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539A - 기액분리기 - Google Patents

기액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539A
KR20020009539A KR1020010074580A KR20010074580A KR20020009539A KR 20020009539 A KR20020009539 A KR 20020009539A KR 1020010074580 A KR1020010074580 A KR 1020010074580A KR 20010074580 A KR20010074580 A KR 20010074580A KR 20020009539 A KR20020009539 A KR 2002000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eachate
separator
mixed effluent
liquid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922B1 (ko
Inventor
안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이엔씨
Priority to KR10-2001-007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9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3Filler pip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혼합유출물을 분리처리하는 과정에서 외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유입된 혼합유출물이 역류하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침출수와 가스로 분리하고 응결되는 응축수를 흡입하여 다시 침출수로 배출하는 기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내부에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며 저장이송하는 저장공간부와, 혼합유출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유입구와, 내부에 혼합유출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격리판과,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여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와, 진공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흡입하는 응축수 흡입구와, 분리된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침출수 배출구로 구성하며,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을 체결시키는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혼합유출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를 가진 격리판과, 상기 분리된 침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며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U자형의 침출수 배출구와, 상기 혼합유출물을 바스켓형 걸름망에 의하여 여과시키는 바스켓형 여과장치를 저장공간부내측에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액분리기{A SEPARATE APPARATUS FOR GAS AND LIQUID}
본 발명은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혼합유출물을 분리처리하는 과정에서 처리하기 전에 침출수와 가스등으로 분리하기 위한 기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유입된 혼합유출물이 역류하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침출수와 가스로 분리하고 응축수를 흡입하여 침출수로 배출하는 기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매립장의 매립물에서 발생되는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매립물의 하부중앙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혼합유출물의 유입을 위하여 지름이 다른 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파이프에 엘보우(elbow)를 연결하여 수직의 가스 배출관과 수평의 침출수 배출관으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매립장에서 배출되는 침출수와 가스등은 매립물의 팽창력에 의해 분리되어 가스는 수직으로 배출되고 침출수는 수평으로 배출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으로는 혼합유출물의 자연유출을 위한 것으로 파이프의 서로 다른 지름에 의하여 연결된 엘보우나 파이프의 곡관으로 인하여 침출수가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고이게 되거나 역류(가스가 완전 분리를 못한 경우)하여 침출수의 배수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관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혼합유출물을 분리처리하는 과정에서외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유입된 혼합유출물이 역류하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침출수와 가스로 분리하며 응축수를 흡입하여 침출수로 배출하는 기액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내부에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며 저장이송하는 저장공간부와, 혼합유출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유입구와, 내부에 혼합유출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격리판과,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여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와, 진공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흡입하는 응축수 흡입구와, 분리된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침출수 배출구로 구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을 체결시키는 힌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를 가진 격리판이 내부본체의 유입구의 전방에 설치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된 침출수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U자형의 침출수 배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을 바스켓형 걸름망에 의하여 여과시키는 바스켓형 여과장치가 저장공간부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을 걸름망에 의하여 여과시키는 여과장치가 유입구 입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액분리를 위한 매립장과 기액분리기의 상관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기의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인 유입구에 구비된 필터형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기액분리기 12 : 유입구
13 : 침출수 배출구 14 : 가스 배출구
15 : 슬러지 배출구 20 : 파이프라인
30 : 매립물 40 : 진공장치
41 : 가스헤더관 50 : 바스켓형여과장치
51 : 바스켓형걸름망 52 : 바스켓형손잡이
60 : 격리판 61 : 밀폐부
80 : 필터형 여과장치 81 : 필터형걸름망
82 : 고형물저장부 90 : 힌지부
91 : 상부덮개판 92 : 하부덮개판
93 : 덮개손잡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기액분리를 위한 매립장과 기액분리기의 상관관계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매립장의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는 기액분리기(10)에 있어서,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며 저장이송하는 기액분리기(10)는 매립물(30)에 내설된 파이프라인(2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을 유도하는 유입구(12)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여 가스를 배출시키며 외부 진공장치(4)의 가스헤더관(41)으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14)와, 상기 외부 진공장치(4)의 가스헤더관(41)과 다른 한쪽으로 연결되며 진공장치(40) 내의 응결되는 응축수를 흡입하는 응축수 흡입구(15)와,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로부터 분리된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U자형의 침출수 배출구(13)로 구성된다.
