 현재 판독 중인 트랙으로부터 후기록 영역이 있는 트랙으로 점프하는 시간을 Tk,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Rs, EUS 전체의 비트 레이트를 Ro, 후기록 음성의 채널당 비트 레이트를 Ra, 후기록 음성의 채널 수를 Nch로 했을 때,
로 한다. 또, ceiling(x)는 x 이상의 최소의 정수를, floor(x)는 x 이하의 최대의 정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PRU를 갖는 EUS의 경우에 데이터 전송 속도 등에 기초하여 Nvu의 최소값을 설정하는 이유는, EU당 시간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도 23과 같이 순차적으로 후기록을 행할 때, 헤드를 현재의 판독 위치로부터 후기록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오버헤드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며, 데이터의 판독이 표시에 미치지 않게 되어 비디오나 오디오의 재생이 도중에 끊기게 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VU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VU는 sequence-header 및 그것에 계속되는 GOP-header를 직전에 둔 하나 이상의 정수개의 GOP(그룹·오브·픽쳐)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데이터와, 그것과 동기하는 정수개의 AAU(오디오·액세스·유닛)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GOP는 MPEG 비디오 압축의 단위로, 복수의 필드군 혹은 프레임군으로 구성된다. AAU는 오디오 샘플을 0.024초마다 세그먼트화하고, 각각의 세그먼트를 압축한 것이다. GOP, AAU 모두 각각의 단위의 선두로부터 디코드할 필요가 있지만, VU는 각각을 정수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VU 단위로 독립 재생 가능하다. 1 VU당 비디오 필드 수는 NTSC의 경우, 24 필드로부터 60 필드, PAL의 경우에는 20 필드로부터 50 필드의 범위로 한다.
VU는 도 6과 같이, 선두에 VU Header Block(VH-BLK), 이어서 상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A-BLK의 열을 두고, 마지막으로 상술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V-BLK의 열의 순으로 배치한다. A-BLK의 개수는, 상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필요충분한 것으로 한다. 마지막 A-BLK에 나머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P-PKT 혹은 스태핑·바이트로 조정한다. V-BLK도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독립 재생이 가능한 단위인 VU의 집합으로 EU를 구성함으로써, EU 도중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경우의 오버헤드가 작아진다. 전송 속도가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비교하여 여유가 없는 경우, Nvu를 크게, 즉 E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을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 경우에 VU와 같은 단위를 설치하지 않으면, 예를 들면 EU의 종단 부근으로부터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라도, EU의 선두로부터 판독해야하며, 사용자에 대한 응답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VU를 정수개의 block, 즉 섹터로 구성함으로써, 섹터 단위로 액세스가 가능해지고, VU의선두에 대한 액세스가 간략화된다.
VH-PKT의 구조를 도 7에 나타낸다. 도면 내의 BP(바이트·포지션)는 선두로부터의 상대적인 바이트 위치이며, 바이트 수는 각각의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packet-start-code-prefix>, <stream-id>, <PES-packet-length>는 상술된 바와 같다. <VU Property>는 1byte의 비트 필드에서, 이 VU header가 포함되는 VU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 중 하나인 <First VU of EU>는 그 VH-PKT를 포함하는 VU가 EU 내의 선두의 VU이면 1개, 그 외에는 0으로 설정된다. 이 필드는, 후술된 바와 같이, 후기록 시에 동기를 취하는 데 이용한다. <Length of VU>는 이 VU header가 포함되는 VU 내의 block 수를 나타낸다. <Start RLBN of Video Data>는 VU의 선두로부터 비디오 데이터가 시작되기까지의 block 수를 나타낸다.
이어서 PRU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PRU는, 1 이상 정수개의 VU에 대한 오디오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며, 하나의 EU에 0개 혹은 1개 존재한다. PRU의 사이즈는 E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PRU 헤더·블록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정수개의 ECC 블록이다. PRU를 구성하는 ECC 블록의 수 NPRU, ECC는
로서 규정된다. 또, PRU 내에 기록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그 PRU가 포함되는 EU 내의 VU의 오디오와 동일한 데이터 레이트, 동일한 샘플링 주파수에서 기록한다.
오리지널 데이터 기록 직후의 PRU의 구성을 도 8에 나타낸다. 선두에 PRU Header Block(PH-BLK)을 하나 기록하고, 남은 영역을 Padding Block(P-BLK)으로 매립해 둔다. 즉, 오리지널 데이터 기록 직후의 시점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PRU에 오디오를 후기록한 후의 PRU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낸다. 선두에 PRU Header Block(PH-BLK)을 하나 기록하고, 그 후에는 그 EU에 동기한 오디오 데이터를 A-BLK의 열로서 기록하고, 남은 영역을 P-BLK로 매립해 둔다. 이 때, PRU 내의 A-BLK는 동일한 EU 내의 각각의 VU에 포함되는 A-BLK 수의 합계와 동일한 수로 한다. 또한, PRU 내의 각각의 A-BLK가 갖는 PTS의 값이 동일한 EU 내의 각각의 VU에 포함되는 A-BLK의 PTS와 동일한 순서로 또한, 동일한 값을 취하도록, 포스트 레코딩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후기록 후 PRU 중에는 각 VU에 포함되는 A-BLK의 열에 대응하는 A-BLK의 열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VU에 대응한 PRU 내의 A-BLK의 열을 SAU(서브·오디오·유닛)라고 하기로 한다. 또, 당연한 것이지만 SAU에는 VU와 동일한 정수개의 AAU가 포함되게 된다.
