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127A -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127A
KR20020003127A KR1020010055670A KR20010055670A KR20020003127A KR 20020003127 A KR20020003127 A KR 20020003127A KR 1020010055670 A KR1020010055670 A KR 1020010055670A KR 20010055670 A KR20010055670 A KR 20010055670A KR 20020003127 A KR20020003127 A KR 20020003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pensity
voice
data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인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인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인솔루션
Priority to KR102001005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3127A/ko
Publication of KR2002000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 컴퓨터에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음성 데이터 합성을 위한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음성 데이터 제공에 이용되는 단어/문장들의 음성 데이터 샘플 및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이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고,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며,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한 후 로그 아웃시까지 해당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상품구매 의사 결정에 큰 도움을 주어 매출 증대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상품 구매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web page and voice data using a analysis of user pattern in electronic commerce}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사용자들의 전자 상거래 사이트 이용에 관한 행동 패턴을 데이터화하고, 해당 사용자가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재차 방문할 때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상품 데이터를 위주로 한 웹페이지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은 전세계 어디서나, 누구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로서, 기본적인 문자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는 등 전자 우편, 파일 전송, WWW(World Wide Web) 등의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넷은 국내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되면서 기존 산업의 전부분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인 도구로서 중요성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은 물론, 그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여서 인터넷을 이용한 사업자들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한 비즈니스의 일환으로 인터넷 광고, 인터넷 방송, 온라인 게임, 인터넷 신문/잡지, 검색 서비스, 포탈(portal) 서비스, 전자 상거래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이트들중 최근 들어 온라인 구매의 편리함과 저렴한 가격 등의 이유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전자 상거래 서비스의 경쟁이 심해지면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사이트에서는 다른 사이트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에 의한 상품 구매 비율이 비회원에 의한 상품 구매 비율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사이트 방문 및 이에 따른 회원 가입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특정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경우 추후 해당 사이트를 통해 재구매를 수행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각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는 회원들의 상품 구매를 위한 지속적인 방문과 관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사이트에서는 현재까지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자 우편 등의 방법으로 제공했을 뿐, 보다 높은 수익성을 올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 분석과 이를 통한 잠정적인 수요를 파악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대부분의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는 통신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일괄적인 상품 정보가 담긴 웹페이지를 제공하였을 뿐, 각 사용자들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가 담긴 웹페이지를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음은 물론, 상품 구매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일일이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에게 텍스트 및 그래픽으로 된 단순한 형태의 정보만을 제공하였을 뿐, 각종 상품 정보 안내, 전자 상거래 서비스 이용, 사이트 소개 등과 관련된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들이 접근하는 메뉴 또는 선택하는 상품 정보 등의 접속 로그파일을 토대로 전자 상거래 사이트 이용에 관한 행동 패턴을 데이터화하고, 해당 사용자가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재차 방문할 때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상품 데이터를 위주로 한 웹페이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캐릭터를 활용한 각종 상품 정보 안내 및 전자 상거래 서비스 이용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상품의 가격이 변동되는 시점 또는 일정 기간별로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서버 컴퓨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각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네트워크 통신망
200 : 사용자 컴퓨터
300 : 서버 컴퓨터
310 : 제어 수단
320 : 상품 데이터베이스
330 : 회원 데이터베이스
340 :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
350 : 음성 데이터베이스
360 : 사용자 성향 분석 수단
370 : 웹페이지 생성 수단
380 : 음성 데이터 합성 수단
390 :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와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위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외부로부터 사용자 자신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해 입력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와;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고,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며,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한 후 로그 아웃시까지 해당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은, (1) 서버 컴퓨터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음성 데이터 제공에 이용되는 단어/문장들의 음성 데이터 샘플 및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과; (2) 서버 컴퓨터에서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고,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3) 서버 컴퓨터에서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과정과; (4)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고, 로그 아웃시까지 해당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망(100)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서, 후술되는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200)와 서버 컴퓨터(300) 사이의 통신 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및 전자 상거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300)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서버 컴퓨터(3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규회원등록 선택 데이터 또는 회원 로그인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사용자 자신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해 입력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한다.
이때, 서버 컴퓨터(300)로 통신 접속된 사용자가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컴퓨터(200)는 해당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기본적인 초기 웹페이지를 입력받는다.
