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742A -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742A
KR20020014742A KR1020010049437A KR20010049437A KR20020014742A KR 20020014742 A KR20020014742 A KR 20020014742A KR 1020010049437 A KR1020010049437 A KR 1020010049437A KR 20010049437 A KR20010049437 A KR 20010049437A KR 20020014742 A KR20020014742 A KR 2002001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odule
stock solution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318B1 (ko
Inventor
야마다요오스께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추후보충
하뉴 산요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추후보충, 하뉴 산요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2001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4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6Rotary, reciprocated or vibrated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B01D2313/143Specific spacers on the feed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01D2321/2058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by vibration of the membrane, e.g. with an actu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중공사막형의 여과 장치에 있어서의 막힘을 방지한다.
여과통(2)은 깔때기 부재(3)에 의해, 상측의 여과실(4)과 하측의 회수실(5)로 구분되어 있다. 중공사막 모듈(6)은 말총 모양으로 퍼진 상태로 여과실(4)에 배치되어 있다. 원액(W1)은 주입 파이프(7)의 분출 구멍(7a, 7b)으로부터, 직경 방향을 따라 분출된다. 이 때문에 중공사막 모듈(6)은 적극적으로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동시에 진동한다. 이에 의해, 원액(W1)이 중공사막 모듈(6)의 내부에까지 널리 퍼지는 효율적인 여과를 할 수 있는 동시에, 부착물(10)이 박리된다. 박리된 부착물(10)은 회수실(5)로 들어간다. 회수실(5)로 들어간 부착물(10)은 여과실(4)에 되돌아오는 일없이, 일단 제거된 부착물(10)은 중공사막 모듈(6)에 재부착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여과 장치{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외압 여과 방식에 의해 여과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공사막 모듈의 표면에 부착된 부착물을 여과 운전중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제거된 부착물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구한 것이다.
액체의 여과를 매채로서 중공사막이 알려져 있다. 이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여과를 함으로써, 초순수의 제조, 상수의 제균, 용제나 윤활유의 정제, 용제속의 유효 물질의 회수, 폐액, 배수의 처리나 회수 등을 행할 수 있다.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방식으로서는, 외압 여과 방식과 내압 여과 방식이 있다. 이 중공사막을 이용한 여과 장치에서는 하우징 케이스 내에 다수개의 중공사막을 배치하고 있다.
외압 여과 방식에서는 통형(스트로형)의 중공사막의 일단부는 밀봉해 두고, 타단부는 개방해 둔다(타단부를 출구 단부면으로 해둠). 그리고 원액을 가압하여 중공사막의 외주면측으로 공급한다. 원액은 중공사막의 외주면측에서 내주면측으로 투과되고, 오탁물이 필터링되어 여과액이 중공사막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고, 이 여과액이 출구 단부면으로부터 나온다. 이러한 외압 여과 방식으로는 여과할 때, 모든 원액이 중공사막을 투과(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투과)되어 간다. 따라서 이 외압 여과 방식을 외압 전체 여과 방식으로도 칭하고 있다.
내압 여과 방식으로는 통형(스트로형)의 중공사막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동시에 개방해 둔다(일단부를 입구 단부면으로 하고 타단부를 출구 단부면으로 해둠). 그리고, 가압된 원액을 입구 단부면으로부터 중공사막의 내부 공간에 공급하고, 개구 단부면으로부터 유출시킨다. 이 때 가압되어 있는 원액의 일부가, 중공사막의 내주면측에서 외주면측으로 투과하여, 여과액이 중공사막의 외주면으로부터 나온다. 오탁물은 중공사막의 내부 공간을 원액과 동시에 유통되어, 중공사막의 외주측으로 나오는 일은 없다. 이러한 내압 여과 방식에서는 여과할 때에는 원액의 전부가 아니라 그 일부가 중공사막을 투과(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투과)되어 간다.
