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396A - 알에프 스위치 - Google Patents

알에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396A
KR20020010396A KR1020000044100A KR20000044100A KR20020010396A KR 20020010396 A KR20020010396 A KR 20020010396A KR 1020000044100 A KR1020000044100 A KR 1020000044100A KR 20000044100 A KR20000044100 A KR 20000044100A KR 20020010396 A KR20020010396 A KR 2002001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saw
contact
switch
solenoids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523B1 (ko
Inventor
최의성
Original Assignee
김덕용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용,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김덕용
Priority to KR102000004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5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2036/0086Movable or fixed contacts form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RF(Radio Frequency) 스위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력소모 및 열발생을 줄일 수 있고, 진동환경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채터링시간을 줄일 수 있고, 래칭형 스위치와의 부품공용이 쉬워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RF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 요지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소정 거리를 갖고 설치되어 전원 공급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의 하측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솔레노이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시이소와, 상기 시이소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1 판스프링의 양단부 하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제1 및 제2 프레스 핀과, 상기 프레스 핀 각각의 일단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RF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을 상기 두 솔레노이드 사이의 중심에서 소정거리만큼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여 상기 시이소의 일정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RF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빠른 스위칭 및 경량화를 요구하는 초고주파 전송시스템의 RF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알에프 스위치{RADIO FREQUENCY SWITCH}
본 발명은 고주파 전송시스템에서 사용되는 RF(radio frequency)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칭형 스위치를 개량하여 페일세이프형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주파 전송시스템에서 사용되는 RF(radio frequency)스위치는 페일세이프형(failsafe type) 스위치와 래칭형(latching type) 스위치의 두 종류가 있다.
상기 페일세이프형 스위치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정해진 NC(Normally Contact)접점을 유지하다가,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NO(Normally Open) 접점을 유지시켜주는 스위치이고, 래칭형 스위치는 스위칭시에만 펄스전원을 공급하여 접점이 유지되도록 한 스위치이다.
도 1a 및 1b 는 종래 페일세이프형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장착된 전원공급단자(10a, 10c)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간단한 제어회로가 내장된 PCB 어셈블리(20)와, 상기 PCB어셈블리(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30)와, 상기 솔레노이드(30)에 중공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솔레노이드(302)의 전자기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금속재의 프레스폴(press pole)(31)과, 상기 프레스 폴(31)의 이동에 따른 누름에 의해 회동축(40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금속재의 시이소(seesaw)(40)와, 상기 시이소(40)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도록 스프링 지지대(50a)에 설치된 페일세이프 스프링(50)과, 상기 시이소(40)의 양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이소(4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눌러지는 제1 프레스 핀(60) 및 제2 프레스 핀(60')과, 상기 제1 프레스 핀(60) 및 제2 프레스 핀(60')을 탄성지지하는 제1 스프링(70) 및 제2 스프링(70')과, 상기 제1 프레스 핀(70) 및 제2 프레스 핀 (70')의 단부에 부착되어 RF 커넥터 즉, 공통단자(80)와 제1 단자(81) 또는 공통단자(80)와 제2단자(82)를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제1 접촉 플레이트(90) 및 제2 접촉플레이트(9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종래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 1a 와 도 1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초기상태에서는 제 2 접촉 플레이트(90')가 공통단자(80)와 제 2 단자(82)에 접촉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페일세이프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시이소(40)의 타측(도면상 오른쪽)부를 눌러 제 2 프레스(60')을 누르고, 이로 인해 제 2 접촉플레이트(90')가 RF 커넥터인 공통단자(80)와 제 2 단자(82)에접촉되어 NC(Normally Contact)접점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단자(10a)(10c)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3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간단한 제어회로가 내장된 PCB 어셈블리(20)를 통해 전원이 솔레노이드(30)에 인가되고, 이로 인해 상기 솔레노이드(30)는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프레스 폴(31)을 아래쪽으로 밀어낸다.
