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442A -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위치 키 - Google Patents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위치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442A
KR20020011442A KR1020017016308A KR20017016308A KR20020011442A KR 20020011442 A KR20020011442 A KR 20020011442A KR 1020017016308 A KR1020017016308 A KR 1020017016308A KR 20017016308 A KR20017016308 A KR 20017016308A KR 20020011442 A KR20020011442 A KR 20020011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ridge
edge portion
rows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베르토 비. 사바토
Original Assignee
알베르토 비. 사바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Q1115A external-priority patent/AUPQ111599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Q4525A external-priority patent/AUPQ452599A0/en
Application filed by 알베르토 비. 사바토 filed Critical 알베르토 비. 사바토
Publication of KR2002001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엣지부(3), 사용자와 인접한 하단 엣지부(4), 좌측 엣지부(5) 및 우측 엣지부(6)를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2)을 갖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키(21)를 개시하며, 키는 상단 엣지부(3) 또는 하단 엣지부(4)와 인접하고 일반적으로 이와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릿지(22) 및 좌측 또는 우측부(5, 6) 상의 릿지를 더 포함한다. 키들의 열 또는 블록(block)의 촉각 확인을 제공하기 위하여 키들은 키보드 또는 키패드 상에 정렬될 수 있다.

Description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위치 키{A locating key for a keyboard or keypad}
다수의 현대 전자 장치들이 장치로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어떤 종류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갖추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키보드는 일반적인 가정용 및 사무용 개인 컴퓨터(PC) 키보드의 형태이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키패드는 이동 전화의 키패드이다.
키보드를 참고하면, 일반적인 키보드들중 하나를 이용한 가장 보편적으로 권장된 입력 방법은 "터치 타이핑(touch typing)" 방법이다. 이 방법은 키보드 레이아웃 (layout)을 기억시키도록 사용자를 간단히 훈련시켜 사용자가 키보드를 보지 않고서도 충분히 그들의 모든 손가락을 이용하여 타이핑할 수 있게 한다. 이 방법은 꾸준한 훈련에 의해서 그리고 각 손가락을 특정 키 그룹에 할당함으로서 이루어진다.
특히, "터치 타이핑" 방법은 각 손가락을 "홈 키(home key)" 위에 가볍게 위치시키며, 예를 들어, "qwerty" 키보드에서, 이들 홈 키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asdf"와 "jkl;"이다. 그 후, 엄지손가락들은 스페이스 바(space bar) 위에 위치한다. 각 손가락은 그 홈 키 상에 가볍게 놓여지며, 손가락이 홈 키의 바로 위 또는 밑의 키들 또는 각 집게손가락의 경우 홈 키의 바로 옆의 키를 치기 위하여 도달하지 않는 한 각 손가락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 후 손가락은 그 홈 키로 신속하게 복귀한다. 따라서, 각 손가락은 두드려야할 특정 키들만을 갖는다.
훈련되지 않은 키보드 조작자들은 "일일이 보고치는(hunt and peck)" 시스템이라 불리는 방법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그들의 두 집게손가락 또는 많아야 4개의 최상의 손가락,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타이피스트가 그들의 시선을 키보드에 유지하는 것을 요구하며, 이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이런 타이피스트들이 거의 "키를 보지 않는" 타이피스트만큼 빠르게 타이핑할 수 있을지라도 두 손가락 또는 네 손가락만으로 모든 키들에 도달하기 위하여 손이 모든 키보드 주변을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빠른 "일일이 보고치는" 타이핑은 키를 보지 않는 타이핑보다 더 피로하게 한다. 요약하면, 정확하게 "키보드"에 대하여, 타이피스트들은 상술한 터치 타이핑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적절한 타이핑에 중간 지점(middle ground)이란 없다; 만일, 타이피스트가 정확하게 타이핑하지 않고 있다면, 타이피스트는 부정확하게 타이핑하는 것이다. 유사한 문제점들이 키패드의 사용에서도 야기된다.
