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756B1 -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756B1
KR101547756B1 KR1020140021627A KR20140021627A KR101547756B1 KR 101547756 B1 KR101547756 B1 KR 101547756B1 KR 1020140021627 A KR1020140021627 A KR 1020140021627A KR 20140021627 A KR20140021627 A KR 20140021627A KR 101547756 B1 KR101547756 B1 KR 10154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query
user input
server
compl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14002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및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을 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 및 사용자 입력 사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들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 서버 인터페이스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서 포함하는 분리자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입력사항 분리부; 및 상기 입력사항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완성질의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SYSTEM AND METHOD FOR ONLINE-TALK QUESTION AND ANSWER COMPLE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온라인 대화에서 문답을 완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의 초고속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의 보급과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의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통신망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 개발 및 서비스 아이템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중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로 채팅 서비스가 있다.
채팅 서비스란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 공간 등 온라인 공간 상의 대화방에 접속하여 질의 등의 대화를 입력하면 입력된 대화가 상기 대화방에 표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대방 사용자가, 답변이나 질의 등의 대화를 입력하는 것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사이트 등 온라인 공간 상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 양도, 대여 및 그에 대한 청약을 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들 간의 고객 유치 및 판매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의 운영자는, 온라인 상에서도 오프라인 매장처럼, 방문자과 직접 대화하여 상품을 안내하거나 방문자의 요구사항을 바로 들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운영자들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에, 최근 운영자들과 방문자들이 질문과 답변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대화방 형태의 메신저 등을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의 웹페이지 상에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화방 형태의 메신저 등은 웹사이트의 방문자에게 마치 실제 오프라인 매장 등을 방문한 것과 같은 기분을 불러 일으키지만, 온라인 공간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운영자는 방문자와 일일이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대화를 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또한, 일시에 다수의 방문자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에 접근하는 경우, 유사한 내용에 관해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방문자와 반복적으로 대화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의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은 인터넷을 통해 대량으로 증가 중인 다양한 기능, 서비스 및 정보에 엑세스할 수 있다. 많은 소비자 디바이스,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및 그와 유사한 것들이 다양한 테스크들을 수행하고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가 엑세스하여 응답받는 질의는 기본적으로 일정한 쿼리를 서버에 전송하고, 이와 관련된 일련의 인덱싱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구조로 되었다. 최근에는 디바이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의 호출에 응답하는 지능형 자동화 어시스턴트도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031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들이 지능형 자동화되었다고 하지만 이는 여전히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실제 사람이 사용자의 질의를 검토하고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의 방문자는 오프라인 공간을 방문하여 운영자에게 질문을 하고 답변을 구해는 것과 같은 정서를 갖기는 어렵다.
또한, 방문자가 쇼핑몰 사이트 등의 웹페이지 상에 추가된 메신저 등을 통해 운영자와 대화를 시도할 때, 방문자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배경지식이 없으므로 운영자에게 실제 자신의 의도와 동떨어진 질의할 수도 있고 혹은 부적합한 질의를 할 때도 있다. 그 결과, 운영자는 명확하지 않은 질의에 적절한 응답을 할 수 없고, 또한, 운영자는 위와 같은 방문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방문자로 하여금 적절한 질의를 하도록 가이드 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2-0120316호 (2012년 11월 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과제 및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은 온라인 메신저를 통한 사용자 간의 대화 상담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의를 가이드하기 위해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 제3 단계; 상기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서 포함하는 분리자로 전달 받은 상기 문자열 형태의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미리 기록하여 저장하고 있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서버가 추출된 상기 후보군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9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상기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상기 후보군을 출력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제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은 온라인 대화 내 문의와 회답을 완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의를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하는 제1 단계; 서버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 제3 단계; 상기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전달 받은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질의회답을 추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질의회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출력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는,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시계열적으로 최후에 입력된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된 완성질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 문답 완성 시스템은 온라인 메신저를 통한 사용자 간의 대화 상담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의를 가이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및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을 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 및 사용자 입력 사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들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 서버 인터페이스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서 포함하는 분리자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입력사항 분리부; 및 상기 입력사항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완성질의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사항 분리부는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완성질의 추출부는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시계열적으로 최후에 입력된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된 완성질의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 상의 다수의 완성된 제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제안 상자 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질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내용을 입력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이한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100)은 서버 (110) 및 데이터베이스 (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 (200)를 통해 상품 및 서비스 등에 대한 각종 질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은 서버 인터페이스부 (111), 입력사항 분리부 (113) 및 완성질의 추출부 (115)를 포함하는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서버는 서버 인터페이스부, 입력사항 분리부 및 완성질의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데이터베이스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131)와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 (133)로 구성된다.
