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572A -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572A
KR20020000572A KR1020000034832A KR20000034832A KR20020000572A KR 20020000572 A KR20020000572 A KR 20020000572A KR 1020000034832 A KR1020000034832 A KR 1020000034832A KR 20000034832 A KR20000034832 A KR 20000034832A KR 20020000572 A KR20020000572 A KR 2002000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nticorrosive
corrosion
control system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590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00-003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5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방식대상물에 통신장치를 구비한 방식장치를 설치하고 인공위성,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부식 및 방식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입수하여 이를 기초로 방식대상물 및 방식장치를 원격적으로 점검하고 제어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The system for on-line monitoring and controlling corrosion and corrosion protection through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구조물의 부식 및 방식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 장비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입수하여 부식 유무를 판단한 후 이에 따라 구조물의 방식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금속재료들은 막대한 에너지를 가해서 금속상태로 환원되면서 원광석으로부터 추출되기 때문에 산업구조물 또는 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금속재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위환경과 반응하면서 부식 또는 산화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식은 대부분 전자의 이동에 의한 전기 화학적 반응 때문에 발생하므로 전기 화학적 부식이라 하는데, 금속구조물은 부식이 진행되면서 부식 전지상태가 되어 부식전위가 발생되고 일정한 부식전류가 금속물로부터 흐르게 된다.
한편, 포베(Pourbaix)는 금속의 안정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전위-pH도표를 작성하여 부식 또는 방식 연구에 활용하여 왔다. 이 도표를 이용하면 금속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영역을 알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부식상태를 감지하고 방식을 하는 음극방식법 또는 양극방식법이 개발되었다.
상기 음극 또는 양극방식법은 부식검사 대상물인 금속구조물의 기준전극에 대한 자연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계기의 (-)단자에 방식대상물을 연결하고 (+)단자에 기준전극을 연결하여 기준전극을 방식대상물의 직상부 표면 또는 지표면에 접촉시켜 전위값을 읽는 것이다. 이렇게 읽혀진 값을 방식기준과 비교함으로써 금속구조물의 부식 및 방식상태를 판정하는 것이다.
한편, 방식의 대상이 되는 금속구조물로는 가스관, 송유관, 수도관, 전력관 등의 지하매설물과, 해안부두, 교각 및 교량, 몰탈 피복 강관, 철근 콘크리트 등의콘크리트 관련 구조물과, 강교 또는 강구조물, 열교환기, 해수펌프, 보일러 등의 부식 환경에 직접노출되어 있는 장치 또는 구조물 등이 있으며, 특히 원자력발전소나 화력발전소 등과 관련된 구조물은 금속의 부식 손상으로 인한 파급 효과는 매우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음극방식법 등을 이용하여 부식상태를 점검하고 일정한 방식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방식대상물의 관리자는 방식감지장치에 공급되는 전압이나 전류 값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관찰 또는 측정하거나 아날로그 방식의 기록계를 이용하여 기록된 값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거나 디지털 방식의 데이터 로거(Data Logger)를 이용하여 저장된 값을 주기적으로 회수하여 분석한 후 적정의 방식조치를 취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을 기하고 있다.
이러한 측정방법은 인력 및 시간의 낭비가 초래되고 신속한 방식조치를 취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 우리나라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공개된 "무선통신기능이 있는 부식감시장치 및 시스템" (출원번호 20-1999-0010031)이 고안되어 다음과 같이 방식감지의 효율을 기하고 있다. 즉, 상기 고안의 부식감시장치는 부식 방지대상 구조물의 전위를 감시하여 그 값의 급격한 변동이나 시간에 따라 서서히 생기는 변화를 관찰하여 부식 방지 기능의 활성화 및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특히,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배터리를 사용한 초단거리용 무선 송수신 모듈을 사용하며, 상기 고안의 부식감시 장치를 방식대상 시설물에 설치하고, 패트롤카(순찰차)에 무선 송수신 기능이 있는 데이터수집 장치를 탑재하고점검구 근처로 이동하면서 방식점검데이터를 수집한 후 무선으로 집진된 방식전위 데이터를 분석시스템에 전송하여 방식상태를 분석함으로써 부식 방지시설의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고안은 지하 매설물의 점검구에 부식감시 장치를 시설하여 패트롤카를 타고 순찰하면서 해당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야 하기 때문에 방식대상물의 부식 및 방식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범위의 영역에 거처 시설되어 있는 가스 배관망이나 송유관, 상하수도관 등은 관리하여야 하는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상기의 고안으로는 방식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전체적인 