일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에서, 많은 대안적인 형태의 키보드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한 키보드가 키네시스(KINESIS) 키보드(예를 들어, 하그리브스 등의 미국특허 제 6,005,496호)이며, 이는 사용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웰(wells)을 갖는 키보드를 설명한다. 이러한 키보드의 이점은 웰들의 위치가 사용자의 팔을 사용자의 앞으로 곧게 뻗게 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를 따라서 자신의 손을 움직일 필요가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키보드들은 조작하기 복잡하며, 사용자가 키 조합 및 매크로 (macros)를 기억하는 것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1,823,130호, 제 3,396,827호, 제 3,848,723호, 제 5,515,763호 및 제 4,180,336호와 많은 다른 형태들이 길이 방향의 릿지(ridges), 슬롯(slots), 릿지 열, 노브(knobs), 크레이터(craters) 및 텍스쳐링 (texturing)을 포함하는 상부 표면을 갖는 키보드용 키를 설명하고 있다. 다양한 텍스쳐링 조합들이 또한 공지되었다.
따라서, 키보드 및 키패드를 위한 기술 분야에서 타이피스트들에게 정확하게 터치형 방법을 "강요"하는 필요가 아직 남아 있으며, 따라서 타이핑 부정확성을 감소시키고 피로와 노력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키보드 또는 키패드 상의 키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한정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키보드/키패드 조작 기술을 개선한 컴퓨터 또는 전자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위치 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표준 QWERTY 키보드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라 명확한 피드백(positive feedback)을 제공하기 위하여 QWERTY 키보드의 특정 키가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개선된 QWERTY 키보드의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기술의 일부 불리한 점을 극복 또는 개선 또는 적어도 유용한 대안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키가 개시되며, 상기 키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엣지부, 사용자에 인접한 하단 엣지부, 좌측 엣지부 및 우측 엣지부를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upper finger engaged surface)을 가지며, 상기 키는;
상기 상단 엣지부 또는 하단 엣지부에 인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엣지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릿지; 및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엣지부 상의 릿지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열, 중간 열 및 사용자에 인접한 하단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키 열을 포함하되, 각 열은 좌측 및 우측 종단 키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키를 가지며, 각 키는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단 및 하단 엣지부들을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 열들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엣지부들을 갖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개시하며, 여기서 키들은;
(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ⅱ)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ⅲ)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ⅳ)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ⅴ)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ⅵ)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ⅶ)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및
(ⅷ)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열, 중간 열 및 사용자에 인접한 하단 열을 포함하는 3개의 선형 열들로 배열된 다수의 문자 숫자 키들을 갖는 Qwerty 키보드를 개시하되, 각 열은 좌측 및 우측 종단 키를 가지며, 각 키는 열들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단과 하단 엣지부 및 열들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엣지부를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을 가지며, 키들은 좌측 제 1 세트 및 우측 제 2 세트 내에 위치하고, 제 1 세트는 3개의 좌측 종단 키 및 각 열의 적어도 다음으로 인접한 2개의 키들을 포함하며, 제 2 세트는 3개의 우측 종단 키 및 제 1 세트를 향하여 이격된 다음으로 인접한 2개 또는 3개의 키들을 포함하여 2개의 세트는 2개, 3개 또는 4개의 키에 의하여 이격되며, 여기서 제 1 세트의 키는;
