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331A -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331A
KR20020013331A KR1020000047036A KR20000047036A KR20020013331A KR 20020013331 A KR20020013331 A KR 20020013331A KR 1020000047036 A KR1020000047036 A KR 1020000047036A KR 20000047036 A KR20000047036 A KR 20000047036A KR 20020013331 A KR20020013331 A KR 2002001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frigerator
water supply
supply tank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3331A/ko
Publication of KR2002001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33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8Quick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스부를 포함한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의 댐퍼에서 공급되는 냉기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여 냉장고 내의 급수탱크에 직접냉기를 공급하므로 급수탱크의 물을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을 위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디스펜스의 동작시간을 기억한다. 그리고, 동작시간 만큼 냉장고의 댐퍼를 구동하여 냉기가 급수탱크 방향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여 급수탱크 안으로 새로 공급된 물이 신속하게 냉각시킨다.

Description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Cooling WaterTank Apparatus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펜스의 동작에 따라 냉장고 내의 댐퍼에서 공급되는 냉기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므로 냉장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출 수 있는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상변화를 통하여 발생시킨 냉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하여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저온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다기능, 대형화 추세에 따라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 내부의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 기능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디스펜스란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디스펜스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스를 이용하여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의 디스펜스를 통해 취수되는 물은 냉장고 외부 급수 장치로부터 급수관을 통해 냉장고 내에 위치하는 급수탱크에 저장된 후 급수관을 통하여 디스펜스로 공급된다.
상기 디스펜스를 통해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디스펜스에 부착된 키를 이용하여 디스펜스 구동부를 동작해야 한다.
상기 디스펜스의 입력키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감지하고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펜스 구동부에 전달하므로 급수탱크의 물을 디스펜스에서 취수하도록 한다.
다음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을 위한 제어장치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표시부(20), 키입력부(30), 댐퍼구동부(40), 전원부(50), 디스펜스 구동부(60), 고내온도 감지부(70), 그리고 급수 탱크 온도 감지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부들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신호를 보내거나 신호를 받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냉장고의 각 구성부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입력되는 신호들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냉장고가 동작하도록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부(30)에서는 디스펜스나 냉장고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입력키에 정의된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20)는 상기 냉장고의 동작상태나 진행과정을 사용자가 파악 할수 있도록 상기 냉장고외부에 표시창을 이용하여 문자 혹은 그래픽의 상태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50)는 상기 냉장고에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각 구성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일을 수행한다.
고내 온도 감지부(20)는 냉장실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공급하므로서 냉장실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급수탱크 온도 감지부(80)는 상기 외부 급수장치에서 급수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급수탱크 주위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감지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댐퍼 구동부(40)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하여 냉장고 내로 유입되는 냉기를 공급/차단하는 댐퍼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 폐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펜스 구동부(60)는 사용자가 물을 취수 할 수 있도록 급수탱크의 물을 급수관을 통해 상기 디스펜스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사용자가 디스펜스 입력키를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가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디스펜스 구동부(6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므로 구동하게 된다.
다음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코드를 통해 전원이 상기 냉장고에 공급되면 상기 전원부(50)는 입력된 전원을 각 구성부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는 상기 표시부(2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냉장고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하고, 키입력부(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동작을 명령하면 상기 표시부(20)를 이용하여 동작상태를 보여준다.
고내 온도 감지부(70)에서는 상기 냉장고의 고내온도를 감지하고, 온도값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냉장고의 키입력부(30)을 통해 소정의 온도를 명령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고내 온도 감지부(70)에서 전달된 온도값과 비교한다. 만약, 고내 온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 보다 높다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댐퍼구동부(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댐퍼를 구동한다.
상기 댐퍼를 구동하여 냉기가 냉장고 안으로 많이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의 내부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이르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고내 온도가 낮다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댐퍼구동부(4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다음은 도 2를 가지고 상기 디스펜스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물을 취수 하기 위해 디스펜스의 스위치를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디스펜스의 스위치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는 급수탱크(250)의 물이 급수관(290)을 통해 상기 디스펜스(270)에 공급되도록 제어신호를 보내어 물이 취수 되도록 한다.
물이 취수됨으로 인해 상기 급수탱크(250)에는 취수된 만큼의 물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급수탱크(250)는 물의 양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 급수장치(230)로부터 물을 공급 받게된다.