PH-PKT의 구조를 도 10에 나타낸다. <packet-start-code-prefix>, <s tream-id>, <PES-packet-length>에 대해서는 VU 헤더·패킷과 마찬가지이다. <Length of PRU>는 이 PH-PKT가 포함되는 PRU를 구성하는 block 수를 기술한다. <Number of VU>는 이 PH-BLK가 포함되는 EU를 구성하는 VU의 수를 나타낸다. <Start RLBN of Data for VU>는, 각 SAU의 PRU의 선두로부터의 block 수를 나타낸다.
상기된 바와 같이, PRU를 정수개의 Block, 즉 섹터로 구성되는 정수개의 AAU를 포함하는 단위(SAU)의 집합으로 함으로써, PRU를 버퍼 메모리(108)에 판독한 후, 그 중 후기록 데이터를 SAU 단위로 부분적으로 재기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왜냐하면, 각 SAU에 포함되는 AAU는 다른 SAU 내의 AAU와는 독립된 패킷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SAU 단위로 재기입하는 것이면, 그 밖의 SAU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구성을 취하지 않으면, 하나의 패킷에, 상이한 SAU에 포함되는 AAU가 존재하게 되며, 이미 후기록이 완료된 PRU에 대하여 도중에 후기록을 행할 때에, 패킷을 풀어 AAU의 선두를 찾고, 데이터를 재기입하여 재차 패킷화한다고 하는 수순을 밟아야하므로, 처리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SAU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스트림 내에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PRU를 SAU 단위로 재기록하는 경우에, 어느 위치로부터 재기록을 개시하면 될지 바로 알 수 있다.
또한, PRU 내의 데이터를 VU 내의 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로 해 둠으로써, 예를 들면 PRU 내의 오디오 데이터를 VU 중에 부분적으로 복사하는 등, PRU와 VU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EU 중에서의 PRU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PRU는, 그것이 포함되는 EU 선두의 15 섹터 이내의 ECC 경계, 즉 EU 내에 처음 나타나는 ECC 경계에 둔다. 예를 들면, 임의의 EU의 선두가 ECC 블록 경계인 경우, 도 11(a)와 같이 그 EU의 선두 직후에 PRU를 배치한다. 또한, EU의 선두가 ECC 블록 경계가 아닌 경우에는, (b)와 같이 EU의 경계 직후부터 15 논리 블록 이내의 ECC 블록 경계, 즉 EU 내에 처음 나타나는 ECC 블록 경계에 배치한다. 이 경우, EU 내의 선두의 VU는 PRU에 의해 분단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PRU의 사이즈를 ECC 블록 사이즈의 정수배로 하고, 게다가 PRU를 ECC 블록 경계에 배치함으로써, 후기록 시에는 기록 매체 상에서 재기입하는 데이터는 PRU만 되고, 재기입을 행하는 영역이 최소한으로 완료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PRU가 EU의 선두 부근에 있는 이유는, 어떤 EU를 재생하는 경우에 PRU 전체와 하나의 VU를 판독한 시점에서 VU와 PRU의 동기 재생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PRU가 EU의 종단 부근에 있던 경우, 그 EU의 대부분의 데이터를 판독이 끝날 때까지 프로그램의 재생을 할 수 없으며, 또한 대부분의 EU 전체를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가 필요해진다.
EUS Management 파일의 구조를 도 12에 나타낸다. EUS Management 파일은 디스크 내에 기록된 모든 EUS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 필수 항목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필드<Number of EUSI>는 이 파일에서 관리하는 EUS 파일의 개수를 나타낸다. 필드<EUSI(EUS Information)>는 각 EUS 파일에 관한 정보이며, <Number of EUSI> 개수만큼 존재한다. <EUSI>는 또한 도 13과 같이 구성된다. 도면 내의 <Start PT> 및 <End PT>는, 이 <EUSI>가 관리하는 EUS 파일 내의 개시 PTS 및 종료 PTS의 최상위 비트를 생략한 것이다. 또, 이후 이와 같이 PTS의 최상위 비트를 생략한형식을 PT 포맷이라고 하기로 한다. <Post Recording Unit Size>는 이 <EUSI>가 관리하는 EUS 파일 내의 PRU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Address LUT(룩업·테이블)는 PT 포맷으로 기술된 타임 코드로부터 그 타임 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검색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Address LUT의 구성을 도 14에 나타낸다.
필드<PB Time of EU>는 E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을 1/90000[초] 단위로 나타낸 것으로, PT 포맷과 동일한 스케일로 되어 있다. <PB Time of VU>도, 마찬가지로 V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을 1/90000[초]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Number of PRU Information>은 Address LUT 내의 <PRU Information>의 수임과 동시에, EUS 내의 PRU의 개수도 나타낸다. <Number of VU Information>도 마찬가지로 Address LUT 내의 <VU Information>의 수 및 EUS 내의 VU 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PRU Information>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면 중 <RLBN of PRU>는 그 <PRU Information>이 관리하는 PRU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도 16은, <VU Information>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면 중 <RLBN of VU>는 그 <VU Information>가 관리하는 VU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Address LUT를 이용하여, 임의의 타임 코드 PT에 대응하는 PRU의 어드레스를 구하는 수순을 하기에 나타낸다. 우선, PT로부터 <EUSI> 내의 <Start PT>를 뺌으로써 상대 PT를 구하고, 이어서 상대 PT를 <PB Time of EU>로 나누어, 소수부를 잘라 버림으로써, 그 PT에 대응하는 PRU를 관리하는 <PRU Information>의 인덱스가 구해진다. 이어서, 그 인덱스에 대응하는 <PRU Information>내의 <RLBN of PRU>에서 제공되는 어드레스가, 목적으로 하는 PT에 대응하는 PRU의 어드레스이다. 시각 PT에 대응하는 VU의 어드레스도 마찬가지로, PT로부터 <Start PT>를 뺀 것을 <PB Time of VU>로 나누고, 소수부를 잘라 버린 값에 대응하는 인덱스의 <VU Information> 내의 <RLBN of VU>를 참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처리로 VU나 PRU의 선두 어드레스가 얻어지는 것은 EU 및 V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을 일정하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디스크 포맷으로 기록, 재생 및 후기록을 행할 때의 수순을 이하에 나타낸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비디오는 NTSC로 기록하고, VU를 30 필드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GOP로 구성하며, 비디오 최대 비트 레이트를 8[Mbps]로 한다. 디스크 전송 레이트 Rs는 12[Mbps], 후기록 영역에 대한 최대 점프 시간 Tk를 0.3[초], 최대 회전 대기 시간 Tv를 0.2[초]로 한다. 또한, 오디오 비트 레이트 및 오디오 채널 수를 각각 0.125[Mbps/채널], 2[채널]로 하고, 오리지널 및 후기록에서 공통으로 이용하기로 한다. 이 때, V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 Tpv는 약 0.5초가 된다. 또한, 후기록이 가능한 EU당 VU 수 Nvu의 범위는 7≤Nvu≤20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Nvu=8, 즉 EU당 프리젠테이션 시간은 약 4초가 된다.
