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317A -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317A
KR20020009317A KR1020000043083A KR20000043083A KR20020009317A KR 20020009317 A KR20020009317 A KR 20020009317A KR 1020000043083 A KR1020000043083 A KR 1020000043083A KR 20000043083 A KR20000043083 A KR 20000043083A KR 20020009317 A KR20020009317 A KR 2002000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pack
circuit
input circuit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700B1 (ko
Inventor
황국연
Original Assignee
고병욱
주식회사 프로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욱, 주식회사 프로파워 filed Critical 고병욱
Priority to KR102000004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7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배터리팩의 불량방지와 배터리팩의 상태를 검사하여 이상이 감지되면 신속하게 이를 컴퓨터에 표시하여 배터리팩의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어 충방전 동작을 하면서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전체 검사목록 및 불량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기 컴퓨터는 배터리팩의 개방전압검사, 배터리 내부저항검사, 쇼트시 전압차단 기능검사, 충전시 복구 기능검사, 부하측정검사, 배터리팩의 ID검사, 과전압시 전원차단검사등을 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Device for testing a lithium ion battery pack of notebook computer}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팩의 불량방지와 배터리팩의 상태를 검사하여 이상이 감지되면 신속하게 이를 컴퓨터에 표시하여 배터리팩의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의 일측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팩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리튬이온의 배터리팩이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팩에는 전류가 충방전되며, 상기 배터리팩의 일측에는 컴퓨터의 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팩의 일측에는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량을 외부에 표시하는 잔량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배터리팩에 구비된 잔량표시부를 확인하여 배터리팩의 남은 전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배터리팩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어 휴대용 컴퓨터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므로 배터리팩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하여업무를 하던 사용자의 자료를 순간적으로 잃어버리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의 작동상태를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하면서 제품을 생산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테스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비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의 불량여부를 확인하지만 배터리팩의 불량원인 및 검사목록을 작성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의 불량방지와 배터리팩의 상태를 검사하여 이상이 감지되면 신속하게 이를 컴퓨터에 표시하여 배터리팩의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아날로그 전압 입력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압 전원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부하장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트롤이 가능한 기준전압원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제3제어부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컴퓨터 20 :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
30 :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 40 :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부
50 : 아날로그 전압 입력회로부 60 : 디지털 컨트롤 전압회로부
70 : 전자식부하장치 80 : 배터리팩 출력단자
90 : 배터리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목록과 불량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전압레벨을 조절하는 전압변환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전압 및 접점입력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 상기 각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 전원공급부; 상기 전압 및 접점입력회로부,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부 및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에 접속되어 배터리팩의 접촉단자에 접속되는 배터리팩 출력단자; 및 디지털 컨트롤이 가능한 디지털컨트롤 전압회로부로이루어지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어 충방전 동작을 하면서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전체 검사목록 및 불량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기 컴퓨터는 배터리팩의 개방전압검사, 배터리 내부저항검사, 쇼트시 전압차단 기능검사, 충전시 복구 기능검사, 부하측정검사, 배터리팩의 ID검사, 과전압시 전원차단검사등을 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안에 따른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아날로그 전압 입력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압 전원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부하장치 회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트롤이 가능한 기준전압원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3의 제3제어부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장치를 설명하면, 먼저, 컴퓨터(10)를 이용하여 배터리팩(90)을 검사하는 목록과 불량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를 모니터에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컴퓨터(10)에는 전압변환회로부(26)가 접속되며, 상기 전압변환회로부(26)는 컴퓨터(10)의 신호를 멀티연결된 각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의 전압레벨을 조절한다. 상기 전압변환회로부(26)에는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가 접속되며, 상기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는 하나의 IC인 제3제어부(22)가 구비되어 배터리팩(90)이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할 수있으며, 컴퓨터(10)의 신호가 없이도 자동으로 배터리팩(90)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전압변환회로부(26)에는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가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는 배터리팩(90)의 전압을 방전회로로 전환시키거나 충전회로로 연결해주고 쇼트(Short)시키는 동작을 한다. 상기 전압변환회로부(26)에는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가 접속되며, 상기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충전회로에 연결하여 배터리팩(90)을 충전시키거나 프로텍터를 복구시키는 동작을 한다. 상기 전압변환회로부(26)에는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가 접속되며, 상기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는 개방전압, 충전전압, 내부저항 및 ID저항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각 단자에는 정전압 전원공급부(92)가 접속되며, 상기 정전압 전원공급부(92)는 각 단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 및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에는 배터리팩(90)의 접촉단자에 접속되는 배터리팩 출력단자(80)가 접속된다. 그리고 디지털 컨트롤이가능한 디지털 컨트롤 전압회로부(60)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미 설명부호 C1~C8은 콘덴서이고, D1~D4는 다이오드이고, Q1,Q2는 트랜지스터이고, R1~R10은 저항이고, ZD1는 제너다이오드이다.