서버 컴퓨터(300)는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저장하고 있고,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200)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고,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가 로그 아웃될 때까지 이용한 정보를 저장한 접속 로그파일을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성향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게시판, 도움말 페이지를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컴퓨터 능력이 낮은 사용자로 판단하여 단순한 상품 리스트만을 출력하지 않고 보다 자세한 정보를 텍스트와 음성으로 표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한다)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성향에 따른 소정의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하며,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한 후 로그 아웃시까지 해당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술한 서버 컴퓨터(300)에서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서버 컴퓨터(300)에서 제작한 소정의 캐릭터를 통해 제공되며, 캐릭터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와의 조화를 위해 특정 음성에 대한 표현, 표정, 몸짓이 사전에 결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서버 컴퓨터(300)는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을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을 수행할 때, 해당 사용자의 최근접속 로그파일(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확인한 상품이나 구매한 상품)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사용자 성향 분석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초기에 접속하거나 접속수가 부족하여 충분한 성향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초기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성향 분석을 위해 수집하는 범위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에 일어나는 모든 트랜잭션(예를 들어, 상품 카테고리, 상품, 게시판이나 도움말 페이지)이 포함된다.
또한, 서버 컴퓨터(300)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제공할 때,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와 함께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여 교차 판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가장 많은 접속빈도를 나타냈던 상품들을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이 상품들과 유사한 상품들을 함께 제공하여 보다 많은 매출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서버 컴퓨터(300)는, 상품 정보의 가격이 변동되는 시점이나, 또는 일정 기간별로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를 전자우편을 통해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상술한 도 1의 서버 컴퓨터(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수단(310)은 전자 상거래에 이용되는 복수의 상품 정보의 저장,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200)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수행한 사용자 컴퓨터(200)의 사이트 이용에 따른 접속 로그파일의 저장,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 생성 및 음성 데이터의 합성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품 데이터베이스(320)는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상거래에 이용되는 복수의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회원 데이터베이스(330)는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신규회원등록시 입력하는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로그인 정보와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의 신상 정보를 저장한다.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340)는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후술되는 사용자 성향 분석 수단(360)을 통해 수행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들의 성향 분석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음성 데이터베이스(350)는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사이트 이용 및 상품 정보 안내에 이용되는 복수의 단어/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터 샘플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 수단(3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음성 데이터 샘플을 출력한다.
사용자 성향 분석 수단(360)은 서버 컴퓨터(300)로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서버 컴퓨터(3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다.
웹페이지 생성 수단(370)은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접속된 사용자의 성향 분석 데이터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입력받은 후,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음성 데이터 합성 수단(380)은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캐릭터를 저장하고 있고,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터 샘플을 음성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입력받은 후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소정의 캐릭터를 결정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390)은 제어 수단(3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200)와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위한 데이터 입력,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의 출력, 특정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 상거래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300)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음성 데이터 제공에 이용되는 단어/문장들의 음성 데이터 샘플 및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서비스를 시작한다(S1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 컴퓨터(300)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각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을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구비한 후, 사용자 성향 분석 수단(360)에 해당 프로그램을 저장한다(S110).
그리고, 서버 컴퓨터(300)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 안내를 위한 복수의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한 후, 음성 데이터 합성 수단(380)에 해당 프로그램을 저장한다(S120).
상술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음성 표현을 위한 복수의 단어/문장을 수집한다(S130). 즉,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될 단어나 문장(예를 들어, '첫 방문이시군요,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객님 또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객님은 메인보드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등)을 미리 선정하는 것이다.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상술한 단계(S130)를 통해 수집한 단어/문장을 음성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수집한다(S140). 즉, 아나운서를 섭외하여 스튜디오에서 단어/문장을 녹음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복수의 단어/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터 샘플을 수집하는 것이다.
상술한 단계(S140)를 통해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수집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수집한 음성 데이터 샘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필터링, 샘플링 작업 등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가공하여 음성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한다(S150).
그리고, 음성 데이터 샘플에 대한 작업이 모두 종료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캐릭터를 제작하고(S160), 음성 데이터 출력시 캐릭터와 음성 데이터의 조화를 위하여 캐릭터의 표현, 표정, 몸짓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70).
이처럼, 상술한 과정(S100)을 통해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음성 데이터 제공에 이용되는 음성 데이터 샘플과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200)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고,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 컴퓨터(300)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을 진행한 사용자 컴퓨터(200)로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요청하고(S210),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신규회원등록 선택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아니면 회원 로그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20).