오리지널 프로그램 기록 시의 CPU(102)의 처리의 흐름을 도 17에 따라 설명한다. 이미, 디스크로부터 EUS Management 파일이나 파일 시스템 관리 정보가 RAM(103)에 판독되는 것으로 한다. CPU(102)는 인코더(106)를 기동하고(단계 1), 이어서 파일 시스템 관리 정보를 기초로 1EU분의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충분한 연속 영역이 디스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2). 만약, 없으면 녹화를 정지한다(단계 12).
만약 충분한 영역이 있으면, 기록 대상의 VU가 EU 내의 몇번째의 VU인지를 나타내는 변수 i를 0으로 리세트하고, 빈 영역 선두 어드레스를 변수 addr에 기억시킨다(단계 3). 이어서, 멀티플렉서(107)로부터 1VU 분의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108)에 버퍼링된 것의 통지를 대기한다(단계 4). 멀티플렉서(107)로부터 통지가 오면, 변수 i가 0일 때는(단계 5), 변수 addr이 ECC 블록 경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9), 만약 ECC 블록 경계가 아니면, 다음 ECC 블록 경계까지 버퍼 메모리(108) 내의 VU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한다(단계 10). 이어서, PH-PKT 및 P-PKT에서 PRU를 RAM(103) 내에 구성하고, 그것을 디스크에 기록한다(단계 11). 이어서, 버퍼 메모리(108) 내의 선두의 VU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한다(단계 6). 기록이 끝나면 변수 i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7). 변수 i가 EU 내의 VU 수를 나타내는 변수 Nvu보다 작으면 단계 4로 점프하고(단계 8), 동일해지면 단계 2로 점프한다. 이상의 처리를, 조작부(101)로부터 정지 지령이 오거나, 디스크 내에 충분한 연속 영역이 없어질 때까지 EU 단위로 행한다.
이상의 CPU(102)의 처리와 병행하여, 멀티플렉서(107)는 오디오, 비디오 각각의 인코더(106)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PTS 등을 부여하고 패킷화하여 버퍼 메모리(108)에 축적해 간다. 1GOP 분의 V-PKT와 그것에 동기하는 A-PKT가 버퍼 메모리(108)에 축적되면 CPU(102)에 VU 분의 데이터를 버퍼링한 것을 통지한다.
이상의 수순으로 기록을 행한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재생 시에 사용자로부터 후기록 개시의 지시가 제공된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이미, 디스크로부터 EUS Management 파일 및 파일 시스템 관리 정보가 RAM(103)에 판독되는 것으로 한다. CPU(102)는 디코더(112)를 기동하고, 파일 시스템 관리 정보를 기초하여 지정된 EUS 파일을 선두로부터 판독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109)에 지령을 내린다. 디스크 드라이브(109)는 ECC 디코더(112)를 경유하여 디멀티 플렉서(111)에 판독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멀티 플렉서(111)는 버퍼 메모리(108)에 데이터를 축적해 간다. 디코더(112)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멀티 플렉서(111)에 요구하고, 디멀티플렉서(111)는 그 요구에 따라 버퍼 메모리(108)에 축적한 데이터를, 패킷 헤더 내의 <stream-id>에 기초하여 적절한 디코더(112)로 전송한다. 디코더(112)는 디멀티 플렉서(111)로부터 충분한 데이터를 수취하여 비디오나 오디오를 출력 가능하게 된 시점에서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PTS에서 시스템 클럭(105)을 초기화하고, 이후에는 시스템 클럭(105)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의 동기를 취한다.
디멀티 플렉서(111)는 사용자로부터 후기록이 지시되었을 때를 위해 현재 재생 중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PRU와, 그 다음에 재생하는 EU에 대응하는 PRU의 합계 2개의 PRU를 항상 버퍼 메모리(108) 내에 보유한다. 또한, 이들 PRU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PRU 관리 테이블)을 RAM(103) 내에 작성한다.
PRU 관리 테이블의 구성을 도 18에 나타낸다. PRU 관리 테이블은 2개의 테이블, SAU 개시 PTS(SAU-PTS[j][i])와 SAU 개시 어드레스(RLBN[j][i])로 구성된다. SAU-PTS[j][i]는 2차원의 배열이고, 1번째의 인덱스가 버퍼 메모리(108) 내의 PRU의 번호, 2번째의 인덱스가 PRU 내의 SAU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두개의 인덱스에서 SAU 선두의 PTS를 얻을 수 있다. RLBN[j][i]도 동일한 구조를 갖고, PRU의 번호와 PRU 내의 SAU의 번호를 인덱스로 하며, 그 PRU의 선두를 기준으로 한 SAU의 상대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다. 이 두개의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임의의 PTS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108) 내의 임의의 SAU에 기록하면 될지 알 수 있다.