(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ⅱ)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ⅲ)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중간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ⅳ)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ⅴ)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ⅵ)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열의 하단 좌측 종단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또는 다음으로 인접한 2개의 키들 상의 릿지,
(ⅶ)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그 다음의 인접한 하단 키 상의 릿지,
(ⅷ)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ⅸ)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그 다음으로 인접한 중앙 키 상의 릿지,
(ⅹ)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상단 키 상의 릿지,
(ⅹ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ⅹⅱ)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와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상단 좌측 종단 키 사이의 각 상단 키 상의 릿지를포함하며,
상기 제 2 세트의 키는;
(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ⅱ)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ⅲ)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상단 우측 키에 인접한 중앙 키 상의 릿지,
(ⅳ)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ⅴ)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ⅵ)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열의 상기 하단 우측 종단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또는 다음에 인접한 2개의 키들 상의 릿지,
(ⅶ)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다음으로 인접한 하단 키 상의 릿지,
(ⅷ)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ⅸ)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중앙 키 상의 릿지,
(ⅹ)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상부 키 상의 릿지,
(ⅹ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ⅹⅱ)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와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상단 우측 종단 키 사이의 각 상단 키 상의 릿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개선된 키보드는 고유 표준 키보드에 대한 특정 변형의 결과이다. 이 고유 키보드(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개선된 키보드의 구조 이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인정된 표준 키보드의 기하학적 디자인이 먼저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형이 아마 표준 키보드에 적용될 것인 반면에, 이들 동일한 변형이 많은 다른 키보드 디자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완전한 표준 키보드에 일반적인 사각형 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보통 수평적으로 신장된 외부 기능 키 및 변형자 키들 제외하고는 표준 키보드(10)의 키들은 일반적으로 형태와 크기가 동일하다. 통상의 키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엣지부(3), 사용자와 인접한 하단 엣지부(4), 좌측 엣지부(5) 및 우측 엣지부(6)를 갖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2; upper finger engaging surface)을 포함한다. 릿지(22; ridge)는 적어도 한 엣지 상에 위치한다.
표준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3개, 그러나 일반적으로 5개의 평행한 수평 키 열들(key rows)의 주 문자 숫자(alphanumeric) 본체로 이루어진다(도 1). 적어도 3개의 열은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열(top row), 중간 열(middle row) 및 사용자에 인접한 하단 열(bottom row)로 이루어지며, 열들은 일반적으로 일련의 기능 키들에 이은 일련의 문자 숫자 키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3개의 중간 열들(12, 13, 14) 각각은 어떤 종류의 변형자 키 또는 기능 키에 의하여 각 열의 종단에 인접한 연속의 알파벳 문자 및 문법상 문자(QWERTY 또는 드보락 시퀀스(Devorak sequence)와 같은)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열(12)은 가장 좌측 엣지 상의 Q로 시작하여 가장 우측 엣지 상의 P로 끝나는 문자 숫자 키들을 갖는다. 열(13)은 중간 열이며, 가장 좌측 엣지 상의 A로 시작하여 가장 우측엣지 상의 L로 끝나는 문자 숫자 키들을 갖는다. 유사하게, 사용자에 인접한 열(14)은 가장 좌측 엣지 상의 Z로 시작하여 가장 우측 엣지의 M으로 끝나는 문자 숫자 키들을 갖는다.
타이피스트에 가장 가깝게 위치(즉, 사용자에 인접한)하고 중앙의 3개의 주 열들의 하부 열(14) 바로 아래의 가장 하부의 키 열(24)은 일반적으로 긴 스페이스 바(15) 양 종단 상의 변형자 또는 기능 키들로 이루어진다. 중앙의 3개의 주열들 (main rows)의 상부열(12) 위에 위치한 두 번째로 높은 키 열(16)은 일반적으로 주로 숫자 키들로 이루어진다. 가장 높은 열(11; 사용자로부터 떨어진)은 보통은 기능 키들로 이루어진다.