상기 컴퓨터(10)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10)에 접속되는 전압변환회로부(26)는 콘덴서(도시 안됨)의 전압펌프작용으로 전압을 상승시켜 컴퓨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레벨을 조절하여 각 제어장치에 인가한다. 상기 컴퓨터(1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TXD신호라인과 RXD신호라인을 통해 멀티연결된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에 인가되며, 상기 컴퓨터(10)의 RXD신호라인은 멀티연결된 제어장치의 TXD신호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의 TXD신호라인은 멀티연결된 제어장치의 RXD신호라인에 연결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같이, 컴퓨터(10)에서 하나의 ID를 TXD신호로 실어 보내면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또는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 및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가 응답하여 연산, 출력, 입력의 결과를 컴퓨터(10)로 보내게 된다.
도 3의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는 제3제어부(22)가 구비되며, 프로그램을 제3제어부(22)에 내장하여 전원이 오프/온 되었을 때 제3제어부(22)가 작동을 한다. 전원이 오프/온 되면 리셋(RESET)이 걸리는데 이것은 콘덴서(C1)의 특성을 이용한 방법이다. 즉 전원(Vcc)이 콘덴서(C1)로 흐르는 동안 콘덴서에 전하가 쌓이게 되는데 처음에는 전하가 없으므로 쌓이는 동안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전류가 흐르는 속도는 저항(R1)의 용량에 의해 결정되어 지연이 되며, 콘덴서(C1)의 충전이 완료되면 방전이 될 때까지 전원(Vcc)은 리셋으로 흐르지 못한다. 그래서 콘덴서(C1)가 충전하는 동안은 리셋이 걸리고, 콘덴서(C1)의 충전이 완료되면 리셋은 걸리지 않는다. 이상의 과정은 제3제어부(22)를 초기화시키는데 필요하다.
진동자(X1)는 제3제어부(22)에 클럭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머신사이클을 만들어 낸다. DIP-4는 DIP스위치로 0에서 15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컴퓨터(10)에서 ID3을 내보낼 때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의 DIP-4를 3으로 설정하면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가 선택되어 제어가 된다. 상기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는 배터리팩(90)의 전원을 입력받아 신호로 바꾸는 기능을 하며, PC1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동시켜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ER)(24)를 구동시킨다. 상기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의 발광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24)에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배터리팩(90)의 삽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신호가 없어도 자동으로 배터리팩(90)을 검사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 및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도 도 3에 도시된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동작을 실행하게 되며, 입력과 출력방법만 다르게 동작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를 구성하는 제4드라이브(34)는 8개의 트랜지스터(TR)가 내재되어 있으며, 제4제어부(32)의 포트에 전류가 흐르면제4드라이브(34)의 트랜지스터에 전류가 공급되어 릴레이(36) 및 그의 접점이 동작하게 되며, 상기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는 배터리팩(90)의 전압을 방전회로로 전환하거나 충전회로로 연결해주고, 쇼트(Short)시키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도 5에 도시된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는 제5A/D컨버터부(52)가 사용되며, 상기 제5A/D컨버터부(52)는 16비트로 샘플링할 수 있다. 직렬로 데이터를 요구하면 현재 제5A/D컨버터부(52)에서 읽어들인 전압을 제5제어부(54)에 전송하고 다음 동작을 준비한다. 제5드라이브(56)를 이용하여 채널을 1채널에서 8채널로 확장하고 여러개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분할하여 전압을 읽어들인다. 상기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는 개방전압, 충전전압, 내부저항, ID저항 등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개방전압은 동작이 시작하기 전에 측정이 되며, 상기 충전전압은 도 4의 릴레이(36)를 충전회로로 전환시키고 측정하게 된다. 상기 방전전압도 위의 내용과 같이 도 4의 릴레이(36)를 방전회로로 전환시키고 측정한다. 상기 내부저항은 배터리팩(90)에 저항을 연결하고 전류를 흘려 내보낸 후 전압을 측정하여 개방전압과의 차이를 공식으로 계산한 데이터이다. 상기 ID저항은 전원(Vcc)에 ID저항을 연결하고 ID저항을 연결하고 ID저항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저항을 접지(GND)시키고, ID저항과 다른 저항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 후 그 차이를 저항값으로 환산한 데이터이다.
