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233A -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의한 영어교재 - Google Patents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의한 영어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233A
KR20020004233A KR1020000037946A KR20000037946A KR20020004233A KR 20020004233 A KR20020004233 A KR 20020004233A KR 1020000037946 A KR1020000037946 A KR 1020000037946A KR 20000037946 A KR20000037946 A KR 20000037946A KR 20020004233 A KR20020004233 A KR 20020004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sentence
verb
subject
english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원구
Priority to KR102000003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233A/ko
Publication of KR2002000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2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어의 문장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간단한 도형형태의 기호로 구분 짓고 이러한 기호를 결합하여 문장의 구조를 표기하는 방법을 안출하며, 동시에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영어교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2)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형태의 기호로 구분하고 이를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조합시킴으로써, 이러한 기호를 보면 문장의 구성을 한순간에 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3)발명의 구성
영어문장을 이루는 주어, 동사, 목적어, 주격보어, 목적격보어, 부사구 등의 구성요소를 "", "",", "" 등의 간단한 기호를 이용하여 표기하는 것이다.
주어는 사람의 머리 형태를 닮은 ""로 정하고 동사는 움직이는 사람의 신체를 가상하여 ""로 한 후 주어와 동사는 상하로 붙여서 표기하며, 목적어는"로, 주격보어인 경우에는 ""로, 목적격보어는 ""형으로, 부사구의 경우는 "" 로 표시를 한 후, 이를 주어 및 동사 표시의 옆에 나열하여 표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영어교재는 영어문장이나 이를 번역한 한글문장과 함께, 상기의 방법에 의한 표시를 교재에 구성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호로 표기를 함으로써 영어 학습을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서 국제화 시대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영어를 손쉽게 학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한 영어교재{A spelling method of English sentence using diagram and it's English teaching materials}
본 발명은 영어의 문장을 이루는 주어, 동사, 목적어 등의 구성요소를 도형형태의 기호로 구분 짓고 이러한 기호를 문장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결합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안출하며, 아울러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교재를 제공함으로서 영어를 편하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하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영어공부를 할 때 길이가 긴 문장의 경우 초보자는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문장을 여러번반복하여 읽어가며 어떤 형식의 문장인지를 파악한 후 영어문장에 품사별로 기호를 표기하거나 구성요소를 글로서 적어가며 학습을 하여왔기 때문에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독해를 하는 데에만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학습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영어교육을 위한 교재를 보면 단순히 영어문장과 이를 번역한 한글문장을 표기하고 문장의 구성요소를 "주어+동사+목적어"와 같이 글로서 표기를 하고 있지만 이를 읽고 구성을 파악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구성의 파악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기호로 구분하고 이를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조합을 시킴으로써, 문장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글을 읽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한번 보는 것 만으로 문장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한순간에 파악을 할 수 있게 하여 결국 영어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재의 구성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구조표시
2:영어문장
3:한글문장
본 발명은 영어 문장을 이루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주어, 동사, 목적어, 주격보어, 목적격보어, 부사구 등을 제일 간단하면서 이해가 쉬운 "", "", "" 등과 같이 간단한 도형형태의 기호로 표기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주어는 문장의 핵심이므로 사람의 머리를 가상하여 ""로 정하고, 동사는 움직이는 사람의 신체를 가상하여 ""로 하며,목적어는 행동의 목표이므로 목표가 들어있는 상자를 가상하여 ""로 구분토록 하였다.
그리고 주격보어인 경우에는 주어를 표시하는 기호와 연관지어 ""로 표시를 하고 목적격보어는 목적어를 표시하는 기호와 연관지어 ""형으로 표시하며, 부사구의 경우는 주요한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문장을 포장하는 역할을 하므로 포장지를 가상하여 "" 로 표시를 하였다.
상기 부사구를 표시하는 기호의 앞부분에 있는 작은 사각형에는 전치사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치사가 없는 문장일 경우에는 "×"를 삽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요소를 기호화하고 문장의 형태에 따라서 이를 조합함으로써 문장의 형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주어를 표시하는 기호인 ""를 표시하고 주어와 동시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인 동사를 표시하는 ""는 주어를 표시하는 기호의 아래에 붙여 표기함으로써 제일 이해하기가 쉽도록 하였다.