표준 키보드의 수평 열들(16, 12, 13, 14, 24)들이 일반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정렬되는 반면에, 키들의 수직 정렬은 일반적으로 엇갈리며, 이것이 표준 키보드(10; 도 1)의 형태를 구성하는 수평 및 수직 키 관계의 특정 병렬(specific juxtaposition)이다. 특히, 수직 정렬 이동을 위한 기준은 일반적으로 홈 열(home row) 또는 중간열(13)이다. 일반적으로 하부 알파벳 문자열인 홈 열 바로 아래의 열(14)은 보통 이 열의 키들이 홈 열(13)의 키들과의 수직 정렬 방향으로 또는 홈 열(13)의 키들 사이의 간격 근처에 그들의 중앙점을 갖는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상부 알파벳 문자열인 홈 열(13) 바로 위의 열(12)은 보통 이 열의 키들이 홈 열(13)의 키들의 좌측 1/3 수직 분리점(vertical divider)과 수직 정렬 방향으로 또는 홈 열의 키들의 좌측 1/3 수직 분리점에 근처에 그들의 중앙점을 갖는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홈 열(13) 위의 열인 상부 영문자 열(12) 바로위의 열(16)은 일반적으로 이들 바로 아래의 키 열(12) 사이의 공간과 수직 정렬 방향으로 또는 키 열(12)의 키들 사이의 간격 근처에 그들의 중앙점을 갖는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이 일반적인 키 관계는 표준 키보드 형상(도 1)으로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키보드의 키에 할당된 영문자수자식 문자의 특정 구성이 변화할 수 있는 반면에, 이는 키보드(10)의 기하학적 설명 또는 개선된 키보드의 변형에 대한 응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적어도 바람직한 한 실시예로서의 개선된 키보드(20)의 기초는 특정 피드백(feedback) 발생 수단을 갖는 어떤 키를 제공하는 개념이며, 그 한 변형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피드백은 키의 위치에 따라 다르며, 어떤 키들의 피드백과 함께 손가락들이 이동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박스"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키들은 변형되어 손가락들이 느끼고 그리고 조작을 위하여 손가락들이 안내되는(그리고 거의 강제적인) "벽(wall)"을 형성한다. 따라서, 키들의 특정 디자인은 타이피스트들에게 손가락이 있는 곳을 정확하게 느끼게 할뿐만 아니라 키가 변형되어 키들이 타이피스트들로 하여금 변형이 형성된 "벽" 내에 거의 강제적으로 머물게 한다.
이는 다시 말해 특정 키들 상의 특정 손가락들의 사용을 용이(그리고 거의 강제적으로 사용)하게 하며, 결국 타이피스트로 하여금 정확한 손가락의 사용을 숙달되게 하며, 따라서 터치 타이핑을 숙달시킨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표준 QWERTY 키보드의 다음 키들이 변형되었다:
1. "Q" 키(21)는 상단 가장자리 및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applied)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22)를 갖는다(도 2a). 릿지(21)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Q, W, E, R, F, V, C, X, Z, A 키들에 의하여 형성된 가상 사각 박스(23)의 상부 좌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2. "R" 키(24)는 상단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25)를 갖는다(도 2b). 릿지(25)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23)의 상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3. "V" 키(26)는 하단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27)를 갖는다(도 2c). 릿지(27)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23)의 하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4. "Z" 키(28)는 하단 가장자리 및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29)를 갖는다(도 2d). 릿지(29)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23)의 하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5. "A" 키(30) 및 "F" 키(31) 각각은 홈 키 "A"(30)의 경우 좌측 가장자리에, 키 "F"(31)의 경우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하나의 릿지(32, 33)를 갖는다(도 2e 및 도 2f). 이들 릿지(32, 33)는 이 키들을 사용하도록 지정된 손가락들에게 손가락이 "중간" 열에 있다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이는 피드백이 코너가 없는 측면 릿지의 피드백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손가락은 손가락이 "코너" 위치에 있지 않음을 감지한다.
