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029A -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029A
KR20020011029A KR1020000044412A KR20000044412A KR20020011029A KR 20020011029 A KR20020011029 A KR 20020011029A KR 1020000044412 A KR1020000044412 A KR 1020000044412A KR 20000044412 A KR20000044412 A KR 20000044412A KR 20020011029 A KR20020011029 A KR 2002001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havi
user
home network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566B1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566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을 사용자가 임으로 식별하기 쉬운 이름으로 선택하도록 하여 연결기기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HAVI 변환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장치에 HAVI 홈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단계와, 변경하고자하는 해당 연결기기의 이름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이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름을 이용하여 SDD의 HAVI_User_Preferred_Name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이름을 이용하여 HAVI 홈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name of link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연결기기의 이름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말 그대로 가정에서 PC,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통해 가정내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컴퓨터나 디지털 텔레비전,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냉/난방기등 모든 디지털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는 최근 하나의 기기를 통해 가정내에 있는 모든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IEEE1394와 IEC61883 규격을 기반으로 한창 개발 진행 중에 있다.
이때 가정내의 모든 기기들을 하나의 기기로 제어 위해서는 IEEE1394상에 여러 가지 신호를 하나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프로토콜(protocol)이 갖추어져야 하고, 또 각 기기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현재의 진행 상태를 알 수 있게 하여야만 홈네트워크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해서는 우선 네트워크상의 자원(resource)을 관리하는 표준화된 미들웨어가 필요하며, 또한 장래의 호환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그 중 하나로 각 기기간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한 동작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각 기기를 제어하는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구조를 들 수 있다.
상기 HAVI 구조는 IEEE1394와 IEC61883 규격을 기반으로 가정내의 가전제품들(DTV, DSTB, DVD, DVHS, DVC)과 PC등이 홈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상호기능성(interoperability)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소비자 전자산업 표준(consumer electronic industry standard)으로 여러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HAVI 구조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큰 특징이 있다.
첫째, AV 네트워크에서의 일반적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제공으로, 응용 소프트웨어가 하위 계층을 신경 쓰지 않고 구축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네트워크상의 자원관리와 제어기 사이의 조정을 실행한다.
셋째, DCM(Device Control Module)이라고 불리는 장치 드라이버(driver)의 업로드(upload)기능에 의해 제어기는 상대 기기의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어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HAVI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이다.
도 1을 보면 가정내의 기기들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하는 1394 장치 드라이브(300)와, 상기 1394 장치 드라이브(300)를 통해 전송되는 각 기기들 상호간에 메시지 통신으로 이벤트를 처리하는 HAVI 소프트웨어 모듈(200)과, 외부의 제어신호로 상기 HAVI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어하는 외부 응용부(1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HAVI 소프트웨어 모듈(200)은 시스템 소프트웨어 모듈(220)과, 논(none) 시스템 소프트웨어 모듈(210)로 나누어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소프트웨어 모듈(220)은 비동기적이고 등시적인 대화를 수행할 수 있게 제어하는 1394 통신 미디어 매니저(Communication Media Manager)(227)와, 요소들간의 메시지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징 시스템(226)과, 홈네트워크 객체의 상태변이와 같은 이벤트 전달기능을 수행하는 이벤트(event) 매니저(manager)(221)와, 기능 요소들 사이의 AV와 다른 미디어의 실시간 전송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스트림 매니저(223)와, 하나의 객체가 홈네트워크 상에 다른 객체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지스트리(registry)(222)와, 자원을 관리하는 자원(resource) 매니저(224)와, FAV와 IAV 디바이스에 있는 DCM 코드를 인스톨하거나 제거하는 DCM 매니저(22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논(none) 시스템 소프트웨어 모듈(210)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요소(element)인 DCM(Device Control Module)(213)과, 사용자 상호작용(interaction)에 포함된 바이트 코드 객체인 DDI 제어기(211)와, 자바 가상 장치(212), FCM(Functional Component Nodules)(214), 그리고 DCA(Device Control Application)(21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HAVI 규격은 상호 기능성(interoperability) API와 플랫폼 비(比)의(platform specific) API 사이에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200)을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HAVI 소프트웨어 모듈(200)은 태스크(task)로써 하나 이상의큐(queue)를 가지며,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과의 