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025A -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025A
KR20020004025A KR1020000036723A KR20000036723A KR20020004025A KR 20020004025 A KR20020004025 A KR 20020004025A KR 1020000036723 A KR1020000036723 A KR 1020000036723A KR 20000036723 A KR20000036723 A KR 20000036723A KR 20020004025 A KR20020004025 A KR 20020004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ethyl alcohol
freshness
toothpaste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안재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3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025A/ko
Publication of KR2002000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0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에틸알코올을 함유함으로써 치약의 세정력과 양치액의 상쾌한 사용감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Freshness enhanced tooth pas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에틸알코올을 함유함으로써 치약의 세정력과 양치액의 상쾌한 사용감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약의 사용 목적은 기본적인 치아 세정 목적에서 약효제 첨가에 의한 부가적인 충치 예방 목적 및 잇몸 질환 예방 목적 등의 약효적인 목적이 추가되어 왔다. 오늘날의 치약은 이러한 효능적인 측면 외에도 심미적인 면, 즉 미백 개념의 치약과 에티켓적인 면, 즉 구취제거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중 구취제거 측면이 강조되면서 양치액이 일반화되어 가고있다.
양치액은 일반적으로 물과 약효성분 및 향의 용해를 위한 알코올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외에 약효제로 각종 수렴제, 살균제, 불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구강 세정이라는 목적에서 일반 치약과 동등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나 사용자가 느끼는 점에서는 치약과 양치액은 차이점이 있다. 양치액은 사용후 약효감, 자극감이 강한 반면 치아의 세정력은 기존 치약에 비해 떨어진다. 반대로 치약은 우수한 세정력에 의해 사용 후 개운한 느낌은 강하나 양치액 사용 후와 같은 정도의 상쾌함은 얻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치약에 양치액의 강렬한 자극감에 의한 약효감 및 상쾌함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실험한 결과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에틸알코올을 함유시킴으로써 치약의 세정력과 양치액의 상쾌한 사용감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에틸알코올을 1 내지 25 중량% 함유하는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치액의 강한 상쾌감은 향 및 알코올 성분에서 기인한다. 알코올은 각종 약효성분의 용해제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살균제 또는 세정제로도 작용한다. 유기오염물의 경우 물보다는 알코올에 잘 용해되기 때문이다.
치약 조성물에는 연마제, 습윤제, 물 등이 주성분으로 들어가며, 이외의 성분으로는 기포제, 분산제, 유화제, 천연 향미제, 감미제, 식용색소, 방부제 등이 첨가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기제 조성물에 약효제를 적용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미국특허 5,662,888호에서는 비극성 계면활성제를 0.3~6.5% 사용하고 메틸살리실레이트를 0.06~0.20%사용하고 적어도 한가지의 에센셜 오일을 0.3~2.0% 함유하며 알코올을 12~20% 함유한 구강제제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알코올은 보조적인 용매로 사용하고 있을 뿐이고 실제 발명을 구체화하는 적용예를살펴보면 모두 양치액으로 치약제품에 관한 적용예는 전혀 언급이 없다. 따라서 미국특허 5,662,888호는 알코올의 오염물 세정력을 이용하여 치약에 적용한 본 발명과는 상이한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에틸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연마제로는 인산수소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알미늄, 실리카 등이 있고 이러한 연마제는 치아 및 구강내를 세정하는 역할을 해주며 통상 10~50% 사용된다. 습윤제는 결정성, 비결정성 솔비톨 수용액 및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사용되며 치약을 페이스트 상태로 유지시켜 주며 통상 5~70% 사용되며 혼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결합제로는 셀룰로오스 검, 잔탄검, 알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카라기난, 천연검류 등이 이러한 역할을 한다. 셀룰로오스 검, 잔탄검, 알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모두 수용성 고분자로서 점도를 높여주며 치약의 모양을 유지시켜 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통상 0.1~5% 사용되며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셀룰로오스 검류에는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 검류 중에서 구아검, 카라야 검, 카라기난, 한천 그리고 아크릴레이트류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그리고 폴리비닐피롤리돈, 분자량 10000 이상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젤라틴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는 미생물,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는 프로피온산, 안식향산, 파라벤류 등이 있다. 보존제는 0.05 내지 0.2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 중량% 사용된다.