6. "U" 키(34)는 상단 가장자리 및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29)를 갖는다(도 2a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 상의 특정 위치, 즉 U, I, O, P, ;, /, >, <, M, J 키들에 의하여 형성된 가상 사각 박스(35)의 상부 좌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손가락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7. "P" 키(36)는 상부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를 갖는다(도 2b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6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35)의 상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8. "M" 키(37)는 하단 가장자리 및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를 갖는다(도 2d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6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35)의 하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9. "/" 키(38)는 하단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를 갖는다(도 2c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 상의 특정 위치,즉 상기 6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35)의 하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L" 자형 릿지가 하나는 상단 가장자리 상에 그리고 하나는 좌측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2개의 독립된 릿지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10. "J" 키(39)와 ";" 키(40) 각각은 홈 키 "J"(39)의 경우 좌측 가장자리에, 키 ";"(40)의 경우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하나의 릿지를 갖는다(도 2e 및 도 2f에 도시된 바와 유사). 이들 릿지들은 이 키들을 사용하도록 지정된 손가락들에게 손가락들이 6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35)의 중간 열에 있다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QWERTY 키보드(10)의 숫자 키들이 변형되어 동일한 명확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손가락들은 "7", "8", "9", "4", "6", "2" 및 "3" 키들에 부착된 "벽"에 의하여 형성된 "박스"(41) 내에서 조작할 수 있다. "8" 키(42) 및 "2" 키(43)를 제외하고 변형들은 유사하게 위치한 키보드(20)의 문자부를 위한 변형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1. "7" 키는 상단 및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를 갖는다(도 2a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7, 8, 9, 6, 3, 2, 1, 4 키들에 의하여 형성된 가상 사각 박스(41)의 상부 좌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2. "9" 키는 상단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를 갖는다(도 2b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41)의 상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3. "3" 키는 하단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형 릿지를 갖는다(도 2c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41)의 하부 우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4. "1" 키는 하단 가장자리 및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L" 자형 릿지를 갖는다(도 2d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 내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41)의 하부 좌측 코너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5. "4" 키는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하나의 릿지를 가지며(도 2e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41)의 좌측 중앙 엣지(edge)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6. "6" 키는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하나의 릿지를 가지며(도 2f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41)의 우측 중앙 엣지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7. "8" 키(42)는 상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하나의 릿지(44)를 가지며(도 2g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41)의 상단 중앙 엣지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8. "2" 키(43)는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하나의 릿지(45)를 가지며(도 2h에 도시된 바와 유사), 릿지는 키보드(20) 상의 특정 위치, 즉 상기 1에 설명된 동일 가상 사각 박스(41)의 하단 중앙 엣지에 손가락이 도달되었다는 피드백 정보를 손가락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만일 원한다면, 유사한 위치적인 느낌과 피드백을 얻기 위하여 컴퓨터 스크린 여기 저기로 커서(cursor)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반전된 T" 또는 유사하게 기능 키들(47; "인서트(Insert)", "홈(Home)", "페이지업(PageUp)", 딜리트 (Delete)", "엔드(End)", 페이지다운(PageDown)")로 알려진 방향 키들(46)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동일한 변형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도 1의 QWERTY 키보드의 열(16)의 "1", "4", "7", "0" 키들 (48)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하나가 유사한 위치적인 느낌과 피드백을 얻는 위의 수 4 및 6에 설명된 변형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QWERTY 키보드 또는 유사한 키보드의 다른 키들은 "W", "E", "I", "O"와 대응하는 모든 키들이 상기 7에 설명된 바와 같은 "8" 키의 릿지와 유사한 각 키의 상단에 부착된 릿지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유사하게, "X", "C", "<", ">" 키들 각각은 또한 상기 8에 설명된 바와 같은 "2" 키의 릿지와 유사한 각 키의 하단에 부착된 릿지를 가질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좌측 또는 우측 손의 손가락이 이동해야할 보다 한정된 "박스"가 얻어진다.
따라서, 상단 또는 하단 가장자리 상의 릿지를 가진 키가 각 박스 내의 손가락의 위치로서 사용자를 가장하는(simulating) 기하학적 지시자(indicator)를 제공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특정 열에 평행 또는 수직인가를 지시한다.