상기 아래쪽으로 이동된 프레스 폴(31)은 시이소(40)의 일측(도면상 왼쪽)을 눌러 회동시키고, 이로인해 제1 프레스 핀(60)이 눌려지게 되어 제1 접촉 플레이트(90)는 RF 커넥터인 공통단자(80)와 제 1 단자(81)에 접촉되어 NO(Normally Open) 접점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30)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솔레노이드(30)는 전자기력을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NO 접점시 압축되었던 페일세이프 스프링(50)이 상기 시이소(40)의 타측(오른쪽)을 밀어 회동시켜 상기 프레스 폴(31)을 원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 2 프레스 핀(60')을 밀어 제 2 접촉 플레이트(90')를 다시 공통단자(80)와 제 2 접속단자(82)에 접촉(NC 접점)되도록 하여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통단자(80)와 제 2 접속단자 (82)가 페일세이프 스프링(50)의 힘에 의해 항상 NC 접점을 유지하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공통단자(80)와 제 1 접속단자(81)가 솔레노이드(30)에서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NO 접점을 유지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페일세이프 스위치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NC접점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원 인가시에는 솔레노이드에 전자력이 발생되어 NO 접점으로 전환되며 다시 전원을 오프시키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처음 접점 상태(NC 접점 상태)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구현된 것이다.
도 2a 및 2b 는 종래 래칭형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상단에 장착된 전원공급단자(30a 내지 30c)와,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간단한 제어회로가 내장된 PCB 어셈블리(31)와, 상기 PCB 어셈블리(31)의 하부측으로 소정거리를 갖고 부착된 마그네트판(32)과, 상기 마그네트판(32)의 하면 양측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3)(33')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3)(33')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철판(34) (34')과, 상기 제1 제2 솔레노이드(33)(33')사이에 설치된 영구자석(35)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3)(33')의 전자기력에 의해 회동축(36a)을 중심으로 시소동작하는 금속재의 시이소(seesaw)(36)와, 상기 시이소(36)의 양단부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이소(36)에 의해 교대로 눌러지는 제1 및 제2 프레스 핀(37)(37')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 핀(37)(37')을 탄성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38)(38')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 핀(37)(37')의 단부에 부착되어 RF 커넥터 즉, 공통단자(39)와 제 1 접속단자(40) 또는 공통단자(39)와 제2 접속단자(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제1 및 제2 접촉 플레이트(42)(42')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종래 래칭형 스위치의 동작을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이소(36)는 영구자석(35)에 의해 자화되어 그 양단부가 S극의 자력을 발생한다. 또한, 제1 및 제 2 솔레노이드(33)(33') 역시 자화되어 양 단부에 있는 제1,제2고정철판(34)(34')은 N 극의 자력을 발생한다..
이 때, 초기의 시이소(36)는 일측(왼쪽)이 제1 솔레노이드(33)의 제1 고정철판(34)에 접촉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공급단자(30a)(30c)를 통해 펄스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솔레노이드(33)의 하측에 위치한 제 1 고정철판(34)에 S 극이 발생하도록 한다.
그러면 시이소(36)의 양단부 역시 S 극으로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극에 대한 상호 반발력으로 상기 시이소(36)의 일측(왼쪽)이 아래쪽으로 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프레스 핀(37)은 제1 스프링(38)을 압축하면서 하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스 핀(37)이 밀리게 되면 그 일단에 부착된 제 1 접촉 플레이트(42)가 공통단자(39)와 제1 접속단자(4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시이소(36)의 일측(왼쪽)이 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타측(오른쪽)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솔레노이드(33')의 제2 고정철판(34')에 접촉된다.
이 때, 상기 시이소(36)의 타측(오른쪽)은 S 극으로 자화되어 있고, 상기 제2 고정철판(34')은 N극으로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솔레노이드(3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계속하여 접점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시이소 회동 동작을 반대로 하기 위해서는 전원입력단자(30b)(30c)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 2 솔레노이드(36')의 하측에 위치된 제 2 고정철판(34')에 S 극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후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즉, 제2 솔레노이드(33')와 시이소(36)의 타측(오른쪽)은 상호반발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시이소(36)의 타측(오른쪽)이 아래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스 핀(37')이 밀리게 되어 제2 접촉 플레이트(42')는 공통단자(39)와 제2 단자(41)에 접촉된다.