메시지 통신(API 요청이나 응답)은 반드시 메시징 시스템(226)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메시징 시스템(226)은 메시지를 처리할 소프트웨어 모듈의 큐(queue)에 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HAVI 구조가 향후 디지털 기기(DTV, STB, DVCR, 디지털카메라 등)에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각 기기간의 GUI를 통한 제어를 행할 때, 각 기기를 구별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에 따라 현재 각 기기를 구별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GUID(Global Unique ID)라는 64 비트(bit)의 정량적인 데이터로 구별되고 있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GUID 라는 64 비트의 정량적인 데이터로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친숙하지 않은 표현일 뿐만 아니라, 동일한 기기가 연결 기기로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GUI를 통해 정확한 제어를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을 사용자가 임으로 식별하기 쉬운 이름으로 선택하도록 하여 연결기기를 정확히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HAVI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은 종래 기술에 따른 HAVI 모드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HAVI 모드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름 리스트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기기 이름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부 응용부 110 : 네이티브 응용부
120 : 자바 응용부 200 : HAVI 소프트웨어 모듈
211 : DDI 제어기 212 : 자바 가상 장치
213 : DCM 214 : FCM
215 : DCA 221 : 이벤트 매니저
222 : 레지스트리 223 : 스트림 매니저
224 : 자원 매니저 225 : DCM 매니저
226 : 메시징 시스템 227 : 1394 통신 미디어 매니저
300 : 1394 장치 드라이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의 특징은 외부의 HAVI 변환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장치에 HAVI 홈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단계와, 변경하고자하는 해당 연결기기의 이름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이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름을 이용하여 SDD의 HAVI_User_Preferred_Name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이름을 이용하여 HAVI 홈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그리고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름 설정 버튼을 선택하는 제 1 선택 단계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HAVI 홈모드 연결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선택 단계와, 상기 선택된 연결 기기의 이름이 다수개 저장되어 있는 이름 리스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름 리스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을 선택하는 제 3 선택 단계를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연결기기 이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제 3 선택 단계는 풀-다운(pull-down)방식을 이용하여 선택하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
선택된 이름을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고 HAVI_User_Preferred_Name 필드에 기록하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HAVI 구조에서 SDD(Self Describing Device) 데이터라는 IEEE1212 구성(configuration) ROM안에 "HAVI_User_Preferred_Name" 이라는 필드(field)를 준비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을 리드/라이트(read/write)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연결기기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보면 사용자가 DTV를 중심으로 다른 디바이스(device)(예로서 PC)의 이름을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는 경우로서, 종래 기술인 도 2과 본 발명인 도 3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고 있는 DTV 등을 파워 온(power-on)하면, Non-HAVI 모드 상태가 된다(S20).
그리고 리모콘이나 그 외 외부 입력장치를 통해 HAVI 모드를 선택한다(S30).
그러면, DTV내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CMM1394::GetGUIDList 명령을 이용하여 현재 동일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디바이스, 즉 가전기기 등의 GUID(Global Unique IDentifier)를 파악하고, CMM1394:AsyncRead 명령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SDD 데이터를 읽어, 제조회사 명, 모델명 그리고 모델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한다(S40).
즉, DTV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HAVI 모드로 변환된다(S50).
이때 사용자가 디바이스 이름을 식별하기 쉬운 이름으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 먼저, 1 단계로 리모콘 또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름 설정 기능"을 선택한다(S60).
다음 2 단계로 "설정할 기기"를 선택한다(S70).
이때 선택한 기기가 도 1과 같이 구별이 난해한 경우, 즉 PC가 2 대로 표시되어 있으면, 한 PC를 플러그 아웃(plug-out)시키고 PC를 1 대만 표시되도록 하여 구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 단계와 2 단계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다음 3 단계로 상기 선택된 기기에 "설정할 이름"을 선택하면 제조사에서 미리 준비된 이름 리스트를 풀-다운(pull-down) 메뉴 등의 형식으로 도 3이나 도 4와 같이 표시한다(S80).
이때 도 4 및 도 5를 보면 위치, 방,..., 가족 등의 여러 선택사항을 미리 준비하여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외부 입력장치를 통해 이동시켜서 선택하고자 하는 이름을 검색한다.
그리고 마지막 4 단계로 사용자는 리모콘 또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이름 위로 커서를 위치시키고 "선택"을 선택하면 해당기기의 이름이 선택된 이름으로 변경된다(S90).
그러면 DTV내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름을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고(S100), 해당 디바이스의 DCM::SetUserPreferredName API를 이용하여 SDD 데이터내의 HAVI_User_Preferred_Name 필드에 라이트한다(S110).