상기 설명이 많은 특이성을 포함하는 반면,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그보다는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이다. 예를 들어, 다른 표준 키보드가 간단히 변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키들 상의 "벽들"은 다른 높이, 두께, 형상 및 외관으로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주제인 피드백을 활동화 시킨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마이크로소프트 내셔널 키보드" 및 동등한 키보드와 같은 또는 비 문자키 사용 또는 지정, 코딩(chording) 능력, 단일 또는다수 손 설계 또는 소형화를 사용하는 만곡진 표면에 성형된 키보드 또는 키패드에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전화기, 계산기, 현금등록기, 전기 응용기구 및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키패드에 적용될 수 있다. 키들은 키패드에 일체화될 수 있으며, 또한 릿지들은 "통상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의 키에 부착하기 위한 자기 접착 백킹(backing)과 함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이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엣지부, 사용자에 인접한 하단 엣지부, 좌측 엣지부 및 우측 엣지부를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upper finger engaged surface)을 가지며;
    상기 상단 엣지부 또는 하단 엣지부에 인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엣지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릿지; 및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엣지부 상의 릿지를 더 갖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들은 "L" 형태의 형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결된 키.
  3.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단 열, 중간 열 및 사용자에 인접한 하단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키 열을 포함하되, 각 열은 좌측 및 우측 종단 키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키를 가지며, 각 키는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단 및 하단 엣지부들을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 열들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엣지부들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키들은;
    (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ⅱ)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ⅲ)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ⅳ)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ⅴ)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ⅵ)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ⅶ)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및
    (ⅷ)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를 포함하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좌측 종단 키와 상기 하단 좌측 종단 키 사이의 어떤 키는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릿지를 가지며, 상기 상단 우측 종단 키와 상기 하단 우측 종단 키 사이의 어떤 키는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릿지를 갖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좌측 종단 키와 상기 우측 상단 종단 키 사이의 어떤 키는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릿지를 가지며, 상기 하단 좌측 종단 키와 상기 좌측 하단 종단 키 사이의 어떤 키는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릿지를 포함하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6.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상단 열, 중간 열 및 사용자에 인접한 하단 열을 포함하는 3개의 선형 열로 배열된 다수의 문자 숫자(alphanumeric) 키들을 구비하되, 각 열은 좌측 및 우측 종단 키를 가지며, 각 키는 열들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단과 하단 엣지부 및 열들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엣지부를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상부 손가락 접촉 표면을 가지며, 키들은 좌측 제 1 세트 및 우측 제 2 세트 내에 위치하고, 제 1 세트는 3개의 좌측 종단 키 및 각 열의 적어도 다음으로 인접한 2개의 키들을 포함하며, 제 2 세트는 3개의 우측 종단 키 및 제 1 세트를 향하여 이격된 다음으로 인접한 2개 또는 3개의 키들을 포함하여 2개의 세트는 2개, 3개 또는 4개의 키에 의하여 이격되며, 여기서 제 1 세트의 키는;
    (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ⅱ)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ⅲ)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중간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ⅳ)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ⅴ)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좌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ⅵ)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열의 하단 좌측 종단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또는 다음으로 인접한 2개의 키들 상의 릿지,
    (ⅶ)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다음으로 인접한 하단 키 상의 릿지,
    (ⅷ)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ⅸ)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중앙 키 상의 릿지,
    (ⅹ)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상단 키 상의 릿지,
    (ⅹ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ⅹⅱ)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와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상단 좌측 종단 키 사이의 각 상단 키 상의 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세트의 키는;
    (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부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ⅱ)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ⅲ)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상단 우측 키에 인접한 중앙 키 상의 릿지,
    (ⅳ) 일반적으로 열들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우측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ⅴ)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우측 종단 키 상의 릿지,
    (ⅵ)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하단 열의 상기 하단 우측 종단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또는 다음에 인접한 2개의 키들 상의 릿지,
    (ⅶ)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하단 엣지부에 인접한 다음으로 인접한 하단 키 상의 릿지,
    (ⅷ)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ⅸ)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중앙 키 상의 릿지,
    (ⅹ) 일반적으로 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그 좌측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에 다음으로 인접한 상부 키 상의 릿지,
    (ⅹⅰ)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 상의 릿지,
    (ⅹⅱ) 마지막으로 언급된 키와 일반적으로 열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상단 엣지부에 인접한 상기 상단 우측 종단 키 사이의 각 상단 키 상의 릿지를 포함하는 Qwerty 키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트는 각 열로부터의 4개의 키를 포함하여 2개의 세트가 각 열 내의 2개의 키에 의하여 이격된 Qwerty 키보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각 종단 키의 2개의 릿지들은 만나는 Qwerty 키보드.