도 6은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는 제6D/A컨버터부(46)를 이용하여 8비트 데이터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회로이며, 상기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의 제6제어부(42)의 포트가 한정되어 제6데이터변환부(44)를 이용하여 시리얼 데이터를 패러럴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상기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40)는 8비트의 데이터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충전회로에 연결하여 배터리팩(90)을 충전시키거나 프로텍터를 복구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7은 정전압 전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9에 정전압(+15V, -15V, +5V, -5V)의 전원을 공급하며, 도 8은 전자식 부하장치로서, 방전전압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배터리팩(90)에 부하를 거는 경우 증폭기(OP AMP)(U8)의 비반전 입력에 기준전압(Vref)을 인가하고, 전류센싱저항(R5)의 전압강하와 비교하여 Vref=1×R5 가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저항(R5)의 값은 시험하는 부하전압의 최저값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저항(R5)의 양단 전압강하를 약 1V로 했기 때문에 이것이 제어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미터간 포화전압과 보호다이오드(D3)에 의한 드롭전압을 가한 전압 이상의 부하전압이면 사용가능하다. 0~1V 까지 가변할 수 있는 기준전압이 필요하며, 제너다이오드(ZD1)를 사용하여 5~6V로 안정화(증폭기(U8)의 전원에 3단자 레귤레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원에서 분합해도 된다.)하여 볼륨을 사용하여 분압한다. 상기 저항(R5)의 값은 0~10Amax에서 0.1Ω, 0~1Amax에서는 1Ω, 0~0.1max에서 10Ω으로 사용범위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트롤이 가능한 기준전압원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배터리팩(90)을 충전할 때 사용된다. D/A컨버터(D/A CONVERTER)의 전압은 전류가 약해 배터리팩(90)을 충전하기에는 역 부족이기 때문에 전류를 올리기 위한 기준 전압원이 필요하다.증폭기(U9)는 기준전압원으로 만들기 위한 피드백회로로 트랜지스터(Q1)에 흐르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흐르게 된다.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 전압이 증폭기(U9)로 피드백되어 전압을 D/A 컨버터 전압과 비교하여 내보내는 과정을 반복하면 전압이 D/A 컨버터에서 제어하는 전압과 일정하게 제어가 된다.
이하 일 실시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배터리팩(90)이 삽입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 상기 단계(S10)에서는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20)에 데이터를 요구하고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배터리팩(90)이 삽입되면 신호가 변환되어 컴퓨터(10)로 전송되는데 이때 다음 프로그램으로 이동한다. 상기 단계(S10)에서 배터리팩(90)이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컴퓨터 시작키가 온 절환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2). 상기 단계(S12)에서 컴퓨터 시작키를 누룰때도 다음 프로그램으로 이동하지만 신호가 바뀌지 않거나 시작키를 누르지 않으면 계속 확인작업에 들어간다.
상기 단계(S12)에서 시작키가 눌려지면 개방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에 데이터를 요구하여 전압측정데이터를 전송받는다(S14). 상기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로부터 입력되는 배터리팩(90)의 전압은 컴퓨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단계(S14) 다음에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5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같은가를 판단한다(S16). 상기 단계(S16)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가 같으면 다음 단계의 프로그램으로 이동을 하여 내부저항측정하기 위하여 릴레이 접점제어회로부(30)의 배터리팩(90)의 전압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컴퓨터(10)로부터 전송받는다(S18). 상기 단계(S18) 다음에 배터리팩(90)의 전압값을 읽어 저항값으로 환산하여 표기하고 설정된 데이터와 같은가를 비교한다(S20).