한편, 외부 급수장치(230)로부터 급수관(280)을 통해 상기 급수탱크(250)에 유입되는 새로운 물은 급수탱크(250)에 저장되어 있던 물 보다는 온도가 높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스(270)를 통해 물을 연속으로 취수하는 경우, 외부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새로운 물이 급수탱크(250) 내부로 계속 유입되므로 급수탱크(250)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고내 급수탱크(250)의 온도가 상승하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고내 온도 역시 상승하게 되고, 이때 고내 온도감지부(210)가 고내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는 고내온도가 상승된 것을 파악하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온도로 냉장고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댐퍼구동부(60)에 동작신호를 보낸다.
상기 댐퍼구동부(60)는 냉기가 상기 냉장고 내부에 많이 유입되도록 대퍼를 구동하여 상기 냉장고의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상기 냉기에 의해 고내의 온도가 감소되면 상기 급수탱크(250)의 온도 역시 고내온도에 의해 감소되어 사용자에게 시원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펜스(270)를 통해 물을 많이 취수하면 급수탱크(250)내부에는 새로운 물이 많이 유입된다.
새로운 물의 유입으로 상기 급수탱크(250)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의 온도변화가 상기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외부에서 유입된 물로 이하여 고내 온도가 상승되고, 이렇게 상승된 온도를 상기 고내온도 감지부(220)에 감지하여, 상기 급수탱크의 온도를 다시 낮추기 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급수탱크에 유입된 새로운 물이 냉각되기 까지 사용자는 시원한 물을 취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대안으로 상기 급수탱크(25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급수탱크(250) 온도감지부(220)를 부착하여 감지하는 방법이 있으나, 급수탱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더불어 감지부를 동작하기 위한 여러부품이 함께 추가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스펜스구동을 감지하여 급수탱크에 냉기를 공급하므로서 외부에서 급수탱크에 유입되는 새로운 물을 신속하게 냉각하여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300 : 댐퍼 210, 310 : 고내온도 감지부
270, 370 : 디스펜스 220 : 급수탱크 감지부
250, 350 : 급수탱크 289, 290, 380, 390 : 급수관
230, 330 : 외부 급수장치
305 : 유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고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임시저장하여 냉각시키는 급수탱크와, 급수탱크주위로 냉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댐퍼와, 급수탱크에 보관된 물을 고외로 취출하는 물 취출수단과, 상기 물 취출수단의 신호를 입력받아 댐퍼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디스펜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의 디스펜스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감지에 따라 급수탱크로 향하는 냉기 통로상에 위치한 댐퍼를 일정시간 개방하는 단계로 구성된 냉장고의 디스펜스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을 위한 제어장치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와 전원부(55), 표시부(25), 키입력부(35), 댐퍼구동부(45), 디스펜서구동부(65), 그리고 고내온도감지부(75)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15)는 냉장고를 제어하는 각 구성부들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냉장고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부(55)에서는 입력되는 전원을 각 구성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상기 표시부(25)는 냉장고의 동작상태나 사용자가 키를 선택한 상태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구성부이며 상기 키입력부(35)는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상기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명령을 전달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댐퍼구동부(45)는 냉장고의 열교환기에서 생성하여 상기 냉장고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며, 또한 외부의 물이 유입되어 온도가 높아지는 급수탱크의 온도를 낮추기위한 기능을 겸하여 이용된다.
상기 디스펜스 구동부(65)는 상기 냉장고 내부의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디스펜스를 통해 취출받을 수 있도록 동작하는 구성부이다.
다음은 도 4를 가지고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냉각장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물을 취수하기 위해 상기 냉장고의 디스펜스(370)에 존재하는 입력키(도시하지 않음)를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펜스 구동부를 동작한다.
상기 디스펜스 구동부는 급수탱크(350)의 물이 급수관(390)을 통해 상기 디스펜스(370)에 공급되도록 동작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스(37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펜스(370)에서 물이 취수되는 시간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펜스(370)가 동작한 시간을 기억한다.
사용자가 물을 취수하므로서 급수탱크(350) 내부에는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급수탱크(350)는 급수관(380)을 이용하여 외부의 급수장치에서 새로운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외부급수장치에서 급수탱크(350)에 유입된 새로운 물은 급수탱크(350) 내부의 물보다는 온도가 높으므로 급수탱크(3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급수탱크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급수탱크(35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디스펜스(370)가 동작하였을시 감지한 시간을 계산하여 냉기가 냉장고에 유입되도록 댐퍼(300)를 동작한다.
상기 댐퍼(300)의 동작으로 냉기는 유로(305)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350)에 직접 공급하게 되어 상기 급수탱크(350)의 온도를 낮춘다.