  9.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Qwerty 키보드.
  10.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 항에 따른 키.
KR1020017016308A 1999-06-21 2000-06-21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위치 키 KR20020011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Q1115 1999-06-21
AUPQ1115A AUPQ111599A0 (en) 1999-06-21 1999-06-21 A locating key for a keyboard
AUPQ4525 1999-12-08
AUPQ4525A AUPQ452599A0 (en) 1999-12-08 1999-12-08 A locating key for a keyboard or keypad
PCT/AU2000/000691 WO2000078551A1 (en) 1999-06-21 2000-06-21 A locating key for a keyboard or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442A true KR20020011442A (ko) 2002-02-08

Family

ID=2564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308A KR20020011442A (ko) 1999-06-21 2000-06-21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위치 키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752552B1 (ko)
EP (1) EP1187722B1 (ko)
JP (1) JP2003502760A (ko)
KR (1) KR20020011442A (ko)
CN (1) CN1159159C (ko)
AT (1) ATE449997T1 (ko)
AU (1) AU756645B2 (ko)
BR (1) BR0012527A (ko)
CA (1) CA2375208A1 (ko)
DE (1) DE60043387D1 (ko)
HK (1) HK1042673A1 (ko)
MX (1) MXPA02000140A (ko)
NZ (1) NZ515376A (ko)
WO (1) WO20000785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8874A3 (en) * 2010-02-15 2011-12-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2395A1 (en) * 2000-12-08 2002-06-13 Ivan Miramontes Telephone with fold out keyboard
US7017792B2 (en) * 2001-02-02 2006-03-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Integrated piping plate, machining method for same, machining apparatus for same, and machining equipment for same
TWI258317B (en) 2002-01-25 2006-07-11 Semiconductor Energy Lab 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040229663A1 (en) * 2003-05-16 2004-11-18 Tosey Joseph P. 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tactile keyboard
US20050159194A1 (en) * 2003-12-31 2005-07-21 Sierra Wireless, Inc., A Canadia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fold out display and/or keyboard
US20060062626A1 (en) * 2004-09-22 2006-03-23 Symbol Technologies, Inc. Keypad ergonomics
US7417565B2 (en) * 2005-09-13 2008-08-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hand-held devices
WO2006073022A1 (ja) 2005-10-31 2006-07-13 Toshihiko Kondo キーボード装置及びキーボードカバー
KR101354906B1 (ko) * 2007-05-23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US20100052879A1 (en) * 2008-08-29 2010-03-04 Nanos Steven 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actile Identification of Keys and Regions of a Touch-Responsive Device
JP5351715B2 (ja) * 2009-11-13 2013-11-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キーボード装置
US20110305494A1 (en) * 2010-06-11 2011-12-15 Chulho Kang Portable and ease-of-use ergonomic keyboard
WO2016136020A1 (ja) * 2015-02-26 2016-09-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
USD914681S1 (en) * 2018-02-13 2021-03-30 Kye Systems Corp. Keyboard
USD879097S1 (en) * 2018-02-13 2020-03-24 Kye Systems Corp.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696A (en) 1912-01-19 1912-10-15 William D Summerville Type-writer key.
US1718694A (en) 1925-10-21 1929-06-25 Underwood Elliott Fisher Co Typewriting machine
US1823130A (en) 1928-11-10 1931-09-15 Underwood Elliott Fisher Co Typewriting machine
US2350059A (en) 1942-04-15 1944-05-30 Frederick W Messchaert Indicator for typewriters and the like
US3396827A (en) 1966-04-25 1968-08-13 Litton Business Systems Inc Tactile keyboard
US3848723A (en) 1973-07-23 1974-11-19 L Hogue Adapter key caps
US4180336A (en) * 1977-11-25 1979-12-25 Safeway Stores, Incorporated Touch checking key tops for keyboard
FR2435353A1 (fr) * 1978-09-06 1980-04-04 Thomson Ericsson Telephones St Perfectionnements aux claviers et pedaliers
JPS57500015A (ko) 1980-02-05 1982-01-07
CH636715A5 (fr) * 1980-05-09 1983-06-15 Nestle Sa Clavier.