그런데, 외압 여과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모든 원액이 중공사막을 투과되어 가므로, 중공사막의 외주면에는 다량의 오탁물(부착물)이 단시간으로 부착해 버린다. 이와 같이 오탁물이 부착되면 막힘이 생겨 여과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래서 종래에서는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외압 여과 방식에 의해 여과를 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 중공사막의 외주면에 부착된 오탁물을 제거하여 중공사막을 재생하기 위해서, 여과 운전 정지 후에 다음과 같은 재생 조작을 하고 있다.
즉, 여과 운전을 정지시키고나서, 중공사막의 출구 단부면측에서 중공사막의내부 공간에 깨끗한 물이나 공기를 공급하고, 이 물이나 공기를 내주면측에서 외주면측으로 투과시키는 역세정(플러싱) 조작을 하여 부착물을 제거되고 있다. 그리고, 제거된 부착물을 하우징 케이스의 밖에 배출되어 있다.
그런데,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외압 여과 방식에 의해 여과를 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해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여과 운전을 정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여과 운전 효율이 좋지 않았다. 또, 장시간에 걸쳐 여과 운전을 행할 수가 없었다.
또, 역세정을 하면 여과 능력은 일시적으로 회복되지만, 막힘이 생기는 정도에 역세정 조작을 몇번이나 반복하면, 여과 능력이 초기 상태로까지 회복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다량의 부착물이 중공사막의 내부로까지 진입하므로, 역세정 조작을 한 것만으로는, 이와 같은 부착물의 제거가 될 수 없으며, 막힘 상태가 해소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 다수개(수백개 내지 수천개)의 중공사막을 다발로 하여 형성한 종래의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 모듈의 직경에 대하여 약간 직경이 큰 통형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중공사막 모듈은 통형체의 내부로 퍼지는 일없이, 다발 상태인 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형체의 내부로 배치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외압 여과 방식에 의해 여과를 하는 경우에는, 중공사막 모듈 중 중앙 부분(내측 부분)에서는 중공사막 상호가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이 많아 원액이 고루 미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종래의 중공사막 모듈은 외주측으로서는 여과 효율은 높지만 중앙을 향함에 따라 여과 효율이 저하되고, 전채로서 여과 효율이 억제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비추어 보아, 다수개(수백개 내지 수천개)의 중공사막을 다발로 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외압 여과 방식에 의해 여과를 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 중공사막 모듈의 표면에 부착된 부착물을 여과 운전중에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제거된 부착물이 중공사막 모듈의 표면에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여과 효율을 향상시킨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여과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 장치
2 : 여과통
3 : 깔때기 부재
4 : 여과실
5 : 회수실
6 : 중공사막 모듈
6a : 중공사막
6b : 홀더
7 : 주입 파이프
7a : 분출 구멍
8 : 역세정실
10 : 부착물
L1, L2, L3 : 배관
V1, V2, V3, V4 : 밸브
W1 : 원액
W2 : 여과액
A1 : 버블링용 공기
A2 : 역세정용 공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구성은 축 방향이 상하 방향에 따른 상태에서 설치되는 여과통과,
다수개의 중공사막의 상단부를 묶고 하단부를 자유롭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어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을 분출시켜 원액을 여과통 내에 주입하는 원액 주입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은 축 방향이 상하 방향에 따른 상태로 설치되는 여과통과,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개구 면적이 좁혀지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 여과통의 내부를 상측의 여과실과 하측의 회수실로 구획하는 깔때기 부재와,
다수개의 중공사막의 상단부를 묶고 하단부를 자유롭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어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을 분출시켜 원액을 여과실 내에 주입하는 원액 주입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은 축 방향이 상하 방향에 따른 상태로 설치되는 여과통과,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개구 면적이 좁혀지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 여과통의 내부를 상측의 여과실과 하측의 회수실로 구획하는 깔때기 부재와,
다수개의 중공사막의 상단부를 묶고 하단부를 자유롭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어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을 분출시켜 원액을 여과실 내에 주입하는 원액 주입 수단과,
상기 여과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투과하여 온 여과액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동시에, 역세정시에 유체 압박이 가해지는 역세정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여과통의 내경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상단부의 직경의 1.5 내지 3.0 배로 되어 있거나,
상기 원액 주입 수단은 상기 여과통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또 상기 깔때기 부재의 하단부 개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부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중앙 위치에 삽입된 주입 파이프와, 이 주입 파이프 중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삽입된 부분에 형성된 분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상기 분출 구멍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종방향에 관하여, 상단부로부터 1/3의 위치와 상단부로부터 2/3의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원액 주입 수단은 원액 및 버블링용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여과 장치(1)를 도시한다. 이 여과 장치(1)의 여과통(2)은 그 축 방향이 상하 방향에 따른 상태로 설치(부착, 배치)된다. 여과통(2)의 내부에는 깔때기 부재(3)가 배치되어 있고, 이 깔때기 부재(3)에 의해 여과통(2)의 내부 공간은 상측의 여과실(4)과 하측의 회수실(5)에 구획되어 있다. 깔때기 부재(3)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개구 면적이 좁혀지도록 된 원추 형상면으로 되어 있고, 하단부가 하단부 개구(3a)로 되어 있다. 이 하단부 개구(3a)를 거쳐서, 여과실(4)과 회수실(5)이 연통되어 있다.
