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399A -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399A
KR20020014399A KR1020000047663A KR20000047663A KR20020014399A KR 20020014399 A KR20020014399 A KR 20020014399A KR 1020000047663 A KR1020000047663 A KR 1020000047663A KR 20000047663 A KR20000047663 A KR 20000047663A KR 20020014399 A KR20020014399 A KR 20020014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r
rear cover
monito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김홍기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이미지퀘스트(주) filed Critical 김홍기
Priority to KR102000004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399A/ko
Publication of KR2002001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측 하부에 가이드 부(11)가 돌출되어 형성된 모니터 본체 후면 커버(10)와;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단으로 구성되며, 소직경의 단(21)에 상기의 가이드 부(1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2)을 갖는 바(20)와; 상기 바(20)를 수용하며 상기 바의 대직경의 단(2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홈(31)을 갖는 전방 스탠드(30)와; 상기 후면 커버(10)와 힌지(41)로 결합되는 후방 스탠드(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for monitor's stand}
본 발명은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가의 힌지 사용을 줄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 CRT 모니터 대신에 LCD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설치공간이 적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전자파의 발생이 적다는 점에서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LCD 모니터의 스탠드 구조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도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본체의 후면 커버(10)와 이 후면 커버에 부착된 전방 스탠드(30)와 후방 스탠드(40)로 구성되는 구조가 스탠드의 부피를 최소화시킴은 물론 분해조림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스탠드 장착 구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힌지(1)를 사용하여 힌지의 고정 아암(2)을 본체의 후면 커버(10)에 고정하고 나머지 2개의 회동아암(3)을 전방 스탠드(30)와 후방 스탠드(4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두개의 스탠드가 접힌 상태로 운반하고 사용시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스탠드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2중 힌지(1)는 모니터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모니터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패킹등의 자재를 사용하므로 비교적 고가이다. 모니터가 사용되는 대부분의 경우뒤로 젖혀져서 사용되므로 상기와 같은 장착 구조에서 후방 스탠드(40)에는 많은 하중이 가해지는 반면에 전방 스탠드(30)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하중이 가해지므로 고가인 힌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전방 스탠드에도 힌지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스탠드에는 비교적 작은 하중이 가해진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힌지대신에 비교적 저가의 자재를 사용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모니터 스탠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모니터 스탠드 장착구조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모니터 스탠드 장착구조의 후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 장착구조의 일 실시예 중 전방 스탠드의 평면도이다.
도4a, 4b 및 4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 장착구조의 일 실시예의 중 바에 대한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후면 커버와 바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6은 도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2중 힌지, 10 …후면 커버,
11 …가이드 부, 20 …바,
22 …가이드 홈, 24 …홀,
30 …전방 스탠드, 31 …원통형 홈,
40 …후방 스탠드, 41 …힌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 하부에 가이드 부(11)가 돌출되어 형성된 모니터 본체 후면 커버(10)와;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단으로 구성되며, 소직경의 단(21)에 상기의 가이드 부(1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2)을 갖는 바(20)와; 상기 바(20)를 수용하며 상기 바의 대직경의 단(2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홈(31)을 갖는 전방 스탠드(30)와; 상기 후면 커버(10)와 힌지(41)로 결합되는 후방 스탠드(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모니터 스탠드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20)의 외주면이 단절되고, 별도의 후면 커버(10)와의 결합을 위한 홀(24)을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 장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탠드(30)는 'U'자 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에는 후술할 바(bar)(20)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홈(31)의 내부 직경은 바(20)의 대직경의 단(23)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되어있는데, 이는 바(20)와 원통형 홈(31)을 억지맞춤으로 결합하여 바(20)가 원통형 홈(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바(20)의 외면과 원통형 홈(31)의 내면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종래의 힌지가 하던 역할을 대신하게 한 것이다.
한편, 도4a 내지 도4c를 참조하면 상기의 바(20)는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직경의 단(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스탠드(30)와 결합하며 소직경의 단(21)은 후술할 후면 커버(10)의 안쪽에 체결된다.
