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152A -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152A
KR20020015152A KR1020000048314A KR20000048314A KR20020015152A KR 20020015152 A KR20020015152 A KR 20020015152A KR 1020000048314 A KR1020000048314 A KR 1020000048314A KR 20000048314 A KR20000048314 A KR 20000048314A KR 20020015152 A KR20020015152 A KR 20020015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user
commerce
location inform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만
Original Assignee
김성만
서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만, 서정용 filed Critical 김성만
Priority to KR102000004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5152A/ko
Publication of KR2002001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152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확인 및 목표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목표위치의 업소에 대해 주문, 예약, 문의 등 전자 상거래를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위치정보 확인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현재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목표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목표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목표위치에 대해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통화, 조회, 주문, 예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무선 인터넷 단말기(PDA, 핸드PC 등)이나 개인용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지도상에서 전자 상거래를 위한 통화, 주문, 예약, 조회 등을 바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전자상거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위치정보를 검색할 때 미리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므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 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Method of indicating location of user and target by mapping on data base and method of electronic commerce using thereof }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과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정보와 목표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표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목표위치의업소에 대해 주문.예약 등 전자 상거래를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위치정보 확인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EC:Electronic commerce)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즉, 인터넷의 발전으로 사이버 기업, 사이버 마켓, 사이버 거래사회 등과 같은 신종 기업 문화가 탄생되고 있으며, 자신의 기업조직이나 국가의 범주를 넘어 전자적으로 비지니스를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통상, 전자 상거래는 컴퓨터를 통해 전자적인 방식으로 상품, 정보 등의 구매, 조달, 지불 행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시스템을 위해서는 인증기관 (Certificate Authority)과, 전자지갑(Digital wallet)을 장착한 고객시스템, 지불시스템(Payment system), 사이버 쇼핑몰(cyber shopping mall)이 필요하고, 안전한 전자 상거래는 사전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기관으로부터 발급된 전자 인증서 또는 여타 인증수단을 토대로 고객과 사이버 쇼핑몰, 지불시스템간에 규정된 암호화 프로토콜 체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현재 사용자 위치추적에 사용되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자료를 받아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가지지만 고가이고 휴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추적장치'가 특허출원 98-21172호로서 1998년 6월9일 출원되어 공개번호 2000-1119호로서 2000년 1월 15일자로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공개된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추적장치에 의하면 셀 방식의 이동통신서비스에서 호출자의 요청으로 사용자를 호출할 때 사용자를 찾는 범위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관리기능과, 기지국과 휴대폰간 전파 송수신을 이용한 시간과 거리계산을 통해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추적은 오차가 커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위치정보와 전자 상거래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전자 상거래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해주고, 목표위치의 업소에 대하여 직접 전자 상거래를 요청할 수 있는 위치정보 확인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계통을 도시한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인터넷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상거래시 주문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상거래시 예약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시 휴대폰에 위치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시 목표위치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상거래시 조회화면의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06: 휴대폰 108: 기지국
110: 무선통신망 112: 게이트웨이
120: 인터넷 108: PC
130: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 132: 음성인식시스템
134: 웹서버 136: 데이터베이스 서버
138: 콜센터 140: 유선통신망
142: 업소 502: LCD화면
504: 이동키 506: 선택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현재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목표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목표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목표위치에 대해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통화, 주문, 예약, 조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휴대폰(102,106), 개인용컴퓨터(104), 기지국(108), 무선통신망(110), 게이트웨이(112), 인터넷(120),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 유선통신망(140), 업소(142)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폰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PDA, 핸드 PC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단말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폰(102)에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고, 기지국(108)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108)은 무선통신망(110)에 연결되며 게이트웨이(112)를 통해 인터넷(120)과 접속되어 있고, 인터넷(1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와 사용자의 개인용컴퓨터(104)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는 음성인식시스템(132)과 웹서버(134), 데이터베이스 서버(136), 콜센터(138)를 구비하여 인터넷(120)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104)에, 무선통신망(110)을통해 무선 인터넷으로 휴대폰(102)에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음성인식시스템(132)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고, 웹서버(134)는 인터넷을 통해 억세스할 수 있는 페이지들을 제공하며, DB서버(136)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자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콜센터(138)는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TTS 기능과 무선통신망(110) 및 유선통신망(140)에 접속하여 음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기능(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이 포함되어 있다.
