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483A -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483A
KR20020014483A KR1020000047806A KR20000047806A KR20020014483A KR 20020014483 A KR20020014483 A KR 20020014483A KR 1020000047806 A KR1020000047806 A KR 1020000047806A KR 20000047806 A KR20000047806 A KR 20000047806A KR 20020014483 A KR20020014483 A KR 2002001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ublication
book
pap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오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00004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483A/ko
Publication of KR2002001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서적 출판을 의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자화일 양식(e-book)의 서적 출판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의 취향에 맞는 출판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구성된 출판물을 활자로 인쇄된 종이 서적으로 받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화일 양식의 출판과 종이 서적 출판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서적 출판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에 있어서, 저작물의 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저작물의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하는 제 2 단계; 편집된 상기 저작물의 출판에 필요한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종이의 밑그림, 제본 종류, 표지 종류, 표지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판 형식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편집된상기 저작물을 상기 제 3 단계에서 선택된 출판 형식을 이용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뢰 받는 제 4 단계; 및 의뢰 받은 상기 저작물에 대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지시하며 출판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서적을 배송할 것을 지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서적 출판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Method For Requesting A Publication Of The Book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서적 출판을 의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란 컴퓨터와 이들 컴퓨터를 연결한 컴퓨터통신망의 집합체로서 이들 컴퓨터에 축적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하며, 이러한 인터넷은 전세계적인 통신망으로서 세계 어디서라도, 누구나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전자상거래(EC)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란 인터넷이나 PC 통신 등의 전자매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또는 전자 결재수단 등으로 유, 무형의 재화와 용역을 거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일반적으로 서적, 의류, 전자제품 등과 같이 형체가 있는 제품을 전자적 방법으로 주문하고 물리적인 운송 과정을 거쳐 수요자에게 배달되는 오프라인 거래와 소프트웨어, 영화, 음악 등과 같이 형체가 없는 제품을 전자적 방법으로 주문하고 전자적 전송(Download)으로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온라인 거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서적 출판에 있어서도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서적 출판의 역사는 전문 출판업자에 의한 종이 서적 출판 시스템으로부터시작하여 현재에는 온라인의 발전으로 인한 전자화일 양식(e-Book)의 출판 시스템으로 전환하려는 시대에 서있다. 이러한 전자화일 양식의 출판 시스템은 온라인 시스템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기는 하지만 종이 서적 출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화일 양식의 출판 시스템에도 나름대로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그 보급의 확대가 요원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종이 서적 출판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종이 서적 출판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출판사(120)는 작가(110)로부터 저작물을 제공받아 서적을 출판하게 되며, 출판된 서적은 서점(130)을 통해 독자(140)에게 전달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자들이 서적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출판사(120)와 서점(130)을 거치게 되므로 비용이나 절차면에서 비효율적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종이 서적 출판 시스템에 있어서는 편집, 출판 형식 선택 및 가격 형성의 과정에서 출판사(120)가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함으로써 책의 종류에 따른 가치부여를 실수요자인 독자(140)가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종이재질 및 색상, 제본형태, 표지종류, 표지그림 등의 선택 과정(편집 및 출판 형식 선택 과정)에서 출판사(120)가 독자적인 결정을 내리게 됨으로써 독자(140)들은 자신의 개성을 살린 자신만의 서적을 소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자화일 양식(e-Book) 출판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화일 양식의 출판 시스템은 현재 새로이 나타나고 있는 추세로서 유통마진을 없앤 저렴한 가격이 최대 강점이며 향후 수 십년 후의 주류양식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아직 낯선 양식으로 지금까지 낯익은 종이 형태의 서적에 비해 문자의 체득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현재 대부분의 모니터가 음극선 방식이어서 장기간 독서시 눈에 피로감을 주게되며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자화일 형태의 서적 판매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함께 종이 서적의 소장에서 느끼는 심적 포만감의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취급이 용이하고 눈에 부담을 안주는 모니터의 발전이 있기까지는 그 보급의 확대가 요원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화일 양식(e-book)의 서적 출판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의 취향에 맞는 출판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구성된 출판물을 활자로 인쇄된 종이 서적으로 받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화일 양식의 출판과 종이 서적 출판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종이 서적 출판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적 출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적 출판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사용자 단말기 320 : 네트워크
330 : 서비스 제공 시스템 340 : 출판 시스템