향미를 좋게하기 위해 감미료를 첨가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감미료로는 사카로오스, 글루코오스 및 인공 감미료등이 있으며 이 외에 향과 식용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의 치약 제조 방법에 에틸알코올을 증량 적용함으로써 치약의 세정력과 양치액의 상쾌한 사용감을 동시에 가지는 치약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기존의 치약에는 향료나 약효제를 첨가하는데 향료나 약효제를 녹이기 위한 용제로 소량 적용하는 경우는 있었으나, 상쾌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치약의 방부력을 높이기 위하여 에탄올을 1% 이상 투입 적용하는 치약에 대한 기술 적용 사례는 없었다. 1% 이상의 에틸 알코올을 적용하므로써 에틸 알코올에 의해서 느껴지는 강한 상쾌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틸 알코올의 용제로써의 역할에 의해 치아 주위 및 잇몸에 붙어 있는 소수성 오염물을 녹여서 제거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구강에 존재하는 오염물 중 담배진과 같이 소수성 성질을 가진 것은 일반 치약으로 잇솔질을 하여 닦을 경우 칫솔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오염물은 녹지 않기 때문에 제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소수성 물질은 치간 등에 누적되어 프라그의 변색을 유발하기도 하며 악취를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소수성 물질의 제거는 각종 음식물에서 유래되는 점성 물질들에 의해 더욱더 어려워진다. 음식물 등에서 유래되는 이러한 점성물질은 담배진 등과 잘 붙어서 치아 사이나 잇몸 내부에 두터운 오염층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 이러한 오염층은 치석을 형성시키는 기반을 조성하게 된다. 에틸 알코올을 1% 이상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이러한 각종 누적 오염물을 에틸 알코올에 의해 용해하여 제거시켜 주고 상쾌감도 증대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약효제로는 기존에 구강 위생제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의약품 원료 및 위약부외품용 원료, 그리고 식품용 원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제에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안정하고 피막 형성 후 서서히 방출되게 되므로 장시간의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사용될 수 있는 약효제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으나 이들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취제(벤조카인, 프로목신(Promoxine), 디부카인(Dibucaine),디클로닌(Dicl
onine), 리도카인(Lidocaine), 메피라카인(Mepiracaine), 프릴로카인 (Prilocanine
), 테트라카인(Tetracaine))와 진통제(벤조인(Benzoin), 아세트아미노펜), 수렴제(칼라마인(Calamine), 산화아연, 탄닌산, 황산아연), 상처세정제(벤잘코니움 클로라이드, 과산화암모늄, 과산화카바마이드(Carbamide Peroxide), 탄닌산, 살리실산, 트리클로산, 과산화벤조에이트(Bezoyl Peroxide), 붕산), 자연 또는 합성 스테로이드계(트리암시놀론아세트아미드(Triamcinolone acetamide), 프레드리손(Predrisone
),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clomethasone dipropionate)), 살균제(트리클로산, 세틸 피리디움 클로라이드, 클로로헥시딘, 생귀나리아 추출물(Sanguinariaex
tract)), 소염제(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 알란토인, ε- 아미노카프론산, 태운 가공염), 상처 회복제(생선유, 상어 간유, 피마자유, 써크랄페이트(Sucralfate)),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이 약효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약효제의 적정 적용 농도에 따라 0.001 ∼ 5% 정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글리세린과 솔비톨 용액을 혼합한 후 혼합기에서 교반을 하면서 셀룰로오스 검등 결합제와 기타 소량 원료를 투입한다. 충분히 혼합한 후 실리카등 연마제를 투입한다. 충분히 교반을 한 후 라우릴황산나트륨과 에틸 알코올과 향료를 넣고 진공을 걸고 20분간 혼합한다. 이와같이 하여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 치약조성물이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로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2~6
아래와 같은 조성의 실시예를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7~11
통상 치약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결합제, 연마제, 약효제를 조합하여 아래와 같은 조성의 실시예를 실시예 1과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2~16
아래와 같은 조성의 실시예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비교예 1~2
비교예 1의 조성물은 통상의 치약 조성물이며 비교예 2의 조성물은 통상의 양치액 조성물에 약효제를 0.05% 적용한 것이다. 이들의 제조법은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른다.
비교예 1: 기존 통상의 치약임.
비교예 2: 기존 통상의 양치액임.
실험예 1. 상쾌감 부여 평가
실시예 1-16 까지의 치약제품과 비교예 1,2의 치약제품을 제조한 뒤 타액으로 적신 칫솔에 1g씩 적용하고 실험자에게 1분간 양치질을 시킨다. 물로 3회 세척한 뒤 양치감 및 세척 후 맛을 상쾌감 및 개운함을 기준으로 5점 척도로 점수를 매긴다
실시예 2에서 6까지 보듯이 상쾌감은 알코올의 함량 증대에 따라 증가하며 1% 미만에서는 상쾌감 증대 효과가 약하였고 25% 이상에서는 에틸알코올의 쓴 맛이 강하여 지면서 상쾌감이 다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적용하는 에틸 알코올의 함량은 상쾌감 요구도에 따라 1%~25%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시예 7~16의 에탄올 투입량과 상쾌감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3~18% 적용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7-11에서 통상 사용되는 여러 가지 원료에 대한 일반 치약 조성물에 에틸 알코올을 적용하여 본 결과 에틸 알코올에 의한 상쾌감 증대는 공통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16에서도 마찬가지로 통상 사용되는 여러 가지 원료에 대한 일반 치약 조성물에 에틸 알코올을 적용하여 본 결과 에틸 알코올에 의한 상쾌감 증대는 공통 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약조성물은 치약의 탁월한 세정력과 양치액의 상쾌한 사용감을 겸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치약의 충치예방 목적이나 잇몸질환 예방 목적 등의 약효적인 면 외에도 심미적인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통상의 치약 조성물에 에틸알코올을 1 내지 25 중량%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에틸알코올을 3 내지 18 중량%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치약조성물.