여과실(4) 내에는 중공사막 모듈(6)이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중공사막 모듈(6)은 다수개(수백개 내지 수천개)의 중공사막(6a)의 상측을 홀더(6b)에 의해 묶어 구속하는 한편, 하측을 자유롭게 하여 구성한 것이다. 스트로형의 각 중공사막(6a)은 그 하단부면이 밀봉되어 있어, 그 상단부면은개구된 출구 단부면으로 되어 있다.
중공사막 모듈(6)은 여과통(2) 내에 원액(W1)이 주입됨으로써, 여과실(2) 내에서 말총 모양으로 퍼진다. 이것은 중공사막 모듈(6)이 상단부만이 묶여져 있고 하단부가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여과통(2)의 내경을 중공사막 모듈(6)의 상단부의 직경의 1.5 내지 3.0 배로 함으로써, 공간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있어 중공사막 모듈(6)이 여과통(2) 내에서 자연스럽게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데, 중공사막 모듈(6)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W1)을 분출함으로써, 중공사막 모듈(6)을 적극적으로 말총 모양으로 퍼지도록 연구도 하고 있다.
주입 파이프(7)는 여과통(2)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또, 깔때기 부재(3)의 중앙의 하단부 개구(3a)를 간극을 개방하여 삽입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신장하고, 상부가 중공사막 모듈(6)의 중앙 위치(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주입 파이프(7) 중 중공사막 모듈(6)에 삽입된 부분에는 분출 구멍(7a, 7b)이 형성되어 있다. 분출 구멍(7a, 7b)은 각각 주위 방향으로 복수(4개 정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구멍(7a, 7b)은 중공사막 모듈(6)의 상단부로부터 1/3의 위치(P1)와, 상단부로부터 2/3의 위치(P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원액(W1)은 버블링용 공기(A1)가 혼입되어, 주입 파이프(7) 내에 압송되고, 분출 구멍(7a, 7b)으로부터 반경 방향에 따라 분출되어 여과실(4) 내에 주입된다.
여과통(2)의 상면에는 역세정실(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역세정실(8)에는원액(W1)을 중공사막 모듈(6)에 의해 여과된 여과액(W2)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 역세정실(8)에는 밸브(V1) 및 밸브(V2)가 개장된 배관(L1)이 접속되어 있다.