도 2는 기액분리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로서,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며 저장이송하는 기액분리기(10)는 유입을 유도하는 유입구(12)와,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으로부터 분리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14)와, 외부의 진공장치(4)내에 응결되는 응축수를 흡입하는 응축수 흡입구(15)와,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으로부터 분리된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u자형의 침출수 배출구(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내부에는 유입된 혼합유출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밀폐부(61)를 가진 격리판(60)과 입자가 큰 고형물을 여과시키는 바스켓형 걸름망(81)이 구비된바스켓형 여과장치(80)가 장착되며, 상기 바스켓형 여과장치(80)를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걸름망손잡이(83)가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형물을 여과시키는 바스켓형 걸름망(81)의 처리시 조립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덮개판(91)과 하부덮개판(92)을 체결시키는 힌지부(90)가 하부덮개판(92)의 일측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바스켓형 걸름망(81) 및 본체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덮개판(91)의 상단에 덮개손잡이(93)가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으로부터 분리된 침출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U자형의 침출수 배출구(13)를 설치하여 진공압에 의하여 역류되는 침출수를 방지하여 준다. 이때 침출수 배출구(13)는 진공압에 방해받지 않는 일정높이에 위치하게 하여 U자형의 관이 역류를 방지하게 하여 배출하게 된다.
도 3은 기액분리기(10)의 단면도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가스배출구(14)로 혼합유출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61)를 가진 격리판(60)이 본체내부의 유입구(12) 전방에 설치되어 유입된 혼합유출물이 밀폐부(61)와 격리판(60)에 의하여 아래로 낙하된다.
상기 격리판(60)은 본체내부의 유입구(12) 전방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바스켓형 여과장치(80)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방향의 밀폐부(61)에서 수직방향의 판재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밀폐부(61)는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이 격리판(60)에 충돌하면서 일부 분리되어진 가스가 가스배출구(14)로 배출되는 것과 침출수등이 가스배출구(14)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구(14)와 밀폐부(61)가 격리차단되게 구성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인 유입구에 구비된 필터형여과장치(5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혼합유출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와 파이프라인(20)의 연결부에 장착하는 필터형여과장치(5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이 필터형걸름망(51)이 구비된 필터형여과장치(50)를 통과하여 유입구(12) 입구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혼합유출물중 큰 고형물을 필터형걸름망(51)에 의해 걸러지게 하여 고형물이 고형물저장부(52)에 쌓이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액분리기(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매립장의 매립물(30) 하부에 고여 있는 혼합유출물이 진공장치(4)의 진공압에 의해 파이프라인(20)을 통하여 기액분리기(10)에 유입하게 된다. 상기 혼합유출물이 기액분리기(10)의 저장공간부(11)로 유입되면 격리판(60)에 의해 혼합유출물이 충돌되며, 이때 발생하는 가스의 상승작용에 의한 역류를 바스켓형 여과장치(80)에 장착된 격리판(60)의 밀폐부(61)가 방지하며, 혼합유출물들이 밀폐부(61)와 격리판(60)에 의해 아래로 낙하작용을 하게 되고, 이때 분리되어진 가스는 수직으로 상승하여 가스배출구(14)로 배출되어지고, 침출수는 아래로 하강하여 침전하게 되어 저장공간부(11)에 저장되며 혼합유출물중 입자가 큰 고형물은 바스켓형 걸림망(81)에 쌓이게 된다.
이때 침출수는 진공압에 방해받지 않는 일정높이에 위치한 U자형의 관이 역류를 방지하며, 침출수는 U자형의 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하게 되며, 진공장치(40)에 응결되는 응축수는 진공압에 의해 응축수 흡입구(15)로 이송하게 되며, 이송된 응축수는 침출수와 함께 침출수 배출구(13)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의 바스켓 걸림망(81)에 쌓여진 고형물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처리하여야 하며, 처리시에는 본체의 상부덮개판(91) 중앙의 가스배출구(14)와 진공장치(40)에 연결된 플렉시블관의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를 제거를 한 후 하부덮개판(92)의 일측에 부착되어져 상부덮개판(91)과 밀착체결된 힌지부(90)를 밀어제친 후 상부덮개판(91)을 분리한다.