상기 단계(S20)에서 설정된 데이터와 저항값이 같으면 쇼트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30)의 데이터를 컴퓨터(10)로부터 전송받는다(S22). 이때 쇼트저항은 낮은 와트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팩(90)이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팩(90)을 쇼트시키면 프로텍터가 차단되어 전압이 나오지 않게 된다. 상기 단계(S22)에서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데이터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S24).
상기 단계(S24)에서 측정된 전압값이 설정된 데이터보다 작으면 프로텍터를 복구시켜 전압을 나오게 하기 위하여 충전을 한다(S26). 상기 단계(S26)에서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부(40)의 데이터를 컴퓨터(10)로부터 전송받아 출력단자를 통해 전압을 내보낸다. 상기 단계(S26)에서 출력된 전압값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은가를 판단한다(S28). 상기 단계(S28)에서 전압값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으면 방전전압을 측정한다(S30). 즉, 상기 단계(S28)에서 프로텍터가 복구되어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으면 전자식 부하장치(70)를 선택하여 배터리팩(90)의 방전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 다음에 방전전압을 측정하여 설정된 데이터와 같은가를 비교한다(S32). 상기 단계(S32)에서 측정된 방전전압값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으면 개방전압과 방전전압의 차를 측정한다(S34). 상기 단계(S34)에서 개방전압과 방전전압의 차를 측정하여 설정된 데이터와 같은가를 비교한다(S36). 상기 단계(S36)에서 측정된 개방전압과 방전전압의 차가 설정된 데이터와 같으면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부(40)에 연결되어 있는 ID저항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저항값으로 환산한다(S38). 상기 단계(S38)에서 측정된 ID저항값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은가를 비교한다(S40). 상기 단계(S40)에서 측정된 ID저항값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으면 과충전전압측정을 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부(40)의 데이터를 컴퓨터(10)로부터 전송받는다(S42). 상기 컴퓨터(10)로부터 받은 전압을 배터리팩(90)의 전압보다 높게 설정하여 출력단자를 통해 내보낸다. 상기 단계(S42)에서 출력된 전압값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은가를 비교한다(S44). 상기 단계(S44)에서 출력된 전압값이 설정된 데이터와 같으면 배터리팩 측정결과가 정상인 것으로 된다(S46). 상기 단계(S44)에서 설정된 데이터와 전압값이 같지 않으면 배터리팩 측정결과가 비정상으로 한다(S48).
도 11은 도 3의 제3제어부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전원이 공급되면 DIP-4의 데이터를 읽어들인다(S100). 상기 단계(S100) 다음에 ID를 확인한다(S200). 상기 단계(S200)에서 ID가 정상이면 A/D 컨버터를 제어한다(S300). 상기 단계(S300) 다음에 전압데이터 및 저항 데이터를 로드시킨다(S400). 상기 단계(S400) 다음에 릴레이를 출력하고 포트를 통해 입력한다(S500). 상기 단계(S500) 다음에 전압데이터를 출력시킨다(S600), 상기 단계 다음에 TXD 단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S700).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어충방전 동작을 하면서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전체 검사목록 및 불량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기 컴퓨터는 배터리팩의 개방전압검사, 배터리 내부저항검사, 쇼트시 전압차단 기능검사, 충전시 복구 기능검사, 부하측정검사, 배터리팩의 ID검사, 과전압시 전원차단검사등을 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목록과 불량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전압레벨을 조절하는 전압변환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전압 및 접점입력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 상기 전압변환회로부에 접속되는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 상기 각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 전원공급부; 상기 전압 및 접점입력회로부, 릴레이 접점 제어회로부, 아날로그 전압 출력회로부 및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에 접속되어 배터리팩의 접촉단자에 접속되는 배터리팩 출력단자; 및 디지털 컨트롤이 가능한 디지털컨트롤 전압회로부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및 접점입력회로부는 제3제어부를 구비하며, 프로그램을 제3제어부에 내장하여 전원이 오프/온 되었을 때 제3제어부가 작동을 하고, 전원이 오프/온 되면 리셋이 걸리며, 진동자(X1)는 제3제어부에 클럭을 공급하여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DIP-4는 DIP스위치로 0에서 15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컴퓨터에서 ID3을 내보낼 때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의 DIP-4를 3으로 설정하면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가 선택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및 접점입력회로부는 배터리팩의 전원을 입력받아 신호로 바꾸는 기능을 하며, PC1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켜 포토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전압 및 접점 입력회로부의 발광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배터리팩의 삽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신호가 없어도 자동으로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압입력회로부는 개방전압, 충전전압, 내부저항, ID저항 등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개방전압은 동작이 시작하기 전에 측정이 되며, 상기 충전전압은 릴레이를 충전회로로 전환시키고 측정하게 되며, 상기 방전전압도 릴레이를 방전회로로 전환시키고 측정하며, 