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981A -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 Google Patents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981A
KR20020014981A KR1020000048762A KR20000048762A KR20020014981A KR 20020014981 A KR20020014981 A KR 20020014981A KR 1020000048762 A KR1020000048762 A KR 1020000048762A KR 20000048762 A KR20000048762 A KR 20000048762A KR 20020014981 A KR20020014981 A KR 20020014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
knot
hanbok
button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순
박상호
Original Assignee
김광순
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순, 박상호 filed Critical 김광순
Priority to KR102000004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981A/ko
Publication of KR2002001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9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Abstract

본 발명은 짧은 고름을 안섶쪽 앞품에 부착하지 않고 앞섶에 부착된 긴 고름의 미리 형성된 매듭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고름의 매듭 뒷면과 짧은 고름 부착위치에 합단추를 형성하므로써 고름을 매듭짓지 않고 합단추를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착용할 수 있는 한복저고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름은 저고리에 그대로 형성되므로 아름다운 전통한복저고리의 옷매무새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저고리의 몸판과 고름이 색상이 다르다 할지라도 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탁이 용이해지는 효과와 종래 한복저고리의 가장 큰 단점인 고름매기를 하지 않아도 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전통한복을 널리 보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A traditional korean-style coat}
본 발명은 전통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복 특유의 옷매무새가 흐트러지지 않으면서도 고름매기가 용이한 전통한복 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통한복저고리(1)는 앞섶을 여미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름을 매어주어야 하는 것이나 한복저고리의 매듭짓기는 한복을 자주 입어본 사람이 아니면 쉽게 매듭질 수 없으며, 또한 전문가라 할 지라도 긴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가 적당하도록 매듭짓기란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니다.
또한 종래 저고리의 고름은 아무리 매듭을 잘 지엇다 하더라도 점차 고름이 앞섶에서 기울어 비틀어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짧은 고름을 부착하지 않고 상기 짧은 고름을 긴고름에 매듭과 함께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매듭의 뒷면과 안섶 쪽 앞품 짧은고름부착위치에 합단추를 형성하여 저고리의 앞섶을 여밀 수 있도록 구성한 저고리를 동일자 출원에서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은 긴고름이 저고리의 겉섶쪽 앞품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고름을 뗄 수 없는 상태이어서 각각 별도로 세탁할 수 없고, 따라서 저고리의 몸판색상과 고름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없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즉 저고리의 몸판색상과 고름의 몸판색상을 달리하여 저고리의 미적인 감각을 좀더 살리고자 하는 경우, 즉 저고리의 몸판은 흰색이고 고름은 빨간색의 경우 이를 세탁하게 되면 고름의 빨간색이 몸판에 배이게 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예 고름을 저고리에서 분리되도록 하되 고름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저고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저고리로 부터 분리된 짧은 고름과 긴 고름으로 미리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고름의 매듭 뒷면과 짧은고름부착위치 및 긴고름부착위치에 합단추를 형성하여서 분리된 고름을 합단추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1 - 종래 한복저고리의 정면참고도.
도 2 - 고름이 쳐져있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종래 한복저고리의 참고도.
도 3 - 본 발명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고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 - 본 발명 한복저고리의 고름상태를 보이기 위한 정면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한복저고리 2: 앞섶
3: 긴고름 3a: 긴고름 부착위치
4: 짧은 고름 4a: 짧은고름 부착위치
10: 본 발명 한복저고리 20: 매듭지어진 고름
21: 매듭 22 : 합단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 한복저고리(10)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한복저고리(10)는 저고리로 부터 분리된 짧은 고름(4)과 긴 고름(3)으로 미리 매듭(21)을 형성하고, 상기 고름(20)의 매듭(21) 뒷면과 짧은고름부착위치(4a) 및 긴고름부착위치(3a)에 합단추(22)를 형성하여서 저고리(10)의 앞섶(2)을 여밀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합단추(22)의 부착위치는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이는 고름(20)이 처지지 않도록 하고, 고름(2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상기 합단추(22)의 위치가 잘못 설정되면 고름(20)의 바른 매무새를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가장 바람직한 합단추(22) 부착위치를 찾을 수 있었으며, 상기 합단추(22)는 본래 고름들이 재봉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 한복저고리(10)는 미리 긴 고름과 짧은 고름으로 매듭(21)을 형성한 상태이고, 상기 고름(20)의 매듭(21) 뒷면과 짧은고름부착위치(4a) 및 긴고름부착위치(3a)에 합단추(22)를 형성하므로써 고름(20)을 매듭짓거나 매듭을 다시 풀필요없이 합단추(22)들을 결합,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한복저고리를 착용할 수있게 되어 매우 착용이 용이해 지는 것이다.
그러나 매듭단추에 의해 열고닫는 개량한복과는 달리 본 발명 한복저고리(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름이 똑같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통한복저고리의 고유한 스타일은 그대로 고수할 수 있으며, 오히려 착용후에는 고름이 처지지 않아 옷매무새가 더 좋은 한복저고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한복저고리의 가장 큰 단점인 고름매기를 하지 않고 합단추에 의해 저고리의 앞섶을 여밀 수 있으므로 한복의 착용을 현저히 편리하게 하며, 또한 고름의 형태는 그대로 살려주므로써 아름다운 한복저고리의 옷매무새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고리의 몸판과 고름이 색상이 다르다 할지라도 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탁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복을 잘 입지 못하는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전통한복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국내는 물론 외국인들에게도 전통한복을 널리 보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앞섶에 고름이 형성되는 종래의 전통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한복저고리(10)로 부터 분리된 짧은 고름(4)과 긴 고름(3)으로 미리 매듭(21)을 형성하고, 상기 고름(20)의 매듭(21) 뒷면과 짧은고름부착위치(4a) 및 긴고름부착위치(3a)에 합단추(22)를 형성하여서 저고리(10)의 앞섶(2)을 여밀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KR1020000048762A 2000-08-19 2000-08-19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KR20020014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62A KR20020014981A (ko) 2000-08-19 2000-08-19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62A KR20020014981A (ko) 2000-08-19 2000-08-19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981A true KR20020014981A (ko) 2002-02-27