이상의 재생 처리를 한창 행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로부터 조작부(101)를 통하여 후기록을 행하는 지시가 있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CPU(102)가 오디오의 인코더(106)를 기동한다. 디멀티플렉서(111)는 시스템 클럭(105)으로부터 후기록이 개시된 시점의 타임 스탬프(후기록 개시 PTS)를 얻어, 상술된 SAU-PTS[j][i] 중에서, 후기록 개시 PTS를 넘지 않은 최대의 PTS를 갖는 인덱스를 검색한다. 검색의 결과 얻어진 PRU 번호 n, SAU 번호 m을 디멀티플렉서(111)는 후기록 개시 PTS와 함께 멀티플렉서(107)에 통지한다. 멀티플렉서(107)는 인코더(106)로부터 제공되는 AAU를 버퍼 메모리(108) 내의 n 번째의 PRU의 RLBN[n][m]의 위치로부터 기억해 간다. 기록을 개시하는 SAU의 선두 PTS와 후기록 개시 PTS의 차에 따라 패킷화 전에 멀티플렉서(107)는 오디오인코더(106)로부터 제공되는 AAU 앞에, 무음의 AAU를 차에 상당하는 만큼 삽입하여 타이밍을 조정한다.
사용자로부터 후기록이 지시된 시점의 시스템 클럭(105)의 값, 즉 후기록 개시 PTS가 228228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SAU-PTS[i][j] 중에서 후기록 개시 PTS를 넘지 않은 최대의 SAU 개시 PTS를 갖는 SAU 번호, PRU 번호의 조를 검색한다. 도 18의 경우, PRU 번호=O, SAU 번호=5가 된다. 이어서 그 번호에 대응하는 RLBN[0][5]의 값을 본다. 그 결과, SAU#5의 어드레스(41)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버퍼 메모리(108) 내의 PRU#0의 선두로부터 제41 block째에 존재하는 SAU#5로부터 후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후기록 데이터를 저장 중 PRU의 인덱스를 n으로 했을 때, 그 PRU의 최후까지 데이터를 저장한 시점에서, i=0으로부터 7까지의 RLBN[n][i]의 값을 현재의 PRU 내의 PH-PKT의 필드<Start RLBN of Data for VU>에 순서대로 저장하고, PRU의 최후까지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CPU(102)에 통지한다. 그 때, SAU-PTS[n][O], 즉 그 PRU를 포함하는 EU의 선두 PTS도 알린다. 한편, CPU(102)는 상기된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재생을 행하면서, 멀티플렉서(107)로부터의 통지가 있으면, 그 때에 얻어지는 EU의 선두 PTS를 기초로, Address LUT를 참조하여, 그 후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디스크(113) 위의 PRU의 어드레스를 구하고, 디스크 드라이브(109)에, 버퍼 메모리(108) 내의 n 번째의 PRU를 상기 어드레스에 기록하도록 지령을 내린다. 이후에는, 버퍼 메모리(108) 내의 PRU에 입력되는 후기록 데이터를 교대로 저장하게 된다.
PRU 관리 테이블의 작성 수순을 도 19에 나타낸다. 기본적인 사고 방식은, 각 VU 에 포함되는 A-BLK의 개수를 VH-PKT 내의 <Start RLBN of Video>로부터 구하여, 그 개수가 SAU에 포함되는 A-BLK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여, SAU 선두 어드레스 테이블을 구축하고, 동시에 VU 내의 처음 A-PKT의 PTS를 추출하고, SAU 선두 PTS 테이블을 구축하는 것에 있다.
우선, VH-PKT의 직후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인 VH-flg를 리세트하고, 버퍼메모리(108) 내의 PRU 번호를 가리키는 인덱스인 j를 1로 세트한다(단계 21). 디멀티플렉서(111)에 도착한 패킷이 VH-PKT인 경우(단계 22), 단계 23으로 점프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27로 점프한다.
패킷이 VH-PKT인 경우, VH-PKT 내의 <First VU of EU> 필드가 1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고(단계 23), 1이면, 그 이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현재의 PRU로부터 다른 한쪽의 PRU로 변경하기 때문에, j를 인크리먼트한다. 동시에, RLBN[j][0]에 1을 세트한다. 또한, 임시 변수 tmp에 현재의 VH-PKT 내의 <Start RLBN of Video> 필드의 값을 세트하고, i에 0을 세트한다(단계 24). 만약, <First VU of EU> 필드가 0이면, RLBN[j][i]에 임시 변수 tmp를 세트하고, 또한 tmp에 현재의 VH-PKT 내의 <Start RLBN of Video> 필드의 값으로부터 1을 뺀 것을 더한다(단계 26). 여기서 1을 빼는 것은, VU 내의 A-BLK의 개수에 VH-BLK의 개수 1을 더한 값인 <Start RLBN of Video>로부터, 여기서 필요해지는 VU 내의 A-BLK의 개수를 구하기 위해, VH-BLK 만큼을 빼는 것을 의미한다. <First VU of EU> 필드가 어떤 경우든 다음에 VH-flg에 1을 세트하고, i 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25).
단계 27에서는, 디멀티 플렉서(111)에 도착한 패킷이 A-PKT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A-PKT 이면 단계 28로 점프하고, A-PKT가 아니면 단계 22로 점프한다. 단계 28에서는 변수 VH-flg를 검사하고, VH-flg가 1 이면, 그 패킷의 패킷 헤더 내의 PTS를 SAU-PTS[j][i]로 세트하고, VH-flg를 0으로 리세트한다(단계 29).