이때, 분리한 기액분리기(10)의 내부에 장착한 바스켓형 여과장치(80)의 걸림망손잡이(82)를 이용하여 바스켓형 걸림망(81)을 외부로 꺼낸 후에 쌓여진 고형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인 유입구(12)에 구비된 필터형여과장치(50)는 파이프라인(20)에서 유입구(12)로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중 입자가 큰 고형물등이 필터형걸름망(51)에 의해 여과되어 고형물저장부(52)에 쌓이게 하고, 상기 저장되어진 고형물은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고형물저장부(52)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는 기액분리기로서 여과장치의 여과로 인하여 기액분리기 내부에 입자가 큰 고형물이 쌓이지 않게 하고, 진공압에 의해 분리되어진 혼합유출물등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혼합유출물로 인한 관의 부식이나 저장공간부의 부식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액분리기의 내부 및 외부에서 여과장치의 걸름망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기에 작업의 용이성을 높였으며, 분리저장된 침출수등을 U자형의 관을 이용하여 기액분리기 내부에 침출수가 다시 역류하여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또한 밀폐부를 가진 격리판에 의해 가스와 침출수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적인 분리로 인하여 유출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종래의 진공장치의 응결되는 응축수를 다시 기액분리기로 흡입을 하여 침출수로 다시 보내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혼합유출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과장치 및 배출관을 설치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근본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매립장의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는 기액분리기(10)에 있어서,
    본체내부에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며 저장이송하는 저장공간부(11)와,혼합유출물을 유입을 유도하는 유입구(12)와, 상기 본체내부에 혼합유출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격리판(60)과,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을 분리하여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14)와, 진공장치(4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흡입하는 응축수 흡입구(15)와, 분리된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침출수 배출구(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덮개판(91)과 하부덮개판(92)을 체결시키는 힌지부(9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된 혼합유출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61)를 가진 격리판(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침출수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U자형의침출수 배출구(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을 바스켓형 걸름망(81)에 의하여 여과시키는 바스켓형 여과장치(80)가 저장공간부(11)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되는 혼합유출물을 필터형걸름망(51)에 의하여 여과시키는 여과장치(50)가 유입구(12)입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KR10-2001-0074580A 2001-11-28 2001-11-28 기액분리기 KR10050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580A KR100503922B1 (ko) 2001-11-28 2001-11-28 기액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580A KR100503922B1 (ko) 2001-11-28 2001-11-28 기액분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670U Division KR200266457Y1 (ko) 2001-11-28 2001-11-28 기액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539A true KR20020009539A (ko) 2002-02-01
KR100503922B1 KR100503922B1 (ko) 2005-08-03

Family

ID=1971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580A KR100503922B1 (ko) 2001-11-28 2001-11-28 기액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9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05B1 (ko) * 2002-01-25 2005-03-31 주식회사 그린이엔씨 기액분리기
CN103934250A (zh) * 2014-03-25 2014-07-23 同济大学 一种同时抽取生活垃圾堆体内填埋气和渗滤液的装置及方法
KR20140138430A (ko) * 2013-05-2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액분리기
US9604158B2 (en) 2014-04-11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and SCR urea injection system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92B1 (ko) * 2013-05-02 2015-03-11 한국기계연구원 기액 분리 장치
KR101703922B1 (ko) * 2016-05-20 2017-02-07 조문강 액체식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공기 청정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320A (en) * 1990-07-10 1995-09-19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ystems, Inc., Usa Biological process for ground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KR100296626B1 (ko) * 1998-12-30 2001-11-05 이동훈 매립가스정제와침출수전처리를위한장치및그방법
KR20010092039A (ko) * 2000-03-20 2001-10-24 이구택 반고체에 함유된 액체 배출장치
KR200276375Y1 (ko) * 2001-12-19 2002-05-22 서용식 매립지의 침출수 추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05B1 (ko) * 2002-01-25 2005-03-31 주식회사 그린이엔씨 기액분리기
KR20140138430A (ko) * 2013-05-2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액분리기
CN103934250A (zh) * 2014-03-25 2014-07-23 同济大学 一种同时抽取生活垃圾堆体内填埋气和渗滤液的装置及方法
US9604158B2 (en) 2014-04-11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and SCR urea inj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922B1 (ko)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8290A (en) Modularized multi-stage separator system
GB2362337A (en) Bubble trap for removing gas/gas and solids from flowing liquid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KR100503922B1 (ko) 기액분리기
KR200442154Y1 (ko)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KR100479505B1 (ko) 기액분리기
US6969414B2 (en) Waste stream separator
KR100797564B1 (ko) 진공흡입식 스컴제거장치
KR200266457Y1 (ko) 기액분리기
KR200274240Y1 (ko) 기액분리기
KR20070010517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5036497B (zh) 一种具有分水板的污水处理设备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CN208055074U (zh) 一种用于废水处理的过滤器
KR20010097084A (ko)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5238055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
CN218421400U (zh) 一种真空回收处理系统
CN205533114U (zh) 一种真空泵过滤装置
JPH0824533A (ja) 濾過装置
CN114735787B (zh) 一种清渣隔油池
CN216837417U (zh) 一种油水分离器格栅一体机
CN217578485U (zh) 一种电镀废水回收用环保处理设备
CN215352234U (zh) 一种可有效排出污物的石油化工用油气分离器
CN109851074A (zh) 一种高效清除污水过滤板积淤的设备
CN213268270U (zh) 一体化污水提升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