도 1a에서, 사용자는 휴대폰(102)이나 개인용컴퓨터(104)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에 접속하여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위치정보 표시상태에서 통화, 조회, 주문, 예약 등과 같은 전자 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퀵서비스맨은 휴대폰(106)을 소지하고 다니면서 콜센터(138)의 호출에 응답하여 주문에 따른 배송을 처리하고, 배송을 완료한 후에는 콜센터(138)에 이를 통지하여 다음 주문을 대기한다. 업소(142)는 전자지도상에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목표위치으로 선택된 후 유선통신망을 통해 콜센터로부터 전화나 팩스 등으로 주문이나 예약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와 휴대폰으로 직접 통화를 할 수도 있다. 이 때 통화나 주문을 위해서는 전자지도상에 목표위치을 클릭하거나 선택하면 해당 목표위치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됨과 아울러 전자상거래를 위한 통화, 주문, 예약, 조회 안내 메뉴가 표시되고,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기만 하면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에서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해 주므로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다.
휴대폰(102)에는 무선 인터넷을 위한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인터넷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클라이언트(102)와 게이트웨이(112), 웹 서버(134)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통신망 (110)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의 표시 창이 작고, 메모리 등에서도 개인용 컴퓨터 단말과는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HTML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과 HDTP(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등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규격들을 업체마다 다르게 개발함에 따라 호환성 및 보급에 장애가 되어 다수의 업체들이 모여 공통규격을 제정하기 위하여 WAP(Wiress Application Protocol) 포럼을 결성하였다.
WAP 프로토콜 스택은 네트워크 계층부터 응용 계층까지 계층화된 구조이고, SMS, USSD, CDPD, CDMA, IS-136 등과 같은 무선 베어러(Wireless Bearers) 계층 위에 데이터그램(UDP/IP, WDP)이 있고, 그 상위에 무선 트랜스포트 계층 보안(WTLS), 무선 트랜잭션 프로토콜(WTP), 무선 세션 프로토콜(WSP), 무선응용환경(WAE) 등이 있다.
도 1 b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102)는 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있고, HDML로 작성된 인코드된 요구(URL)를 게이트웨이(112)에 요청하고, 게이트웨이(112)는 인코더/디코더를 이용하여 이를 HTML로 디코딩한 후 HTTP에 따라 웹 서버(134)에 웹 페이지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웹 서버(134)는 CGI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요구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게이트웨이(112)는 이를 다시 HDML로 변환하여 인코드된 응답을 클라이언트(102)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웨이( WAP 프록시)는 무선 인터넷을 위한 WSP/WTP 프로토콜을 일반 인터넷의 HTTP와 연결되게 프로토콜 변환을 담당하고, 무선 인터넷상의 HDML(WML)을 일반 인터넷상의 HTML(XML)로 혹은 그 역으로 변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내장된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다(201).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통상의 인터넷 페이지를 제공함과 아울러 게이트웨이(112)를 통해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무선 인터넷 사이트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무선 인터넷(WAP) 방식으로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에 접속한 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입력한다(202).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키패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음성인식을 이용한 입력방법이 있고, 입력하는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가까운 건물의 상호 이름이나 번지수, 특정 포인트 예컨대, 지하철 역명이나 도로 이정표 등이다. 그리고 음성으로 위치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는 음성인식시스템(132)을 경우하여 음성 인식된 후 데이터베이스 서버(136)에 전달된다.
사용자의 휴대폰(102)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36)의 전자 지도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현재위치(508)를 휴대폰의 전자지도상에 표시한다(203,204).
이어 사용자가 찾아가고자 하는 목표지점의 위치정보를 입력한다(205). 이 때 목표위치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방법도 현재 위치를 입력하는 방법과 동일하고, 목표위치를 검색할 때 현재위치로부터의 거리(100M, 50M....)나 업종(은행, 음식점, 극장,..) 등을 한정하는 다양한 옵션 설정이 가능하다. 목표위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36)를 검색한 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전자 지도상에 목표위치(510)를 표시한다(206,207).
도 5a를 참조하면, 휴대폰(102)의 LCD화면(502)상에 전자지도가 표시되고 전자지도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508)와 목표위치(510)가 표시된다. 예컨대, 현재위치(508)는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목표위치(510)는 다른 기호나 점멸 등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도 5a에서 참조번호 '504'는 이동키를 나타내고, '506'은 선택키를 나타낸다.
만일, 사용자가 목표위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원하면 이동키(504)를 이용하여 커서를 목표위치에 위치시킨 후 특정 키를 눌러 상세표시 기능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위치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된다(208,209). 이 때 상세정보와 함께 전자 상거래를 위한 메뉴 항목을 표시하여 원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목표위치가 서초갈비라는 음식점일 경우에 업종, 수용인원, 주메뉴, 대표자,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자세히 표시되고, 목표위치과 전자 상거래를 하기 위한 서비스 항목 즉, 통화, 조회 등이 표시되며 키패드를 통해 원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1번키를 누르면 "통화", 2번 키를 누르면 "조회" 항목이 선택된다(210~214).