부식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렵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및 경제적 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식상태의 판별 기준으로서 방식 전위만을 측정하여 점검하기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변화되는 실제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판으로 인해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는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식대상물에 통신장치를 구비한 방식장치를 설치하고 인공위성,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부식 및 방식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입수하여 이를 기초로 방식대상물의 방식 및 부식상태를 원격적으로 점검하고 제어함으로써, 신속한 방식조치가 가능하고 금속설비 및 인명의 안전을 도모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 통제실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주통제 시스템 21: 방식 점검 장치
201: 부식 감시 프로그램 202: 정전 전위 측정 프로그램
203: 방식 제어 프로그램 206: CPU
211: 데이터 저장부 212: 송수신 장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은 방식점검장치와, 주 통제시스템과, 데이터전송 시스템을 통해서 금속구조물의 부식 및 방식상태를 점검하고 제어하는 방식상태 점검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식점검장치는 기준전극과 방식대상구조물의 금속체와의 전위차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한 전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주 통제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 출력값을 조절하여 금속체의 방식을 제어하는 DC 정류기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DC 정류기의 출력값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위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 통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주 통제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주 통제시스템은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입수되는 부식 및 방식점검 데이터와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부식 및 방식상태를 자동으로 평가하고 그에 따른 방식 제어값을 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들과,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전위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식점검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입수되는 데이터 및 그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의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하거나 상기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과, 상기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의 부식 및방식상태 판단에 따라 상기 DC정류기의 방식전위를 조절하는 정류기 출력값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방식측정장치와 상기 주 통제시스템간의 방식점검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장치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주 통제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상태 점검 및 제어 시스템은 DC정류기 및 유무선 송수신장치, 전극단자 등을 포함하여 방식대상물에 축설되어 방식상태를 점검하고 제어하기 위한 여러 데이터를 측정하는 방식점검장치와,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입수되는 데이터신호를 기초로 부식 및 방식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방식점검장치를 제어하며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 방식장치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방식상태정보를 알려주는 주 통제시스템과, 필요에 따라 인공위성, LAN망, 무선 통신망, 통신케이블 등을 통해서 상기 방식점검장치와 상기 주 통제시스템간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운영되는 데이터전송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식점검장치(21)는 검출수단(210)과, 데이터 저장부(211)와, 송수신 장치(212)와, 전원공급부(213)와, DC 정류기(214)와, 제어장치(215)와, A/D변환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금속체에 전극단자(+)(217)를 연결하여 기준전극과의 전위차를 측정한 후 이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 통제시스템(20)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또한 상기 주 통제시스템으로(20)부터 방식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DC정류기의 출력값(전압 또는 전류)을 제어하여 금속구조물을 방식하게 된다.
상기 검출수단(210)과 상기 DC정류기(214)는 상기 방식점검장치(21)에 일체적으로 인입되어 구축되거나 상기 검출수단(210)은 구조물의 여러 부위에 축설되어 부식전위를 측정하고 상기 DC정류기(214)는 별도로 축설되어 주 통제시스템(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검출수단(210)은 (+)(-)전극 단자로 이뤄지는 것으로서 (+)단자에 금속체를 접속하고 (-)단자는 기준전극체에 접속하여 해당 전위차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A/D변환부(216)에 보낸다. 이러한 검출수단(210)은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주요부위에 축설되어진다.