이 때, 상기 시이소(36)의 일측(왼쪽)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 솔레노이드(33)의 고정철판(34)에 닿게 되고,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계속하여 접점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페일세이프형 스위치는 공통단자와 제1단자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계속 공급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고 열발생율이 높으며 이로인해 다른 부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전형을 요구하는 추세에 따라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의 권선수를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사이즈가 커지고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이소와 프레스 폴이 금속재로 이루어져 상기 시이소와 프레스 폴의 접촉동작이 반복적으로 행해지면 시이소의 접촉면이 홈이 생성된다. 이로인해 파여진 만큼의 치수변화는 프레스 핀에 연결된 접촉플레이트가 그만큼 작게 눌려짐으로써 접점불안 및 비접점이 발생하여 스위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일세이프 스프링의 힘과 솔레노이드에 제공되는 전압은 서로 비례관계에 있기 때문에, NC접점을 유지하는 힘을 세게하기 위해 페일세이프 스프링의 힘을 강하게 하면 NO 접점시 상기 페일세이프 스프링의 힘을 이길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이 세져야함으로 그만큼의 구동전압이 높아지고 소비전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 전압과 전류를 감안하다 보면 스프링의 탄성력을 충분히 세게할 수 없어 NC 접점을 유지하는 힘이 약하게 되어 진동환경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촉 플레이트가 RF 커넥터에 접점될 때 페일세이프 스프링의 영향에 의해 채터링 시간(chartering time)이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빠른 스위칭 동작을 요구하는 초고주파 시스템에 적당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페일세이프 스위치 및 래칭형 스위치는 서로 부품공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가절감이나 생산성 증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RF 스위치에 있어서, 영구자석의 위치를 임의의 솔레노이드측으로 소정거리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자화된 시이소와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페일세이프 스프링 없이도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RF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는 종래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b 는 종래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a 는 종래 래칭형 스위치에 있어서, NO 접점이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b 는 종래 래칭형 스위치에 있어서, NC 접점이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3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페일세이프형 스위치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 141: 제1, 제2 솔레노이드 150: 영구자석
160: 시이소 170, 240: 제1, 제2 판스프링
180, 181: 제1, 제2 프레스 핀 200: 공통단자
210: 제1 접속단자 220: 제2 접속단자
230, 231: 제1, 제2 접촉 플레이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RF 스위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소정 거리를 갖고 설치되어 전원 공급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의 하측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솔레노이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시이소와, 상기 시이소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1 판스프링의 양단부 하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제1 및 제2 프레스 핀과, 상기 프레스 핀 각각의 일단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RF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을 상기 두 솔레노이드 사이의 중심에서 소정거리만큼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여 상기 시이소의 일정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두 솔레노이드는 전원 인가시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시이소의 일측에 제2 판 스프링을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 판스프링은 비자성체로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장착된 전원공급단자(100a)(100b)와;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지지대(120a)(120b)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간단한 제어회로가 내장된 PCB 어셈블리(110)와; 상기 PCB 어셈블리(110)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120a)(120b)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3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30)에 소정 거리를 갖고 설치되어 전원 공급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40)(141)와; 상기 제1, 제2 솔레노이드(140)(141)의 하측에 부착되어 있는 제1, 제2 고정철판(140')141')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40)(141)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솔레노이드(141)측으로 약간 치우쳐 설치되는 영구자석(150)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40)(141)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축(161)을 중심으로 시소동작을 하는 금속재의 시이소(seesaw)(160)와; 상기 시이소(16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시이소(160)와 함께 회동하는 제1 판스프링(170)과; 상기 제1 판스프링(170)의 양단부 하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170)의 시소동작에 따른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지는 제1 및 제2 프레스 핀(180)(181)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 핀(180)(181)을 탄성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195)(196)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스 핀(180)(181)의 단부에 부착되어 RF 커넥터 즉, 공통단자(200)와 제 1 접속단자(210) 또는 공통단자(200)와 제2 접속단자(22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촉 플레이트(230)(231)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영구자석(150)은 상기 시이소의 중심축과 솔레노이드 사이 거리의 1/6∼1/8만큼 이동된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의 동작을 도 3a 및 3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이소(160)는 영구자석(150)에 의해 자화되어 그 양단부가 S 극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40)(141)의 하측에 부착된 제1, 제2 고정철판(140')(141')은 N극으로 자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40)(14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영구자석(150)이 제1 솔레노이드(140)보다 제2 솔레노이드(141)측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력의 비대칭, 즉 자력의 세기는 자성체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원리에 의해 상기 시이소(160)의 일측(도면상 오른쪽)의 자력이 더 세다. 