상기 내부저항은 배터리팩에 저항을 연결하고 전류를 흘려 내보낸 후 전압을 측정하여 개방전압과의 차이를 공식으로 계산하여 산출하며, 상기 ID저항은 전원(Vcc)에 ID저항을 연결하고 ID저항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저항을 접지(GND)시키고, ID저항과 다른 저항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 후 그 차이를 저항값으로 환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는 제6D/A컨버터부를 이용하여 8비트 데이터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아날로그 전압출력회로부의 제6제어부의 포트가 한정되어 제6데이터변환부를 이용하여 시리얼 데이터를 패러럴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8비트의 데이터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충전회로에 연결하여 배터리팩을 충전시키거나 프로텍터를 복구시키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KR1020000043083A 2000-07-26 2000-07-26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KR100356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083A KR100356700B1 (ko) 2000-07-26 2000-07-26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083A KR100356700B1 (ko) 2000-07-26 2000-07-26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317A true KR20020009317A (ko) 2002-02-01
KR100356700B1 KR100356700B1 (ko) 2002-10-18

Family

ID=1968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083A KR100356700B1 (ko) 2000-07-26 2000-07-26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7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355A (ko) * 2002-08-06 2004-02-14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밧데리의 내부 저항 측정 시스템
KR100525697B1 (ko) * 2001-11-27 2005-11-0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Id 발생 장치 및 id 확인 장치
KR100944911B1 (ko) * 2007-09-21 2010-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372157B1 (ko) * 2013-06-26 2014-03-07 권동채 다직렬 배터리의 기능검사장치
KR101384898B1 (ko) * 2013-06-26 2014-04-15 권동채 스마트 배터리의 기능검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5171A (ko) * 1991-12-30 1993-07-24 이헌조 밧데리 상태 검출회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697B1 (ko) * 2001-11-27 2005-11-0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Id 발생 장치 및 id 확인 장치
KR20040013355A (ko) * 2002-08-06 2004-02-14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밧데리의 내부 저항 측정 시스템
KR100944911B1 (ko) * 2007-09-21 2010-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372157B1 (ko) * 2013-06-26 2014-03-07 권동채 다직렬 배터리의 기능검사장치
KR101384898B1 (ko) * 2013-06-26 2014-04-15 권동채 스마트 배터리의 기능검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700B1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7624B1 (en) Battery clamp connect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P1046923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electric component for inverter circuit
US70763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the use of a processing device into a battery charger and tester
US6323650B1 (en) Electronic battery tester
US6249124B1 (en) Electronic battery tester with internal battery
US6448743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US20040002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a charging power source
US7542858B2 (en) Simulated battery logic testing device
CN101907689B (zh) 测试电路的生成方法、装置和电源测试系统
US6356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circuit testing of a capacitor
US20100127711A1 (en) Testing apparatus for testing electronic system with 4-wires resistive touch panel and the method therefor
US82245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oltage range measurement
KR10035670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검사하는 장치
JP5473277B2 (ja) 充電装置
US20060132097A1 (en) Smart battery simulator
JP2002131402A (ja) 二次電池の検査装置
CN110736950A (zh) 电池管理系统在线测试系统及方法
US20160282418A1 (en) Process for Auto-Testing a Fully Discharged Battery, Such as Double-Layer Capacitor Battery, and Circuit for Doing the Same
CN211698112U (zh) 电池测试系统及电池测试仪
KR20080042227A (ko) 충전배터리 용량 검증방법
KR100541741B1 (ko) 충전기능 검사장치
JP3736563B2 (ja) バッテリー評価装置
KR1005493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불량 선별 장치 및 방법
US6885962B2 (en) Signal inspection device
KR1006514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량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