이상의 처리를 block 마다 행함으로써, EU를 모두 판독한 시점에서, 그 EU 내의 PRU 에 대한 PRU 관리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이상의 후기록 시의 디스크 내의 헤드 위치와 버퍼 메모리(108) 중에서 차지하는 오리지널 데이터량의 시간적 변화에 대하여 도 20에 따라 설명한다. 여기서는 프로그램이, 디스크 내의 s11∼s18의 연속적인 영역에 배치되며, 영역 s11∼s13, s13∼s15, s15∼s17이 각각 EU에 대응하며, 영역 s11∼s12, s13∼s14, s15∼s16, s17∼s18이 각각 PRU에 대응한다.
시각 t1의 시점에서는, 이미 s13까지의 영역을 모두 버퍼 메모리(108)에 판독하고, 영역 s11∼s13의 비디오의 프리젠테이션 및 그것을 보면서 후기록 오디오의 입력을 행한다. 입력된 후기록 오디오는 버퍼 메모리(108) 내의 한쪽의 PRU(PRU#0)에 저장된다.
시각 t1∼t3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브(109)가 영역 s13∼s15를 판독한다. 시각 t2는 시각 t1까지 판독된 영역 s12∼s13의 VU가 비디오 재생을 위해 다 써버린 시간에 대응한다.
시각 t3은, 영역 s12∼s13의 VU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고 입력된 후기록 오디오의 인코딩이 종료하는 시각에 상당한다. 이 시점에서, PRU#0의 최후까지 데이터가 기록되며, 멀티플렉서(107)는 그 PRU의 선두 PTS를 CPU(102)에 통지하고, 후기록 오디오의 저장처를 다른 한쪽의 PRU(PRU#1)로 전환한다.
여기서는, 시각 t3에서 디스크로부터의 판독과, 후기록 오디오의 인코딩이 동시에 종료하도록 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시에 행할 필요는 없다.
CPU(102)는 멀티플렉서(107)로부터 전송된 선두 PTS로부터 PRU#0의 내용을 기록해야 할 어드레스, 즉 영역 s11∼s12의 어드레스를 구하고, 시각 t3∼t4에서PRU# 0의 내용을 디스크(113)에 기록한다.
시각 t5에서는 다음 영역 s15∼s17의 판독을 행한다. 이 타이밍은 시각 t4에서 기입 종료 후라면 상관없으며, 버퍼 메모리(108)가 오버 플로우를 일으키지 않고, 또한 버퍼 메모리(108)의 데이터가 모두 없어지지 않는(언더 플로우) 타이밍(t4∼t6의 사이)에서 판독을 개시하면 된다. 이하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기록 데이터의 기입에서의 시간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도 20에서의 시각 t4∼t5 사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디스크의 판독 시간에 대한 프리젠테이션 시간이 짧은 경우(단위 시간 중에 많은 정보량을 할당한 경우나 디스크의 판독 전송 레이트가 낮은 경우)라도, 비디오나 오디오가 도중에 끊기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H-PKT 내의 필드<Start RLBN of Data for VU>를 후기록 시에 기록하고 있지만, 고정된 값이기 때문에 오리지널 데이터 기록 시에 사전에 기록해도 된다. 또한, PH-PKT 내에 각 SAU의 선두 PTS를 기록하는 필드를 추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오리지널 데이터 기록 시에 사전에 그 필드에 값을 기록해 둠으로써, 후기록시에는 PH-PKT를 판독할 뿐으로, PRU 관리 테이블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도 19의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EU의 선두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VH-PKT 내의 <First VU of EU> 필드를 이용했지만, EU의 경계를 나타내는 패킷을 EU의 선두에 삽입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SAU와 VU의 프리젠테이션 시간을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그것은 필수는 아니다. 특히, SAU의 프리젠테이션 시간을 VU보다 짧게, 예를 들면 반이나 1/4로 함으로써, 후기록 개시 종료 시간을 보다 미세한 정밀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후기록 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EUS의 도중에서 후기록을 개시한 경우, 최악의 경우 후기록 구간 전후의 각각 1SAU 분(=1VU 분) 가까이 기록이 완료된 후기록 데이터를 무음으로 덮어쓰기를 하게 된다. 그러나, SAU를 VU보다 시간적으로 짧게 하면, 무음으로 덮어쓰기하는 범위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수순으로 후기록을 행한 프로그램을 도중에 재생하는 경우의 수순을 설명한다. 이미, 디스크로부터 파일 시스템 관리 정보 및 EUS Management 파일이 RAM(103)에 판독되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에게 지정된 프로그램과 타이밍으로부터 CPU(102)는, 대응하는 EUS 파일과 PTS(재생 개시 PTS)를 구하며, 그 값을 디멀티플렉서(111)와 디코더(112)로 전송한다. 이어서, Address LUT를 이용하여, 재생 개시 PTS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VU의 선두 어드레스(VU 선두 어드레스)와 PRU의 선두 어드레스(PRU 선두 어드레스)를 계산한다.