즉, 시이소(160)의 타측(도면상 왼쪽)과 제1 솔레노이드(140) 사이의 인력보다 시이소(160)의 일측(도면상 오른쪽)과 제2 솔레노이드(141)사이의 인력이 더 세기 때문에 시이소(160)의 일측(도면상 오른쪽)은 상기 제2 솔레노이드(141)에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시이소(160)의 타측(도면상 왼쪽)은 하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시이소(160)와 함께 회동되는 제1 판스프링(170)은 제1 프레스 핀(180)을 밀어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레스 핀(180)의 단부에 설치된 제1 접촉 플레이트(230)는 RF 커넥터인 공통단자(200)와 제1 접속단자(210)에 접촉(NC 접점)된다.
한편, 상기의 도 3a 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140)(141)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솔레노이드(140)에는 S 극의 자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제2 솔레노이드(141)에는 N 극의 자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그러면, 제1 솔레노이드(140)의 고정철판(140')과 시이소(160)의 타측(왼쪽)은 인력이 작용하고, 제2 솔레노이드(141)의 고정철판(141')과 시이소(160)의 일측(오른쪽)은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시이소(160)는 축(16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시이소(160)의 하면에 설치된 제1 판스프링(170) 또한 함께 회동하면서 제 2 프레스 핀(231)을 눌러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상기 제2 프레스 핀(181)의 단부에 설치된 제2 접촉 플레이트(231)는 RF 커넥터인 공통단자 (200)와 제2 접속단자(220)에 접촉(NO 접점)된다.
한편, 도 3b 와 같은 상태에서 두 솔레노이드(140)(141)에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수축되었던 제2 스프링(196)의 복원력 및 제1, 제2 고정철판(140')(141')의 자화된 극성의변환으로 상기 시이소(160)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전원이 다시 인가되기 전까지 도 3a 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시이소(160)의 타측(왼쪽)의 자력보다 일측(오른쪽)의 자력이 더 세기때문에 도3a 와 같은 상태로의 복귀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또한 NC 접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는 본발명에 의한 RF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제 1 솔레노이드(140)와 접촉하는 시이소(160)의 타측(왼쪽)에 비자성체로 된 제2 판스프링(240)을 추가하여 설치한 경우이다. 이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하여 NO 접점으로 유지되어 있다가 전원 차단시 제1 솔레노이드(140)의 제1 고정철판(140')부분이 자성을 완전히 잃지 않고 잔존하게 되어 NC접점으로의 전환이 늦어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시이소(160)의 타측(왼쪽)에 비자성체의 제2 판스프링(240)을 설치함으로써 잔존하는 자력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게함으로써 NC 접점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페일세이프형 스위치는 영구자석을 양 솔레노이드 사이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이동 배치하여 비대칭 자력을 이용하여 페일세이프 스프링 없이도 NC 접점 상태를 유지시켜 주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두 개의 솔레노이드에 서로 다른 자력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NO 접점으로 전환시켜 주고 다시 전원을 차단하면 처음 접점 상태(NC 접점)로 복귀하는 방식을 구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는 비대칭적인 자력의 힘에 의해 NC 접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양측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을 발생시켜 그 자력의 힘에 의해 시이소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종래 보다 낮은 전압으로 스위칭동작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열발생율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페일세이프 스프링 없이도 페일세이프형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체터링 시간이 줄어들고, 진동환경에 강하며, 접점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래칭형 스위치와의 부품공용이 쉽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소정 거리를 갖고 설치되어 전원 공급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의 하측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솔레노이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시이소와, 상기 시이소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1 판스프링의 양단부 하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제1 및 제2 프레스 핀과, 상기 프레스 핀 각각의 일단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RF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을 상기 두 솔레노이드 사이의 중심에서 소정 거리만큼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여 상기 시이소의 일정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RF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솔레노이드는
    전원 인가시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는 RF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소의 일측에 제2 판 스프링이 설치되는 RF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스프링은 비자성체인 RF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시이소의 중심축과 솔레노이드 사이 거리의 1/6∼1/8만큼 이동된 거리에 위치되는 RF 스위치.