사용자가 "통화"를 선택하면 별도의 다이얼링없이 자동으로 목표위치의 전화번호로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사용자와 목표위치의 업소 주인 사이에 직접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통화기능을 위해 전자지도상의 모든 업소들에 대한 전화번호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콜센터 기능을 통해 통화로를 연결한다(211,212).
사용자가 "조회"를 선택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업소에서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품목 및 가격 등을 조회내역을 표시한다(213,214). 도 5c에서는 목표위치가 음식점이므로 음식 메뉴(품명)와 단가 등을 나타내고, "주문"이나 "예약"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목표위치가 고속버스터미널이나 극장 등인 경우에 "조회"를 선택하면, 운행시간이나 상영시간 등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조회내역을 보고서 "주문"을 선택하면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문처리 절차를 수행하고(215,216), "예약"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약처리 절차를 수행한다(217,218).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상거래시 주문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문을 선택하면 주문을 위한 메뉴창을 표시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한다(301,302).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의 웹서버(134)는 주문내용을 업소나 퀵서비스맨에게 전달하기 위해 택스트로된 주문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한다(303). 이때 주문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은 서비스 사이트의 콜센터(138)에서 택스트음성변환기술(Text To Speech:TTS)을 이용한다.
이어 콜센터(138)는 해당 업소에 다이얼링하여 음성으로 변환된 주문내용을 전화로 전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변환을 거치지 않고 주문내용을 팩스나 전자메일 등으로도 전달할 수 있다(304).
해당 업소에서는 주문내용을 접수한 후 그 결과를 콜센터(138)에 전달하고, 콜센터(138)는 업소로부터 주문접수 결과 응답이 수신되면 주문자(사용자)에게 주문처리결과를 전자메일, 전화, 무선인터넷 단말기 등으로 통보하고, 해당 업소는 주문자에게 주문에 따른 상품을 배송한다(305,306).
한편, 주문내용이 전달되면 퀵서비스맨은 해당 업소에 들려 주문물품을 픽업한 후 주문자(사용자)에게 배송하고, 배송을 완료한 후에는 콜센터에 통보하여 다음 배송을 위해 대기한다(307~310). 이 때 퀵서비스맨을 호출하는 경우는 해당 업소에 배송하는 기능이 없을 경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상거래시 예약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예약"을 선택하면 예약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예약내용을 입력(혹은 선택)하면 예약내용을 통신수단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 후 업소에 전달한다(401~403). 예컨대, 예약내용을 전화로 전달할 경우에는 콜센터(138)에서 TTS 변환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해당 업소에 전달하고, 팩스로 전달할 경우에는 팩스에 맞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해당 업소에 전달하며, 전자메일로 전달할 경우에는 메일형식에 맞게 예약내용을 변환하여 전달한다.
해당 업소에서는 예약을 접수하면 예약사항을 체크하여 결과를 응답하고, 업소로부터 예약을 정상적으로 처리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130)에서는 이를 예약자(사용자)에게 전자메일이나 전화, 무선인터넷 단말기 등으로 통지한다(404,405).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확인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후 회원이면 바로 로그인하고 비회원이면 회원가입 후 로그인한다(601~604).
이어 로그인한 회원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현재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목표위치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목표위치를 웹 브라우져상에 표시한다(605~609). 이 때 목표위치를 검색할 때 현재위치로부터의 거리(100M, 50M....)나 업종(은행, 음식점, 극장,..) 등을 한정하는 다양한 옵션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서이동 후 클릭이나 특정키 등을 이용하여 상세 정보표시를 선택하면 목표위치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610,611). 이어 상세정보를 보고 원하는 서비스항목(통화, 주문, 예약, 조회 등)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서비스가 제공된다(612~620). 이 때 통화를 위해서는 사용자 컴퓨터시스템에 인터넷폰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주문이나 예약 등의 처리절차는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와 유사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사용자가 위치정보나 주문내용 등을 입력하기 입력수단으로는 휴대폰의 키패드나 컴퓨터의 키보드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입력도 가능하다. 음성입력의 경우에는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수단과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시스템(132)이 필요하다.