서버 인터페이스부 (111)는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을 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 및 사용자 입력 사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된 질의들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다.
더욱 상세하게,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상의 대화창이나 메신저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할, 서버의 완성질의 추출부에서 추출된 완성된 질의를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품 등 재화, 각종 서비스 그 밖의 다양한 질의를 입력 받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된 완성된 질의 사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사항을 입력 받는 역할도 한다.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타이핑을 하기 보다는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입력으로서 음성-텍스트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텍스트 엔트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입력사항 분리부 (113)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 사항을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자(separator)로 하여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입력 사항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분리된 각각의 입력 사항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완성된 질의를 추출할 수 있다. 그 밖에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라는 사용자 입력 사항이 입력될 때 스페이스를 분리자로 하여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 사항은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로 분리된다. 또한, 동일한 입력 사항을 음절을 분리자로 하여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 사항은 “안”, ”녕”, ”하”, ”세”, ”요”, ” 질”, ”문”, ”이”, ”있”, ”는”, ”데”, ”요”, ”요”, ”금”, ”이”, ”얼”, ”마”, ”인”, ”가”, ”요”로 분리된다. 또한, 동일한 입력 사항을 어절을 분리자로 하여 분리하는 경우,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로 분리된다. 사용자 입력 사항을 외견상 형식적인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등으로 분리하여도 되고,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등 의미상 나누어도 무방하다. 특히, 사용자 입력 사항의 실질적인 의미를 포함할 수 있는 단위인,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을 분리 단위로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할 수 있다. 실질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분리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 형식적인 분리 단위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로드(load)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사항으로부터 실질적인 의미만을 포함하는 부분만을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는 의미 입력사항 분리부 (미도시)를 상기 입력사항 분리부에 부가하여도 무방하다. 실질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기 때문에, 분리된 모든 사용자 입력사항에 대해 검색할 필요가 없고, 결과적으로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입력사항 분리부는 사용자 입력 사항의 길이, 본 발명이 적용된 메신저 등이 설치된 웹사이트 등에서 처리 또는 거래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성격, 사용자의 웹사이트 서버 접속횟수,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나 고정된 데스크톱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 가상키보드인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분리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가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완성된 질의를 검색하는데 소요되는 계산량 등을 고려하여 분리자를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하나 이상의 분리자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완성질의 추출부 (115)는 상기 입력사항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된 질의를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완성질의 추출부는 앞서 살펴본 입력사항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각각의 사용자 입력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완성된 질의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를 분리자로 하여 사용자 입력 사항이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로 분리된 경우, 상기 분리된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를 키워드로 하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이 때 분리된 모든 사용자 입력 사항을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도 있지만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에 따라 차등화하여 사용자 입력 사항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와 같이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상담의 주된 내용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안녕하세요.”와 같은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은 중요도를 낮추어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제외하거나 후순위에 배정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요금이”와 같이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상담의 주된 내용일 가능성이 높은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은 중요도를 높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앞서 살펴본 의미 입력사항 분리부 (미도시)와 연계하여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서버의 리소스가 제한된 경우 등에서, 분리된 모든 사용자 입력 사항을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것은 전체적인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 검색 전략을 차등화하는 것은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운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제안된 완성된 질의 역시 가중치에 따라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중치가 낮아 사전에 배제된 분리된 사용자 입력사항을 제외한 나머지 분리된 사용자 입력사항과 연관된 완성된 질의들 중 원하는 질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든 사용자 입력 사항을 “안”, ”녕”, ”하”, ”세”, ”요”, ” 질”, ”문”, ”이”, ”있”, ”는”, ”데”, ”요”, ”요”, ”금”, ”이”, ”얼”, ”마”, ”인”, ”가”, ”요”와 같이 음절을 분리단위로 하여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을 통해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경우, 스페이스, 단어, 어절 등의 분리단위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음절단위로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하는 질의를 전부 입력하지 않고도 완성된 질의를 제안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절 단위로 분리하는 경우 어절을 형성하는 “요금이”의 세 글자가 전부 입력되어야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나 음절 단위로 분리하는 경우 음절을 형성하는 “요”의 한 글자만 입력되어도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어, 사용자는 나머지 “금이”의 글자를 입력하지 않고도, 이와 관련된 완성된 질의를 제안 받을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과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운용 상의 로드를 고려하여 분리자 단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리자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분리단위에 따라 이와 연관된 완성된 질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색인할 수 있다.