CA1213067A (en) * 1983-01-21 1986-10-21 James M. Lapeyre Contoured touch type data processing keyboard
US4994992A (en) 1983-04-26 1991-02-19 The Laitram Corporation Contoured touch type data processing keyboard
US4778295A (en) * 1984-06-25 1988-10-18 Bleuer Keith T Keyboard with elongate keys associated with compact switch mechanisms
US4762436A (en) 1984-12-14 1988-08-09 Herzog Barbara D Bio-mechanical neuro-sensory keyboard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s
US5689253A (en) 1991-04-10 1997-11-18 Kinesis Corporation Ergonomic keyboard apparatus
JPH0566732U (ja) * 1992-02-13 1993-09-03 伊神 幸男 確速安打器
GB2265440B (en) * 1992-03-25 1995-07-05 Raymond John Webster Group function control system
AU5017393A (en) 1992-08-18 1994-03-15 Kinesis Corporation Key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JPH0665923U (ja) * 1992-09-08 1994-09-16 創太 中川 キーボード入力装置
US5583497A (en) 1993-06-09 1996-12-10 Hankes; Elmer J. One-handed data entry terminal and method of use
US5515763A (en) 1993-12-22 1996-05-14 Vandervoort; Paul B. Tactile key tops
JPH09204137A (ja) * 1996-01-26 1997-08-05 Shiyourinji Kenpou Renmei キーボード、およびキーボード練習装置、並びにキーボード練習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8874A3 (en) * 2010-02-15 2011-12-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US10061394B2 (en) 2010-02-15 2018-08-2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6940A (zh) 2002-07-03
EP1187722B1 (en) 2009-11-25
DE60043387D1 (de) 2010-01-07
EP1187722A4 (en) 2006-03-22
HK1042673A1 (zh) 2002-08-23
CN1159159C (zh) 2004-07-28
ATE449997T1 (de) 2009-12-15
AU756645B2 (en) 2003-01-16
JP2003502760A (ja) 2003-01-21
AU5201800A (en) 2001-01-09
NZ515376A (en) 2003-09-26
US6752552B1 (en) 2004-06-22
CA2375208A1 (en) 2000-12-28
MXPA02000140A (es) 2003-07-21
WO2000078551A1 (en) 2000-12-28
EP1187722A1 (en) 2002-03-20
BR0012527A (pt) 200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1469A (en) Ergonomic computer keyboard
US6348878B1 (en) Data entry keyboard
KR20020011442A (ko) 키보드 또는 키패드용 위치 키
US5288158A (en) One handed-keyboard
US5880685A (en) Computer keyboard with accessory platform
EP0045307B1 (en) Keybo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keyboards
US20070147933A1 (en) Keyboard us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arrangement thereof
US5560724A (en) Keyboard having improved keytop
US6991390B2 (en) Locating key for a keyboard or keypad
US20050207817A1 (en) Computer keyboard
KR20000035066A (ko) 자판 배열
US20040070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and interpreting a truncated alphamumerical keyboard entry
AU702219B2 (en) Input apparatus scaled for non-adults and adults having small hands
US9575567B2 (en) Keyboard and keys
EP1311937B1 (en) An alphabet character input device
KR100404752B1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US7354209B2 (en) Input apparatus for people having small hands
US20040090422A1 (en) Keyboard
CN1184284A (zh) 标准中文键盘
ZA200110523B (en) Alocating key for a keyboard or keypad.
WO2007036149A1 (fr) Clavier d&#39;entrée de caractères
CN118092677A (zh) 一种中式键盘及其使用方法
WO1999049486A1 (en) A keyboard
KR19990025135U (ko) 단말기용 스플릿 키보드
KR20000021010U (ko)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