상기 A/D변환부(216)는 전위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11)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15)는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검출수단(210) 또는 정류기(214)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의 종류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여 적정의 저장테이블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부(211)에 저장된 전위데이터 및 정류기 데이터를 일정한 주기 간격으로 독출하여 상기 송수신 장치를 통해 주 통제시스템(2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측정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들로는 정류기의 출력 전압, 정류기의 출력 전류, 방식 전위(예, 관대지 전위 등), 순간 정전 전위(Instant off potential), 복극 속도(Depolarization rate), 부식 속도 측정용 시험 시편의 금속 손실량, 자연 전위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DC정류기(214)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어장치(215)는 상기 주 통제시스템에서 수신한 제어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DC정류기(214)의 출력 전압 또는 출력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정류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입력전압 제어, 주파수 제어, 점호각 제어 등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DC 제어법을 도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C정류기는 금속체에 적정의 직류 전압을 가하여 부식에 따른 전자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금속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전원공급부(213)는 전위측정, 데이터 저장 및 제어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축전지를 포함하여 이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원활한 전원 공급 및 에너지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태양전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낮에는 태양전지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및 제어에 사용함과 동시에 축전지를 충전시키고 밤에는 충전된 축전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방식점검장치의 유지 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방식에 필요한 전원 모두를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낮에 공급하고 밤에는 태양 전지를 통하여 충전된 축전지로부터 최소한의 출력을 발생시키고 부족한 출력 전압을 기존의 직류 전원으로부터 공급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방식점검장치는 방식대상물이 가스관, 송유관, 상하수도관 등과 같이 광범위의 지역에 거처 시설되는 구조물일 경우는 주요 부위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대상물의 방식 및 부식상태를 점검하고 또한 필요할 경우 다수의 DC정류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방식을 행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 경우 인공위성망 등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여러곳에서 측정되는 순간 정전 전위 등을 동시에 입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식 및 방식상태를 판단하는데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 통제시스템(20)은 부식 감시 프로그램(201)과 순간 정전 전위 측정 프로그램(202)과 방식 감시 및 제어 프로그램(201,203)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들(204)과, 송수신장치(205)와, 중앙처리수단(206)과, 데이터 저장수단(207)과, 입/출력 수단(208)과, 정류기 출력값 조절부(209)와, 이상유무 표시 수단(210)과, 경보 발생부(211)와, 무선호출 수단(212)과, 웹서버(213)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방식점검장치(21)로부터 입수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부식 및 방식상태를 판단하여 적정의 방식제어 신호를 산출하며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관리자로하여금 시스템 통제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처리수단(206)은 데이터의 저장 및 독출과 상기 주 통제시스템(20)의 각종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식 감시 및 제어 프로그램(201,203)은 구조물의 방식상태를 감시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응용소프트웨어로서, 방식대상물을 방식하고 있는 상기 DC정류기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입수하여 상기 방식 감시및 제어 프로그램에 설정된 기준 전압 또는 전류와 비교 판단한 후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방식점검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DC정류기를 제어(입력 전압 또는 전류 제어, 주파수 제어 등)함으로써 구조물의 방식 전압 또는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하거나 필요한 수치로 자동으로 변동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식 감시 및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서 방식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지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가동 중에 있는 방식 설비 또는 구조물의 상태를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C정류기의 방식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 때의 전류 값이 측정되고 방식 대상 면적을 입력하면 평균 방식 전류 밀도가 계산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각 점검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류기의 방식전위가 표시되고, 적정 방식 전위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을 정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이 한계치를 벗어 날 경우 화면상의 데이터 색깔이 붉은 색으로 변색되며 경보음이 울리고 담당 기술자가 통제실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무선 호출로 현 방식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러 데이터들의 전송 주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모든 메뉴는 자동적으로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파일을 다시 읽어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순간 정전전위 측정 프로그램(202)은 정류기에 순간 정전전위를 발생시켜 이에 따른 변화상태를 측정함으로써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실행하게 되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DC정류기를 수~수십ms 내로 정전시켜고 이 때의 순간 정전 전위(Off-potential)를 측정하며 또한, 적정 시간(4시간 또는 24시간) 후의 복극전위를 측정하여 전위 변화량(△Eshift = 복극 전위 - 순간정전 전위)을 구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방식상태가 적정하게 이뤄지고 있는 지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서 상기 순간 정전전위 측정 프로그램(202)에 요구되는 기준 전위변화량, 복극전위 측정시간 등을 방식대상물에 따라 적정의 값으로 입력하여 방식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부식 감시 프로그램(201)은 상기 부식점검장치의 검출수단에서 측정된 전위데이터를 기초로 현재의 부식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방식대상물의 주위에 설치될 수 있는 부식속도 측정용 센서로부터 부식속도 정보를 입수하여 부식 진행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소프트웨어로서, 이를 통해서 상기 주 통제시스템(20)은 부식대상물의 전반적인 부식상황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표시수단을 통해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정류기 