또한, 완성질의 추출부는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시계열적으로 최후에 입력된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된 완성질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를 분리 단위로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도록 설정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를 입력하고 싶을 때,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까지 입력되는 순간, 요금과 관련된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완성된 질의들이 추출되어 사용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메신저 상의 상담에서 주고 받는 담화를 분석해 보면, 최후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사항이 연관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질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분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최후에 분리된 입력된 사항을 키워드로 하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검색하여 완성된 질의들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때 최후에 입력된 사항이라도 “안녕하세요”,”질문이”,”있는데요” 등과 같이 사용자의 질의와 관련하여 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낮은 가중치가 부여된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에 대해서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순위를 낮추거나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질적 의미를 갖거나 자주 선택되어 가중치가 높게 선정된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인 “요금”에 대해서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이와 관련된 완성된 질의들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엄밀히 선정된 완성된 질의들을 제안받을 수 있고,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도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의 모든 키워드를 검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앞선 예에서는 단어를 분리 단위로 하였으나 어절이나 음절 단위로 분리된 최후의 사용자 입력 사항을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소정의 웹사이트에서 자동차를 판매하면서, 동시에, 자동차 수리 서비스를 제공할 때, 상기 웹사이트의 사용자는 온라인 상담을 통해 자동차의 판매에 대한 비용 또는 자동차의 수리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문의하고 싶을 때가 있다. 즉, 사용자가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자동차 판매의 비용” 및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자동차 수리의 비용”을 입력할 때, 단어 단위로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면, 분리된 최후의 사용자 입력 사항이 모두 “비용”으로 동일하므로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비용과 관련된 모든 완성된 질의가 제안되어야 한다. 즉, 판매 비용에 관한 완성된 질의와 수리비용에 관한 완성된 질의가 모두 검색되어 제안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어절 단위로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면, 분리된 최후의 사용자 입력 사항이 “판매의 비용” 및 “수리의 비용”으로 상이하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역시 더욱 엄밀히 선택된 완성된 질의를 제안받을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분리 단위로 분리된 복수 개의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들과 연관하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분리 단위로 분리된 복수 개의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들과 연관하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도 무방하다. 사용자 가독성 및 편의성과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운용 로드를 고려하여 분리 단위,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사용되는 사용자 입력 사항의 개수 및 가중치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131)는 하나 이상의 완성된 질의를 기록하여 유지한다. 즉,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의에 대한 다양한 복수의 완성된 질의들을 저장한다. 복수의 완성된 질의 각각은 계산된 가중치나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완성된 질의들은 사용자 단말기 상에 가중치에 따라 정렬되거나 하이라이팅 (highlighting)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질의는 운영자가 미리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라 하이라이팅 여부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완성질의 추출부는 입력사항 분리부에서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이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완성된 질의들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검색이 완료되면 완성된 질의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우선순위 큐로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된 사용자 입력사항이 완성된 질의에 노출되는 횟수나 노출되는 위치, 분리된 사용자 입력사항과 연관된 완성된 질의의 개수 등을 고려하여 완성된 질의들의 가중치를 선정하여 우선순위 큐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하기할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통해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할당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은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될 수도 있지만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응답을 저장하고 있는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에서도 검색될 수 있다. 혹은, 분리된 사용자 입력사항이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검색이 되지 않으나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처럼 분리된 사용자 입력사항이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경우, 상기 회답에 대응하는 완성된 질의에 가중치를 할당하여 우선순위 큐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완성된 질의에 대한 응답을 검색하여, 역으로 완성된 질의를 선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기에 설명할 도 7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완성된 질의와 상기 완성된 질의에 매핑된 내용을 입력하는 일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완성된 질의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데,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었던 기록을 바탕으로 통계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즉, 소정의 완성된 질의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된 횟수와 사용자가 실제 상기 완성된 질의를 선택한 횟수에 대한 비율을 토대로 각각의 완성된 질의에 대해 가중치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금”과 관련된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금은 언제까지 납입해야 하나요?” 