의문문인 경우에는 주어를 표현하는 기호의 위에 동사를 표현하는 기호를 붙여 표기하며, 기타의 기호는 그 옆에 연이어 표기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된 본 발명의 기본적인 표기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 1) '주어+동사'로 구성된 문장의 경우:
I go.(나는 간다.)--->
예 2) '주어+동사+목적어'로 구성된 문장의 경우:
I love you.(나는 너를 사랑한다.)--->
예 3) '주어+동사+주격보어'로 구성된 문장의 경우:
He is my friend.(그는 나의 친구이다.)--->
예 4) '주격보어'가 있는 감탄문의 경우:
How great he is!(그는 얼마나 위대한가!)--->
예 5)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로 구성된 문장의 경우:
I color it red.(나는 그것을 빨갛게 색칠한다.)--->
예 6) '주어+동사+목적어+부사구'로 구성된 문장의 경우:
They have lunch at the table.(그들은 식탁에서 점심을 먹는다.)
--->
이하는 상기의 표기 예에서 조금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 7) 일반동사 의문문일 경우:
Do you read the book?(너는 그 책을 읽느냐?)--->
예 8) 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의 경우:
I like her because she is honest.(나는 그녀를 좋아한다. 왜냐하면 그녀가 착하기 때문이다.--->because
상기한 바와 같은 예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표기방법은 기호화 한 형태가 매우 간단하면서 사람의 형태 등과 같이 쉽게 인식이 가능한 기호를 이용함으로써 어린이나 초보자이더라도 짧은 순간 한번 보는 것만으로도 영어 문장의 구조를 한번에 파악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기방법을 영어 교재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되는 영어문장(2)나 한글문장(3)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구조표시(1)를 표기함으로써, 학습시 영어문장을 읽은 후 그 한글로 이해를 하거나 또는 한글 문장을 읽은 후 영어문장으로 이해를 하여야 할 경우 구조표시(1)를 한번만 보게 되면, 그러한 학습에 필요한 문장구조의 이해가 빨리 이루어지는 것이고, 따라서 어떠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짐을 파악한 상태에서 학습을 하게되므로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표기 방법과 그에 의한 교재는 굳이 영어뿐 아니라 일본어, 불어 등의 다른 외국어 교육용으로 누구나 손쉽게 전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호로 표기를 함으로써 영어 학습을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서 국제화 시대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영어를 손쉽게 학습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영어문장을 이루는 주어, 동사, 목적어, 주격보어, 목적격보어, 부사구 등의 구성요소를 "", "",", "" 등의 간단한 기호를 이용하여 표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주어는 사람의 머리 형태를 닮은 ""로 정하고 동사는 움직이는 사람의 신체를 가상하여 ""로 한 후 이를 상하로 붙여서 표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목적어는 행동의 목표이므로 상자와 같은 ""로, 주격보어인 경우에는 ""로, 목적격보어는 ""형으로, 부사구의 경우는 포장지 형태를 응용하여 "" 로 표시를 한 후 이를 주어 및 동사 표시의 옆에 나열하여 표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4. 영어학습을 위한 교재에 있어서, 영어문장이나 이를 번역한 한글문장과 함께, 영어문장을 이루는 주어, 동사, 목적어, 주격보어, 목적격보어, 부사구 등의구성요소를 "", "",", "" 등의 기호로 표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한 영어교재.