이 때, 도 21(a)와 같이 PRU와 VU의 어드레스의 차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VU와 PRU의 어드레스 내의 작은 어드레스로부터 판독을 시작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109)에 지령을 내린다. 한편, 도 21(b)와 같이 PRU에 비교하여 VU의 어드레스가 어느 정도이상 큰, 즉 EU 내의 후반의 VU로부터 재생하는 경우, CPU(102)는 디스크 드라이브(109)에 우선 EUSI 내의 <Post Recording Unit Size>로 나타나는 PRU의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를 상기 PRU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판독하도록 지령을 내리고, 이어서 상기 VU 선두 어드레스로부터의 판독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EU의 후방부의 VU로부터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 그 앞에 위치하는 VU를 스킵하는 편이 쓸데 없는 데이터의 판독이 없어지며, 사용자에 대한 응답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디멀티 플렉서(111)는, 디스크 드라이브(109)로부터 ECC 디코더(112)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108)에 축적하고, 디코더(112)로부터 데이터의 요구가 있으면 디코더(112)에 따른 데이터를 순서대로 전송한다. 디코더(112)는, 디멀티플렉서(111)에 요구하고, 수취한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한다. 재생 개시 PTS가 GOP의 도중에 상당하는 경우, 비디오 디코더(112)는 그 GOP의 처음부터 디코드를 행하며, 재생 개시 PTS의 타이밍으로부터 영상의 출력을 행한다. 오디오 디코더(112)도 마찬가지로, 디멀티플렉서(11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하며, 재생 개시 PTS의 타이밍으로부터 음성의 출력을 행한다. 비디오 디코드가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오디오 디코더(112)는 비디오 디코더(112)가 재생 개시 PTS의 영상 출력이 가능해지는 것을 대기하고, 그 시점에서 시스템 클럭(105)을 재생 개시 PTS로 세트하여, 프리젠테이션을 개시한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주된 특징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데이터 내의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그 제1 유닛에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영역을 연속하는 영역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데이터의 선두를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은,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이다.
즉,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오리지널 데이터(제1 데이터)와,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후기록 데이터(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블록(ECC 블록)을 생성하고, ECC 블록 단위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 내의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후기록 데이터를 EU(Editable Unit)라고 하는 유닛(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그 EU에서 상기 후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PRU(Post Recoding Unit)라고 하는 기록 영역을 연속하는 영역으로 구성하고, 상기 PRU의 선두를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은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와는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PRU를 포함하는 ECC 블록은 PRU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후기록 시에 오리지널 데이터 부분을 판독하여 재기입한다고 하는 쓸데없는 액세스를 할 필요가 없어, 재기입을 행하는 영역이 최소한이라도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유닛 내에서 처음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상기 제2 데이터의 선두를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 EU 내의 최초로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PRU의 선두를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을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EU 내에서 PRU가 최초로 나타나는 ECC 블록 경계에 위치하기 때문에, PRU 전체와 하나의 VU를 판독한 시점에서 동기 재생이 가능해지고, 재생 시에 필요한 버퍼의 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마다의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복수의 EU로 구성되는 EUS(Editable Unit Sequence)라고 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에서, 상기 EU의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EUS 내에서의 EU의 재생 시간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판독 시에 필요한 PRU의 선두 위치를 용이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유닛의 재생 시간을, 기록 매체에의 입출력 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 씨크 시간, 회전 대기 시간, 제1 데이터 혹은 제2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EU의 재생 시간을, 기록 매체에 대한 입출력 시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 씨크 시간, 회전 대기 시간, 제1 데이터 혹은 제2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EUS에서의 EU의 재생 시간은 기록 매체의 입출력에 관한 씨크 시간이나, 전송 레이트 등에 따라 구해지기 때문에, 후기록 시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씨크 등에 의해, 후기록 시에 재생 혹은 기록이 도중에 끊긴다는 문제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유닛 내의 제1 데이터가,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단위인 제2 유닛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재생 시간 간격을,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 내에서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EU(제1 유닛) 내의 오리지널 데이터(제1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VU(Video Unit)라고 하는 제2 유닛 단위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VU의 재생 시간 간격을 복수의 상기 EU로 구성되는 EUS 내에서 동일해진다.
이렇게 하여, VU를 설치함으로써, EU의 도중으로부터의 재생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며, 기록 시의 버퍼링량이 적어도 충분하다. 또한, VU의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EUS 내에서의 EU의 재생 시간, VU의 재생 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판독 시에 필요한 VU의 선두 위치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 유닛의 영역이,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액세스의 최소 단위인 섹터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제2 유닛에 더미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 VU의 영역이,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액세스의 최소 단위인 섹터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VU에 더미 데이터를 부가한다.
이렇게 해서, 제2 유닛의 영역을 섹터의 정수배로 함으로써, 랜덤 액세스의 단위를 작게 할 수 있으며, VU의 선두에 대한 액세스가 간략화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 유닛의 영역 각각에, 그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 내의 선두의 제2 유닛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VU의 영역 각각에, 그 VU가 EU 내의 선두의 VU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부가한다. 이렇게 해서, 후기록 시의 동기를 취하기쉽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 데이터가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제3 유닛으로 분할되고, 각 제3 유닛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PRU(제2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SAU(Sub Audio Unit)인 제3 유닛으로 분할되고, 각 SAU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렇게 해서, 후기록시에는 후기록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재기입 가능하다. VU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이고, 그 VU에 대응하도록 상기 PRU는 복수의 SAU로 분할되고, 그 VU와 SAU의 선두 어드레스를 대응시키고, 또한 SAU 및 VU는 각각 섹터의 정수배의 사이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후기록시에는 후기록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재기입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 유닛에서의 재생 시간은, 상기 제3 유닛에서의 재생 시간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VU에서의 재생 시간은, SAU에서의 재생 시간의 정수배이다. 이렇게 해서, 후기록 개시 종료 시간을 보다 미세한 정밀도로 할 수 있으며, 미세한 단위의 재기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는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블록 단위에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며, 그 오류 정정 블록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제1 데이터 내의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그 제1 유닛에 있어서 상기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영역은 연속하는 영역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데이터의 선두를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은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어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로 구성되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블록 단위에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블록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호화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내의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그 제1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영역을, 연속하는 영역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데이터의 선두를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을,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요지는,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고, 그 부호화 블록 단위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그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그 제1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고 정수개의 상기 부호화 블록으로 부호화하여 연속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에 있어서의 제2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을, 상기 제1 유닛 내에 처음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데이터(예를 들면, 후기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은, 제2 데이터만으로 구성되므로, 제2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 제2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에 기입하면 되며, 재기입을 행하는 영역은 최소한으로도 충분하다. 