350 : 배송 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적 출판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에 있어서, 저작물의 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저작물의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하는 제 2 단계; 편집된 상기 저작물의 출판에 필요한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종이의 밑그림, 제본 종류, 표지 종류, 표지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판 형식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편집된 상기 저작물을 상기 제 3 단계에서 선택된 출판 형식을 이용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뢰 받는 제 4 단계; 및 의뢰 받은 상기 저작물에 대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지시하며 출판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서적을 배송할 것을 지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를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서적 출판 시스템에, 저작물의 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 기능; 상기 저작물의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하는 제 2 기능; 편집된 상기 저작물의 출판에 필요한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종이의 밑그림, 제본 종류, 표지 종류, 표지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판 형식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2 기능에서 편집된 상기 저작물을 상기 제 3 기능에서 선택된 출판 형식을이용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뢰 받는 제 4 기능; 및 의뢰 받은 상기 저작물에 대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지시하며 출판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서적을 배송할 것을 지시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적 출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출판사(인쇄업자 포함)(220)는 작가(저작자)(210)로부터 저작물을 제공받는 동시에, 독자(230)로부터 저작물의 출판에 따른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요구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서적(책, 잡지, 신문 등 모든 형태의 출판물을 말함)(이하, 간단히 "서적"이라 함)을 출판하여 직접 독자(230)에게 배송하게 된다. 즉,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서적 출판 시스템에서는 작가(110)로부터 독자(140)에게로 서적이 입수되는 과정이 일방적인 경로로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독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양방향성 서적 출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적 출판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2 에 도시된 서적 출판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적 출판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310),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의뢰 받은 출판물을 제작(인쇄)하기 위한 출판 시스템(340), 출판된 서적을 사용자에게 배송하기 위한 배송 시스템(350) 및 사용자 단말기와 각 시스템(330,340,350)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네트워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331), 사용자들의 인적 사항 및 의뢰 받은 출판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 관리부(333), 저작자(작가)들로부터 입수한 저작물을 분류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저작물 관리부(334), 사용자들이 서적을 출판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양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하기 위한 출판양식 관리부(335) 및 웹서버와 각 부(333,334, 335)간의 이동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판 시스템(340) 및 배송 시스템(3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업무 제휴한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영될 수 있으나,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30)내에 포함되어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의 운영자가 배송 시스템(350) 및 출판 시스템(340)을 모두 운영함으로써 저작물의 입수부터 출판된 서적물의 배송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을 단일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의 운영자는 작가(저작자)들로부터 저작물을 받아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402). 이때, 상기 저작물은 온라인 상에서 전자문서의 형태로 직접 작가들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인쇄형태의 저작물인 경우에는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전자문서화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외국 작가들의 저작물도 수시로 제공받을 수 있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각 저작물들을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404). 제공되는 문서 양식은 단순한 텍스트로서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들은 저작물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각종 신간 저작물들에 대한 관련 정보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은 홈페이지 상에서 다양한 저작물들을 열람할 수 있으며, 해당 저작물을 서적으로 제작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간단한 인적사항을 기재한 후 저작물 출판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들어오게 된다(406).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회원 관리부(333)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사용자가 출판 사이트로 로그인하여 들어오면 제어부(332)는 저작물 관리부(334)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저작물의 리스트를 읽어와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저작물을 선택하게 된다(408). 이때, 저작물의 리스트 제공과 함께 회원들로 하여금 편집 방법을 선택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회원들을 서비스 이용 숙달 정도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는데 우선 초보자인 경우에는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단순히 여러 형태의 템플릿을 제공해서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출판을 의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이용 상급자인 경우에는 사용자 스스로 자기가 원하는 책의 구성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때, 각 구성요소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편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편집이란 용어는 광의적으로 쓰인 것으로써 다음의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 의미로서 협의의 편집이 있는데 이것은 저작물의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 등 저작물 자체를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410). 두 번째 의미로서 출판 형식의 선택 과정을 말하는데 이것은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제본의 종류, 표지의 형태, 표지그림 등 출판될 서적의 외형적인 요소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말한다(412).
이때, 초급자 과정에서는 협의의 편집과 출판 형식의 선택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합할 수는 없으며 이미 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므로, 저작물 편집 과정(410)과 출판 형식 선택 과정(412)의 구별이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급자 과정에서는 편집 과정(410)과 출판 형식의 선택 과정(412)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두 과정을 나누어 설명하였다.