여과실(4)의 상부에는 밸브(V3)가 개장된 배관(L2)이 접속되어 있다. 회수실(5)의 하부에는 밸브(V4)가 개장된 배관(L3)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여과 장치(1)에서는, 여과 운전을 할 때에는, 밸브(V2, V3)를 개방 형태로 하는 동시에 밸브(V1, V4)를 개방 형태로서, 원액(W1)과 버블링용 공기(A1)를 주입 파이프(7) 내에 압송한다. 그러면, 버블링용 공기(A1)가 혼입된 원액(W1)은 분출 구멍(7a, 7b)으로부터 반경 방향에 따라 분출되어 여과실(4) 내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액(W1)이 주입·공급되면, 여과실(4) 및 이 여과실(4)에 연통된 회수실(5)이 원액(W1)에 의해 만족된다. 이 원액(W1)은 가압되어 있으므로, 원액(W1)은 각 중공사막(6a)을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투과되고, 오탁물이 필터링된 여과액(W2)이 각 중공사막(6a)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간다. 이 여과액(W2)은 중공사막 모듈(6)의 출구 단부면으로부터 역세정실(8)에 보내져 일시적으로 저장되고나서, 배관(L1)에 보내져 이 배관(L1)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여과 운전이 행해진다. 또, 버블링용 공기(A1)에 의해 기포는 배관(L2)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은 여과 운전 공정에 있어서, 중공사막 모듈(6)은 말총 모양으로 퍼진다. 또한 중공사막 모듈(6)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W1)을 분출하고 있으므로, 중공사막 모듈(6)을 적극적으로 말총 모양으로 퍼지게 한다. 이 때문에, 중공사막 모듈(6)을 구성하는 각각의 중공사막(6a)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며, 원액(W1)은 중공사막 모듈(6)의 내부(직경 방향의 중앙부)에까지 충분히 고루 미치게 할 수 있으며, 중공사막 모듈(6)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중앙 부분에 이르는 모든 중공사막(6a)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여과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여과 효율이 향상된다.
또 가령, 분출 구멍(7a, 7b)의 위치가 위치(P1)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한 것으로는 효과적으로 중공사막 모듈(6)을 넓힐 수는 없고, 또, 위치(P2)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한 것으로는 각 중공사막(6a)을 말아올려 버려 중공사막(6a) 끼리를 얽히게 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출 구멍(7a, 7b)의 위치가, 위치(P1)와 위치(P2) 사이에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중공사막 모듈(6)을 말총 모양으로 퍼지게 할 수 있다.
또, 중공사막 모듈(6)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W1)을 분출하고 있으므로, 말총 모양으로 퍼진 각 중공사막(6a)을 각각 연속적으로 흔들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액(W1)의 분출유에 의해 각 중공사막(6a)을 연속적으로 흔들리게 진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공사막(6a)의 외주면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부착물(오탁물)(10)은 중공사막(6a)의 외주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된다.
또, 분출 구멍(7a, 7b)으로부터는 버블링용 공기(A1)에 의해 생긴 기포도 취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취출된 기포가 여과실(4) 내에서 부상함으로써도, 여과실(4) 내의 원액(W1)이 진동되어, 이 진동에 의해서도, 중공사막(6a)의 외주면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부착물(오탁물)(10)이 박리되어 제거된다.
이리하여, 중공사막(6a)의 외주면에 부착된 부착물(10)을 여과 운전중에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여과 운전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장시간에 걸쳐 연속 여과 운전을 할 수 있다.
제거된 부착물(6)은 원액(W1)보다도 무겁기 때문에, 여과실(4) 내의 원액(W1)이 난류로 되어 있어도 비중차에 의해 점점 하방으로 침전되어 간다. 침전되어 있던 부착물(6)은 깔때기 부재(3)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또 다시 하단부 개구(3a)로부터 회수실(5) 내에 낙하한다.