그리고 휴대폰뿐만아니라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용 PC나 PDA 등을 이용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절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이나 개인용 컴퓨터(PC)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지도상에서 전자 상거래를 위한 통화, 조회, 주문, 예약 등을 바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전자 상거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위치정보를 검색할 때 미리 구축된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므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현재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사용자 또는 주변 위치정보 입력을 통한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맵핑에 의해 현재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목표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및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목표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 확인방법.
  2. 위치정보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현재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위치정보 입력을 통한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맵핑에 의해 현재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목표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목표위치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목표위치에 대해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통화, 조회, 주문, 예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는
    목표위치의 업소에 대해 "통화"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사용자와 목표위치의 업소간에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는
    "조회"를 선택하면, 해당 업소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조회내용을 표시하고, 주문이나 예약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이나 "예약"을 선택하면,
    주문/예약을 위한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여 주문/예약하는 단계; 주문/예약 내용을 전화나 팩스, 전자메일 등으로 해당 업소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이 선택되고, 해당 업소가 배송기능이 없으면 퀵서비스맨을 호출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위치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를 접속하는 단계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거나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위치정보 확인 및 전자 상거래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단계들은 키입력이나 음성입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위치정보 확인 및 전자 상거래방법.
KR1020000048314A 2000-08-21 2000-08-21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KR20020015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14A KR20020015152A (ko) 2000-08-21 2000-08-21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14A KR20020015152A (ko) 2000-08-21 2000-08-21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152A true KR20020015152A (ko) 2002-02-27

Family

ID=1968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314A KR20020015152A (ko) 2000-08-21 2000-08-21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515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868A (ko) * 2000-08-31 2002-03-07 김동일 모바일 인터넷망을 이용한 예약판매 방법
KR20030032197A (ko) * 2001-10-16 2003-04-26 장덕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식음료 주문 및 판매 방법과그 시스템
KR20040001216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망에서의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광고 및 호연결 방법
KR20040012414A (ko) * 2002-07-31 2004-02-11 신 에트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용 테이크-아웃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0617946B1 (ko) * 2004-09-14 2006-08-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복권 판매 방법 및 장치
KR100810881B1 (ko) * 2006-07-20 2008-03-06 (주) 엘지텔레콤 고객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맞춤화된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908389B1 (ko) * 2002-09-28 2009-07-20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위치기반 지역정보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868A (ko) * 2000-08-31 2002-03-07 김동일 모바일 인터넷망을 이용한 예약판매 방법
KR20030032197A (ko) * 2001-10-16 2003-04-26 장덕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식음료 주문 및 판매 방법과그 시스템
KR20040001216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망에서의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광고 및 호연결 방법
KR20040012414A (ko) * 2002-07-31 2004-02-11 신 에트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용 테이크-아웃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0908389B1 (ko) * 2002-09-28 2009-07-20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위치기반 지역정보제공 방법
KR100617946B1 (ko) * 2004-09-14 2006-08-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복권 판매 방법 및 장치
KR100810881B1 (ko) * 2006-07-20 2008-03-06 (주) 엘지텔레콤 고객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맞춤화된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au et al. Mobile communications and mobile services
Figge Situation-dependent services—a challenge for mobile network operators
US6640098B1 (en) System for obtaining service-related information for local interactive wireless devices
US7069238B2 (en) Shopping assistance service
US7283846B2 (en) Integrating geographical contextual information into mobile enterprise applications
US6594484B1 (en) Automated access by mobile device to automated telephone information services
US20040203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dependent information download to a mobile telephone
JP4009420B2 (ja) 情報端末を利用したサービスの提供装置及び実施方法並びに情報端末を利用した商品購入方法並びに情報端末
US6944447B2 (en) Location-based services
EP1308018B1 (en) Mixed-mode interaction
US20020059266A1 (en) Shopping assistance method and apparatus
KR200100210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쿠폰 배분 시스템 및 방법
JP2000083285A (ja) モバイル加入者アカウントサ―ビスへのビジュアルインタフェ―ス
US20070055634A1 (en) Automated anonymous connection system (AACS) for facilitating business communication
KR2003006798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및 방법
KR20020015152A (ko)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EP1126657B1 (en) Dat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executing macro command
US7062255B2 (en) Mobile telephone system
JP2006295961A (ja) 通信端末
JP2001243148A (ja) 携帯電話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にアクセス可能な携帯電話
KR20010094127A (ko) 인터넷폰을 이용한 원클릭 통화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0101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종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0465A (ko)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CN1486072A (zh) 电话号码作为定位信息的导航方法
JP2003316937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マーケティング調査方法、並びに該方法に用いるマーケティング調査用サーバ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