즉, 상기에서 편집 방법을 선택한다는 것은 초급자 과정 또는 상급자 과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광의의 편집을 협의의 편집 과정과 출판 형식의 선택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초급자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급자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서적으로 출판될 경우의 유형을 다양한 예를 들어 제시한다. 즉, 서적 출판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인 편집(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 등의 선택 방법), 종이의 재질, 종이의바탕색(여기서 말하는 바탕색이라 함은 색상뿐만 아니라 모양도 포함함), 글자의 크기, 제본의 종류, 표지의 종류, 표지 그림 등(출판 형식)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제시된 유형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410,412).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유형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서적 유형을 선택하여 출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급자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급자 과정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사용자가 직접 조합하거나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우선 자신이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편집을 하게 된다(410). 이 과정(410)은 상기에서 설명한 협의의 편집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편집이라 함은 서적, 잡지, 신문 등의 간행을 위해 자료를 모아서 배열하고 형식을 갖추는 것을 말하며, 사용자는 글자체(바탕체, 고딕체 등),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1단 배열, 2단 배열 또는 문장의 구성 모양 등) 등을 자신이 원하는 데로 선택하여 자유롭게 저작물을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선택한 하나의 저작물에 한해서만 편집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여러 개의 저작물을 이용하여 하나의 서적으로 편집 할 수도 있다. 즉, 여러 개의 서적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을 발췌하여 하나의 출판물로 편집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출판물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기본적인 편집이 끝나게 되면 서적 출판시 고려되어야 할출판 형식(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제본 종류, 표지 종류, 표지 그림 등)을 선택하게 되는데, 먼저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등을 선택하게 된다(412).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출판양식 관리부(335)에서 제공된다. 이때, 종이의 바탕색의 선택에 있어서는 색상뿐만 아니라 밑그림도 추가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로 이미 구축되어 있는 밑그림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그린 밑그림을 불러와 추가시킬 수도 있다.
편집과 종이의 재질 및 바탕색이 결정되면 제본의 종류를 선택하게 된다. 제본이라 함은 인쇄된 종이를 순서에 따라 모아서 읽기 쉽게 책으로 엮는 것을 말하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표지를 싸서 한쪽에만 풀칠을 해서 뭉치를 만드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제본 방식 중 사용자들이 원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본의 방향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즉, 책의 위를 엮을 것인지 아니면 왼쪽, 오른쪽 중 어느 방향을 엮을 것인지에 대하여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표지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카바로 할 것인지 종이로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제본의 종류 및 표지 종류가 선택되면 표지로 쓰일 그림을 선택하게 된다. 즉, 출판물의 표지를 자신이 취향에 맞게 꾸미는 작업으로써 기본적으로 원하는 표지그림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종이의 바탕색 선택과정과 같이 이미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표지 그림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자신이 직접 그린 표지 그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출판물의 앞표지 그림뿐만 아니라 원하는 경우에는 옆면과 뒷면에 대하여도 그림을 추가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저작물의 편집부터 표지 그림 선정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출판과정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자신이 직접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자신의 개성이 담긴 출판물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의 모든 선택과정이 종료되었으면, 사용자는 선택한 유형에 따른 출판물을 인터넷 상에서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으며, 확인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선택한 유형으로 출판해 줄 것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에 의뢰한다(414).
출판을 의뢰 받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의 제어부(332)는 사용자 정보와 의뢰 받은 출판물 정보를 회원 관리부(333)에 저장한 후 출판 시스템(340)에 상기 출판물을 제작하도록 지시한다(416).