KR1020000044100A 2000-07-29 2000-07-29 알에프 스위치 KR10034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00A KR100344523B1 (ko) 2000-07-29 2000-07-29 알에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00A KR100344523B1 (ko) 2000-07-29 2000-07-29 알에프 스위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28U Division KR200209360Y1 (ko) 2000-07-29 2000-07-29 알에프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396A true KR20020010396A (ko) 2002-02-04
KR100344523B1 KR100344523B1 (ko) 2002-07-24

Family

ID=1968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100A KR100344523B1 (ko) 2000-07-29 2000-07-29 알에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5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71B1 (ko) * 2006-01-25 2007-07-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페일세이프형 알에프 스위치
KR100744850B1 (ko) * 2006-02-27 2007-08-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시소 밸런싱을 개선한 알에프 스위치
WO2014137194A1 (ko) * 2013-03-08 2014-09-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772A (en) * 1976-03-22 1978-03-28 Leach Corporation Moving contact terminals for relays
US4298847A (en) * 1980-04-21 1981-11-03 Dynatech - Uz, Inc. Multiposition microwave switch with independent termination
FR2522195A1 (fr) * 1982-02-24 1983-08-26 Micronde Sa Relais coaxial inverseur hyperfrequence
JPS59127401A (ja) * 1983-01-10 1984-07-23 Nec Corp 高周波切替器
US5281936A (en) * 1992-06-01 1994-01-25 Teledyne Industries, Inc. Microwave switch
KR100286010B1 (ko) * 1998-03-31 2001-04-16 김덕용 자화된로커를이용한스위치
US6043440A (en) * 1998-09-11 2000-03-28 Teledyne Industries, Inc. Microwave switch contact interface
KR100324894B1 (ko) * 1999-04-19 2002-02-28 김덕용 유니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71B1 (ko) * 2006-01-25 2007-07-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페일세이프형 알에프 스위치
KR100744850B1 (ko) * 2006-02-27 2007-08-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시소 밸런싱을 개선한 알에프 스위치
WO2014137194A1 (ko) * 2013-03-08 2014-09-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CN105027437A (zh) * 2013-03-08 2015-11-04 K.M.W.株式会社 射频滤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4523B1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010B1 (ko) 자화된로커를이용한스위치
US8130064B2 (en) Switching device
US6337612B1 (en) Switch using solenoid
US5883557A (en) Magnetically latching solenoid apparatus
US7233220B2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relay and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same
US6831535B1 (en)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WO1997044849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switching device
TW201537606A (zh) 閂鎖型電磁繼電器
US6794968B2 (en) Magnetic latching contactor
KR100344523B1 (ko) 알에프 스위치
KR20050029042A (ko) 고주파 동축 스위치
US4975666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US4851801A (en) Microwave C-switches and S-switches
KR200209360Y1 (ko) 알에프 스위치
KR100343496B1 (ko) 고주파용 스위치
KR20020034821A (ko) 알에프 스위치
EP3678159B1 (en) Magnetic actuator and electromagnetic relay
CN209912814U (zh) 一种防止接触不良稳态机电继电器
KR102198711B1 (ko)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를 이용한 스타-델타 결선 절환 방법
JPH05174691A (ja) シーソーバランス型有極継電器
KR100872749B1 (ko) 전자기 스위치
JP6442380B2 (ja) 磁力によるトグルスイッチ節度機構
KR200251211Y1 (ko) 개선된 시소 구조를 갖는 알에프 스위치
KR0128049Y1 (ko) 전원 차단 시 스위칭 "온"상태를 유지하는 릴레이 장치
JPS63660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