회수실(5)은 하단부 개구(3a)를 제외하고, 깔때기 부재(3)에 의해 여과실(4)과 구획되어 있으므로 회수실(5) 내의 원액(W1)은 난류로 되는 일없이, 거의 정지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회수실(5) 내에 낙하된 부착물(10)은 회수실(5)의 바닥부에 퇴적한다. 또, 하단부 개구(3a)는 좁기 때문에, 회수실(5) 내에 들어간 부착물(10)은 여과실(4)측으로 되돌아 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제거하여 회수실(5)에 들어간 부착물(10)이 여과실(4)측으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거된 부착물(10)이 중공사막(6a)의 외주면에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과 운전을 반복하고, 회수실(5) 내에 다량의 부착물(10)이 퇴적된다면, 원액(W1)의 공급을 일단 정지하다. 그리고 밸브(V4)를 개방 상태로 한다. 그러면, 회수실(5) 내의 원액(W1)과 동시에 부착물(10)을 배관(L3)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과 운전을 반복한다면, 중공사막(6a)의 표면에 부착물(10)이 부착되어 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밸브(V2, V3)를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밸브(V1, V4)를 개방 상태로 한다. 그리고 역세정용 공기(A2)를 역세정실(8)에 공급한다. 역세정실(8) 내에 저장되어 있던 깨끗한 여과액(W2)은 역세정용 공기(A2)에 의해 가압되어 중공사막 모듈(6)에 취입되고, 각 중공사막(6a)을 내주면측으로서 외주면측으로 취출하여 역세정을 한다. 이 때문에 중공사막(6a)에 부착해 둔 부착물이 박리되어 막힘 상태가 해소된다.
중공사막 모듈(6)은 여과 운전중에 있어서도 연속적으로, 부착물(10)의 제거가 행해지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중공사막(6a)의 표면에 부착하는 부착물의 양은 작기 때문에, 역세정을 함으로써 여과 능력은 대략 완전하게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 도1의 예로서는 깔때기 부재(3)를 구비하여, 여과통(2) 내를 여과실(4)과 회수실(5)에 구획하고 있지만, 깔때기 부재(3)를 구비하는 일없이, 여과통(2) 내를 하나의 방으로 한 채로 해 둘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원액(W1)의 분출에 의해, 중공사막 모듈(6)을 말총 모양으로 퍼지게 할 수 있고,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분출하는 원액(W1)에 의해 중공사막(6a)을 연속적으로 흔들려 여과 운전중에 있어서 부착물(10)의 박리·제거를 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와 동시에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단부를 묶고 하단부를 자유롭게 한 중공사막 모듈을 말총 모양으로 퍼지게 하는 상태로 하여 여과통(2) 내에 구비하고, 원액을 중공사막 모듈의 중앙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분출시키도록 했다.
이 때문에, 중공사막 모듈을 확실하게 퍼지게 할 수 있고, 중공사막 모듈의 내부로까지 원액을 고루 미치게 할 수 있으며, 여과 효율이 향상된다. 또 각 중공사막이 원액의 흐름에 접촉하여 진동하므로, 중공사막에 일단 부착된 부착물을 여과 운전중에 박리할 수 있다. 그리하여, 부착물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여 장시간에 걸쳐 연속 여과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 깔때기 부재에 의해, 여과통의 내부 공간을 여과실과 회수실로 구획했으므로, 회수실에 회수된 부착물이 여과실에 되돌아가는 일없이, 회수된 부착물이 중공사막 모듈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축 방향이 상방 방향에 따른 상태로 설치되는 여과통과,
    다수개의 중공사막의 상단부를 묶고 하단부를 자유롭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어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을 분출시켜 원액을 여과통 내에 주입하는 원액 주입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2. 축 방향이 상하 방향에 따른 상태로 설치되는 여과통과,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개구 면적이 좁혀지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 여과통의 내부를 상측의 여과실과 하측의 회수실로 구획하는 깔때기 부재와,
    다수개의 중공사막의 상단부를 묶고 하단부를 자유롭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어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을 분출시켜 원액을 여과실 내에 주입하는 원액 주입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3. 축 방향이 상하 방향에 따른 상태로 설치되는 여과통과,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개구 면적이 좁게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 여과통의 내부를 상측의 여과실과 하측의 회수실로 구획하는 깔때기 부재와,
    다수개의 중공사막의 상단부를 묶고 하단부를 자유롭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어 말총 모양으로 퍼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직경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원액을 분출시켜 원액을 여과실 내에 주입하는 원액 주입 수단과,
    상기 여과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투과하여 온 여과액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동시에, 역세정시에 유체 압박이 가해지는 역세정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내부 직경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상단부의 직경의 1.5 내지 3.0 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 주입 수단은 상기 여과통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또 상기 깔때기 부재의 하단부 개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부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중앙 위치에 삽입된 주입 파이프와, 이 주입 파이프 중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삽입된 부분에 형성된 분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 구멍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종방향으로 관하여, 상단부로부터 1/3의 위치와 상단부로부터 2/3의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 주입 수단은 원액 및 버블링용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KR1020010049437A 2000-08-18 2001-08-17 여과 장치 KR100632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48294 2000-08-18