이후, DTV가 다시 HAVI 모드가 될 때는(S120) 전체 디바이스의 GUID를 파악하고 디바이스의 SDD 데이터중의 HAVI_User_Preferred_Name 필드를 읽는다(S130).
그러면 도 3과 같이 사용자 정의에 따라 변환된 HAVI 홈모드를 표시하게 된다(S140).
그리고 파워-오프(power-off)를 통해 종료한다(S150).
이때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는 수단으로는 리모콘이나 마우스 등 여러 입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름 리스트는 풀다운 메뉴 외의 다양한 방식이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은 HAVI 구조를 채용한 홈네트워크에서 각 디바이스들의 이름을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이름으로 설정하도록 이름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고 쉽게 각 기기를 설정 및 관리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외부의 HAVI 변환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장치에 HAVI 홈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단계와,
    변경하고자하는 해당 연결기기의 이름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이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름을 이용하여 SDD의 이름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이름을 이용하여 HAVI 홈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름 설정 버튼을 선택하는 제 1 선택 단계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HAVI 홈모드 연결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선택 단계와,
    상기 선택된 연결 기기의 이름이 다수개 저장되어 있는 이름 리스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름 리스트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을 선택하는 제 3 선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 단계는 풀-다운(pull-down)방식을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름을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KR1020000044412A 2000-07-31 2000-07-31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KR10073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412A KR100739566B1 (ko) 2000-07-31 2000-07-31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412A KR100739566B1 (ko) 2000-07-31 2000-07-31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029A true KR20020011029A (ko) 2002-02-07
KR100739566B1 KR100739566B1 (ko) 2007-07-16

Family

ID=1968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412A KR100739566B1 (ko) 2000-07-31 2000-07-31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5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5889A1 (en) * 2002-04-10 2003-10-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ognizing electronic appliance in multiple control system
US7607091B2 (en) 2002-10-01 2009-10-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sitions of home network appliances
US7974217B2 (en) 2004-07-19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twork device corresponding to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US9374268B2 (en) * 2003-01-15 2016-06-21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rrangement for assigning names to devices in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21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교환망 관리시스템에서 교환국 이름변경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5889A1 (en) * 2002-04-10 2003-10-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ognizing electronic appliance in multiple control system
US7215253B2 (en) 2002-04-10 2007-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ognizing electronic appliance in multiple control system
US7607091B2 (en) 2002-10-01 2009-10-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sitions of home network appliances
KR100932813B1 (ko) * 2002-10-01 2009-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일 유형의 홈 네트웍 기기를 위치별로 구분 및 표시하는장치
US9374268B2 (en) * 2003-01-15 2016-06-21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rrangement for assigning names to devices in a network
US7974217B2 (en) 2004-07-19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twork device corresponding to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566B1 (ko) 200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520B1 (ko) 장치 제어를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EP1046257B1 (en) A home audio/video network with device control
US76599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device interoperability
KR100647449B1 (ko) 특성 루트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들을 제어하기위한 시나리오를 식별하는 호출
US20030200340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on a HAVi device for the control of a Non-HAVi device
JP3133036B2 (ja) ブラウザ基盤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バ機器接続方法
US7343427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IP devices into a HAVi network
KR20010033849A (ko) 오디오 비디오 네트워크
CA2317801A1 (en) An audio/video device
KR20010033877A (ko) 가정용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
JP2002501238A (ja) オーディオ/ビデオ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512399A (ja) HAViとUPnPのブリッジ
US8001299B2 (en) Method for the control of network devices connected via a bus system
KR100351815B1 (ko)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기기 제어 방법
KR100739566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KR100672558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연결 기기 이름 설정 방법
Baldus et al. WWICE: an architecture for in-home digital networks
KR100339406B1 (ko) 통신 미디어 메니저를 이용한 디바이스간의 데이터리드/라이트 방법
JP4511947B2 (ja) 第2の形式の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第1の形式のネットワークのネットワーク局の入力パラメータを提供する方法及び第1及び第2の形式のネットワークの接続用の接続ユニット
KR100916030B1 (ko) Ddi 엘레멘트 표시장치
EP1355136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on a HAVi device for the control of a non-HAVi device
KR100672348B1 (ko)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리드\라이트 방법
KR100951212B1 (ko) 네트웍 제어기기에서의 애플릿 코드 유닛 실행 장치 및 그방법
KR20040035242A (ko) 네트웍 제어 기기에서의 레거시 기능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