이후, 출판물이 제작되면 배송 시스템(350)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출판물을 배송 함으로써 사용자가 활자로 인쇄된 서적을 읽어볼 수 있도록 한다(418).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판 시스템(340) 및 배송 시스템(350)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과 업무 제휴한 업체이거나,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의 한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 서적 출판에서부터 배송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는 불필요한 유통과정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책의 구성에 대한 권리를 수요자인 독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각자의 취향에 맞는 출판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에 미숙한 사용자들을 위하여 이미 구축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새로움 및 개성이 강한 N세대 및 큰 글씨를 선호하는 노년층 등 다양한 수요자들의 서적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가와 인쇄소와 독자를 연결해주는 정보교류의 기능을 강화하여 서점이라는 유통단계를 생략함으로 단가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을 확보하여 도서보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서적 출판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에 있어서,
    저작물의 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저작물의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하는 제 2 단계;
    편집된 상기 저작물의 출판에 필요한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종이의 밑그림, 제본 종류, 표지 종류, 표지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판 형식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편집된 상기 저작물을 상기 제 3 단계에서 선택된 출판 형식을 이용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뢰 받는 제 4 단계; 및
    의뢰 받은 상기 저작물에 대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지시하며 출판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서적을 배송할 것을 지시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의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그 편집,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제본 종류, 표지 종류, 표지 그림의 조합을 달리한 다수개의 유형을 제시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하나의 유형을 선택하도록 한 후, 그 유형에 따른 서적 출판을 의뢰 받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의 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종이의 밑그림 또는 표지 그림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저작물은, 온라인 상에서 전자문서의 형태로 직접 작가들로부터 입력받은 것이거나 또는 인쇄형태의 저작물에 대하여 전자문서화를 통해 입력받은 저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6.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를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서적 출판 시스템에,
    저작물의 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 기능;
    상기 저작물의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문장의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하는 제 2 기능;
    편집된 상기 저작물의 출판에 필요한 종이의 재질, 종이의 바탕색, 종이의 밑그림, 제본 종류, 표지 종류, 표지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판 형식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2 기능에서 편집된 상기 저작물을 상기 제 3 기능에서 선택된 출판 형식을 이용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뢰 받는 제 4 기능; 및
    의뢰 받은 상기 저작물에 대하여 서적으로 출판할 것을 지시하며 출판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서적을 배송할 것을 지시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47806A 2000-08-18 2000-08-18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KR20020014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806A KR20020014483A (ko) 2000-08-18 2000-08-18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806A KR20020014483A (ko) 2000-08-18 2000-08-18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483A true KR20020014483A (ko) 2002-02-25

Family

ID=1968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806A KR20020014483A (ko) 2000-08-18 2000-08-18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48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77A (ko) * 2000-09-01 2002-03-08 전창오 인터넷상의 사이버 출판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43539A (ko) * 2002-05-23 2002-06-10 설명성 인터넷을 통한 공책 주문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78090A (ko) * 2002-03-28 2003-10-08 이수진 인터넷을 이용한 cd 이미지 제작 방법
KR20030095415A (ko) * 2002-06-10 2003-12-24 최덕영 학습자주문형 눈높이 맞춤학습교재 제작 서비스 시스템
KR100461023B1 (ko) * 2002-04-11 2004-12-09 김기서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개인 전자도서 편집 서비스 시스템
KR100858103B1 (ko) * 2008-02-18 2008-09-11 유니닥스주식회사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77A (ko) * 2000-09-01 2002-03-08 전창오 인터넷상의 사이버 출판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8090A (ko) * 2002-03-28 2003-10-08 이수진 인터넷을 이용한 cd 이미지 제작 방법
KR100461023B1 (ko) * 2002-04-11 2004-12-09 김기서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개인 전자도서 편집 서비스 시스템
KR20020043539A (ko) * 2002-05-23 2002-06-10 설명성 인터넷을 통한 공책 주문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5415A (ko) * 2002-06-10 2003-12-24 최덕영 학습자주문형 눈높이 맞춤학습교재 제작 서비스 시스템
KR100858103B1 (ko) * 2008-02-18 2008-09-11 유니닥스주식회사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55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created advertisements
US8719696B2 (en) Production of documents
US200602128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ccess media production
US20030140315A1 (en) Print on demand virtual builder
US7412659B2 (en) Colorized template previews
US200602362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eloping dynamic media productions
US20110066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ublication and Fund Raising
US20080052620A1 (en) Method and server system for enabling a customer to create a customized publication through the internet
KR20000037464A (ko) 구매자의 편집에 의한 맞춤전자책의 생성방법 및 그 장치
McGovern et al. The Web Content Style Guide: An Essential Reference for Online Writers, Editors, and Managers
KR20090003460A (ko) 네트워크 기반의 출판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US200701570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urposing content objects for media production
KR20020014483A (ko)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KR2000002468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전단지 제작 시스템
US200701437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format media production
US200701503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media production
Jenner et al. The Entrepreneurial linguist: The Business-School approach to freelance translation
US20140233065A1 (en) Proofing of a Product Over a Network
KR20060106103A (ko) 인터넷을 통한 홍보물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US20070139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media products
US20070094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media production
WO200602310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media products
KR20090073604A (ko) 전자출판물의 구독방법
De Sarat Book House: Bookselling, a noble profession
McEvansoneya Re-reading the Moxon Tenny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