및 “요금은 얼마입니까?”의 완성된 질의이 추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그 동안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첫 번째 완성된 질의가 351번 출력되어 그 중 27번 선택되었고, 두 번째 완성된 질의가 293번 출력되어, 그 중 29번 선택된 경우, 첫 번째 완성된 질의의 선택 비율은 27/351=0.07692이고, 두 번째 완성된 질의의 선택 비율은 29/293=0.09897로 계산된다. 그러므로 두 번째 완성된 질의의 선택 비율이 높기 때문에 두 번째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첫 번째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 보다 높게 부여할 수 있다. 높은 가중치를 갖는 완성된 질의는 가독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대화 공간이나 메신저 상의 상위에 출력하거나 별도의 하이라이팅을 할 수 있다. 하이라이팅이 외에도 제안된 완성된 질의에 별도의 아이콘 (미도시)을 부가하여 차별화 할 수 있다.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 (133)는 하나 이상의 완성회답을 기록하여 유지한다. 즉,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완성된 질의에 대응하는 회답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에는 완성된 질의와 연관된 구체적인 내용 이외 특정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 주소로 연결하여 저장된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네트워크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는 자료 보관 주소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는 완성된 질의에 대응되는 응답으로 URL만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웹사이트 운영자는 각각의 완성된 질의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즉, 완성된 질의에 대응하는 내용과 관련된 웹사이트 내 페이지의 URL만을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완성된 질의에 대응되는 응답은 온라인 대화 공간 또는 메신저 상에 출력할 수도 있고, 또한, 별도의 브라우저 상의 페이지로 출력해도 무방하다.
도 7는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제목란에 소정의 완성된 질의를 입력하고, 상기 완성된 질의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응답을 내용 작성란에 입력할 수 있고, 혹은, 완성된 질의의 대응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링크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소정의 완성된 질의에 대한 응답이 생성되며, 축적된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완성된 질의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와 연관되는 완성된 질의가 수시질의 데이터베이스상에 존재하지 않거나 연관되는 질의가 존재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되었음에도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는 별도의 수시문의학습 데이터베이스 (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자는 새롭게 완성된 질의를 수집하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보강할 수 있고, 동시에, 운영자가 작성한 새로운 완성된 질의에 대응하는 응답을 이용하여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에 대한 웹사이트 운영자의 응답은 자동으로 수시회답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수시회답학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답은 운영자의 선택 등에 따라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 (미도시)로 이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롭게 완성된 질의 및 상기 완성된 질의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및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가 강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은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 제3 단계; 상기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서 포함하는 분리자로 전달 받은 상기 문자열 형태의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미리 기록하여 저장하고 있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서버가 추출된 상기 후보군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9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가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상기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상기 후보군을 출력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제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1 단계에서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다. 즉,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화 공간 또는 메신저 등을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데이터 신호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된다.
제3 단계에서,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나 가상 키보드 등을 통해 입력된 재화나 서비스에 관한 질의를 전달받는다.
제5 단계에서,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서 포함하는 분리자로 전달 받은 상기 문자열 형태의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분리자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7 단계에서, 서버가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미리 기록하여 저장하고 있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요금이 얼마인가요?”라는 사용자 입력 사항이 입력되면,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에 관련된 완성된 질의가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될 수 있다. 즉,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요금”에 관한 완성된 질의가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될 수 있다. 완성된 질의들은 “요금은 얼마인가요”, “요금 납입 방법은 무엇인가요”, “요금은 언제까지 납입해야 하나요”, “요금의 환불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등이 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완성된 질의들이 후보군을 이룰 수 있다.
제9 단계에서, 서버가 추출된 상기 후보군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서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 형태의 데이터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다.