Family

ID=1968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762A KR20020014981A (ko) 2000-08-19 2000-08-19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9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63Y1 (ko) * 2009-04-15 2012-03-23 정장섭 영가 옷
KR101346640B1 (ko) *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KR102388133B1 (ko) 2021-10-01 2022-04-19 최경숙 한복 저고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737U (ko) * 1973-07-06 1975-03-25
KR870003331Y1 (ko) * 1984-05-22 1987-10-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고주파 가열 장치의 문짝구조
KR960006823U (ko) * 1994-08-19 1996-03-13 신규호 매직테이프에 의한 의류착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737U (ko) * 1973-07-06 1975-03-25
KR870003331Y1 (ko) * 1984-05-22 1987-10-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고주파 가열 장치의 문짝구조
KR960006823U (ko) * 1994-08-19 1996-03-13 신규호 매직테이프에 의한 의류착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63Y1 (ko) * 2009-04-15 2012-03-23 정장섭 영가 옷
KR101346640B1 (ko) *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KR102388133B1 (ko) 2021-10-01 2022-04-19 최경숙 한복 저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1670B2 (en) Versatile scarf
US20060156586A1 (en) Shoe strap and method of employment
US20080047572A1 (en) Wig arrangement with primary wig and detachable wig extension
US8656517B2 (en) Japanese dress
KR20190026727A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상의
US20060254085A1 (en) Thong sandal accessory
US6205586B1 (en) Necktie assembly
KR20020014981A (ko)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US20060010573A1 (en) Charm display device and the like
US20040187187A1 (en) Reversible no-tie necktie
US20160262471A1 (en) Detachable / interchangeable / adjustable necktie
US6401251B1 (en) Combination bolo and fabric tie and method therefor
KR20130071221A (ko) 한복저고리용 고름
KR100385753B1 (ko)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JP2000234207A (ja) 高機能着衣
KR200373166Y1 (ko)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JP2007217851A (ja) マフラー、スカーフ、あるいは頭巾又は防寒帽等の効用を併せ持ったマフラーキャップ。
JP3960529B2 (ja) 女性用簡易和服
US11206885B2 (en) Sharp point tie
JP2017137608A (ja) 二部式着物
KR200297065Y1 (ko) 통풍성을 향상시킨 바지
JPH0354085Y2 (ko)
KR900011034Y1 (ko) 넥타이
JP3098652U (ja) ネクタイ
KR200248627Y1 (ko) 악세서리 기능을 갖는 넥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