또한, 제1 유닛 내에서, 제2 데이터가 최초로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데이터 전체와 하나의 제1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을 판독한 시점에서 동기 재생이 가능해지고, 재생 시에 필요한 버퍼의 량을 삭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요지는,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단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마다의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 내에서의 제1 유닛의 재생 시간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판독 시에 필요한 제2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요지는, 상기 제1 유닛의 재생 시간을, 기록 매체에 대한 입출력 시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 씨크(seek) 시간, 회전 대기 시간, 제1 데이터 혹은 제2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에 있어서의 제1 유닛의 재생 시간은, 기록 매체의 입출력에 관계되는 씨크(seek) 시간이나, 전송 레이트 등에 따라 요구되기 때문에, 제2 데이터 기입 시에, 재생 혹은 기록이 도중에 끊긴다는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제4 요지는, 상기 제1 유닛 내의 제1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제2 유닛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요지는,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그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1 유닛 내의 제1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제2 유닛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유닛 도중에서의 재생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며, 기록 시의 버퍼링량이 적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요지는, 상기 제2 유닛의 재생 시간을,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 내에서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판독 시에 필요한 제2 유닛의 선두 위치를 용이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7 요지는,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액세스의 최소 단위인 섹터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제2 유닛에 더미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랜덤 액세스의 단위를 작게 할 수 있어, 제2 유닛의 선두에의 액세스가 간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8 요지는 상기 제2 유닛 각각에, 그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 내의 선두의 제2 유닛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후기록 시의 동기가 취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9 요지는, 상기 제2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제3 유닛으로 분할되고, 각 제3 유닛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데이터 기입 시에는 제2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재기입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0 요지는, 상기 제2 유닛에서의 재생 시간은 상기 제3 유닛에서의 재생 시간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후기록 개시 종료 시간을 보다 미세한 정밀도로 할 수 있으며, 미세한 단위로의 재기입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1 요지는,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그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마다의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 유닛의 재생 시간을, 기록 매체에 대한 입출력 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 씨크 시간, 회전 대기 시간, 제1 데이터 혹은 제2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중 1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3 요지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요지는,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블록 단위에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고, 그 부호화 블록 단위로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그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제1 데이터와, 그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그 제1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고 정수개의 상기 부호화 블록으로 부호화하여 연속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에 있어서의 제2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을, 상기 제1 유닛 내에서 처음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3의 요지는, 영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로 구성되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블록 단위에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블록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호화 수단은, 상기 제1 데이터 내의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그 제1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고 정수개의 상기 부호화 블록으로 부호화하여 연속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에 있어서의 제2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을, 상기 제1 유닛 내에서 처음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2 및 제13의 요지에 대해서는, 제1 요지에 진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재생하는 처리를 행하며, 특히 후기록 데이터를 재기록할 때에, 불필요한 오리지널 데이터까지도 판독하여 기록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3)

  1.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 블록 단위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1 유닛에서의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고 정수개의 상기 부호화 블록으로 부호화하여 연속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에서의 제2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을, 상기 제1 유닛 내에 처음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에서, 상기 제1 유닛마다의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재생 시간을, 기록 매체에 대한 입출력 시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 씨크(seek) 시간, 회전 대기 시간, 제1 데이터 혹은 제2 데이터의 비트레이트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내의 제1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제2 유닛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5.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1 유닛 내의 제1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제2 유닛의 집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의 재생 시간을,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 내에서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액세스의 최소 단위인 섹터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제2 유닛에 더미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 각각에,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 내의 선두의 제2 유닛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독립하여 재생 가능한 단위인 제3 유닛으로 분할되고, 각 제3 유닛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에서의 재생 시간은, 상기 제3 유닛에서의 재생 시간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1.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유닛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 단위에서, 상기 제1 유닛마다의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 유닛의 재생 시간을, 기록 매체에 대한 입출력 시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 씨크 시간, 회전 대기 시간, 제1 데이터 혹은 제2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2.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 블록 단위로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1 유닛에서의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여 정수개의 상기 부호화 블록으로 부호화하여 연속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에서의 제2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을, 상기 제1 유닛 내에 처음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로 구성되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1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량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록 단위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블록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호화 수단은, 상기 제1 데이터 내의 소정의 재생 시간만큼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제2 데이터를 제1 유닛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1 유닛에서의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와는 분리하여 정수개의 상기 부호화 블록으로 부호화하여 연속 구성하고, 상기 제1 유닛에서의 제2 데이터의 부호화 블록을, 상기 제1 유닛 내에 처음 나타나는 부호화 블록 경계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KR10-2002-7001251A 1999-07-30 2000-07-27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KR100537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16106A JP2001043616A (ja) 1999-07-30 1999-07-30 記録方法、記録媒体及び記録装置
JPJP-P-1999-00216106 1999-07-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777A Division KR100537393B1 (ko) 1999-07-30 2000-07-27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393A true KR20020015393A (ko) 2002-02-27
KR100537394B1 KR100537394B1 (ko) 2005-12-19

Family

ID=166833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777A KR100537393B1 (ko) 1999-07-30 2000-07-27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KR10-2002-7001251A KR100537394B1 (ko) 1999-07-30 2000-07-27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777A KR100537393B1 (ko) 1999-07-30 2000-07-27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57530B1 (ko)