제11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후보군 내 완성된 질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상기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상기 후보군을 출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성된 질의 간의 가중치에 따라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출력 순서를 차등화 할 수 있다. 또한, 웹사이트에 접속한 아이디,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쿠키 (cookie), 웹사이트에 상담하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고려하여 개인화된 완성된 질의들을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완성된 질의들의 출력 순서 또는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 단말기의 쿠키 정보를 이용하여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차등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쿠키는 서버의 방문기록을 남겨 사용자와 서버 사이를 매개해주는 정보로서, 특정 웹사이트를 처음 방문하면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저장한 쿠키가 생성되고 이후에 재접속했을 때 별도 절차 없이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된다. 상담을 신청하는 사용자의 관심 분야나 취향이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주로 접근하는 서버나 웹페이지에 입력하는 사항 등 역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로 입력하는 사항과 연계하기 위해 쿠키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아이디와 연관하여 완성된 질의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근하여 상담 중 완성된 질의를 제공받거나 제공된 완성된 질의를 선택한 기록을 로그로 저장하고, 상기 로그를 이용하여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품의 요금은”이라고 입력한 경우 “요금은 얼마입니까?”, “요금 납부는 언제까지 인가요?”, “요금 환불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등의 완성된 질의가 후보로 추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가 이미 “요금은 얼마입니까?”라는 완성된 질의를 선택한 기록이 있는 경우, 상기 기록을 이용하여 “요금은 얼마입니까?”라는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는 낮추고 “요금 납부는 언제까지 인가요?” 나 “요금 환불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와 같이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높여 제1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가 로그인한 횟수나 간격 등 사용자의 로그 기록을 이용하여 적절한 완성된 질의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에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요금이 얼마입니까?”라는 완성된 질의를 선택하고, 제2 일에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요금과 관련된 질의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로그 기록을 이용하여 제1 일에 선택된 “요금이 얼마입니까?”라는 완성된 질의를 추출하는 대신 “요금 환불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등의 완성된 질의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인한 제1 일과 제2 일간의 시적 간격을 고려하여 요금 환불에 관한 완성된 질의를 제안하는 것이 더욱 개인화된 질의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IP 주소 정보와 연계하여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와 일치하는 개념으로, 상기 IP 주소를 식별하면 호스트(Host)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상담을 위한 온라인 대화 공간 또는 메신저에 접속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11.123.133.111”와 연관된 제3 사용자와 “211.123.133.112”와 연관된 제4 사용자 각각을 위한 완성된 질의가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가정 또는 회사, 학교 등에서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데, 가정과 회사에서 사용하는 IP 주소가 다르고 가정과 회사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담하는 내용이 일반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이점에 착안하여 가정에서 제공받는 완성된 질의와 회사에서 제공받는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동일하게 하거나 달리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에 접속하는 웹브라우저의 종류를 고려하여 완성된 질의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로는 모니터, 본체 및 키보드로 구성된 데스크톱 컴퓨터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데스크톱 컴퓨터로부터 접속되었다고 확인되는 경우와 사용자의 입력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접속되었다고 확인되는 경우를 달리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완성된 질의의 개수나 가중치를 달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대적으로 화면이 크고 입력이 용이한 테스크톱 컴퓨터의 사용자에게는 상세한 다수 개의 완성된 질의를 제안하고, 상대적으로 화면이 작고 입력이 까다로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는 좀 더 정교하고 컴팩트한 소수 개의 완성된 질의를 제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사용자들에게 선택 빈도수가 높은 완성된 질의 순으로 완성된 질의를 제공하는 대신, 각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완성된 질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처음 웹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와 방문이 잦았던 기존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스런 상담을 제공하여, 웹사이트 등의 활성화 및 판매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기술적 특징이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개인화된 완성된 질의를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안된 완성된 질의들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 (300) 상의 다수의 완성된 제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제안 상자 (33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담에 관한 사항을 입력하면, 제안 상자의 내용 또한 그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안 상자는 제안 상자에 포함된 완성된 질의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제안 상자는 몇 가지 타입의 완성된 질의 가이드 정보 (331,333,335)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사항 내의 오탈자에 기초한 완성된 질의는 “이것이 궁금한가요?” 섹션 (331)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제안된 완성된 질의는 이력 섹션 (335)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사항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즉, 가중치가 높은 완성된 질의는 제안 섹션 (333)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질의를 소정의 기준을 통해 가이드 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완성된 질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완성된 질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전에 완성된 질의들을 소정의 기준을 가지고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사용자 입력사항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 입력사항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완성된 질의들을 제안 상자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와 같이, 요금과 연관된 완성된 질의들을 시기, 방법 및 장소로 사전에 분류한 후 사용자가 “꽃배달 요금”을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에 입력하는 경우 요금과 관련된 완성된 질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완성된 질의들을, 시기, 방법, 장소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제안 상자에 표시한다. 또한, 분류 기준 혹은 각 완성된 질의에 연관된 분류 태그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상기 가중치에 따라 출력 순위나 하이라이팅 여부를 결정하여도 무방하다.