출력값(전압/전류) 조절부(209)는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과 상기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에서 설정된 부식 및 방식상태에 대한 기준값들을 비교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정류기 출력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방식 제어 프로그램과 함께 작동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방식 장치의 제어는 수집된 전위데이터를 토대로 부식상태를 판단한 후 관리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정류기 출력값을 조정하여 방식을 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부식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고 정확한 방식제어가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방식 제어 프로그램(203)에 의해 자동으로 방식 점검데이터를 통해 방식상태를 파악하고 원격 통제시스템을 통해서 제어함으로써 일정의 방식 전위로 유지하거나 적정의 방식값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경보 발생부(211)는 상기 부식감시 프로그램(201) 또는 방식 점검 프로그램에 의해 부식 및 방식상태를 판단한 결과 부식이 이뤄지고 있다거나 적정한 범위로 방식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경우 경보를 발생시켜 관리자로 하여금 이상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상유무표시 수단에 의해 경보 작동을 소리 또는 색깔의 변화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상기 경보 발생부(211)는 부식 및 방식상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무선호출수단(212)을 작동시켜서 미리 입력된 해당 관리자의 정보(호출기 번호, 단말기 번호 등)를 확인한 후 관리자의 무선 호출기 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경보와 관련된 사항(방식 이상정보, 이상위치, 이상정도 등)을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 통제시스템(2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 행하는 일련의 과정 및 의 특징은 모든 데이터의 수집이나 출력 제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행하므로 음극 방식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인터넷 웹 페이지에 올려서 해당 기술자가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이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 장치(205)는 유선 통신망(일반 전화선, 통신 케이블, LAN망 등)과 연계되기 위해 모뎀장치 또는 MAX 등의 통신장비로 이뤄지거나, 근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망(또는 인공위성 등)과 연계되기 위해 안테나 등을 구비하여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전송 시스템은 일반 전화선, LAN망, 무선(이동) 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특히, 방식 대상물이 길거나 클 경우에는 여러 개의 정류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방식을 행하므로 순간 정전 전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 시스템은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신호를 상기 주 통제시스템까지 전송함에 있어서, 별도의 데이터 수집수단 없이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중간에 간이 통제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특정 지역권 또는 방식대상물 집합체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일정량 집진하여 판단한 후 선별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주 통제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선택은 방식대상물의 거리 또는 범위에 의존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방식 대상 구조물의 부식 상태와 방식 상태를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술자가 방식현장를 순찰하면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존의 방식시스템에 비해 소요시간 및 인력에 있어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식 대상물의 부식 상태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설물 및 국민의 안전과 시설의 장기 보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7)

  1. 방식점검장치와, 주 통제시스템과, 데이터전송 시스템을 통해서 금속구조물의 부식 및 방식상태를 점검하고 제어하는 방식상태 점검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식점검장치는
    기준전극과 방식대상구조물의 금속체와의 전위차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한 전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주 통제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 출력값을 조절하여 금속체의 방식을 제어하는 DC 정류기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DC 정류기의 출력값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위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 통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주 통제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주 통제시스템은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입수되는 부식 및 방식점검 데이터와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부식 및 방식상태를 자동으로 평가하고 그에 따른 방식 제어값을 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들과,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전위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식점검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방식점검장치로부터 입수되는 데이터 및 그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의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하거나 상기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과,
    상기 방식처리 응용프로그램의 부식 및 방식상태 판단에 따라 상기 DC정류기의 방식전위를 조절하는 정류기 출력값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방식측정장치와 상기 주 통제시스템간의 방식점검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 시스템은 방식대상구조물이 광범위의 지역에 거처 시설되는 경우 인공위성 통신망을 사용하여 다수로 축설되어 있는 상기 방식점검장치들로부터 방식점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입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 시스템은 통신망의 중간에 간이 통제장치를 축설하여 특정 지역 및 구조물집합체에서 입수되는 방식데이터들을 집진한 후 주기적으로 주 통제시스템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점검장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방식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과 방식상태의 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통제시스템은 방식대상물이 적정한 방식상태에서 벗어날 경우 해당 방식대상물의 관리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방식이상을 통지하는 무선호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통제시스템은 인터넷망에 방식 웹서버 및 방식 점검 및 제어 웹사이트를 구축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인터넷상에서 방식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
  7. 상기 검출수단은, 정류기의 출력 전압, 정류기의 출력 전류, 방식 전위, 순간 정전 전위(Instant off potential), 복극 속도(Depolarization rate), 부식 속도 측정용 시험 시편의 금속 손실량, 및 자연 전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한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 및 제어 시스템.