냉기가 급수탱크(350)에 일정시간 공급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댐펌구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냉기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댐퍼(300)를 제어하여 급수탱크(350)가 고내온도와 같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급수탱크(350)의 급속냉각 동작원리를 도 5의 흐름도를 가지고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디스펜서(370)가 구동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제 100단계).
만약, 상기 디스펜서(370)가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급수탱크에 새로운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것이므로 급수탱크를 냉각시키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흐름도의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디스펜스(370) 구동을 확인하게 되면 제 1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 130단계는 냉장고에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제어하는 댐퍼의 구동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만약, 댐퍼가 이미 구동하여 냉기를 냉장고에 유입하고 있었다면, 새로운 물이 유입된 상기 급수탱크에는 냉기가 공급되어 온도를 낮추는 동작을 하게되므로 제 170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댐퍼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물이 유입되어 온도가 높아진 상기 급수탱크의 온도를 낮추기위해 제 1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 150단계는 댐퍼(300)를 여는 단계이다.
상기 제 150단계에 의해 댐퍼(300)가 열리면, 냉기가 유로(305)를 통해서 급수탱크(350)에 공급된다.
상기 댐퍼(300)의 동작으로 상기 급수탱크(350)는 냉각된다.(제 170단계)
상기 급수탱크(350)의 냉각을 위해 댐퍼(300)가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디스펜스(370)의 동작시간에 비례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급수탱크 온도감지부가 부착되지 않아도 디스펜스의 구동시간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시간만큼 댐퍼를 보상 구동하므로 급수탱크의 물을 빠르게 냉각시킬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급수탱크의 급속 냉각장치는 디스펜스의 동작을 기억하고 상기 디스펜스의 동작에 비례하여 냉장고의 댐퍼를 구동한다. 이때, 댐퍼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는 유로를 이용하여 급수탱크에 직접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내 보관중이던 물이 취출된 직후, 외부로 부터 유입된 하므로 외부에서 공급된 물의 온도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탱크의 급속냉각 동작을 위해 냉동센서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냉장고의 디스펜스장치에 있어서,
    고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임시저장하여 냉각시키는 급수탱크와;
    급수탱크 주위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댐퍼와;
    급수탱크에 보관된 물을 고외로 취출하는 물취출수단과;
    상기 물취출수단의 신호를 입력받아 댐퍼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펜스장치.
  2. 냉장고의 디스펜스 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디스펜스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감지에 따라 급수탱크로 향하는 냉기 통로상에 위치한 댐퍼를 일정시간 개방하는 단계로 구성된 냉장고의 디스펜스제어방법.
KR1020000047036A 2000-08-14 2000-08-14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 KR20020013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036A KR20020013331A (ko) 2000-08-14 2000-08-14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036A KR20020013331A (ko) 2000-08-14 2000-08-14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331A true KR20020013331A (ko) 2002-02-20

Family

ID=1968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036A KR20020013331A (ko) 2000-08-14 2000-08-14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33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21B1 (ko) * 2005-09-2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물통
CN102927764A (zh) * 2012-11-26 2013-02-1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水箱及冰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21B1 (ko) * 2005-09-2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물통
CN102927764A (zh) * 2012-11-26 2013-02-1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水箱及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470B2 (en)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ice maker and method thereof
US6658878B2 (en) Multi-compartment typ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16796A1 (en) Cooling stor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for the cooling storage
KR20000018473A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9170102A1 (zh) 饮水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19990001157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및 냉기제어방법
JP2002081816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KR20020013331A (ko) 냉장고 급수 탱크의 급속냉각 장치
KR20040057156A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JP2008057918A (ja) 冷蔵庫
KR100377767B1 (ko) 냉장 시스템
US20090090123A1 (en) Refrigerator Controlling Water Suppl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18880B1 (ko) 냉장고용 팬 제어장치 및 방법
JPH09264649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KR100389399B1 (ko) 김치냉장고용 댐퍼 결빙방지 장치및 방법
KR100438952B1 (ko) 냉각장치의 냉기공급방법
KR100518879B1 (ko) 냉장고용 팬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63354B1 (ko) 서랍방의 팬쿨링제어방법및 이를 구현하는 김치냉장고
KR20050087538A (ko) 탄산수온도설정 냉장고 및 방법
KR100550122B1 (ko) 도어개방이 용이한 냉장고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011902B2 (ja) 冷蔵庫
KR20000032980A (ko) 냉장고의 홈바룸 온도제어 장치
CN100417901C (zh) 冰箱加热器的控制装置及方法
KR100885069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18878B1 (ko) 냉장고용 팬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