도 6b를 참조하면, 웹사이트에서 취급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특성과 연관하여 완성된 질의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사용자 입력사항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 입력사항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분류에 따라 완성된 질의들을 제안 상자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와 같이, 여행업 관련 웹사이트에 상담을 위해 온라인 대화 공간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에 “요즘 어디에 여행”을 입력하는 경우 여행과 관련된 완성된 질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완성된 질의들을 비용, 장소, 시간 등의 사전에 부여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제안 상자에 표시한다.
도 6a 및 6b에서와 같이 각각의 완성된 질의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분류기준 혹은 태그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제13 단계에서,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된 질의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완성된 질의들 중 사용자 자신이 의도하는 질문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질의를 선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선택된 완성된 질의를 서버가 입력받는다.
또한, 제13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완성된 질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질의와 연관된 응답이 저장된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응답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완성된 질의를 선택하면, 상기 완성된 질의에 매핑되는 응답이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되어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되므로 온라인 상담 시 발생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수시회답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사항은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완성된 질의에 대한 응답의 길이에 따라 완성된 질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시점부터 응답이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차등화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완성된 질의에 대해 응답의 글자 수가 많은 경우는 완성된 질의에 대해 응답의 글자 수가 적은 경우보다 사용자 단말기에 응답이 출력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짧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응답의 글자 수가 많은 경우와 적은 경우를 구별하고, 이에 따른 응답 시간, 즉, 완성된 질의에 매핑된 응답의 출력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선택한 질의가 자동 응답되고 있다는 감정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그 밖에 각각의 응답에 대’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절하거나 “음”과 같은 의성어 또는 “확인 중 입니다.”라는 사전 안내 응답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의를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하는 제1 단계; 서버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 제3 단계; 상기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전달 받은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질의회답을 추출하는 제7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질의회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출력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의를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한다. 사용자가 문의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의 완성된 질의들을 사전에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이 이용되는 웹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재화나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의 질의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제3 단계에서, 서버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온라인 대화 공간이나 메신저 등을 통해 문의하고자 하는 질의 사항을 입력하고,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질의 사항을 전달받는다.
제5 단계에서,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전달 받은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한다.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7 단계에서, 서버가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질의회답을 추출한다.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9 단계에서, 서버가 상기 추출된 질의회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출력한다.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는,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시계열적으로 최후에 입력된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된 완성질의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된 방법 및 처리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로서, 인코딩되거나,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CDROM),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다른 머신-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매체는, 명령 실행가능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이동시키는 임의의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실행 명령들과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로직으로서; 또는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DLL (Dynamic Link Library), 로컬 또는 원격 절차 호출로서 정의된 또는 공유 메모리에서 이용가능한 기능들의 소프트웨어로;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에서, 방법은 신호 또는 전파-신호 매체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소정의 프로그램의 로직을 구현하는 명령들은 전기,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다른 타입의 신호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시스템은 광섬유 인터페이스, 안테나, 또는 다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 인터페이스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로부터 명령들을 복원하고, 이들을 머신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리고/또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이들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시스템은 추가의 로직 또는 상이한 로직을 포함할 수도 있고 많은 상이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별개의 로직, 또는 다른 타입의 회로 또는 로직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비슷하게, 메모리는 DRAM, SRAM, 플래시, 또는 다른 타입의 메모리일 수도 있다. 파라미터 (예를 들어, 조건 및 임계치) 및 다른 데이터 구조는 별개로 저장되고 관리될 수도 있고, 하나의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많은 상이한 방법으로 논리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조직화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및 명령들은 하나의 프로그램, 별개의 프로그램, 또는 몇 개의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들 정밀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당업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한 모든 변화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100: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110: 서버
13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8)

  1. 온라인 메신저를 통한 사용자 간의 대화 상담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의를 가이드하기 위한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가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 제3 단계;
    상기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서 포함하는 분리자로 전달 받은 상기 문자열 형태의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제5 단계;
