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926A -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926A
KR20020004926A KR1020010076908A KR20010076908A KR20020004926A KR 20020004926 A KR20020004926 A KR 20020004926A KR 1020010076908 A KR1020010076908 A KR 1020010076908A KR 20010076908 A KR20010076908 A KR 20010076908A KR 20020004926 A KR20020004926 A KR 20020004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informatio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수
김의창
윤영호
Original Assignee
김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수 filed Critical 김의수
Priority to KR102001007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926A/ko
Publication of KR2002000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9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강관련 기관에서 발생하는 각 진단기록 및 건강상담 기록의 건강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웹 서버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통합하는 제 2단계, 상기 저장 통합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의사, 한의사, 체력관리 전문 생활체육지도자등 각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분석 검토되어 앞으로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는 제 3단계, 상기 분석된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최종 검토하여 식생활에 적용되어야할 영양클리닉 정보의 분석, 저장하는 제 4단계, 인터넷 건강관리 통합관리 웹서버(6)에서 네트워크 관리되는 외식업체(8)를 방문한 각 회원이 상기 건강정보 저장DB(7)에 저장된 영양클리닉 정보를 접속하여 자신에 적합한 식단의 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하는 제 5단계, 상기에서 로그인 하여 얻어진 각 개인별 건강식단에 의해 조리된 음식을 외식업체에서 제공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RESTAURANT SYSTEM SERVING HEALTH FOOD WITH THE INTERNET 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개인이 얻는 건강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인터넷 통합관리시스템을 가동하고 이 통합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각 개인에게 유익한 건강식단의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현대사회에서 각 개인들이 건강을 위한 진단, 운동, 관리 등의 프로그램 등은 본인의 의지에 의해 또는 주변여건(직장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또는 각종 사회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에 의해 주기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건강정보는 의사와의 상담, 진찰기록, 수술기록, 처방기록, 사고부상 기록 등의 진료데이터와, 약국의 조제기록, 한의원에서의 진료에 의한 동양의학에 의한 체질분류 데이터, 체력증진을 위한 스포츠센터에서의 상담기록, 운동경력, 운동중 발생한 부상기록 등의 데이터, 임산부의 경우 임신중의 산부인과의 기록, 출산 후 산후 조리원에서의 건강회복 기록, 아기의 경우 신생아시기의 건강상태 등의 기록 및 데이터들이 계속적으로 개개인의 일생동안 건강에 관련된 기록들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강에 관련된 정보(진찰, 진단, 체력측정 등)가 각 개인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매우 고가의 비용을 들여서 얻어지게 되는 각 개인들의 건강에 관련된 정보는 단편 적용을 위해, 예를 들면 체력보강을 위해 한의원에서 진단을 받는 경우 보약 조제를 위한 방편으로만 사용되고 그것을 다 약용하고 난 뒤에는 계속적인 자기의 건강정보로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강정보를 통합하였을 경우 가장 유용하게 적용 가능한 분야가 식생활이라 하겠다.
최근 현대인의 식생활은 경제적 성장과 함께 풍부하게 되고, 영양적인 면과 그리고 기호적인 면에서도 만족할 만한 식품을 언제든지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식생활의 개선과 의학기술발전 등에 의하여 한국인의 평균수명도 연장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영양균형의 편중에 의하여 젊은 층에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암, 순환기계 질환, 비만,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생활습관병이 증가하여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습관병의 발증은 식품 혹은 식생활과의 밀접한 관련성이 역학적으로도 지적되어 국민들 사이에는 식품에 대한 건강 안정성지향, 식품에 대한 건강유지 질병예방의 필요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조영수 외: 식품과 건강정보, 동아대학교 출판부, p3(1999))
또한, 90년대로 접어들면서 사회구조의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져 가족형태가 점점 더 대가족 형태에서 극소수 핵가족 형태로 변화되고, 국민들의 지식 수준도 급격히 향상되어, 여성의 사회진출 또한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성의 사회진출에 따른 여성의 권위는 높아졌으나 이로 인한 건강악화는 물론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한 잦은 유산 및 임신으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증가되고 있다. 여성의 사회참여에 따른 자녀부양에 대한 걱정은 출산율을 저하시켰고 해마다 신생아 출생률이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핵가족의 형태로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외식의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외식 시장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족 건강을 위한 안전한 식품의 취급과 위생적, 영양적 조건을 만족시켜 주는 전문적인 외식업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각각 발생되는 개인별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하나의 데이터 서버로 관리 저장하는 시스템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진단기관 및 상담기관에서 발생하는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관리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각 개인에 맞도록 식생활에 이용하는 외식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하여 각 개인의 건강정보를 웹서버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경로의 흐름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저장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각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분석 검토되어 앞으로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강관련 기관에서 발생하는 각 진단기록 및 건강상담 기록의 건강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웹 서버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통합하는 제 2단계,