판단 결과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신규회원등록 선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신규회원등록을 위한 소정의 양식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하고(S230),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신규회원등록 데이터를 회원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후,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초기 웹페이지(사용자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가 아님)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S240).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가 로그 아웃될 때까지 이용하는 상품 카테고리 정보, 개별 상품 정보, 게시판, 도움말 정보의 접속 로그파일을 저장한다(S250).
그리고, 서버 컴퓨터(300)는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고(S260),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한다(S270).
한편, 상술한 단계(S220)의 판단 결과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회원 로그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회원 로그인데이터를 토대로 기등록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후술되는 과정(S300) 이후를 수행하도록 한다(S280).
이제, 상술한 과정(S200)을 통해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이후, 신규회원등록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300)로 접속을 재차 진행하거나 또는 기등록 사용자가 상술한 단계(S280)를 거쳐 로그인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S3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신규회원등록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300)로 접속을 재차 진행하거나 또는 기등록 사용자가 상술한 단계(S280)를 거쳐 로그인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340)에서 추출한다(S310).
그리고,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340)에서 추출한 해당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웹페이지 생성수단(370)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한다(S320).
이처럼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340)에서 추출한 해당 사용자의 성향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하고,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음성 데이터베이스(340)에서 추출한다(S330).
그리고, 음성 데이터베이스(340)에서 추출한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토대로 음성 데이터 합성수단(38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고,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소정의 캐릭터를 결정한다(S340).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웹페이지 생성수단(370)에서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 합성수단(380)에서 합성되어 캐릭터를 통해 제공될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S350).
마지막으로, 상술한 과정(S300)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200)로 출력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사용자 자신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고, 로그 아웃시까지 해당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한다(S4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 컴퓨터(300)는 사용자 자신의 성향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 상거래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10).
판단 결과,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 상거래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사용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특정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한다(S420).
이후, 서버 컴퓨터(400)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가 로그 아웃을 수행할 때까지 이용하는 상품 카테고리 정보, 개별 상품 정보, 게시판, 도움말 정보의 접속 로그파일을 저장한다(S430).
그리고, 저장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고(S440),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 분석 결과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340)에 누적하여 저장한다(S45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 측에서 각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 분석을 우선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상품 데이터가 포함된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각종 상품 정보 안내, 전자 상거래 서비스 이용, 사이트 소개 등과 관련된 음성 데이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상품구매 의사 결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출 증대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서버 컴퓨터 측으로부터 자신의 구매 성향에 따른 상품 데이터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제공받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일일이 찾아다닐 필요가 없어 상품 구매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와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위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외부로부터 사용자 자신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해 입력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고,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며,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한 후 로그 아웃시까지 해당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제작한 소정의 캐릭터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캐릭터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와의 조화를 위해 특정 음성에 대한 표현, 표정, 몸짓이 사전에 결정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을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을 수행할 때,
    해당 사용자의 최근 접속 로그파일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사용자 성향 분석을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할 때,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와 함께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여 교차 판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품 정보의 가격이 변동되는 시점이나, 또는 일정 기간별로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를 전자우편을 통해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전자 상거래에 이용되는 복수의 상품 정보의 저장,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의 접속 로그파일의 저장, 회원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 생성 및 음성 데이터의 합성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전자 상거래에 이용되는 복수의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로그인 정보, 신상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사이트 이용 및 상품 정보 안내에 이용되는 복수의 단어/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터 샘플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의 요청에 따라 해당 음성 데이터 샘플을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는 사용자 성향 분석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통신 접속된 사용자의 성향 분석 데이터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받은 후, 상기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 수단;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터 샘플을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받은 후 상기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소정의 캐릭터를 결정하는 음성 데이터 합성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와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위한 데이터 입력,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의 출력, 특정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 상거래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7. (1) 서버 컴퓨터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및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음성 데이터 제공에 이용되는 단어/문장들의 음성 데이터 샘플 및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
    (2) 서버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의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고,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3) 서버 컴퓨터에서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과정; 및
    (4)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된 초기 웹페이지 및 캐릭터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고, 로그 아웃시까지 해당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1)은,