EP (1) EP1205929A4 (ko)
JP (1) JP2001043616A (ko)
KR (2) KR100537393B1 (ko)
CN (2) CN100498951C (ko)
CA (1) CA2377978C (ko)
WO (1) WO20010098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90B1 (ko) * 2007-01-22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딩 정보를 이용한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정보저장매체
KR100860985B1 (ko) * 2003-05-23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딩 정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4379B2 (en) * 2001-07-10 2018-02-13 The Directv Group, Inc. System and methodology for video compression
JP4045940B2 (ja) 2002-04-05 2008-02-1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3986973B2 (ja) 2002-10-17 2007-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Avデータ記録方法、av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3777609B2 (ja) * 2003-06-26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302177A (ja) * 2004-04-13 2005-10-27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20080049036A1 (en) * 2006-08-24 2008-02-28 Mediatek Inc. Multimedia Playback System, FIFO Memory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Multimedia Data
US7698528B2 (en) * 2007-06-28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memory pool allocation during media render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7265A (en) * 1987-06-11 1990-08-07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still video and audio information and having after recording editing capability
JP2664112B2 (ja) 1992-01-17 1997-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信号のディジタル記録及び再生装置
US5473479A (en) 1992-01-17 1995-12-05 Sharp Kabushiki Kaisha Digital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of video signal rearranging components within a fixed length block
JP2963960B2 (ja) 1992-01-29 1999-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JPH05234084A (ja) 1992-02-19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061323B2 (ja) 1992-04-27 2000-07-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記録再生制御回路
JP3360873B2 (ja) 1992-05-22 2003-01-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方法
TW323875U (en) 1992-12-04 1997-12-21 Sony Corp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U665131B2 (en) 1992-12-04 1995-12-14 Sony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signal
AU676504B2 (en) 1992-12-04 1997-03-13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
JPH08315505A (ja) 1995-05-16 1996-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372025B2 (ja) 1995-08-21 2003-0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
CN1104721C (zh) 1995-08-24 2003-04-02 索尼公司 数据记录装置和方法以及数据再现装置
JPH10322661A (ja) 1997-03-19 1998-12-04 Sony Corp 画像復号装置及び画像復号方法
KR100529485B1 (ko) * 1997-09-02 2005-11-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지털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애프터 레코딩 방법 및 장치 및그 디지털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 및 장치
JP4089017B2 (ja) * 1997-09-02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記録媒体におけるアフターレ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デジタル記録媒体の再生方法及び装置
JPH11155131A (ja) 1997-09-17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データ編集装置、ビデオデータ編集装置が編集媒体として用いる光ディスク、編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050311B2 (ja) 1997-09-17 2000-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11120709A (ja) 1997-10-17 1999-04-30 Sony Corp 光ディスクの記録/再生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798538B2 (ja) 1997-11-28 2006-07-19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データ記録/再生方法
CN1118065C (zh) 1997-12-15 2003-08-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的记录和复制设备及方法
JP3199011B2 (ja) * 1998-01-21 2001-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637760B2 (ja) * 1998-01-21 2005-04-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符号化装置および情報復号化装置および情報符号化復号化記録再生装置
JP3178413B2 (ja) * 1998-04-28 2001-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3383580B2 (ja) * 1998-05-1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と情報記録再生装置と方法
JP3137624B2 (ja) 1999-02-17 2001-02-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0339860A (ja) * 1999-05-31 2000-12-08 Sharp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
CA2376090C (en) * 1999-07-29 2004-10-19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locating access positions in a recording medium and managing device of the recording mediu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85B1 (ko) * 2003-05-23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딩 정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US7533319B2 (en) 2003-05-23 2009-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7870456B2 (en) 2003-05-23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132066B2 (en) 2003-05-23 2012-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161340B2 (en) 2003-05-23 2012-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181087B2 (en) 2003-05-23 2012-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181088B2 (en) 2003-05-23 2012-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190955B2 (en) 2003-05-23 2012-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385185B2 (en) 2003-05-23 201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ing padd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860990B1 (ko) * 2007-01-22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딩 정보를 이용한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정보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869A (ko) 2005-08-29
WO2001009892A1 (fr) 2001-02-08
JP2001043616A (ja) 2001-02-16
US7457530B1 (en) 2008-11-25
EP1205929A1 (en) 2002-05-15
CN100498951C (zh) 2009-06-10
EP1205929A4 (en) 2006-03-22
CA2377978A1 (en) 2001-02-08
KR100537394B1 (ko) 2005-12-19
CN1598957A (zh) 2005-03-23
CA2377978C (en) 2007-05-29
KR100537393B1 (ko) 2005-12-19
CN1365497A (zh)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545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122436A (en)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EP1402740B1 (en) Changing a playback speed for a video presentation recorded in a progressive frame structure format
US7321718B2 (en) Method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guaranteeing seamless playback between data streams,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information, and recording editing and/or playback apparatus using the same
US5838876A (en) Frame-accurate edit and playback in digital stream recording
KR20020026169A (ko) 디지털 비디오 기록물 편집 방법 및 장치, 및 이 방법에의해 제조된 기록물
JP2002519917A (ja) 符号化されたav系列のフレームの正確な編集
EP1547082A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 main file and auxiliary files in a track on a record carrier
JPWO2002080541A1 (ja) Av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当該avデータ記録再生装置又は方法で記録されたディスク
KR20060029161A (ko) 트릭 모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법, 플레이어, 리코더,신호 및 리코드 캐리어
KR100537394B1 (ko)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KR20060009807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20040007705A (ko)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복호 방법, 및 그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130287361A1 (en) Methods for storage and access of video data while recording
EP1383321A1 (en) Av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data is recorded by the av data recoridng/reproducing apparatus or method
JP4145103B2 (ja) 動画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200412009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169569B2 (ja) 記録方法、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1076433A (ja) 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再生装置
JP2004110876A (ja) 映像データの符号化レート制御方法
JP2003168283A (ja) データ編集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媒体
CA2475269C (en) 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JP4800824B2 (ja) 記録媒体
JPH11298859A (ja) 映像信号符号化システム及び映像信号符号化方法
JP4813905B2 (ja) 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データ構造、並びに記録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