KR1020000036723A 2000-06-30 2000-06-30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KR20020004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723A KR20020004025A (ko) 2000-06-30 2000-06-30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723A KR20020004025A (ko) 2000-06-30 2000-06-30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025A true KR20020004025A (ko) 2002-01-16

Family

ID=1967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723A KR20020004025A (ko) 2000-06-30 2000-06-30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0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3733B2 (en) 2005-03-18 2012-11-20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5,5′-disubstituted 3,3′ dialkoxy-2,2′-dihydroxy-1,1′-biphenyl
US8425881B2 (en) 2005-03-18 2013-04-23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3′,5-disubstituted 2,4′-dihydroxybiphenyl compounds, derivatives and related methods
RU2493879C2 (ru) * 2006-08-24 2013-09-27 Графтис Крупнопористый и хорошо рассасываемый апатитовый кальций-фосфатный цемент
RU2496484C2 (ru) * 2007-10-01 2013-10-27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е пирокатехолы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и способ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614A (ja) * 1982-08-11 1984-02-16 Lion Corp 練歯磨組成物
JPS60178807A (ja) * 1984-02-23 1985-09-12 Lion Corp 安息香酸類配合練歯磨組成物の肌荒れ防止方法
JPH06336416A (ja) * 1993-05-28 1994-12-06 Sunstar Inc 歯磨組成物
US5662888A (en) * 1993-04-07 1997-09-02 Jeffrey Mitchell Laboratories Toothpaste for smokers for solubilizing and removing tobacco ta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614A (ja) * 1982-08-11 1984-02-16 Lion Corp 練歯磨組成物
JPS60178807A (ja) * 1984-02-23 1985-09-12 Lion Corp 安息香酸類配合練歯磨組成物の肌荒れ防止方法
US5662888A (en) * 1993-04-07 1997-09-02 Jeffrey Mitchell Laboratories Toothpaste for smokers for solubilizing and removing tobacco tars
JPH06336416A (ja) * 1993-05-28 1994-12-06 Sunstar Inc 歯磨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3733B2 (en) 2005-03-18 2012-11-20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5,5′-disubstituted 3,3′ dialkoxy-2,2′-dihydroxy-1,1′-biphenyl
US8425881B2 (en) 2005-03-18 2013-04-23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3′,5-disubstituted 2,4′-dihydroxybiphenyl compounds, derivatives and related methods
RU2493879C2 (ru) * 2006-08-24 2013-09-27 Графтис Крупнопористый и хорошо рассасываемый апатитовый кальций-фосфатный цемент
RU2496484C2 (ru) * 2007-10-01 2013-10-27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е пирокатехолы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и способ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0479A (en) Method of interrupting the formation of plaque
JP3721539B2 (ja) 殺菌性歯磨き
US5032387A (en) Dental and oral hygiene preparations
AU596785B2 (en) Dental rinse
US7592025B2 (en) Vehicles for oral care with magnolia bark extract
US5380530A (en) Oral care composition coated gum
US4657758A (en) Dental rinse
DE69918806T2 (de) Chlorit enthaltende mundpflegezusammensetzungen
US4096241A (en) Tooth preparations
US4942034A (en) Dental stimulator
US5073363A (en) Foamable fluoride gels and method
JP2011526245A (ja) 口腔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JPWO2018194111A1 (ja) 口腔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5825532B2 (ja) タバコタール除去剤およびそれに基づく組成物
JPH07108851B2 (ja) 固形のむしば予防用口内組成物
AU2002256299B2 (en) Stable herbal dentifrice
US4559223A (en) Silver sulfadiazine and/or zinc sulfadiazine-containing toothpaste or oral medicament
JP3693692B2 (ja) 無水歯磨き組成物
JPH04501863A (ja) オーラルリンス及びプラーク除去方法
JP2002255769A (ja) 口腔内洗浄用組成物
KR20020004025A (ko) 상쾌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CN103054742A (zh) 芳香型洁齿牙膏
CA2754213C (en) Desensitizing dentifrice exhibiting dental tissue antibacterial agent uptake
JP2002502429A (ja) 喫煙者の歯、歯肉、義歯、義歯床および口腔内表面からのタバコタールを除去するための製剤および方法
JP4158036B2 (ja) 歯磨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