상기 소직경의 단(21)의 외면에는 가이드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홈(22)은 후술할 후면 커버(10)의 가이드 부(11)와 체결되어 전방 스탠드(30)가 회동시에 상기의 바(20)가 전방 스탠드의 회동에 의해서 같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바(20)의 외주면이 단절되어 있는 것이 좋은데 이로인해 상기 전방 스탠드(30)의 원통형 홈(31)내에 바(20)를 삽입하는 경우에 단절된 간격만큼 바(20)가 압축될 수 있어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완전히 삽입이 된 후에는 바(20)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서 다시 팽창하려하므로 원통형 홈(31)의 내벽을 밀게되어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20)의 가이드 홈(22)의 면에는 상기후면 커버(10)와의 결합을 위한 홀(2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홀(24)에는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어 후면 커버와 바의 체결을 더욱 확실하게 한다.
도5를 참조하면 후면 커버(10)의 안쪽에는 가이드 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가이드 홈(22)에 삽입되게 된다.
도6에는 상기 후면 커버(10), 전방 스탠드(30) 그리고 후방 스탠드(40)가 조립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스탠드(40)는 후면 커버(10)와 힌지로 결합되어 있고 전방 스탠드(30)는 후방 스탠드의 내부 공간에 포함된 상태로 후면 커버(10)와 바(2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의 전방 스탠드(30)는 바(20)의 대직경의 단(23)과 결합되고 상기 바(20)는 가이드 부(11)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바(20)를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고 바(20)와 원통형 홈(31)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후방 스탠드(40)는 일반적인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역시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반시에는 상기 전방 스탠드(30)와 후방 스탠드(40)을 접어서 부치를 최소화하고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전방 스탠드(30)와 후방 스탠드(40)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비교적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전방 스탠드(30)에 고가의 힌지 대신에 비교적 저가인 바(20)를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부피의 최소화 및 조립공수의 절감이라는 장점을 희생하지 않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측 하부에 가이드 부(11)가 돌출되어 형성된 모니터 본체 후면 커버(10)와;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형 단으로 구성되며, 소직경의 단(21)에 상기의 가이드 부(1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2)을 갖는 바(20)와; 상기 바(20)를 수용하며 상기 바의 대직경의 단(2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홈(31)을 갖는 전방 스탠드(30)와; 상기 후면 커버(10)와 힌지(41)로 결합되는 후방 스탠드(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20)의 외주면이 단절되고, 별도의 후면 커버(10)와의 결합을 위한 홀(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KR1020000047663A 2000-08-18 2000-08-18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KR20020014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663A KR20020014399A (ko) 2000-08-18 2000-08-18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663A KR20020014399A (ko) 2000-08-18 2000-08-18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399A true KR20020014399A (ko) 2002-02-25

Family

ID=1968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663A KR20020014399A (ko) 2000-08-18 2000-08-18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3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999B2 (en) 2003-08-0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999B2 (en) 2003-08-0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9371A (en) Pivoting joint
US6886701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for wall mounting
US5492350A (en) Foldable frame member for a foldable bicycle
US20020179801A1 (en) Grade control apparatus of display set for tapestry
CA2265261A1 (en) Anchor bolt for friable material
US6381808B1 (en) Hinge used for note-type computer
KR100658836B1 (ko) 스탠드 장치
EP1054168A3 (de) Verbindungsbeschla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Möbelteile
CA2384323A1 (en) Joint assembly to resist galling
WO2001035010A3 (en) Control line coupling and tubular string-control line assembly employing same
KR200501085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14399A (ko)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USD459961S1 (en) Extendable spline-drive socket assembly
US6168342B1 (en) Pivot joint for use in a computer
AU7224398A (en) Joint forming devices
US20020094231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mirror support and a mirror body
JP4065753B2 (ja) 機器の梱包方法
USD423073S (en) Fishing line reeling device
CA2212971A1 (fr) Ferrure d'articulation, notamment un support d'angle, pour porte, fenetre ou analogue
TWI256433B (en) Hinge with catch function
JPH08252137A (ja) 家具の転倒防止装置
USD421920S (en) Wristwatch
JPS5923169Y2 (ja) ポ−ル支持具
CN220059118U (zh) 一种汽车帐篷用支撑结构和汽车车顶帐篷
CN214384625U (zh) 铰接机构及应用其的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