JP2000248294A JP2002058968A (ja) 2000-08-18 2000-08-18 濾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742A true KR20020014742A (ko) 2002-02-25
KR100632318B1 KR100632318B1 (ko) 2006-10-11

Family

ID=1873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437A KR100632318B1 (ko) 2000-08-18 2001-08-17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20070157A1 (ko)
EP (1) EP1180391A3 (ko)
JP (1) JP2002058968A (ko)
KR (1) KR100632318B1 (ko)
CN (1) CN1176739C (ko)
SG (1) SG101996A1 (ko)
TW (1) TW49289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835A1 (ko) * 2013-02-25 2014-08-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 및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442779B1 (ko) * 2013-02-25 2014-09-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
KR20190129834A (ko) * 2017-03-29 2019-11-20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및 중공사막 여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832B2 (en) * 1995-08-11 2004-02-03 Zenon Environmental Inc. Method of potting hollow fiber membranes
CA2639642C (en) 1996-12-20 2013-01-15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Scouring method
DE10045227C1 (de) * 2000-09-13 2002-02-07 Vosenkaul Klaus Membranfilter für die Wasseraufbereitung
AUPR421501A0 (en) 2001-04-04 2001-05-03 U.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Potting method
AUPR692401A0 (en) 2001-08-09 2001-08-30 U.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Method of cleaning membrane modules
AUPR774201A0 (en) * 2001-09-18 2001-10-11 U.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High solids module
EP1312408B1 (en) * 2001-11-16 2006-07-19 U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Method of cleaning membranes
DE10161095C1 (de) * 2001-12-12 2002-11-07 Klaus Vosenkaul Verfahren zur Membranfiltration in Flüssigkeiten
AUPS300602A0 (en) 2002-06-18 2002-07-11 U.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Methods of minimising the effect of integrity loss in hollow fibre membrane modules
AU2003254384B2 (en) * 2002-08-21 2008-09-2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eration method
AU2002950934A0 (en) * 2002-08-21 2002-09-12 U. 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Aeration method
CA2501628C (en) 2002-10-10 2012-12-04 U.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A filtration and backwashing arrangement for membrane modules
AU2002953111A0 (en) 2002-12-05 2002-12-19 U. 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Mixing chamber
US8268176B2 (en) 2003-08-29 2012-09-18 Siemens Industry, Inc. Backwash
WO2005037414A1 (en) * 2003-10-20 2005-04-28 Krishnamurthi Rao C H Novel device for submerged ultrafiltration
ATE549075T1 (de) * 2003-11-14 2012-03-15 Siemens Industry Inc Verbessertes modulreinigungsverfahren
US20050194315A1 (en) * 2004-02-27 2005-09-08 Adams Nicholas W.H. Membrane batch filtration process
KR100453329B1 (ko) * 2004-03-08 2004-10-21 주식회사 나노엔텍 밀도 조절형 섬유사 정밀여과장치
US8758621B2 (en) 2004-03-26 2014-06-2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impure water using microfiltration or ultrafiltration in combination with reverse osmosis
CA2564007C (en) 2004-04-22 2011-05-31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Filt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membrane bioreactor and a treatment vessel for digesting organic materials
JP4958779B2 (ja) 2004-08-20 2012-06-20 シーメンス・ウォーター・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ョン 正方形のmbrマニホールド・システム
CA2579168C (en) 2004-09-07 2015-06-23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Membrane filtration with reduced volume cleaning step