상기 저장 통합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의사, 한의사, 체력관리 전문 생활체육지도자등 각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분석 검토되어 앞으로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는 제 3단계,
상기 분석된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최종 검토하여 식생활에 적용되어야할 영양클리닉 정보의 분석, 저장하는 제 4단계,
인터넷 건강관리 통합관리 웹서버(6)에서 네트워크 관리되는 외식업체(8)를 방문한 각 회원이 상기 건강정보 저장DB(7)에 저장된 영양클리닉 정보를 접속하여자신에 적합한 식단의 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하는 제 5단계,
상기에서 로그인 하여 얻어진 각 개인별 건강식단에 의해 조리된 음식을 외식업체에서 제공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 1단계
본 발명의 제 1단계는 건강관련 기관에서 발생하는 건강정보를 입력단계로 각 진단기록 및 건강상담 기록의 건강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도 1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개인의 건강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 병원(1)에서 의사의 진료, 진단, 수술 등의 기록 입력이 가능하며, 한의원(2)에서 진료, 처방을 기록 입력하고, 스포츠센터(3)에서 전담 코치나 상담분석 코치 등에 의해 상담 분석된 내용 등의 기록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산후 조리원(4)등에서 산부가 산후 조리하는 과정에서 취득되는 산부의 건강 정보 등을 입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신생아의 건강정보 등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진료 또는 건강상담 정보 이외에도 개인(5)이 회원 로그인하여 본인이 그 동안 자신의 몸 상태나 건강상태 등을 자세히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단계이다.
제 2단계
본 발명의 제 2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웹 서버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통합하는 단계이다.
종래에는 각 건강관련 기관이나 사회단체 등의 각 분야에서 각종의 기록이나 데이터가 발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건강관련 기록들은 진단 기관별, 소속단체별, 검사기관별 등에서 단위사업장의 범위에 한정되어 보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생된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진단이나 상담을 받는 개인이 스스로 누적하여 계속적으로 통합관리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 웹 서버저장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각 개인별 발생되는 진단기록 및 건강상담기록의 건강정보가 본인이 원하는 기간동안 계속적으로 누적되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각 개인의 건강정보를 웹서버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경로는 도 2의 흐름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강진단 또는 상담기관에서 건강을 체크(21)하고, 이어서 해당 전문가에 의해 얻어진 건강정보가 발생(22)되고, 상기에서 발생된 건강정보는 단말기를 통해 PC에 입력(23)되고, 이어서 상기 입력된 자료를 가지고 건강정보 통합관리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24)하고, 진단 받은 회원이 갖고 있는 회원ID로 회원 로그인(25)을 하고 회원인증(28)을 하게 된다. 이때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가입(26)을 하고, 회원가입을 완료한 정보는 회원정보DB(27)에 저장한 후 회원인증(28)을 받게 된다. 회원인증(28)이 완료되면 이어서 자신의 건강정보를 저장(29)하게 되고 이 정보는 건강정보DB(7)에 저장 보관된 후종료(30)된다.
제 3단계
본 발명의 제 3단계는 상기 저장 통합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의사, 한의사, 체력관리 전문 생활체육지도자등 각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분석 검토되어 앞으로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3단계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장된 건강정보데이터는 의사(31), 한의사(32), 생활체육지도자(33)등에 의해 분석되면 이들 전문가들에 의해 향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부분과 중요시해야하는 부분 등을 적절하게 입력하게 된다. 이때 의사(31)가 주로 분석해야되는 항목은 개인들이 갖고있는 병력, 질환, 주의해야할 질병 등을 진단 입력하게 되며, 한의사(32)들은 각 질환의 진단 및 갖고 있는 체질분류, 향후 건강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고려하여 입력하게 되며, 생활체육지도자(33)는 이들의 현 건강상태에서 우선적으로 보완해야할 운동종목 및 프로그램, 비만정도 평가 등을 고려 입력하게 된다.
제 4단계
본 발명의 제 4단계는 상기 분석된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최종 검토하여 식생활에 적용되어야할 영양클리닉 정보의 분석, 저장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 3단계에서 각 전문가에 의해 분석된 자료가 입력되면 이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영양사(34)에 의해 각 개인별 필요로 하는 건강식단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영양 클리닉이 실시되고 이 정보가 저장된다. 이 때 제공되는 영양클리닉은 그 예를 들면, 비만도 평가에 의한 건강식단,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식단, 각 질환이 있는 경우 이를 보완관리 할 수 있는 건강식단, 임신부인 경우 보충해야할 각종 건강식단, 해산후의 산모에게 제공되어야할 식단, 병후 조리 중에 있는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식단, 각종 동양의학 분류에 의한 체질과 궁합이 맞는 건강식단 및 음식 등으로 영양클리닉이 되고 이를 저장 입력하게 되는 단계이다.