    (1-1) 서버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각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을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저장하는 단계;
    (1-2) 서버 컴퓨터에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상품 정보 안내에 관한 단어/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저장하는 단계;
    (1-3) 사용자 성향 분석 및 음성 합성 프로그램을 구비한 이후, 서버 컴퓨터에서 음성 표현을 위한 단어/문장을 수집하는 단계;
    (1-4) 수집된 단어/문장을 음성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수집하는 단계;
    (1-5) 수집한 음성 데이터 샘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필터링, 샘플링 작업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1-6) 서버 컴퓨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캐릭터를 제작하는 단계; 및
    (1-7) 음성 데이터 출력시 캐릭터와 음성 데이터의 조화를 위하여 캐릭터의 표현, 표정, 몸짓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 서버 컴퓨터에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통신 접속을 진행한 사용자 컴퓨터로 신규회원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
    (2-2)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신규회원등록 선택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아니면 회원 로그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3)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신규회원등록 선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신규회원등록을 위한 소정의 양식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2-4)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신규회원등록 데이터를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하고,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초기 웹페이지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
    (2-5) 서버 컴퓨터에서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가 로그 아웃을 수행할 때까지 이용하는 상품 카테고리 정보, 개별 상품 정보, 게시판, 도움말 정보의 접속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2-6) 신규회원등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
    (2-7)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 분석 결과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2-8) 상기 단계(2-2)의 판단 결과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회원 로그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회원 로그인 데이터를 토대로 회원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과정(3) 이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
    (3-1) 서버 컴퓨터에서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의 성향 분석 정보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3-2)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해당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웹페이지 생성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초기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3-3)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해당 사용자의 성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에 따른 단어/문장을 결정한 후 해당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음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3-4) 음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단어/문장의 음성 데이터 샘플을 토대로 음성 데이터 합성수단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고,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소정의 캐릭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3-5) 웹페이지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 합성수단에서 합성되어 캐릭터를 통해 제공될 음성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은,
    (4-1) 서버 컴퓨터에서 사용자 자신의 성향에 따른 초기 웹페이지 및 음성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특정 상품 구매를 위한 전자 상거래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2)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전자 상거래 데이터를 토대로 특정 상품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4-3) 서버 컴퓨터에서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가 로그 아웃을 수행할 때까지 이용하는 상품 카테고리 정보, 개별 상품 정보, 게시판, 도움말 정보의 접속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4-4) 서버 컴퓨터에서 사용자의 접속 로그파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는 단계; 및
    (4-5) 해당 사용자의 사이트 이용 및 구매 패턴에 대한 성향 분석 결과를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010055670A 2001-09-11 2001-09-11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020003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670A KR20020003127A (ko) 2001-09-11 2001-09-11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670A KR20020003127A (ko) 2001-09-11 2001-09-11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127A true KR20020003127A (ko) 2002-01-10

Family

ID=1971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670A KR20020003127A (ko) 2001-09-11 2001-09-11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31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90B1 (ko) * 2005-12-15 2007-10-08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웹사이트의 통합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KR100776201B1 (ko) 2005-12-10 2007-11-16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전자상거래를 위한 홈네트워크와 연계된 데이터방송 방법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01B1 (ko) 2005-12-10 2007-11-16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전자상거래를 위한 홈네트워크와 연계된 데이터방송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764690B1 (ko) * 2005-12-15 2007-10-08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웹사이트의 통합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0604A1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23836B2 (en) Internet based method and system for ranking artists using a popularity profile
US91527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ext recommendation
US20120259891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nalytics data delivering
WO2020088058A1 (zh) 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JP6192714B2 (ja) 自然言語処理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7104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odified website
KR20020093852A (ko) 인터넷-기반 정보에 대한 음성 접근 시스템 및 방법
JPWO2007108529A1 (ja) 情報抽出システム、情報抽出方法、情報抽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10007715A (ko) 감성 지수를 이용한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03840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80049277A (ko) 채팅 사용자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US78903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music to consumers
JP4743766B2 (ja) 印象判定システム、広告記事生成システム、印象判定方法、広告記事生成方法、印象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記事生成プログラム
WO2022007798A1 (zh) 数据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4883644B2 (ja) リコメンド装置、リコメンドシステム、リコメン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リコメンド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1983395B2 (en) Goal-based dynamic modifications to user interface content
JP2005190284A (ja) 情報分類装置および情報分類方法
KR101547756B1 (ko)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4834118B2 (ja) ファセットクエリを利用したサービス誘導入札装置及び方法
US20070100965A1 (en) Method for selecting an additional-information by a server
KR20020003127A (ko)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의 사용자 성향 분석을 이용한웹페이지 및 음성 제공 서비스 시스템
JP2020017031A (ja) 音声データ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Steininger et al. A systemizing research framework for Web 2.0
US1200806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ebsite generator that uti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