US8506806B2 (en) 2004-09-14 2013-08-13 Siemens Indust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a membrane module
US8377305B2 (en) 2004-09-15 2013-02-19 Siemens Industry, Inc. Continuously variable aeration
CN100546701C (zh) 2004-12-24 2009-10-07 西门子水技术公司 简单的气体冲洗方法和装置
AU2005318930B2 (en) 2004-12-24 2010-06-0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Cleaning in membrane filtration systems
US9675938B2 (en) 2005-04-29 2017-06-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Chemical clean for membrane filter
NZ565795A (en) 2005-08-22 2011-03-31 Siemens Water Tech Corp An assembly for water filtration using a tube manifold to minimise backwash
US20070138090A1 (en) * 2005-10-05 2007-06-21 Jordan Edward J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WO2007044442A2 (en) * 2005-10-05 2007-04-19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FR2902782B1 (fr) * 2006-06-27 2010-08-27 Geopack Ind Procede de purification d'eau, module de filtration et installation correspondante
US8293098B2 (en) 2006-10-24 2012-10-23 Siemens Industry, Inc.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US8318028B2 (en) 2007-04-02 2012-11-27 Siemens Industry, Inc.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US9764288B2 (en) 2007-04-04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module protection
US7785479B1 (en) * 2007-05-01 2010-08-31 Michael Hays Hosford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US8622222B2 (en) 2007-05-29 2014-01-07 Siemens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JP2013500144A (ja) 2008-07-24 2013-01-07 シーメンス インダスト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濾過システムにおける濾過膜モジュールアレイに対して構造的支持を施すための方法および濾過システム
AU2009282912B2 (en) 2008-08-20 2014-11-2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mproved membrane system backwash energy efficiency
US7875176B2 (en) * 2009-03-06 2011-01-25 Porous Media Corporation Membrane module for fluid filtration
AU2010101488B4 (en) 2009-06-11 2013-05-02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cleaning a porous polymeric membrane and a kit for cleaning a porous polymeric membrane
US9914097B2 (en) 2010-04-30 2018-03-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flow distribution device
AU2011305377B2 (en) 2010-09-24 2014-11-20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control manifold for membrane filtration system
CA2850309C (en) 2011-09-30 2020-01-0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mproved manifold arrangement
EP3473320A1 (en) 2011-09-30 2019-04-2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solation valve
WO2014004645A1 (en) 2012-06-28 2014-01-03 Siemens Industry, Inc. A potting method
AU2013231145B2 (en) 2012-09-26 2017-08-1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potting methods
GB2520871B (en) 2012-09-26 2020-08-19 Evoqua Water Tech Llc Membrane securement device
EP2900356A1 (en) 2012-09-27 2015-08-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Gas scouring apparatus for immersed membranes
US20160051936A1 (en) * 2013-03-18 2016-02-25 Econity Co., Ltd. Central baffle and pressure-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its cleaning method
AU2014329869B2 (en) 2013-10-02 2018-06-1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US10322375B2 (en) 2015-07-14 2019-06-1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eration device for filtration system
JP6855444B2 (ja) * 2015-08-13 2021-04-07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Bayer HealthCare LLC 自らの交換可能な構成部品の寿命を判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指示するための装置、ならびにこのような判定および指示のための方法
KR102115106B1 (ko) 2015-11-19 2020-05-25 주식회사 쿠라레 중공사막 모듈 및 그 세정 방법
JP6122525B1 (ja) * 2016-03-29 2017-04-26 栗田工業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CN108043230A (zh) * 2017-12-05 2018-05-18 周宁县岩井泉饮品有限公司 一种超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4280U (ko) * 1972-12-07 1974-08-14
JPS54161341U (ko) * 1978-04-29 1979-11-12
US5062968A (en) * 1987-09-14 1991-11-05 Warning Theodore A Apparatus and process for filtering fluids