KR10-2000-0034832A 2000-06-23 2000-06-23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KR10040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832A KR100405590B1 (ko) 2000-06-23 2000-06-23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832A KR100405590B1 (ko) 2000-06-23 2000-06-23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572A true KR20020000572A (ko) 2002-01-05
KR100405590B1 KR100405590B1 (ko) 2003-11-15

Family

ID=1967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832A KR100405590B1 (ko) 2000-06-23 2000-06-23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5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03B1 (ko) * 2008-09-19 2010-08-1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네트워크 방식의 원격학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공정시스템의 자가 진단장비 및 그에 따른 자가 진단방법
WO2011071241A2 (en) * 2009-12-11 2011-06-16 Lg Innotek Co., Ltd. Crack detecting system and crack detecting method
KR101366371B1 (ko) * 2012-05-14 2014-02-24 동양방식 주식회사 음극방식 관리장치의 전위 측정방법
WO2016036040A1 (ko) * 2014-09-01 2016-03-10 (주)소프트랩 저전력 기반의 고속 이동식 지하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 시스템
CN106295152A (zh) * 2016-08-03 2017-01-04 合肥奇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保险理赔管理系统
KR20180082919A (ko) * 2017-01-11 2018-07-19 한국가스안전공사 이동식 무선기반 매설배관 방식전위 원격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691B1 (ko) * 2010-11-16 2011-07-19 허영인 금속구조물의 유무선통신 원격부식 감시 및 방식 제어 시스템
KR102092673B1 (ko) 2019-12-04 2020-05-15 주식회사 삼공사 다수 개의 단위설비의 부식 방지 감시를 위한 컨트롤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325094A (en) * 1992-10-09 1994-05-0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orrosion monitor system
JP3139938B2 (ja) * 1995-04-13 2001-03-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電気防食電流モニ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
KR200215750Y1 (ko) * 1998-05-27 2001-03-15 정영무 전기방식(電氣防蝕) 상태 파악용 무선측정 시스템
KR100311631B1 (ko) * 1998-11-23 2001-12-17 윤문수 원격부식감시및방식제어시스템
KR19990035219U (ko) * 1999-06-07 1999-09-06 최용화 무선통신기능이있는부식감시장치및시스템
KR100364749B1 (ko) * 2000-03-14 2002-12-16 주식회사 동남물산 전기 방식용 디지털 정류기의 자동 제어 장치 및 자동제어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03B1 (ko) * 2008-09-19 2010-08-1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네트워크 방식의 원격학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공정시스템의 자가 진단장비 및 그에 따른 자가 진단방법
WO2011071241A2 (en) * 2009-12-11 2011-06-16 Lg Innotek Co., Ltd. Crack detecting system and crack detecting method
WO2011071241A3 (en) * 2009-12-11 2011-10-20 Lg Innotek Co., Ltd. Crack detecting system and crack detecting method
KR101366371B1 (ko) * 2012-05-14 2014-02-24 동양방식 주식회사 음극방식 관리장치의 전위 측정방법
WO2016036040A1 (ko) * 2014-09-01 2016-03-10 (주)소프트랩 저전력 기반의 고속 이동식 지하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 시스템
CN106295152A (zh) * 2016-08-03 2017-01-04 合肥奇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保险理赔管理系统
KR20180082919A (ko) * 2017-01-11 2018-07-19 한국가스안전공사 이동식 무선기반 매설배관 방식전위 원격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590B1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691B1 (ko) 금속구조물의 유무선통신 원격부식 감시 및 방식 제어 시스템
KR101202387B1 (ko) 부식센서를 이용한 선박의 부식 모니터링 시스템
KR100380113B1 (ko) 지하금속매설물의 부식수명예측시스템 및 부식수명예측방법
KR100311631B1 (ko) 원격부식감시및방식제어시스템
KR101680798B1 (ko) 극한지 파이프라인의 부식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외부전원방식 시스템 및 그 방법
GB2414608A (en) System powered by signal on gas pipe
KR100405590B1 (ko)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KR101072968B1 (ko)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KR101828520B1 (ko)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및 지진계측의 통합트리거링과 드론 영상촬영을 이용한 위험취약구조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4344B1 (ko) 저전력 기반의 고속 이동식 지하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 시스템
KR200486933Y1 (ko) 방식전위 측정함용 용기 구조체
CN111896043A (zh) 一种窨井故障定位系统及窨井故障定位方法
KR100406026B1 (ko) 지중에 군집하여 매설된 복수개 금속 탱크의 부식 예측시스템
CN106257245A (zh) 管道断面监测系统
KR100731621B1 (ko) 방식 점검 시스템
KR20060018993A (ko) 지하매설 배관 부식 원격 감시시스템
KR19990035219U (ko) 무선통신기능이있는부식감시장치및시스템
AU2019271998A1 (en) Remote Cathodic Protection Monitoring System
KR100569886B1 (ko) 지하매설 배관 부식 원격 감시시스템
KR101764624B1 (ko) 희생양극을 이용한 건물 내 스틸 프레임 부식 예측시스템
KR102597524B1 (ko) 지중 매설배관의 전기방식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28171A (ko) 매설배관의 원격 통합관리시스템
KR102304606B1 (ko) 교량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092673B1 (ko) 다수 개의 단위설비의 부식 방지 감시를 위한 컨트롤러 시스템
US11480697B2 (en) Earthquake prediction method and earthquake predi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