제 5단계
본 발명의 제 5단계는 인터넷 건강관리 통합관리 웹서버(6)에서 네트워크 관리되는 외식업체(8)를 방문한 각 회원이 상기 건강정보 저장DB(7)에 저장된 영양클리닉 정보를 접속하여 자신에 적합한 식단의 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인터넷 건강관리 통합관리 웹서버(6)에서는 네트워크로 외식업체(8)를 관리하며 관리된 업체에 의해 상기의 건강정보 DB(7)의 데이터에 연결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로 관리되는 외식업체(8)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건강관리 통합 관리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양클리닉에 적용되는 식단으로 구성된 음식 및 식사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제 6단계
본 발명의 제 6단계는 상기에서 로그인 하여 얻어진 각 개인별 건강식단에 의해 조리된 음식을 외식업체에서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공되는 식단 및 음식은 영양사에 의해 제공된 식단으로 구성되며 이 식단은 주문하는 개인의 체질, 영양상태, 비만도 등을 고려한 최상의 식단을 가지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들의 각 건강진단 및 상담에 의한 건강정보가 개인별로 통합 관리되어 본인이 원하는 경우 평생동안 지속적으로 건강정보의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개인의 건강정보가 통합 관리되며 이 건강정보통합관리 업체와 네트워크 연결된 외식업체와 유기적인 정보교환이 되어 각 개인에 가장 적합한 건강식단 및 궁합이 맞는 음식을 제공하는 외식업 시스템이 가능해진다.

Claims (3)

  1. 건강관련 기관에서 발생하는 각 진단기록 및 건강상담 기록의 건강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웹 서버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통합하는 제 2단계,
    상기 저장 통합된 개인별 건강정보를 의사, 한의사, 체력관리 전문 생활체육지도자등 각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분석 검토되어 앞으로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는 제 3단계,
    상기 분석된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최종 검토하여 식생활에 적용되어야할 영양클리닉 정보의 분석, 저장하는 제 4단계,
    인터넷 건강관리 통합관리 웹서버(6)에서 네트워크 관리되는 외식업체(8)를 방문한 각 회원이 상기 건강정보 저장DB(7)에 저장된 영양클리닉 정보를 접속하여 자신에 적합한 식단의 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하는 제 5단계,
    상기에서 로그인 하여 얻어진 각 개인별 건강식단에 의해 조리된 음식을 외식업체에서 제공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건강관련 기관은 병원(1), 한의원(2), 스포츠센터(3), 산후조리원(4)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인터넷을 통하여 각 개인의 건강정보를 인터넷 웹서버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경로는 건강진단 또는 상담기관에서 건강을 체크(21)하고, 이어서 해당 전문가에 의해 얻어진 건강정보가 발생(22)되고, 상기에서 발생된 건강정보는 단말기를 통해 PC에 입력(23)되고, 이어서 상기 입력된 자료를 가지고 건강정보 통합관리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24)하고, 진단 받은 회원이 갖고 있는 회원ID로 회원 로그인(25)을 하고 회원인증(28)을 하고, 이때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가입(26)을 하고, 회원가입을 완료한 정보는 회원정보DB(27)에 저장한 후 회원인증(28)을 받게 되고, 회원인증(28)이 완료되면 이어서 자신의 건강정보를 저장(29)하게 되고 이 정보는 건강정보DB(7)에 저장 보관된 후 종료(30)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KR1020010076908A 2001-12-06 2001-12-06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KR20020004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08A KR20020004926A (ko) 2001-12-06 2001-12-06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08A KR20020004926A (ko) 2001-12-06 2001-12-06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926A true KR20020004926A (ko) 2002-01-16

Family

ID=1971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908A KR20020004926A (ko) 2001-12-06 2001-12-06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92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87A (ko) * 2002-01-28 2003-08-02 이인서 맞춤형 프랜차이즈 시스템
KR20030083353A (ko) * 2002-04-22 2003-10-30 김현진 외식업체의 고객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이를이용한 외식업 서비스 시스템
KR20040051741A (ko) * 2002-12-11 2004-06-19 주식회사 엘키토산코리아 건강 식품 판매 방법
KR100673782B1 (ko) * 2005-05-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KR100682123B1 (ko) * 2005-07-11 2007-0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의 rfid를 이용한 건강관련 정보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7384B1 (ko) * 2007-08-10 2009-09-1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온라인한방정보시스템
KR20210136233A (ko)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오렌지쇼크 체성분 분석결과 알림 서비스를 활용한 메뉴추천 서비스 플랫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287A (ja) * 1993-09-20 1995-04-07 Nec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
JPH07175404A (ja) * 1993-12-20 1995-07-14 Hitachi Ltd 健康指導システム
KR20000036306A (ko) * 1999-12-03 2000-07-05 최병원 인터넷 지능형 식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10027810A (ko) * 1999-09-16 2001-04-06 서영돈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010048058A (ko) * 1999-11-24 2001-06-15 박광순 인터넷맞춤건강관리운영방법
KR20010069618A (ko) * 2001-04-23 2001-07-25 임호설 인터넷을 이용한 음식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4099A (ko) * 2000-04-04 2001-10-31 조권석 건강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8206A (ko) * 2000-04-28 2001-11-08 박재원 네트워크 기반의 식단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287A (ja) * 1993-09-20 1995-04-07 Nec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