US5639373A (en) * 1995-08-11 1997-06-17 Zenon Environmental Inc. Vertical skein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method of maintaining clean fiber surfaces while filtering a substrate to withdraw a permeate
JPH04193332A (ja) * 1990-11-28 1992-07-13 Hitachi Ltd 逆洗中空糸膜フィルタ装置
JP2622044B2 (ja) * 1991-10-04 1997-06-18 東レ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760074A (ja) * 1993-08-27 1995-03-07 Kuraray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3409391B2 (ja) * 1993-10-01 2003-05-26 栗田工業株式会社 膜分離装置
JP3665086B2 (ja) * 1993-10-26 2005-06-2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膜式沈殿分離槽
JPH07185268A (ja) * 1993-12-28 1995-07-25 Toray Ind Inc 中空糸濾過膜エレメントおよびモジュール
DE03016134T1 (de) * 1995-08-11 2004-05-19 Zenon Environmental Inc., Oakville Membranmodul mit frei schwingenden Hohlfasermembranen
JP3675551B2 (ja) * 1996-02-13 2005-07-27 智 滝沢 浄水処理装置
JPH09262443A (ja) * 1996-03-29 1997-10-07 Sanki Eng Co Ltd 膜分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H10192667A (ja) * 1997-01-08 1998-07-28 Keizo Iwamoto 浄化用中空糸膜束の逆洗方法及び逆洗装置
JPH1133367A (ja) * 1997-07-24 1999-02-09 Mitsubishi Rayon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3686225B2 (ja) * 1997-08-29 2005-08-24 株式会社クラレ 中空糸膜モジュール
DE29804927U1 (de) * 1998-03-13 1998-06-10 Rochem Ro Wasserbehandlung Gmbh Vorrichtung zur Trennung von mit Fremdstoffen belasteten flüssigen Medien
TWI222895B (en) * 1998-09-25 2004-11-01 Usf Filtration & Separ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filtration modules
KR100340450B1 (ko) * 1998-12-19 2002-07-18 노수홍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JP2000317276A (ja) * 1999-05-12 2000-11-21 Zenken:Kk 濾過装置
JP2001104760A (ja) * 1999-10-05 2001-04-17 Mitsubishi Heavy Ind Ltd 浸漬型膜濾過装置、及び濾過膜の洗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835A1 (ko) * 2013-02-25 2014-08-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 및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442779B1 (ko) * 2013-02-25 2014-09-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
US9839880B2 (en) 2013-02-25 2017-12-12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Wonju Campu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20190129834A (ko) * 2017-03-29 2019-11-20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및 중공사막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0391A2 (en) 2002-02-20
US20020070157A1 (en) 2002-06-13
EP1180391A3 (en) 2002-02-27
KR100632318B1 (ko) 2006-10-11
SG101996A1 (en) 2004-02-27
CN1344582A (zh) 2002-04-17
CN1176739C (zh) 2004-11-24
JP2002058968A (ja) 2002-02-26
TW492892B (en) 200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318B1 (ko) 여과 장치
AU2004273534B2 (en) Improved methods of cleaning membrane modules
CN101039739B (zh) 从薄膜组件上去除固体的方法和设备
JP2000317276A (ja) 濾過装置
CN100435915C (zh) 外压式中空纤维膜组件
JPH07185268A (ja) 中空糸濾過膜エレメントおよびモジュール
NZ539349A (en) Filtration systems employing porous or permeable membranes located in a tank or cell open to atmosphere and a backwash method therefor
WO1996029142A1 (fr) Procede pour le dessalement de l&#39;eau de mer et dispositif correspondant
KR102349872B1 (ko)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및 중공사막 여과 장치
JPH11156166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5300209B2 (ja) フィルタ洗浄用ノズルを備えた懸濁物質濾過装置
KR100999038B1 (ko) 멤브레인 모듈
JP5949834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洗浄方法
KR100740048B1 (ko) 중공사막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JP3686225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S62155906A (ja) 中空糸濾過モジユ−ルの洗浄方法
JPH0713646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S6287206A (ja) 精密濾過用管材の洗浄方法
KR100740047B1 (ko) 중공사막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이단 수처리장치
JPH0667456B2 (ja) 濾過装置
KR100275928B1 (ko) 여과장치의 여과막 세척방법
JP4423525B2 (ja) 中空糸型選択透過性膜素子
JP2019000815A (ja) 中空糸膜濾過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JPH10277372A (ja) 膜ろ過装置
JP2006116497A (ja) 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