    상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질의로 완성되기 이전, 상기 서버가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미리 기록하여 저장하고 있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제7 단계;
    상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질의로 완성되기 이전, 상기 서버가 추출된 상기 후보군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9 단계;
    상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질의로 완성되기 이전, 상기 서버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상기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상기 후보군의 가중치에 따라 소정의 순서대로 상기 후보군을 출력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제1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
  2. 온라인 대화 내 문의와 회답을 완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의를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하는 제1 단계;
    서버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입력 사항을 전달받는 제3 단계;
    상기 서버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전달 받은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제5 단계;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질의로 완성되기 이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리된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질의회답을 추출하는 제7 단계;
    상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질의로 완성되기 이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질의회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대화 공간 상에 출력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시계열적으로 최후에 입력된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된 완성질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6. 온라인 메신저를 통한 사용자 간의 대화 상담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의를 가이드하기 위한 온라인 문답 완성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 및
    유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내의 온라인 대화 공간을 출력을 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 및 사용자 입력 사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로 구성된 후보군을 상기 후보군의 가중치에 따라 소정의 순서대로 상기 후보군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후보군 내 완성질의들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 서버 인터페이스부;
    스페이스, 탭(tab) 또는 그 밖의 공백을 나타내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서 포함하는 분리자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입력사항 분리부; 및
    상기 입력사항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완성질의를, 문자열 형태의 상담에 관한 사용자 입력 사항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질의로 완성되기 이전,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완성질의 추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사항 분리부는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단위로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질의 추출부는 상기 수시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사항 중 시계열적으로 최후에 입력된 자소, 음절, 형태소, 단어, 어절 또는 구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된 완성질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KR1020140021627A 2014-02-24 2014-02-24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4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27A KR101547756B1 (ko) 2014-02-24 2014-02-24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27A KR101547756B1 (ko) 2014-02-24 2014-02-24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756B1 true KR101547756B1 (ko) 2015-08-26

Family

ID=5406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627A KR101547756B1 (ko) 2014-02-24 2014-02-24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266A (ko) * 2020-01-29 2021-08-0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질문 생성 장치 및 질문 생성 방법
KR20210131666A (ko) * 2020-04-24 2021-11-03 (주)창쿠글로벌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US11403368B2 (en) 2016-04-01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agnostic model generating method and diagnostic model generating apparatus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3368B2 (en) 2016-04-01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agnostic model generating method and diagnostic model generating apparatus therefor
KR20210097266A (ko) * 2020-01-29 2021-08-0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질문 생성 장치 및 질문 생성 방법
KR102381339B1 (ko) 2020-01-29 2022-04-0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질문 생성 장치 및 질문 생성 방법
KR20210131666A (ko) * 2020-04-24 2021-11-03 (주)창쿠글로벌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KR102400290B1 (ko) * 2020-04-24 2022-05-23 (주)창쿠글로벌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1107B (zh) 信息提供系统、信息提供方法及存储介质
US807374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ranking web-accessible data targets
US10255319B2 (en) Searchable index
KR102169868B1 (ko) 채팅로봇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US10068284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scrollable, visual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product searches and direct shopping cart links
CN101203856B (zh) 用于生成相关搜索查询的系统
KR100446640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지식정보 검색 시스템과실시간 지식정보 검색방법 및 이에 대한 지식정보의등록관리 방법
US7752266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ranslation of communications between entities over a network
US20080015979A1 (en) Web-based searching for payment card products with credit pre-approvals
KR20180017342A (ko) 머신러닝을 활용한 정해진 시나리오로 고객과 상담하는 로봇 자동 상담 방법 및 시스템
US20050131892A1 (en) Natural language web site interface
CN102037467A (zh) 按时间和位置转动搜索结果
CN101689268A (zh) 广告服务器装置、广告显示方法及广告服务器程序
KR20200137601A (ko) 챗봇을 이용한 질의응답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534299A (ja) 位置に基づくサービス
CN11109073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存储介质
US20220374956A1 (en) Natural language analysis of user sentiment based on data obtained during user workflow
KR101123697B1 (ko) 공통 관심 사용자 검색장치 및 방법
US202204147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personalized online experience
GB2506450A (en) Web page categorisation
KR20180049277A (ko) 채팅 사용자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US11314829B2 (en) Action recommendation engine
KR101547756B1 (ko) 온라인 대화 문답 완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080088391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CN117271787A (zh) 知识库构建、智能客服实现与知识问答方法、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