JPH07175404A (ja) * 1993-12-20 1995-07-14 Hitachi Ltd 健康指導システム
KR20010027810A (ko) * 1999-09-16 2001-04-06 서영돈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010048058A (ko) * 1999-11-24 2001-06-15 박광순 인터넷맞춤건강관리운영방법
KR20000036306A (ko) * 1999-12-03 2000-07-05 최병원 인터넷 지능형 식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10094099A (ko) * 2000-04-04 2001-10-31 조권석 건강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8206A (ko) * 2000-04-28 2001-11-08 박재원 네트워크 기반의 식단 제공 시스템
KR20010069618A (ko) * 2001-04-23 2001-07-25 임호설 인터넷을 이용한 음식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87A (ko) * 2002-01-28 2003-08-02 이인서 맞춤형 프랜차이즈 시스템
KR20030083353A (ko) * 2002-04-22 2003-10-30 김현진 외식업체의 고객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이를이용한 외식업 서비스 시스템
KR20040051741A (ko) * 2002-12-11 2004-06-19 주식회사 엘키토산코리아 건강 식품 판매 방법
KR100673782B1 (ko) * 2005-05-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KR100682123B1 (ko) * 2005-07-11 2007-0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의 rfid를 이용한 건강관련 정보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7384B1 (ko) * 2007-08-10 2009-09-1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온라인한방정보시스템
KR20210136233A (ko)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오렌지쇼크 체성분 분석결과 알림 서비스를 활용한 메뉴추천 서비스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ker et al. Psycho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in the 1st trimester
US5692501A (en) Scientific wellness personal/clinical/laboratory assessments, profile and health risk managment system with insurability rankings on cross-correlated 10-point optical health/fitness/wellness scales
US7689437B1 (en)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Vallabhan et al. Motivational interviewing to treat adolescents with obesity: a meta-analysis
JP2002222263A (ja) 健康の自己管理用携帯端末、及び健康の自己管理支援システム
Luyas et al. An explanatory model of diabetes
US20180060518A1 (en)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DiMaria‐Ghalili Integrating nutrition in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Calfas et al. Practical nutrition assessment in primary care settings: a review
WO2005091195A1 (ja) 健康管理システム
Hill et al. A path model of psychosocial and health behaviour change predictors of excessive gestational weight gain
Hudgens et al.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as an assessment tool in elders in long‐term care
Ural et al. The effect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education program provided to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n maternal and neonatal healt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l-Nooh et al.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mong employees in the Kingdom of Bahrain between October 2010 and March 2011: a cross-sectional study from a workplace health campaign
Papadopoulou et al. Adaptation and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reek version of the Ohkuma questionnaire for dysphagia screening
KR20140033850A (ko) 유헬스 플랫폼 기반의 상황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Odencrants et al.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meal‐related situation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Primary health care–obese patients; a challenge for the future
Moreno-Alsasua et al. Primary prevention of asymptomatic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physiological sensors connected to an iOS app
KR20020004926A (ko) 인터넷을 통한 통합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건강식단 제공이 가능한 외식업 시스템
Jackson et al. Patient‐centred outcomes in dietary research
Miller An integrated approach to worker self-management and health outcomes: Chronic conditions, evidence-based practice, and health coaching
Schaefer A description of fatigue associated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use of Levine's conservation model
Torpy et al. Malnutrition in children
KR20090046994A (ko) 사용자 맞춤형 식단 추천 서비스
Ferguson et al. National health surveys and health policy: impact of the Jamaica Health and Lifestyle Surveys and the Reproductive Health Surve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17

Effective date: 200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