KR1020000037946A 2000-07-04 2000-07-04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의한 영어교재 KR20020004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946A KR20020004233A (ko) 2000-07-04 2000-07-04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의한 영어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946A KR20020004233A (ko) 2000-07-04 2000-07-04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의한 영어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233A true KR20020004233A (ko) 2002-01-16

Family

ID=1967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946A KR20020004233A (ko) 2000-07-04 2000-07-04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의한 영어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23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7065A (ko) * 2014-06-30 2014-08-06 이시디코리아 주식회사 캐릭터를 이용한 영어의 문장 구조 학습법
KR101466161B1 (ko) * 2013-10-22 2014-11-27 석경오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 가속 독해학습교재
KR101508337B1 (ko) * 2009-01-16 2015-04-06 이성호 만화 및 이미지 캐릭터 보드가 구비된 영어학습용 인쇄매체
CN109166356A (zh) * 2018-08-06 2019-01-08 李勤骞 英语体系动词性结构表达训练系统及其方法
KR20190067684A (ko) 2017-12-07 2019-06-17 윤경원 외국어 입체 구조 분석 방법
KR101994453B1 (ko) * 2018-12-10 2019-06-28 박종원 영작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58621A (ko) * 2018-11-19 2020-05-28 김제신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97659A (ko) 2020-12-30 2022-07-08 권순일 인터넷에 기반한 체질 및 건강상태 맞춤형 건강식단 제공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337B1 (ko) * 2009-01-16 2015-04-06 이성호 만화 및 이미지 캐릭터 보드가 구비된 영어학습용 인쇄매체
KR101466161B1 (ko) * 2013-10-22 2014-11-27 석경오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 가속 독해학습교재
KR20140097065A (ko) * 2014-06-30 2014-08-06 이시디코리아 주식회사 캐릭터를 이용한 영어의 문장 구조 학습법
KR20190067684A (ko) 2017-12-07 2019-06-17 윤경원 외국어 입체 구조 분석 방법
CN109166356A (zh) * 2018-08-06 2019-01-08 李勤骞 英语体系动词性结构表达训练系统及其方法
KR20200058621A (ko) * 2018-11-19 2020-05-28 김제신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94453B1 (ko) * 2018-12-10 2019-06-28 박종원 영작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97659A (ko) 2020-12-30 2022-07-08 권순일 인터넷에 기반한 체질 및 건강상태 맞춤형 건강식단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ll Collocational competence
Cimermanová Using comics with novice EFL readers to develop reading literacy
Lasaten Analysis of errors in the English writings of teacher education students
Sapura et al. USING DIFFERENT KINDS OF READING TECHNIQUES IN HIGH SCHOOLS
Ryshina-Pankova Creating textual worlds in advanced learner writing: The role of complex theme
Giyatmi Morphology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Mežek Learning terminology from reading texts in English: The effects of note-taking strategies.
Al-Jarf et al. Evaluation of Arabic language teaching textbooks used in Russia in the light of the CEFR criteria
KR20020004233A (ko) 영어문장의 구성요소를 도형으로 표기하는 방법 및 그에의한 영어교재
Tchudi et al. Taking the grrr out of grammar
Verma A stylistic approach to teaching literature at the college level
Schwartz et al. Dynamic language learning tools
KR200205218Y1 (ko) 문장의 구조를 기호로 표기하는 영어교재
Pérez Cañado The effects of explicit spelling instruction in the Spanish EFL classroom: Diagnosis, development and durability
Naciscione Phraseological units in literary discours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antika et al. English Language Learning with Flashcard Media and Educational Posters to Improve Language Education
KR101508337B1 (ko) 만화 및 이미지 캐릭터 보드가 구비된 영어학습용 인쇄매체
Yulianna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Kidd et al. Courseware design: exploiting the colour micro
Ravshanbekovna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bdumajidovna TEACHING READING AND VOCABULARY IN FOREIGN
Qadir et al. The Principles and Elements of School Dictionaries with an Evaluation of Some Kurdish School Dictionaries
Uyun et al. THE MAKING OF ADJECTIVE CARD GAME TO LEARN VOCABULARY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ahmudovna DEVELOPMENT OF LEXICAL COMPETENCE IN RUSSIAN LANGUAGE CLASSES AT THE UNIVERSITY
Shaxobovna PRINCIPLES OF SELECTION OF RUSSIAN ARTICLES FOR A PRACTICAL COURSE IN THE RUSSIAN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